카를 알렉산더 폰 로트링겐 공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 알렉산더 폰 로트링겐 공자는 1712년 뤼네빌에서 태어나 군인이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 그는 오스트리아-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했으며, 형 프란츠 1세가 마리아 테레지아와 결혼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에 편입되었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군의 주요 지휘관 중 한 명이 되었고, 7년 전쟁에서는 오스트리아군 총사령관을 맡았지만 로이텐 전투 패배 후 군 복무에서 은퇴했다. 그는 1744년부터 1780년 사망할 때까지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을 역임하며 개혁을 통해 주민들의 존경을 받았고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했다. 1780년 테르뷔렌 성에서 사망하여 브뤼셀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렌가 - 프란츠 1세
프란츠 1세는 로렌 공국의 공작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마리아 테레지아와의 결혼을 통해 합스부르크-로렌 가문을 열었으며, 재정 안정과 문화 발전에도 기여했다. - 로렌가 - 프랑수아 1세 드 로렌
프랑수아 1세 드 로렌은 앙투안 로렌 공작의 장남으로 1544년부터 1545년까지 로렌 공작을 지냈으며, 크리스티나 덴마크 여왕과 결혼하여 샤를 3세를 두었으나 1545년 요절하여 아내가 섭정을 맡았다.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관련자 - 모리스 드 삭스
모리스 드 삭스는 작센 선제후의 서자로 태어나 프랑스 원수와 대원수를 지낸 군인이자 전략가로서, 주요 전쟁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고 퐁트누아 전투에서의 승리로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군사적 사상을 담은 저서 《나의 몽상》은 후대 군사 전략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관련자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슈토이벤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슈토이벤은 프로이센 출신 군인으로 미국 독립 전쟁에서 대륙군을 훈련시켜 미국의 독립에 기여했으며, 프로이센식 군사 훈련법을 도입하고 군수 및 행정 개혁에도 힘썼다. - 튜턴 기사단 총장 - 울리히 폰 융깅겐
울리히 폰 융깅겐은 튜턴 기사단의 제26대 대장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튜턴 전쟁을 일으켰으나 그룬발트 전투에서 패배하여 전사했다. - 튜턴 기사단 총장 -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공작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공작은 오스트리아의 야전원수로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아스페른-에슬링 전투에서 나폴레옹에게 첫 패배를 안겨주었지만 바그람 전투에서 패배 후 은퇴하여 군사 이론가로 활동했고 빈에 기마상이 세워졌다.
카를 알렉산더 폰 로트링겐 공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샤를 알렉상드르 에마뉘엘 드 로렌 |
다른 이름 | 카를 알렉산더 폰 로트링겐 샤를 알렉상드르 드 로렌 |
출생일 | 1712년 12월 12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로렌 공국, 뤼네빌 |
사망일 | 1780년 7월 4일 |
사망지 | 신성 로마 제국, 브라반트 공국, 테르뷔렌 |
매장일 | 1780년 7월 10일 |
매장지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브뤼셀, 성 미셸과 성 ギュデュル 대성당 (육체), 프랑스, 낭시, 코르들리에 교회 (심장) |
배우자 | 마리아 안나 폰 외스터라이히 (1718-1744) |
가문 | 로렌 가문 |
아버지 | 로렌 공국의 레오폴트 |
어머니 |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도를레앙 |
종교 | 기독교, 가톨릭 교회 |
통치 정보 | |
작위 | 공 |
직책 |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 | 재임 기간: 1744년 – 1780년 7월 4일 이전: 마리아 안나 폰 외스터라이히 (총독) 이후: 마리아 크리스티나, 알베르트 카지미르 |
독일 기사단 총장 | 재임 기간: 1761년 – 1780년 7월 4일 이전: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폰 바이에른 이후: 막시밀리안 프란츠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
군사 정보 | |
소속 | 오스트리아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코투지체 전투 호헨프리트베르크 전투 로쿠르 전투 7년 전쟁 프라하 전투 브레슬라우 전투 (1757년) 로이텐 전투 |
2. 초기 생애
카를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동안 오스트리아군 주요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1] 1742년 초투지츠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패배했지만, 질서 있게 퇴각했다.[1] 1743년 프랑스-바이에른 전역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1744년 1월, 마리아 테레지아의 여동생 마리아 안나와 결혼했고, 부부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1]
7년 전쟁이 1756년에 발발하자 마리아 테레지아는 카를 알렉산더를 오스트리아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10] 그는 프라하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에게 패배하여 프라하에 포위되었으나,[10] 콜린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이 승리하면서 포위가 풀렸다.[10] 1757년 브레슬라우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에게 승리했지만,[2][10] 로이텐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대패하여 지휘관에서 물러났다.[2][10] 이후 카를은 군사 고문을 맡은 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을 역임했다.[10]
1744년 1월 7일, 카를 알렉산더는 마리아 테레지아의 여동생인 오스트리아 여대공 마리아 안나와 결혼하여 마리아 테레지아의 매형이 되었다. 부부는 공동으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현재의 벨기에) 총독으로 임명되었다.[10] 그러나 마리아 안나는 같은 해 12월 16일 브뤼셀에서 출산 중 사망했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를의 인기와 뚜렷한 후임자의 부재는 그가 1780년 사망할 때까지 총독이자 사실상의 주권자로 계속 남을 수 있게 하였다.
카를은 1744년 1월 7일 마리아 테레지아의 여동생인 오스트리아 여대공 마리아 안나와 결혼하여 마리아 테레지아의 매형이 되었다. 부부는 공동으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현재의 벨기에) 총독으로 임명되었다.[1] 마리아 안나가 같은 해에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카를은 1780년 사망할 때까지 총독으로 재임했다.
카를 알렉산더는 1780년 7월 4일 테르뷔렌 성에서 사망했다.[10] 그는 브뤼셀의 생 미셸과 생 퀴둘 대성당에 매장되었으며, 심장은 낭시의 생 프랑수아 드 코르들리에 교회에 안치되었다.[10]
그는 군사 지도자로서는 잦은 패배를 겪었지만, 유능한 행정가이자 국민들에게 호평을 받는 인물이었다. 그는 자신의 영지인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문화 생활에 깊이 관여했고, 그의 통치 하에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는 번성했다.[4] 1775년 브라반트 의회는 브뤼셀에 그의 동상을 세웠다.[10] 그는 1780년 7월 4일 테르뷔렌 성에서 사망했고, 7월 10일 브뤼셀의 생 미셸과 생 퀴둘 대성당에 매장되었다. 그의 심장은 낭시의 생 프랑수아 드 코르들리에 교회에 안치되었다.[10]
[1]
EB1911
Charles (Prince of Lorraine)
카를 알렉산더 폰 로트링겐 공자는 1712년 12월 12일 로렌 공국의 뤼네빌에서 로렌 공작 레오폴트와 오를레앙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트의 아들로 태어났다.[1] 군인이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10]
그의 형 프란츠 1세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마리아 테레지아와 1736년에 결혼하면서, 카를 알렉산더는 합스부르크 가문에 편입되었다.[10] 프란츠 1세는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을 끝내면서 토스카나 대공국과 로렌 공국을 교환하였고, 이후 로렌 공국은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를 거쳐 루이 15세에게 넘어갔다. 하지만 프란츠 1세와 그의 후계자들은 로렌과 바 공작령의 공작 칭호를 유지할 권리를 가졌다.
카를 알렉산더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군인이 되어 오스트리아-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1737년과 1738년의 전투에 참전했다.[10]
3.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4년 카를은 오스트리아 군을 이끌고 라인강을 건너 로렌 공국을 침공했지만, 프리드리히 2세가 보헤미아를 침공하자 철수해야 했다. 이후 보헤미아에서 프로이센 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1745년 호엔프리트베르크 전투와 소르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다시 패배했다.[10] 1746년 로쿠 전투에서는 모리스 드 사크스가 이끄는 프랑스군에게 패배했다.[1]
4. 7년 전쟁
5.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끝난 후, 카를 알렉산더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통치에 힘을 쏟아 많은 개혁을 실시하여 대중의 인기를 얻었다.[10] 군무에서 은퇴한 후에도 네덜란드에서 그의 인기는 높았고, 1775년에는 브라반트 의회가 브뤼셀에 카를 알렉산더의 동상을 세우기도 했다.[10]
그는 브뤼셀에 로렌 공작 샤를 궁전을 건설하고, 테르뷔렌 성과 마리에몽 성을 개축했다. 또한 테르뷔렌에 있는 샤를 성을 의뢰했다.
1780년 7월 4일, 카를 알렉산더는 테르뷔렌 성에서 사망했다. 7월 10일, 브뤼셀의 생 미셸과 생 퀴둘 대성당에 매장되었으며, 심장은 낭시의 생 프랑수아 드 코르들리에 교회에 안치되었다.[10]
6. 가족 및 사생활
마리아 안나와의 결혼 생활은 짧았지만, 마리아 안나 사후 카를은 여러 정부를 두었다. 그의 정부와 자녀들은 비밀에 부쳐졌으며, 자녀들은 네덜란드에 있을 경우 공공장소에서 어머니의 성을 사용해야 했다.[5]
카를은 정부인 엘리자베트 드 보(Elisabeth de Vaux)와의 사이에서 아들 샤를 알렉상드르 기욤 조제프(Charles Alexandre Guillaume Joseph)를 두었고, 손자도 얻었다.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정부들과의 사이에서 사산된 딸, 아들 샤를 프레데릭(Charles Frédéric), 아들 장 니콜라(Jean Nicholas), 딸 안 프랑수아즈(Anne Françoise)를 두었다. 또 다른 정부 레지나 엘리자베트 바르톨로티 폰 포르텐펠트(Regina Elisabeth Bartholotti von Partenfeld, 1725년 출생)와의 사이에서 딸 마리아 레지나 요한나 폰 메레이(Maria Regina Johanna von Merey, 1744-1779)를 두었으며, 그녀는 후에 하켈베르크-란다우 남작부인이 되었다. 그의 자녀 중 일부는 벨기에의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에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거주했다. 그의 첫째 아들 샤를 알렉상드르 기욤 조제프는 뤼네빌로 돌아와 유산을 요구했고, 1788년에 구스타브 오귀스트라는 아들을 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낭시에서 사망했다.[6]
7. 사망
8. 유산
9. 가계
샤를은 로렌 공작 레오폴트와[1] 오를레앙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트의 아들이었다. 그의 형 로렌 공작 프란츠 1세는 카를 6세 황제의 딸인 마리아 테레지아와 결혼하였다.
1744년 1월 7일, 샤를은 마리아 테레지아의 유일한 여동생인 오스트리아 여대공 마리아 안나와 결혼하여 마리아 테레지아의 매제가 되었다.1. 카를 알렉산더 폰 로트링겐 공자 2. 레오폴트, 로렌 공작 3.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도를레앙 4. 카를 5세, 로렌 공작 5. 엘레오노라, 오스트리아 여왕 6. 필리프 1세, 오를레앙 공작 7.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폰 데어 팔츠 8. 니콜라 2세, 로렌 공작 9. 클로드 프랑수아 드 로렌 10. 페르디난트 3세, 신성 로마 황제 11. 엘레오노라 곤차가 12. 루이 13세 13. 안 도트리슈 14. 카를 1세 루트비히, 팔츠 선제후 15. 샬롯 폰 헤센카셀
참조
[2]
서적
Crucible of War: The Seven Years' War and the Fate of Empire in British North America, 1754–1766.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7
[3]
간행물
The Pointblank Directive: Three Generals and the Untold Story of the Daring Plan that Saved D-Da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2
[4]
문서
Maria Theresa
[5]
웹사이트
Family tree of Elisabeth de Vaux
https://gw.geneanet.[...]
[6]
웹사이트
Regina Bartholotti von Porthenfeld: Genealogics
https://www.genealog[...]
[7]
웹사이트
Petit château du Prince Charles-Alexandre de Lorraine, dit la Favorite
https://www.pop.cult[...]
[8]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9]
웹사이트
https://cathedralisb[...]
[10]
EB1911
Charles (Prince of Lorra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