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샤파 6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샤파 6세는 11세기 초 스리랑카에서 촐라 제국에 저항한 싱할라 왕족이다. 마힌다 5세의 아들로, 촐라의 침략으로 부모가 포로로 잡힌 후 루후나에서 성장했다. 비크라마바후 1세라는 이름으로 루후나 공국을 중심으로 촐라에 저항했지만, 촐라의 기록에 따르면 전쟁에서 사망했다. 비크라마바후 1세 사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비자야바후 1세가 등장하여 촐라를 몰아내고 스리랑카를 통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누라다푸라 왕국 사람 - 아리아데바
    아리아데바는 나가르주나의 제자이자 뛰어난 논쟁가로, 남인도 브라만 출신으로 추정되며, 공(空) 사상을 다룬 『400송 품론』을 저술하여 불교 전파에 기여했다.
  • 993년 출생 - 토그릴 베그
    투그릴 베그는 셀주크 제국의 창시자이자 초대 술탄으로, 가즈나 왕조를 격파하고 셀주크 왕조를 창시, 호라산 지방을 지배했으며, 아바스 왕조 칼리프에게 술탄 칭호를 받고 부와이 왕조를 무너뜨려 광대한 영토를 다스렸다.
카샤파 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루후나의 왕
통치 기간1029년 ~ 1041년
개인 정보
이름비크라마바후
아버지마힌다 5세
어머니루후누라타의 바둘라 출신 평민가의 후궁
출생일993년
사망일1041년
가계
왕조람바카나 제2왕조
배우자왕비 1명
자녀딸 3명
친척마힌다 4세(친할아버지), 세나 5세(큰아버지), 다풀라 4세(이복 큰할아버지), 다풀라 5세(이복 큰할아버지), 세나 4세(이복 큰할아버지)
기타
종교불교

2. 촐라의 스리랑카 침공과 싱할라 왕국의 저항

993년 라자라자 촐라 1세의 스리랑카 침공 이후, 촐라 왕조는 스리랑카 북부의 라자라타를 병합하여 제국의 일부로 편입시켰다. 당시 스리랑카 왕 마힌다 5세는 남부 루후나 공국에서 통치를 이어갔으나, 1017년 촐라 군대에 의해 사로잡혀 1029년 포로 상태에서 사망했다.[2][3][4] 마힌다 5세의 사망은 싱할라족의 저항 운동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특히 루후나 지역을 중심으로 반란이 확산되었다.[2][4] 이러한 상황 속에서, 촐라의 침공 당시 탈출하여 비밀리에 성장한 마힌다 5세의 아들 카샤파 왕자가 저항 세력의 중심으로 부상하게 된다.[4]

2. 1. 라자라자 촐라 1세의 침공 (993년)

993년, 라자라자 촐라 1세의 스리랑카 침공 이후, 촐라 왕조는 스리랑카 북부를 포함하는 라자라타를 병합하여 촐라 제국의 주로 만들었다. 그러나 스리랑카 왕 마힌다 5세는 남부 루후나 공국으로 피신하여 24년 동안 통치를 이어갈 수 있었다.[2] 1017년, 촐라 군대는 루후나를 침공하여 마힌다 5세와 왕비, 그리고 왕실의 모든 보물을 사로잡았다. 마힌다 5세는 촐라 제국의 포로로 지내다가 1029년 감금 상태에서 사망했다.[3][4]

비크라마바후가 왕이 되었을 때 촐라 제국의 대략적인 범위


왕이 포로로 잡혀 있는 동안, 스리랑카의 싱할라족은 촐라 제국의 통치에 복종했다. 하지만 촐라의 지배에 대한 저항은 1029년 마힌다 5세가 사망한 직후부터 시작되었다.[2] 그의 죽음 소식이 전해지자, 섬 남부, 특히 루후나 공국에서 반란의 움직임이 커졌다.[4]

2. 2. 루후나 침공과 마힌다 5세의 억류 (1017년)

993년, 촐라의 라자라자 촐라 1세가 스리랑카를 침공한 이후, 촐라는 스리랑카 북부의 라자라타 왕국을 병합하여 촐라 제국의 한 주로 삼았다. 하지만 남부의 루후나 공국은 스리랑카의 왕 마힌다 5세가 24년 동안 별다른 방해 없이 통치하도록 내버려 두었다.[2]

1017년, 촐라는 루후나를 침공하여 마힌다 5세와 왕비, 그리고 왕실의 모든 보물을 사로잡았다. 마힌다 5세촐라 제국의 포로로 끌려가 1029년 감금된 상태에서 사망했다.[3][4]

왕이 억류된 동안 스리랑카의 싱할라족은 촐라의 통치에 복종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1029년 마힌다 5세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특히 섬 남부의 루후나 공국을 중심으로 촐라 통치에 대한 저항이 일어나기 시작했다.[2][4]

2. 3. 싱할라족의 저항과 비크라마바후 1세의 등장

마힌다 5세촐라 제국의 포로 상태에서 1029년 사망하자,[3][4] 스리랑카의 싱할라족 사이에서는 촐라의 통치에 대한 저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2] 특히 섬 남부의 루후나 공국을 중심으로 반란의 움직임이 커졌다.[4]

마힌다 5세의 아들인 카샤파 왕자는 1017년 부모가 촐라 군대에 사로잡혔을 때 탈출하여 루후나에서 비밀리에 성장했다. 아버지의 사망 소식과 함께 약 12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한 그는 싱할라 저항의 구심점이 되었다. 촐라 제국은 폴론나루와에서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카샤파를 체포하려 했지만,[4] 그는 지지자들의 도움으로 촐라군의 추격을 피할 수 있었다. 촐라군이 카샤파를 수색하는 동안, 두 명의 싱할라 장군이 촐라군을 공격하여 6개월간의 전투 끝에 이들을 폴론나루와로 후퇴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카샤파는 비크라마바후 1세라는 이름으로 왕위에 올랐다.[3] 그러나 그의 실질적인 통치력은 루후나 공국에만 미쳤다.[2][4]

비크라마바후 1세는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하며 촐라와의 장기적인 항전을 대비해 군사력을 키우기 시작했다. 촐라는 초기에 비크라마바후가 조직한 저항 세력을 크게 위협적으로 여기지 않았으나,[4] 간헐적으로 루후나를 침공하며 압박을 가했다.[2]

한편, 같은 시기 남인도에서는 촐라 제국에 정복되었던 판디아와 케랄라 왕국에서도 저항 운동이 거세지고 있었다.[2] 스리랑카, 판디아, 케랄라 세 지역의 저항 세력이 서로 연대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 비크라마바후는 최소 8년 이상 전쟁을 준비했으나, 촐라 측 기록에 따르면 그는 촐라와의 전쟁 중에 사망했으며 그의 왕관은 촐라의 왕 라자디라자(Räjädhirāja)의 손에 들어갔다고 한다.[5] 역사가들은 비크라마바후 1세의 사망 시기를 1037년에서 1041년 사이로 추정하고 있다.[4]

3. 비크라마바후 1세의 촐라 저항 전쟁

촐라군의 추격을 피해 루후나에서 지지자들의 보호를 받던 카샤파는 이후 비크라마바후(Vikramabahu)라는 이름으로 왕위에 올랐다.[3] 비록 그의 실질적인 통치권은 루후나 공국에 한정되었지만,[2][4] 그는 이곳을 거점으로 삼아 촐라에 대한 장기적인 저항 전쟁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자신에 대한 충성심과 지지를 구축하고 군사적 자원을 확보하는 데 힘썼다.[4] 초기 촐라 제국은 비크라마바후가 조직한 저항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으나,[4] 간헐적으로 루후나를 침략하기도 했다.[2] 같은 시기 남인도판디아와 케랄라 등 촐라에 정복된 다른 왕국들에서도 저항이 거세지고 있어,[2] 이들 세력이 서로 연계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

3. 1. 촐라군의 추격과 싱할라 장군들의 반격

촐라군은 카샤파(Kassapa)를 찾기 위해 루후나 전역을 돌아다녔지만, 그는 지지자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보호받았다. 촐라군이 왕자를 찾고 있는 동안, 두 명의 싱할라 장군이 촐라군을 공격하여 6개월간의 전투 끝에 폴론나루와로 후퇴하게 만들었다.[3][2][4]

3. 2. 비크라마바후 1세의 세력 구축과 전쟁 준비

촐라군의 추격을 피해 지지자들의 보호 아래 숨어 지내던 카샤파는, 두 싱할라 장군이 촐라군을 격퇴시킨 후 비크라마바후(Vikramabahu)라는 이름으로 왕위에 올랐다.[3] 하지만 그의 실질적인 통치권은 루후나 공국에 한정되었다.[2][4]

비크라마바후 1세는 왕위에 오른 후 자신에 대한 충성심과 지지를 확보하는 데 힘썼으며, 촐라와의 장기적인 전쟁에 대비하여 군사력을 키우기 시작했다. 초기 촐라는 비크라마바후의 저항 움직임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나,[4] 때때로 루후나를 침공하기도 했다.[2]

같은 시기 남인도에서는 촐라에 정복되었던 판디아와 케랄라 지역에서 저항 움직임이 커지고 있었다.[2] 이에 따라 스리랑카, 판디아, 케랄라 세 세력이 촐라에 맞서기 위해 서로 연락을 주고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 비크라마바후는 전쟁 준비에 오랜 시간을 쏟아, 최소 8년이 지난 후에야 전투 태세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촐라의 비문에 따르면, 비크라마바후는 결국 촐라와의 전쟁에서 목숨을 잃었으며 그의 왕관은 촐라의 왕 라자디라자(Räjädhirāja)에게 넘어갔다고 기록되어 있다.[5] 역사가들은 그의 사망 시기를 1037년에서 1041년 사이로 추정한다.[4]

3. 3. 비크라마바후 1세의 죽음과 촐라의 기록

비크라마바후는 촐라와의 장기적인 전쟁을 위한 군사력 준비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최소 8년이 지나서야 전투 준비를 마쳤다. 그러나 촐라 비문에 따르면, 비크라마바후는 결국 촐라와의 전쟁 중에 목숨을 잃었으며 그의 왕관은 촐라의 라자디라자(Räjädhirāja)에게 넘어갔다고 기록되어 있다.[5] 역사가들은 그의 사망 연도를 1037년에서 1041년 사이로 추정하고 있다.[4]

4. 비크라마바후 1세 사후의 혼란과 비자야바후 1세의 등장

비크라마바후 1세에게는 왕위를 직접 계승할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그의 죽음 이후 약 10년 동안 스리랑카는 내부 혼란과 분열을 겪었다.[6] 이러한 혼란을 틈타 촐라 제국은 스리랑카에 개입하여 왕위 계승자들 중 일부를 살해하기도 했다.[4] 비크라마바후 사후 몇몇 인물들이 권력을 잡았으나 혼란을 수습하지 못했고, 오히려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6][4]

이러한 혼란 속에서 1055년, 비자야바후 1세가 왕으로 추대되었다.[6] 그는 17년에 걸친 긴 전쟁 끝에 촐라 제국 세력을 스리랑카에서 몰아내고, 1세기가 넘는 분열기를 끝내며 국가를 다시 통일하는 데 성공했다.[2][4]

4. 1. 계승자들의 혼란과 촐라의 개입

비크라마바후는 왕위를 직접 이을 후계자가 없었으며, 그의 죽음 이후 10년 동안 내부 혼란과 분열이 계속되었다.[6] 촐라 제국은 이러한 혼란을 이용하여 왕위를 계승한 다섯 명의 왕자 중 세 명을 살해하는 등 적극적으로 개입했다.[4]

비크라마바후가 사망하자 그의 사령관이었던 키티가 권력을 잡았으나, 8일 만에 비크라마바후의 "수석 비서"였던 마할라나키티에게 폐위되었다. 마할라나키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그는 3년간 통치하다가 촐라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여러 인도 왕자들이 즉위했는데, 이는 싱할라족이 촐라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이끌 지도자라면 누구든 따르려 했기 때문이었다.[6] 그러나 연이어 등장한 통치자들은 오히려 루후나 지역의 상황을 이전보다 더욱 악화시켰다.[4] 이러한 혼란은 1055년 비자야바후 1세가 왕으로 선포될 때까지 이어졌다.[6]

4. 2. 비자야바후 1세의 등장과 촐라 축출

비크라마바후에게는 직접적인 왕위 계승자가 없었기 때문에, 그의 죽음 이후 10년 동안 스리랑카는 내부 혼란과 분열을 겪었다.[6] 이러한 혼란을 틈타 촐라 제국은 스리랑카에 개입하여 왕위를 계승한 다섯 왕자 중 세 명을 살해하기도 했다.[4] 비크라마바후 사후 잠시 권력을 잡았던 사령관 키티나 비크라마바후의 수석 비서였던 마할라나키티 등도 혼란을 수습하지 못했고, 마할라나키티는 촐라와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이후 등장한 여러 인도 출신 왕자들 역시 싱할라족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6][4]

결국 1055년, 비자야바후 1세가 왕으로 선포되었다.[6] 그는 17년간의 긴 전쟁 끝에 마침내 촐라 제국 세력을 스리랑카에서 완전히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비자야바후 1세는 1세기가 넘는 분열기를 끝내고 스리랑카를 다시 통일하였다.[2][4]

참조

[1] 서적 The Colas Vol 1 https://archive.org/[...]
[2] 간행물 The Politics of Plunder: The Cholas in Eleventh-Century Ceylon 1976-05
[3] 문서 Chulavamsa
[4] 서적 A Concise History of Ceylon Ceylon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Colas Vol 1 https://archive.org/[...]
[6] 서적 A Short History of Ceylon http://lakdiva.org/c[...] Macmillan & 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