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령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령관은 군대, 경찰, 항공, 기사단 등 다양한 조직에서 사용되는 직책 또는 계급을 의미한다. 해군에서는 중령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함대나 부대를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특정 부대의 지휘관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며, 육군, 공군, 해병대 등에서도 부대 지휘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외에도 경찰, 항공, 기사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휘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최고사령관(Commander-in-Chief)은 국가원수 또는 연합군의 최고 지휘관을, 총사령관은 특정 병과의 최고위직 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총군 사령관을 지칭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지도자 - 알탄 칸
    알탄 칸은 16세기 몽골의 지배자로서 투메트부를 다스리고 명나라와 교역을 시도하다 베이징을 공격하고 화의를 맺었으며, 티베트 불교를 몽골에 부흥시키고 후허하오터를 건설하는 등 몽골의 종교적,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다.
  • 군사 지도자 - 총사령관
    총사령관은 군대를 지휘하는 통치자의 공식적인 역할 및 직함으로, 국가 원수가 맡는 경우가 많으나, 군 장교에게도 사용되며, 그 권한과 역할은 국가의 정치 체제, 군사 조직,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사령관
개요
영문 명칭Commander
직책 유형군사 계급
사용 군대해군, 공군
기원중세 시대의 기사단에서 유래
계급 의미지휘관 또는 사령관
NATO 계급 코드OF-4
해군에서의 사용
해군 계급중령
지휘권해군 함정 또는 기지
NATO 계급 코드OF-4
해군에서의 위치대령 다음, 중령 다음
미국 해군 동급미국 해군 중령
영국 해군 동급영국 해군 중령
공군에서의 사용
공군 계급중령
지휘권공군 비행대 또는 부대
NATO 계급 코드OF-4
공군에서의 위치대령 다음, 중령 다음
기타 사용
기사단기사단에서의 명예 칭호
경찰일부 국가의 경찰 계급
특징
직무 범위작전 지휘 및 행정 업무 수행
책임부대 운영 및 임무 수행에 대한 책임
영향력전략적 및 작전적 결정에 영향력 행사
승진 가능성대령 또는 장군으로 승진 가능
참고
관련 직책지휘관
사령관
해군에서의 동급해군 중령
스페인군에서의 동급코만단테
소련군에서의 동급군사령관

2. 해군 계급으로서의 사령관 (Commander)

해군에서 사령관(Commander)은 주로 중령 계급에 해당하며, 함장보다 한 단계 낮은 계급이다. 일부 해군에서는 사령관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프리깃 함장을 사용하기도 한다. 20세기와 21세기에 이 계급은 NATO 계급 코드 OF-4로 지정되었다.

2. 1. 어원 및 역사

사령관(Commander)이라는 직함은 원래 18세기에 "함장 겸 선장(Master and Commander)"으로 불렸으며, 중위가 지휘하기에는 크고 함장을 배치하기에는 작은 군함을 지휘하는 해군 장교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1] 이들은 보통 20문 이하의 무장을 한 슬루프함을 지휘했으며, 함장은 자신의 선장을 겸임했다.[1] 1794년 영국 해군은 "함장 겸 선장"을 "중령(commander)"으로 줄였지만, "함장 겸 선장"이라는 용어는 몇 년 동안 비공식적으로 계속 사용되었다.[1] 미국 해군의 해당 계급인 함장(Master Commandant)은 1838년에 중령(미국 해군)으로 변경되었다.

2. 2. 국가별 해군 사령관

대한민국 해군에는 '사령관'이라는 별도의 계급이 존재하지 않지만, 해군작전사령관 등 특정 부대의 지휘관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1]

미국 해군에서 중령(Commander, 약칭 "CDR")은 중령(O-4)보다 높고 함장(O-6)보다 낮은 고급 장교 계급(O-5)이다.[32] 지휘관은 모자에 장식을 달 수 있는 최초의 계급이다. 미 해군에서 지휘관으로 진급하는 것은 1980년의 국방 장교 인사 관리법(DOPMA) 또는 이와 관련된 예비 장교 인사 관리법(ROPMA)에서 파생된 미국 국방부 정책에 따라 결정된다. DOPMA/ROPMA 지침에 따르면, 중령의 70%는 현재 계급에서 최소 3년 이상 복무하고 총 15년에서 17년의 위임된 복무 기간을 달성한 후 지휘관으로 진급해야 한다.[1]

영국 해군에서 중령(Commander)은 소령(Lieutenant Commander)보다 높고, 함장(Captain)보다 낮은 계급이다. 사령관은 프리깃, 구축함, 잠수함, 항공대대 또는 해안 시설을 지휘하거나 참모로 복무할 수 있다.[1]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는 영미 해군의 함장(Captain)에 해당하는 계급을 코만도르(Kommandør/Kommendör)라고 부른다.[2] 스칸디나비아의 코만도르 계급은 코만도르카프테인(Kommandørkaptein, Kommendörkapten, Kommandørkaptajn) 계급 바로 위에 있으며, 이는 영미 해군의 코만더(commander) 계급에 해당한다.

오스트레일리아 해군(RAN)의 사령관 계급은 영국 해군(Royal Navy)의 사령관 계급과 설명이 동일하다.[5]

국가별 해군 사령관(Commander) 계급장
국가계급장계급명(현지어)
앤티가 바부다
사령관
사령관[4]
오스트레일리아사령관[5]
바하마사령관[6]
방글라데시사령관[7]
브루나이Komanderms[8]
바베이도스사령관
벨리즈--사령관
캐나다사령관[9]
덴마크
Kommandør
Kommandørda[10]
피지사령관
핀란드
Komentaja
Komentajafi[11]
감비아사령관
가나사령관
가이아나사령관
인도사령관[12]
아일랜드
Ceannasaí
사령관[13]
자메이카사령관[14]
라이베리아사령관[15]
리투아니아
Komandoras
Komandoraslt[16]
말레이시아Komanderms[17]
나미비아사령관[18]
네덜란드
Commandeur
Commandeurnl[19]
뉴질랜드사령관[20]
나이지리아사령관[21]
노르웨이Kommandørno[22]
파키스탄사령관[23]
폴란드
Komandor
Komandorpl[24]
루마니아--Comandorro[25]
세인트키츠 네비스사령관
시에라리온사령관
남아프리카 공화국사령관[26]
스리랑카사령관[27]
스웨덴Kommendörsv[28]
탄자니아사령관
통가사령관[29]
트리니다드 토바고사령관[30]
영국사령관[31]
미국
사령관
사령관[32]
미국 해안경비대--사령관[32]


3. 군사 직책으로서의 사령관 (Commander)

많은 국가에서 사령관(Commander)은 특정 부대를 지휘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계급과는 별개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여러 소규모 식민지 정착지(다양한 카리브해 제도와 같이)에서 주둔군을 지휘하는 것이 최고 직책의 핵심이었기 때문에, 군사 직책인 ''Commandeur''가 민간 총독직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었는데, 이는 포르투갈의 대위장과 비슷하다. 네덜란드 식민지 뉘우발케렌(Nieuw Walcheren)의 토바고 섬에서는 식민지 사무소의 직책으로 '코망되르(Commandeur)'가 사용되었다.

스페인 육군, 스페인 공군, 그리고 스페인 해병대에서 "지휘관"이라는 용어는 스페인어 "comandante"의 직역이며, 영연방의 소령(Major)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스페인 시민경비대(Guardia Civil)도 육군 계급을 공유하며, 파견대(주로 하사관 또는 중위, 규모에 따라 다름)를 지휘하는 장교는 "comandante de puesto"(파견대 지휘관)로 불린다.

3. 1. 미군

미국 육군, 미국 해병대, 미국 공군에서 'Commander'는 부대 지휘관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용어이며, 장성급 지휘관은 'Commanding General(CG)', 그 외에는 'Commanding Officer(CO)'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하사관이 되는 분대장은 'Squad Leader'이다.

미국 해군에서 'Commander'는 중령 계급과 함대를 지휘하는 장성을 지칭하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다른 지휘관은 'Commanding Officer(CO)'이다.

3. 2. 영국군

영국 육군에서 "지휘관(commander)"이라는 용어는 분대장, 차량장, 포수와 같이 부서 책임자 직책을 맡은 하사관을 가리킨다.[1] 소대장 (Platoon Commander)을 맡는 소위 또는 대위, 여단장 (Brigade Commander)을 맡는 준장에게도 이 용어가 사용된다.[1] 다른 부대 지휘관들은 계급과 직책에 따라 통상적으로 지휘관(Officer Commanding, OC), 지휘장교(Commanding Officer, CO), 사단장(General Officer Commanding, GOC), 또는 최고 사령관(General Officer Commanding-in-Chief, GOC-C)으로 불리지만, 비공식적으로 "지휘관(commander)"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영국 해군에서 Commander는 중령에 해당하는 계급이다.[1]

3. 3. 자위대

호위함대 사령관
항공집단 사령관
잠수함대 사령관
교육항공집단 사령관
연습함대 사령관 (해장보)항공자위대항공총대 사령관
항공지원집단 사령관
항공교육집단 사령관
항공개발실험집단 사령관
항공방면대 사령관 (북부, 중부, 서부, 남서)


3. 4. 기타 국가

중국 인민해방군에서는 '사령관' 대신 '사령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 러시아 연방군과 소비에트군에서는 군, 군관구(전선), 독립병과의 장을 '사령관'(Командующиеru)이라고 부르며, 방면총사령부(총군) 및 군종의 장은 '총사령관'(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еru)이라고 부른다.[1]

4. 비군사적 계급/직책으로서의 사령관

군사 분야 외에도 '사령관'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영국에서는 런던경찰청과 런던시경찰청에서 사령관(Commander) 계급을 사용하며,[33][34] 런던 외 지역 경찰 조직에서는 부차장경찰청장 계급에 해당한다. 호주에서는 빅토리아주,[35] 태즈메이니아주, 서호주,[36] 남호주 경찰 및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경찰에서 사령관 계급을 사용한다. 미국 일부 대형 경찰서와 보안관 사무실에도 경찰감(Commander) 계급이 있으며, 경찰서장(Captain) 계급 바로 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 임무에서는 승무원 중 한 명을 임무 사령관으로 지정하여 우주선의 선장 역할을 맡긴다. 민간 항공에서는 항공기 기장(aircraft commander)이라는 직함이 기장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사고 현장 지휘 체계에서 사고 현장 지휘관은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을 책임진다.[1]

말타 기사단과 같은 기사단에서는 기사보다 상위의 구성원을 사령관이라고 칭한다.[2] 영국에서는 기사(또는 여기사) 사령관 계급이 기사 작위 중 가장 낮은 계급이지만, 왕립 빅토리아 훈장과 영국 제국 훈장에서는 사령관 계급이 중위 또는 장교 계급보다 높다.[3]

4. 1. 경찰

영국에서는 런던 지역 치안을 담당하는 런던경찰청과 런던시경찰청에서 사령관(Commander) 계급을 사용한다. 두 조직 모두에서 경정보다 높고, 런던경찰청에서는 부차장경찰청장보다 낮으며, 런던시경찰청에서는 차장경찰청장보다 낮은 고위 간부 계급이다. 런던 외 지역 경찰 조직에서는 부차장경찰청장 계급에 해당한다.[33][34]

런던경찰청 지휘관의 견장


런던시경찰청 지휘관의 견장


1946년 런던경찰청은 부차장경찰청장 계급을 둘로 나누면서 사령관 계급을 도입했다. 상위 부차장경찰청장은 기존 계급을 유지했고, 하위 부차장경찰청장은 사령관으로 재분류되었다. 1946년부터 1968년까지는 사령관 바로 아래 계급인 부지휘관 계급도 사용되었다.

12개 지역 기본 지휘 부서를 담당하는 경찰 간부는 "BCU 지휘관"으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경정 계급이다. 자치구들을 BCU로 통합하기 전에는 각 런던 자치구 담당 경찰 간부에게 "자치구 지휘관"이라는 직함이 주어졌다. 웨스트민스터 자치구 지휘관은 규모, 복잡성, 높은 인지도 때문에 예외적으로 사령관 계급이었다.

2018년 여름까지 런던경찰청은 경감 계급과 함께 사령관 계급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예정이었으나,[33] 2017년 8월 크레시다 딕 청장이 이 계획을 취소했다.[34]

사령관 또는 부차장경찰청장이 착용하는 계급 휘장은 월계관 안에 교차된 지팡이로 구성된다. 런던경찰청에서는 지팡이 끝이 파란색이다. 1968년 부지휘관 계급 폐지 전까지 사령관은 부차장경찰청장과 같은 계급 휘장을 착용했다.

호주에서는 빅토리아주,[35] 태즈메이니아주, 서호주,[36] 남호주 경찰 및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경찰에서 사령관 계급을 사용한다. 계급장은 삼각형으로 배열된 세 개의 목욕 별 위에 왕관이 있는 형태로, 육군의 준장에 해당한다. 네 개 경찰 조직 모두에서 사령관 계급은 차장 계급보다 아래이고 총경 계급보다 위에 있으며, 서호주와 빅토리아주를 제외하고는 총감 계급보다 위에 있다. 뉴사우스웨일즈주에서는 사령관 직책이 사령부 또는 부대를 담당하는 장교(보통 총감)에게 부여된다.

미국 일부 대형 경찰서와 보안관 사무실에는 경찰감(Commander) 계급이 있다. 대부분 경찰감 계급은 경찰서장(Captain) 계급 바로 위에 있다. 시카고 경찰국, 로스앤젤레스 경찰국, 샌프란시스코 경찰국, 포틀랜드 경찰국, 로체스터 경찰국 등이 그 예이다. 피닉스 경찰국이나 세인트폴 경찰국과 같이 경찰감 계급이 경찰부장(Lieutenant) 계급 바로 위에 있고, 경찰서장 계급과 동등한 경우도 있다. 플로리다주 노스포트 경찰서에서는 경찰감이 경찰서장보다 아래 계급이다.

로스앤젤레스 경찰국(LAPD)의 경찰감은 다른 대형 경찰서(예: 뉴욕 경찰국(NYPD))의 경찰감찰관(Inspector)과 동등하다. LAPD의 경찰감 계급은 원래 경찰감찰관이었지만 1974년에 경찰감으로 변경되었다. 워싱턴 D.C. 경찰국(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of the District of Columbia)도 경찰감 계급을 사용하며, 이는 경찰감찰관보다 한 계급 위이고 경찰서장보다 두 계급 위이다. 메릴랜드주 몽고메리 카운티 경찰국에서는 경찰감이 경찰서(police district)를 지휘하는 경찰서장이다.

계급장은 경찰서나 보안관 사무소에 따라 소령과 소장 사이의 모든 계급장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알버커키 경찰국의 경찰감은 경찰서장과 동등하지만, 경찰서장 계급장의 금색 버전을 사용한다. 플로리다주 리 카운티 보안관 사무소와 같이 경찰서장이 은색 계급장 대신 금색 계급장을 사용하는 다른 경찰서나 보안관 사무소에서는 경찰감은 경찰서장보다 위이고 소령보다 아래이며, 계급장은 월계관이 둘러싸인 금색 경찰서장 계급장이다. 노스포트 경찰서의 경찰감은 소위 계급장을 사용한다. 또한 경찰감은 특정 상황에서 직책으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보통 경찰부장 계급인 형사반장(squad of detectives)의 지휘관을 경찰감이라고 부르고, 경찰감이 계급인 일부 경찰서나 보안관 사무소에서는 별개의 계급을 가진 경찰관이나 보안관 부관도 직책으로 경찰감이라고 불린다.

4. 2. 항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 임무는 제미니 계획 시작 이후로 각 우주선의 승무원 중 한 명을 임무 사령관으로 지정한다. 사령관은 우주선의 선장이며, 승무원을 대신하여 임무관제센터(MCC)와 협력하여 모든 실시간 중요 결정을 내린다.

민간 항공에서 항공기 기장(aircraft commander)이라는 직함은 기장(일반적으로 "기장"이라고 하지만, 이는 항공사 내의 계급이며 항공기 탑승 시 기장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4. 3. 기타

사고 현장 지휘 체계에서 사고 현장 지휘관은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을 책임진다. 사고가 진행됨에 따라 지휘관의 직책은 여러 사람에게 넘어갈 수 있다.[1]

사령관이라는 칭호는 말타 기사단과 같은 기사단에서 기사보다 상위의 구성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기사 사령관이라는 칭호는 더 높은 계급을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관례는 대륙의 대부분의 기사단에서도 사용된다. 영국은 다른 분류를 사용한다.[2]

영국의 대부분의 기사 작위에서는 기사(또는 여기사) 사령관 계급이 기사 작위 중 가장 낮은 계급이지만, 작위가 없는 동료 계급보다 높다. 왕립 빅토리아 훈장과 영국 제국 훈장에서는 사령관 계급이 중위 또는 장교 계급보다 높지만 기사 또는 여기사 사령관 계급보다 낮다. 영국의 성 요한 존엄한 훈장에서 사령관은 기사보다 계급이 낮다.[3]

5. 상위/하위 개념

'사령관'은 다양한 상위 및 하위 개념을 가진다. 크게 최고사령관, 총사령관, 그리고 일본 제국 해군에서 사용된 사령장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고사령관은 한 국가의 군대 전체를 지휘하는 최고위 지휘권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국가원수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헌법에 따라 국군 통수권을 가지며 국군의 최고사령관이 된다. 또한, 여러 국가의 군대로 구성된 연합군/다국적군의 지휘권자를 의미하기도 한다.
총사령관은 특정 병과의 최고위직을 의미하거나, 일본 제국 육군에서 총군의 사령관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사령장관일본 제국 해군에서 함대나 진수부, 경비부의 지휘관을 부르는 명칭이었다.[1]

5. 1. 최고사령관 (Supreme Commander/Commander-in-Chief)

일반적으로 최고사령관은 다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해당 국가의 국가원수가 직무의 일부로 수행한다. 공화제 국가라면 대통령(예: 미국 대통령, 프랑스 공화국 대통령, 러시아 연방 대통령)이, 군주제 국가라면 황제나 왕/국왕 등의 군주가 맡는다. 그러나 실권은 특정 국가의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 수상, 재상 등이 맡는 경우가 많다.

국가원수도 행정 최고 책임자도 아닌 직책이 최고사령관을 맡는 매우 드문 예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겸임)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무력최고사령관(조선로동당 총비서 겸임)이 있다. 그러나 두 직책 모두 각국의 실질적인 최고 실력자가 맡는 것이 관례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대한민국 대통령이 헌법에 따라 국군 통수권을 가지며, 국군의 최고사령관 역할을 수행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이 최고사령관을 겸임한다.

“최고사령관”(Commander-in-Chief)은 원래 그 아래에 다른 “사령관”이 배치되어 있는, “사령관의 으뜸인 사령관”이라는 의미의 직책이다.

5. 2. 총사령관 (Commanding General/Commandant)

총사령관은 통상 다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5. 3. 사령장관 (Commander-in-Chief)

일본 제국 해군에서는 함대나 진수부, 경비부의 지휘관을 사령장관이라고 불렀다.[1]

참조

[1] 웹사이트 Why is the Colonel called a 'Kernal?' http://www.history.n[...] Naval Historical Center
[2] 웹사이트 NATO grades / national ranks: Navy http://www.mpsotc.gr[...] Hellenic Multinational Peace Support Operations Training Center 2015-05-24
[3] 웹사이트 STANAG 2116 https://militaria.lv[...] 2022-04-16
[4] 웹사이트 Paratus http://abdf.gov.ag/w[...] Regional Publications Ltd. 2020-03-02
[5] 웹사이트 Badges of rank https://www.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Australia) 2021-05-31
[6] 웹사이트 OFFICER RANKS http://rbdf.gov.bs/o[...] Royal Bahamas Defence Force 2021-01-14
[7] 웹사이트 Rank of Navy & Equivalent Rank https://www.navy.mil[...] 2021-05-27
[8] 웹사이트 Admiralty Ranks https://navy.mindef.[...] Royal Brunei Navy 2021-09-01
[9] 웹사이트 Ranks and appointment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17-11-23
[10] 웹사이트 Søværnets Gradstegn https://forsvaret.dk[...] Danish Defence 2018
[11] 웹사이트 Sotilasarvot Puolustusvoimissa https://puolustusvoi[...] Finnish Defence Forces 2021-05-26
[12] 웹사이트 Ranks & Insignia https://www.joinindi[...] 2021-04-12
[13] 웹사이트 Naval Service Rank Markings http://www.military.[...] Defence Forces (Ireland) 2021-05-26
[14] 웹사이트 BADGES OF RANK https://www.jdfweb.c[...] 2019
[15] 웹사이트 Defense Act of 2008 http://www.vertic.or[...] 2017-11-20
[16] 웹사이트 Karių laipsnių ženklai http://kariuomene.ka[...]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Lithuania) 2021-05-26
[17] 웹사이트 Pangkat http://www.mafhq.mil[...] Malaysian Armed Forces 2021-06-04
[18] 간행물 Government Notice http://www.lac.org.n[...] 2021-12-20
[19] 웹사이트 De rangonderscheidingstekens van de krijgsmacht https://www.defensie[...] Ministry of Defence (Netherlands) 2016-12-19
[20] 웹사이트 Badges of Rank https://www.nzdf.mil[...] New Zealand Defence Force 2021-06-11
[21] 서적 Nigeria: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1
[22] 웹사이트 Militære grader https://www.forsvare[...] Norwegian Armed Forces 2021-02-04
[23] 웹사이트 LIFE IN PN:RANKS https://www.paknavy.[...] Pakistan Navy Official Website 2018-08-07
[24] 웹사이트 Sposób noszenia odznak stopni wojskowych na umundurowaniu Marynarki Wojennej https://www.wojsko-p[...] Armed Forces Support Inspectorate 2021-06-07
[25] 웹사이트 Grade militare (Military ranks) https://www.defense.[...] Romanian Defence Staff 2021-02-01
[26] 웹사이트 Rank Insignia http://www.navy.mil.[...] Department of Defence (South Africa) 2021-05-29
[27] 웹사이트 Branches/ Ranks https://www.navy.lk/[...] Sri Lanka Navy 2021-09-24
[28] 웹사이트 Nya gradbeteckningar införs https://www.forsvars[...] Försvarsmakten 2019-10-01
[29] 간행물 Tonga Defence Services (Amendment) Regulations 2009 https://ago.gov.to/c[...] 2021-09-26
[30] 웹사이트 Rank Chart (Commissioned Officers) http://69.0.195.188/[...] Trinidad and Tobago Defence Force 2021-05-27
[31] 웹사이트 Shaping your career https://www.royalnav[...] Royal Navy 2021-09-24
[32] 웹사이트 U.S. Military Rank Insignia https://www.defense.[...] Department of Defense 2022-01-13
[33] 웹사이트 "Met police to modernise its rank structure", MPS website http://news.met.poli[...] 2016-10-18
[34] 웹사이트 Met cancels plan to abolish two ranks https://www.policeor[...] 2017-08-25
[35] 웹사이트 Victoria Police Website http://www.police.vi[...] 2009-04-29
[36] 웹사이트 Western Australia Police Website http://www.police.wa[...] 2009-09-04
[37] 웹사이트 Positions http://www.spvm.qc.c[...] 2009-12-30
[38] 서적 デジタル大辞泉 「司令官」
[39] 웹사이트 軍隊形式について|救世軍 https://www.salvatio[...]
[40] 뉴스 防衛省「統合司令官」新設を検討 https://www.sankei.c[...] 2016-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