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령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령관은 군대, 경찰, 항공, 기사단 등 다양한 조직에서 사용되는 직책 또는 계급을 의미한다. 해군에서는 중령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함대나 부대를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특정 부대의 지휘관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며, 육군, 공군, 해병대 등에서도 부대 지휘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외에도 경찰, 항공, 기사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휘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최고사령관(Commander-in-Chief)은 국가원수 또는 연합군의 최고 지휘관을, 총사령관은 특정 병과의 최고위직 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총군 사령관을 지칭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지도자 - 알탄 칸
알탄 칸은 16세기 몽골의 지배자로서 투메트부를 다스리고 명나라와 교역을 시도하다 베이징을 공격하고 화의를 맺었으며, 티베트 불교를 몽골에 부흥시키고 후허하오터를 건설하는 등 몽골의 종교적,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다. - 군사 지도자 - 총사령관
총사령관은 군대를 지휘하는 통치자의 공식적인 역할 및 직함으로, 국가 원수가 맡는 경우가 많으나, 군 장교에게도 사용되며, 그 권한과 역할은 국가의 정치 체제, 군사 조직,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사령관 | |
---|---|
개요 | |
영문 명칭 | Commander |
직책 유형 | 군사 계급 |
사용 군대 | 해군, 공군 |
기원 | 중세 시대의 기사단에서 유래 |
계급 의미 | 지휘관 또는 사령관 |
NATO 계급 코드 | OF-4 |
해군에서의 사용 | |
해군 계급 | 중령 |
지휘권 | 해군 함정 또는 기지 |
NATO 계급 코드 | OF-4 |
해군에서의 위치 | 대령 다음, 중령 다음 |
미국 해군 동급 | 미국 해군 중령 |
영국 해군 동급 | 영국 해군 중령 |
공군에서의 사용 | |
공군 계급 | 중령 |
지휘권 | 공군 비행대 또는 부대 |
NATO 계급 코드 | OF-4 |
공군에서의 위치 | 대령 다음, 중령 다음 |
기타 사용 | |
기사단 | 기사단에서의 명예 칭호 |
경찰 | 일부 국가의 경찰 계급 |
특징 | |
직무 범위 | 작전 지휘 및 행정 업무 수행 |
책임 | 부대 운영 및 임무 수행에 대한 책임 |
영향력 | 전략적 및 작전적 결정에 영향력 행사 |
승진 가능성 | 대령 또는 장군으로 승진 가능 |
참고 | |
관련 직책 | 지휘관 사령관 |
해군에서의 동급 | 해군 중령 |
스페인군에서의 동급 | 코만단테 |
소련군에서의 동급 | 군사령관 |
2. 해군 계급으로서의 사령관 (Commander)
해군에서 사령관(Commander)은 주로 중령 계급에 해당하며, 함장보다 한 단계 낮은 계급이다. 일부 해군에서는 사령관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프리깃 함장을 사용하기도 한다. 20세기와 21세기에 이 계급은 NATO 계급 코드 OF-4로 지정되었다.
2. 1. 어원 및 역사
사령관(Commander)이라는 직함은 원래 18세기에 "함장 겸 선장(Master and Commander)"으로 불렸으며, 중위가 지휘하기에는 크고 함장을 배치하기에는 작은 군함을 지휘하는 해군 장교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1] 이들은 보통 20문 이하의 무장을 한 슬루프함을 지휘했으며, 함장은 자신의 선장을 겸임했다.[1] 1794년 영국 해군은 "함장 겸 선장"을 "중령(commander)"으로 줄였지만, "함장 겸 선장"이라는 용어는 몇 년 동안 비공식적으로 계속 사용되었다.[1] 미국 해군의 해당 계급인 함장(Master Commandant)은 1838년에 중령(미국 해군)으로 변경되었다.2. 2. 국가별 해군 사령관
대한민국 해군에는 '사령관'이라는 별도의 계급이 존재하지 않지만, 해군작전사령관 등 특정 부대의 지휘관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1]미국 해군에서 중령(Commander, 약칭 "CDR")은 중령(O-4)보다 높고 함장(O-6)보다 낮은 고급 장교 계급(O-5)이다.[32] 지휘관은 모자에 장식을 달 수 있는 최초의 계급이다. 미 해군에서 지휘관으로 진급하는 것은 1980년의 국방 장교 인사 관리법(DOPMA) 또는 이와 관련된 예비 장교 인사 관리법(ROPMA)에서 파생된 미국 국방부 정책에 따라 결정된다. DOPMA/ROPMA 지침에 따르면, 중령의 70%는 현재 계급에서 최소 3년 이상 복무하고 총 15년에서 17년의 위임된 복무 기간을 달성한 후 지휘관으로 진급해야 한다.[1]
영국 해군에서 중령(Commander)은 소령(Lieutenant Commander)보다 높고, 함장(Captain)보다 낮은 계급이다. 사령관은 프리깃, 구축함, 잠수함, 항공대대 또는 해안 시설을 지휘하거나 참모로 복무할 수 있다.[1]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는 영미 해군의 함장(Captain)에 해당하는 계급을 코만도르(Kommandør/Kommendör)라고 부른다.[2] 스칸디나비아의 코만도르 계급은 코만도르카프테인(Kommandørkaptein, Kommendörkapten, Kommandørkaptajn) 계급 바로 위에 있으며, 이는 영미 해군의 코만더(commander) 계급에 해당한다.
오스트레일리아 해군(RAN)의 사령관 계급은 영국 해군(Royal Navy)의 사령관 계급과 설명이 동일하다.[5]
국가 | 계급장 | 계급명(현지어) |
---|---|---|
앤티가 바부다 | 사령관[4] | |
오스트레일리아 | 사령관[5] | |
바하마 | 사령관[6] | |
방글라데시 | 사령관[7] | |
브루나이 | Komanderms[8] | |
바베이도스 | 사령관 | |
벨리즈 | -- | 사령관 |
캐나다 | 사령관[9] | |
덴마크 | Kommandørda[10] | |
피지 | 사령관 | |
핀란드 | Komentajafi[11] | |
감비아 | 사령관 | |
가나 | 사령관 | |
가이아나 | 사령관 | |
인도 | 사령관[12] | |
아일랜드 | 사령관[13] | |
자메이카 | 사령관[14] | |
라이베리아 | 사령관[15] | |
리투아니아 | Komandoraslt[16] | |
말레이시아 | Komanderms[17] | |
나미비아 | 사령관[18] | |
네덜란드 | Commandeurnl[19] | |
뉴질랜드 | 사령관[20] | |
나이지리아 | 사령관[21] | |
노르웨이 | Kommandørno[22] | |
파키스탄 | 사령관[23] | |
폴란드 | Komandorpl[24] | |
루마니아 | -- | Comandorro[25]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사령관 | |
시에라리온 | 사령관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사령관[26] | |
스리랑카 | 사령관[27] | |
스웨덴 | Kommendörsv[28] | |
탄자니아 | 사령관 | |
통가 | 사령관[29]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사령관[30] | |
영국 | 사령관[31] | |
미국 | 사령관[32] | |
미국 해안경비대 | -- | 사령관[32] |
많은 국가에서 사령관(Commander)은 특정 부대를 지휘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계급과는 별개로 사용된다.
3. 군사 직책으로서의 사령관 (Commander)
예를 들어, 여러 소규모 식민지 정착지(다양한 카리브해 제도와 같이)에서 주둔군을 지휘하는 것이 최고 직책의 핵심이었기 때문에, 군사 직책인 ''Commandeur''가 민간 총독직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었는데, 이는 포르투갈의 대위장과 비슷하다. 네덜란드 식민지 뉘우발케렌(Nieuw Walcheren)의 토바고 섬에서는 식민지 사무소의 직책으로 '코망되르(Commandeur)'가 사용되었다.
스페인 육군, 스페인 공군, 그리고 스페인 해병대에서 "지휘관"이라는 용어는 스페인어 "comandante"의 직역이며, 영연방의 소령(Major)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스페인 시민경비대(Guardia Civil)도 육군 계급을 공유하며, 파견대(주로 하사관 또는 중위, 규모에 따라 다름)를 지휘하는 장교는 "comandante de puesto"(파견대 지휘관)로 불린다.
3. 1. 미군
미국 육군, 미국 해병대, 미국 공군에서 'Commander'는 부대 지휘관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용어이며, 장성급 지휘관은 'Commanding General(CG)', 그 외에는 'Commanding Officer(CO)'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하사관이 되는 분대장은 'Squad Leader'이다.
미국 해군에서 'Commander'는 중령 계급과 함대를 지휘하는 장성을 지칭하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다른 지휘관은 'Commanding Officer(CO)'이다.
3. 2. 영국군
영국 육군에서 "지휘관(commander)"이라는 용어는 분대장, 차량장, 포수와 같이 부서 책임자 직책을 맡은 하사관을 가리킨다.[1] 소대장 (Platoon Commander)을 맡는 소위 또는 대위, 여단장 (Brigade Commander)을 맡는 준장에게도 이 용어가 사용된다.[1] 다른 부대 지휘관들은 계급과 직책에 따라 통상적으로 지휘관(Officer Commanding, OC), 지휘장교(Commanding Officer, CO), 사단장(General Officer Commanding, GOC), 또는 최고 사령관(General Officer Commanding-in-Chief, GOC-C)으로 불리지만, 비공식적으로 "지휘관(commander)"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영국 해군에서 Commander는 중령에 해당하는 계급이다.[1]
3. 3. 자위대
호위함대 사령관
항공집단 사령관
잠수함대 사령관
교육항공집단 사령관
연습함대 사령관 (해장보)항공자위대 항공총대 사령관
항공지원집단 사령관
항공교육집단 사령관
항공개발실험집단 사령관
항공방면대 사령관 (북부, 중부, 서부, 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