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플러-62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플러-62b는 2013년에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케플러-62를 공전한다. 슈퍼 지구로 분류되며, 지구보다 반지름이 1.3배 크고 평형 온도는 약 750K로 매우 뜨겁다. 케플러-62는 K형 주계열성으로, 케플러-62b는 5.7일 주기로 항성을 공전하며, 궤도 긴반지름은 0.055 AU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플러-62 - 케플러-62e
    케플러-62e는 슈퍼지구로 분류되는 외계 행성이며, 액체 상태 물 존재 가능성이 있는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하여 잠재적 거주 가능성을 시사한다.
  • 케플러-62 - 케플러-62f
    케플러-62f는 지구에서 약 980광년 떨어진 케플러-62 항성계의 외계 행성으로, 케플러-62의 생물 서식 가능 구역 내에 위치하여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2013년 케플러 우주 망원경을 통해 발견되었다.
  • 2013년 발견한 외계 행성 - 케플러-69c
    케플러-69c는 케플러-69를 공전하며 금성과 유사한 궤도를 도는 슈퍼지구 외계 행성으로, 발견 초기에는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금성과 비슷한 환경일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으며 케플러 우주 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어 외계 행성 관련 의회 청문회에서 논의되었다.
  • 2013년 발견한 외계 행성 - 케플러-62e
    케플러-62e는 슈퍼지구로 분류되는 외계 행성이며, 액체 상태 물 존재 가능성이 있는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하여 잠재적 거주 가능성을 시사한다.
  •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외계 행성 - 케플러-438b
    케플러-438b는 지구와 비슷한 크기로, 적색 왜성 케플러-438을 공전하며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해 액체 물 존재 가능성이 추정되지만, 모항성의 방사선 활동으로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외계 행성이다.
  •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외계 행성 - 케플러-10c
    케플러-10c는 케플러-10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11년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암석 행성으로 추정되었으나 휘발성 물질, 특히 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모항성으로부터 0.2407 AU 거리에서 45.29485일마다 공전하며,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된 최초의 케플러 대상이다.
케플러-62b
행성 정보
이름케플러-62b
발견자Borucki 외
발견 장소케플러 우주망원경
발견 날짜2013년 4월 18일
발견 방법통과 (케플러 미션)
궤도 정보
궤도 긴반지름0.0553 ± 0.0005 AU
궤도 이심률~0
공전 주기5.714932 ± 0.000009 일
궤도 경사89.2 ± 0.4
모항성케플러-62 (KOI-701)
물리적 특성
평균 반지름1.31 ± 0.04 지구 반지름
질량< 9 지구 질량
표면 온도Teq: 750 K (477 °C, 890 °F)
식별 정보
다른 이름KOI-701.02, KOI-701 b, KIC 9002278 b, 2MASS J185251054520595 b

2. 발견

2009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선은 광도계로 항성을 관측했다. 케플러는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 내 50,000개의 항성을 관측했으며, 케플러-62도 포함되었다. 외계 행성 후보에 대한 관측은 2009년 5월 13일부터 2012년 3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 케플러-62b는 약 5.7일마다 트랜짓 현상이 발생했으며, 이 주기적인 트랜짓 현상은 행성체 때문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 발견은 케플러-69 행성계와 함께 2013년 4월 18일에 발표되었다.[7]

3. 물리적 특징

케플러-62b는 지구보다 크지만 해왕성이나 천왕성과 같은 얼음 거인보다는 작은 슈퍼 지구형 외계 행성이다. 평형 온도는 750,000로, 일부 금속을 녹일 수 있을 정도로 뜨겁다. 반지름은 지구의 1.3배이며, 고체 표면이 없는 미니 해왕성이 될 수 있는 추정 반지름(지구 반지름의 1.6배)보다 작다.[2]

케플러-62b는 K형 주계열성인 케플러-62를 5.7일 주기로 공전하며, 궤도 긴반지름은 0.055 AU이다. 이는 수성과 태양 사이 거리의 약 7분의 1에 해당한다. 항성으로부터 받는 의 양은 지구의 70배에 달한다. 이 항성계에는 총 5개의 행성이 존재한다.

3. 1. 질량, 반지름, 온도

케플러-62b는 슈퍼 지구로, 지구보다 반지름과 질량이 크지만 해왕성천왕성과 같은 얼음 거인보다는 작은 외계 행성이다. 이 행성의 평형 온도는 로, 일부 금속을 녹일 수 있을 정도로 뜨겁다. 반지름은 지구의 1.3배이며, 이는 휘발성 성분으로 이루어져 고체 표면이 없는 미니 해왕성이 될 수 있는 추정 반지름인 지구 반지름의 1.6배보다 작다.[2] 현재 질량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추정 상한선은 9 지구 질량(''M''E)이며 실제 질량은 이보다 훨씬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1] 2.1 ''M''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는 자료도 존재한다.

3. 2. 모항성 (케플러-62)

케플러-62b는 K형 주계열성인 케플러-62를 공전하며, 이 항성계에는 총 5개의 행성이 존재한다. 케플러-62는 태양보다 작고 차가운 별로, 질량은 태양의 0.69배(0.69)이고 반지름은 0.64배(0.64)이다. 표면 온도는 4925K(태양은 5778K)이며, 나이는 약 70억 년(태양은 46억 년)으로 추정된다. 금속량은 -0.37로 태양의 약 42% 수준으로 낮으며, 광도는 태양의 21% 정도이다. 겉보기 등급은 13.65등급(다른 자료에서는 14.0등급)으로 육안으로는 관측할 수 없다.

3. 3. 궤도

케플러-62b는 모항성 케플러-62를 5.7일 주기로 공전하며, 궤도 긴반지름은 0.055 AU이다. 이는 수성과 태양 간 거리의 약 7분의 1에 해당한다. 항성으로부터 받는 의 양은 지구의 70배에 달한다.

참조

[1] 논문 Kepler-62: A Five-Planet System with Planets of 1.4 and 1.6 Earth Radii in the Habitable Zone 2013-04-18
[2] 뉴스 Most 1.6 Earth-radius planets are not rocky https://astrobites.o[...] 2014-07-31
[3] 웹사이트 How Old is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11-02-19
[4] 웹사이트 Temperature of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11-02-19
[5] 문서 log Lsun=-0.678{{+-|0.040|0.030}}これらはlogよりlogを外すと Lsun≒0.210 ± 0.020 L☉。
[6] 문서 出典ではlog g=4.68cm/s2より g=104.68≒4.79{{E|4}}cm/s2。cm→mに換算すれば479m/s2
[7] 저널 Kepler-62: A Five-Planet System with Planets of 1.4 and 1.6 Earth Radii in the Habitable Zone http://www.sciencema[...] 2013-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