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69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플러-69c는 지구로부터 약 2,7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슈퍼지구로 분류된다. 케플러-69c는 케플러-69 항성을 242일 주기로 공전하며, 지구의 1.71배 크기와 약 2.14배 질량을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생명체 거주 가능 구역에 위치하여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금성과 유사한 환경으로 생명체가 살기에는 부적합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 행성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선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2013년 4월에 발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발견한 외계 행성 - 케플러-62e
케플러-62e는 슈퍼지구로 분류되는 외계 행성이며, 액체 상태 물 존재 가능성이 있는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하여 잠재적 거주 가능성을 시사한다. - 2013년 발견한 외계 행성 - 케플러-62f
케플러-62f는 지구에서 약 980광년 떨어진 케플러-62 항성계의 외계 행성으로, 케플러-62의 생물 서식 가능 구역 내에 위치하여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2013년 케플러 우주 망원경을 통해 발견되었다. -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외계 행성 - 케플러-438b
케플러-438b는 지구와 비슷한 크기로, 적색 왜성 케플러-438을 공전하며 생명 가능 지대에 위치해 액체 물 존재 가능성이 추정되지만, 모항성의 방사선 활동으로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외계 행성이다. -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외계 행성 - 케플러-10c
케플러-10c는 케플러-10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11년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암석 행성으로 추정되었으나 휘발성 물질, 특히 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모항성으로부터 0.2407 AU 거리에서 45.29485일마다 공전하며,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된 최초의 케플러 대상이다. - 백조자리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백조자리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케플러-69c | |
---|---|
기본 정보 | |
![]() | |
발견 | 케플러 우주망원경 |
발견 날짜 | 2013년 4월 18일 |
발견 방법 | 트랜싯 (케플러 미션 방법) |
별 | 케플러-69 |
궤도 정보 | |
궤도 긴반지름 | 0.64 AU (95,744,000 km) |
궤도 이심률 | 0.14 |
공전 주기 | 242.4613 ± 0.006 일 |
궤도 경사 | 89.85° |
물리적 특징 | |
평균 반지름 | 1.71 R⊕ |
질량 | 2.14 M⊕ |
밀도 | 2.36 g cm–3 |
표면 중력 | 0.73 g |
기타 명칭 | |
기타 명칭 | KOI-172.02, 2MASS J19330262+4452080 c, KIC 8692861 c |
2. 물리적 특성
케플러-69c는 지구보다 크지만 천왕성, 해왕성보다는 작은 슈퍼지구형 외계 행성이다. 평형 온도는 325,000이지만,[2] 표면 온도는 548,000로 훨씬 더 높을 가능성이 있다. 금성과 유사하지만 질량이 더 커서 "슈퍼 금성"이라고 불린다.
모항성 케플러-69는 G형 별로, 질량은 태양의 , 반지름은 태양의 0.93R이다.[2] 표면 온도는 5638 K이며, 나이는 약 98억 년으로 추정된다.[2] 겉보기 등급은 13.7로,[2] 맨눈으로 볼 수 없다.
케플러-69c는 242일 주기로 주성을 공전하며,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0.64배만큼 떨어져 있다.[2] 이는 금성과 매우 유사하다.[2][10]
2. 1. 질량, 반지름 및 온도
케플러-69c는 슈퍼지구로, 지구보다 반지름과 질량이 크지만 천왕성과 해왕성과 같은 얼음 행성보다는 작은 외계 행성이다. 추정 평형 온도는 이지만,[2] 표면 온도는 로 훨씬 더 높을 가능성이 있다. 추정 질량은 약 2.14 이며, 반지름은 1.71 이다.[2] 이러한 특성 때문에 금성과 유사하지만 질량이 더 커서 "슈퍼 금성"이라고 불린다.2. 2. 모항성
케플러-69는 G형 별로, 두 개의 행성이 이 별을 공전하고 있다. 케플러-69의 질량은 태양의 0.81배(), 반지름은 태양의 0.93배(0.93R)이다.[2] 표면 온도는 5638 K이며, 나이는 약 98억 년으로 추정되어 수명이 거의 다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2] 이에 비해 태양은 약 46억 년 되었으며[5] 표면 온도는 5778 K이다.[6]케플러-69의 겉보기 등급은 13.7로,[2]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어둡다.
2. 3. 궤도
케플러-69c는 242일 주기로 주성을 공전하며,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0.64배만큼 떨어져 있다.[2] 이는 금성의 공전 주기 및 태양계 내 거리와 매우 유사하다.[2][10]3. 거주 가능성
케플러-69c는 케플러-62e, 케플러-62f와 함께 생명체 거주 가능 구역을 공전하는 행성으로 발표되어, 한때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높은 후보로 여겨졌다.[15] 그러나 주성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복사속이 지구의 1.91배(최소 1.35배)로 매우 커, 생명체 존재 가능성은 낮게 평가된다.[20][17]
행성의 큰 질량으로 인해 폭주 온실 효과가 발생하여 바다가 증발하고, 표면 온도가 322,000(49°C)까지 상승할 수 있다. 바다가 증발하며 생긴 수증기는 온실 기체로 작용하여 온실 효과를 더욱 악화시켜, 표면 온도를 500,000(227°C)까지 높일 수 있다.[21]
3. 1. 초기 평가

케플러-69c는 케플러-62e, 케플러-62f와 함께 별의 생물권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언론에 발표되었다. 이곳은 액체 물이 행성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지역이다. 이 행성은 크기와 온도 측면에서 가장 지구형 행성 중 하나로 묘사되었으며, 과학자들에 따르면 "외계 생명체"를 품을 수 있는 가장 유망한 후보였다.
주성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이 행성에 대한 복사속 값의 오차 범위는 지구 수준의 1.91배로 매우 크다.[20] 명목 매개변수를 사용하면 행성은 별에 너무 가까워서 생명체가 살 수 없지만, 불확실성으로 인해 실제로 생물권의 가장 안쪽 영역에 위치하고 사막 행성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가장 낮은 오차 범위 측정값으로도 1.35 ''S''🜨의 별 플럭스는 여전히 바다를 증발시킬 만큼 높다.[17] 더 최근의 분석에 따르면 이 행성은 태양계에서 생명체에 가장 부적합한 장소 중 하나로 알려진 금성과 더 유사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그러한 유기체가 살 수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3. 2. 현재 평가

케플러-69c는 케플러-62e, 케플러-62f와 함께 생명체 거주 가능 구역 내를 공전하는 행성으로 발표되어 표면에 액체 물을 가질 가능성이 있고, 지구형 행성일 가능성이 높아 천문학자들은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후보 행성으로 보았다.[15]
하지만, 주성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때문에 복사속은 지구의 1.91배로 매우 커졌다. 비록 케플러-69c가 생명체 거주 가능 구역 내를 공전하더라도, 주성에 가까워 생명체가 존재하기에는 너무 가깝다는 것을 시사한다.[20] 복사속은 최소한 지구의 1.35배인데, 이것은 표면에 있는 바다가 증발하기에 충분한 수치이다. 더 최근의 분석에서는 케플러-69c가 태양계에서 가장 가혹한 환경을 가진 천체 중 하나인 금성과 유사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7]
행성의 질량이 크면 표면에서 폭주 온실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표면의 바다는 곧 증발하여 표면 온도가 약 322K(49℃)까지 상승한다. 또한 바다가 증발하면서 생긴 수증기가 온실 기체가 되어 온실 효과를 더욱 악화시켜 표면 온도가 약 500K(227℃)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21]
4. 발견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선은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 별빛이 어두워지는 통과 현상을 관측했다. 2009년 5월 13일부터 2012년 3월 17일까지 케플러-69c는 대략 242일마다 주기적인 통과 현상을 보였다. 케플러 과학팀은 이 현상의 원인이 행성체라고 결론 내리고, 케플러-62 행성계와 함께 2013년 4월 18일에 발견을 공식 발표했다.[2]
2013년 5월 9일, 미국 하원 소위원회는 "외계 행성 발견: 다른 지구를 찾았는가?"라는 주제로 청문회를 열어 케플러-62e, 케플러-62f와 함께 케플러-69c에 대해 논의했다. 학술지 ''사이언스'' 특별호에서도 외계 행성 발견을 다루었다.[8]
4. 1. 케플러 우주 망원경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선은 행성이 별 앞을 지나갈 때 별빛이 어두워지는 통과 현상을 감지하는 광도계를 사용하여 별을 관측했다.[2] 케플러 우주 망원경은 2009년부터 케플러 입력 목록에 있는 별들을 관찰했으며, 여기에는 케플러-69도 포함되었다.[2] 케플러-69c의 경우, 대략 242일마다 발생하는 통과 현상을 관측하여 이 현상의 원인이 행성체라는 결론을 내렸다.[2] 이 발견은 케플러-62의 행성계와 함께 2013년 4월 18일에 발표되었다.[2]2013년 5월 9일, 미국 하원 소위원회의 의회 청문회에서는 외계 행성 ''케플러-69c''의 발견으로 촉발된 "외계 행성 발견: 다른 지구를 찾았는가?"에 대해 논의했으며, 케플러-62e 및 케플러-62f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다.[8]
주목할 만한 외계 행성 – 케플러 우주 망원경 | |
---|---|
4. 2. 발견 과정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선은 2009년부터 광도계를 이용하여 별을 관측했다. 광도계는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 별빛이 어두워지는 현상(통과)을 감지한다. 케플러 우주선은 케플러 입력 목록에 있는 5만여 개의 별을 관찰했으며, 케플러-69도 그중 하나였다.[2]2009년 5월 13일부터 2012년 3월 17일까지 외계 행성 후보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졌다. 케플러-69c는 대략 242일마다 통과 현상을 보였으며, 관측 결과 주기적인 통과 현상의 원인이 행성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 발견은 케플러-62 행성계와 함께 2013년 4월 18일에 발표되었다.[2]
2013년 5월 9일, 미국 하원의 두 소위원회는 외계 행성 ''케플러-69c'' 발견을 계기로 "외계 행성 발견: 다른 지구를 찾았는가?"라는 주제로 청문회를 열었다. 이 청문회에서는 케플러-62e, 케플러-62f와 함께 케플러-69c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보다 앞서 출판된 학술지 ''사이언스'' 특별호에서도 외계 행성 발견에 대해 다루었다.[8]
4. 3. 학계 및 대중의 반응
2009년,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선은 별 앞을 지나가는 행성이 별빛을 가리는 통과 현상을 관측하는 광도계를 사용하여 별을 관측했다. 케플러는 케플러 입력 목록에 있는 5만 개의 별을 관측했으며, 케플러-69도 포함되었다. 케플러-69c는 대략 242일마다 발생하는 통과 현상이 관측되었고, 결국 행성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 발견은 케플러-62의 행성계와 함께 2013년 4월 18일에 발표되었다.[2]2013년 5월 9일, 미국 하원 소위원회는 외계 행성 ''케플러-69c''의 발견과 관련하여 "외계 행성 발견: 다른 지구를 찾았는가?"라는 주제로 청문회를 열었으며, 케플러-62e 및 케플러-62f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보다 앞서 학술지 ''사이언스'' 특별호에서도 외계 행성 발견에 대해 다루었다.[8]
국민의힘은 케플러-69c 발견과 같은 과학적 성과를 통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세대에게 영감을 줄 수 있다고 평가한다.
참조
[1]
문서
Based on improved models of Kepler-69c after it was found to be uninhabitable.
[2]
논문
A super-Earth-sized planet orbiting in or near the habitable zone around Sun-like star
[3]
웹사이트
NASA's Kepler Discovers Its Smallest 'Habitable Zone' Planets to Date
http://www.nasa.gov/[...]
2013-04-18
[4]
뉴스
2 Good Places to Live, 1,200 Light-Years Away
https://www.nytimes.[...]
2013-04-18
[5]
웹사이트
How Old is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11-02-19
[6]
웹사이트
Temperature of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11-02-19
[7]
arXiv
Water Planets in the Habitable Zone: Atmospheric Chemistry, Observable Features, and the case of Kepler-62e and -62f
2013
[8]
간행물
Special Issue: Exoplanets
https://www.science.[...]
2013-05-18
[9]
웹사이트
Your Sky - The Virtual Telescope
http://www.fourmilab[...]
fourmilab.ch
2016-11-07
[10]
웹사이트
ハビタブルゾーンに地球の1.4倍の惑星
https://www.astroart[...]
2016-11-17
[11]
문서
Based on improved models of Kepler-69c after it was found to be uninhabitable.
[12]
웹사이트
NASA's Kepler Discovers Its Smallest 'Habitable Zone' Planets to Date
http://www.nasa.gov/[...]
2016-11-07
[13]
뉴스
2 Good Places to Live, 1,200 Light-Years Away
https://www.nytimes.[...]
2016-11-07
[14]
웹사이트
NASA'S Kepler Mission Discovers 461 New Planet Candidates
http://www.nasa.gov/[...]
NASA
2016-11-07
[15]
웹사이트
Most Earth-Like Alien Planet Possibly Found
http://www.space.com[...]
2016-11-07
[16]
웹사이트
3 Potentially Habitable 'Super-Earths' Explained (Infographic)
http://www.space.com[...]
[17]
논문
A Potential Super-Venus in the Kepler-69 System
[18]
웹사이트
Temperature of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16-11-07
[19]
웹사이트
How Old is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16-11-07
[20]
arXiv
Water Planets in the Habitable Zone: Atmospheric Chemistry, Observable Features, and the case of Kepler-62e and -62f
2013
[21]
웹사이트
http://csep10.phys.u[...]
[22]
웹사이트
Special Issue: Exoplanets
http://www.sciencema[...]
2016-11-08
[23]
논문
A super-Earth-sized planet orbiting in or near the habitable zone around Sun-like star
[24]
웹인용
NASA's Kepler Discovers Its Smallest 'Habitable Zone' Planets to Date
http://www.nasa.gov/[...]
2013-04-18
[25]
뉴스
2 Good Places to Live, 1,200 Light-Years Away
https://www.nytimes.[...]
2013-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