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헤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헤른(Kern)은 중세 아일랜드에서 게일족 병사를 지칭하는 용어로, 전투원을 의미하는 중세 아일랜드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케른은 주로 용병 갤로글라스 부대의 경보병으로 활동했으며, 칼, 방패, 활, 투창 등으로 무장했다. 그들은 속도와 기동성을 활용한 게릴라전을 구사하며, 때로는 대륙의 무기와 전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기도 했다. 아일랜드 숲에서 활동한 '우드 케른'은 13세기 말 정착민들에게 위협이 되었으며, 케언은 셰익스피어의 희곡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군사사 - 보이테크
    보이테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폴란드군 22 보급 중대에서 군 생활을 하며 몬테카시노 전투에서 포탄 운반을 돕는 등 활약한 시리아불곰으로, 종전 후 에든버러 동물원에서 여생을 보냈다.
  • 스코틀랜드의 군사사 - 갈로글라
    갈로글라는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된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용병 무사 계급으로,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고지대에서 클랜 간 분쟁 등에 참여하며 활약했고, 튜더 왕조 시대에는 잉글랜드 왕실에 고용되어 아일랜드 정복에 기여했으나, 9년 전쟁 이후 용병으로서의 입지가 줄어들며 유럽 각지에서 활동하며 사회문화적으로 영향을 미쳤습니다.
  • 아일랜드의 군사사 - 아일랜드 시민군
    1913년 더블린 락아웃 당시 노동자 보호를 위해 결성된 아일랜드 시민군은 노동자 민병대에서 아일랜드 사회주의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하는 혁명 조직으로 발전하여 부활절 봉기에 참여하고 아일랜드 공화군을 지원했다.
  • 아일랜드의 군사사 - 아일랜드 의용군
    아일랜드 의용군은 아일랜드 자치 획득을 목표로 1913년 결성된 민족주의 군사 조직으로, 부활절 봉기를 주도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문제로 분열되어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으로 계승되었으며 현재 아일랜드 방위군 창군일의 기원이다.
  • 용병 - 알모가바르
    알모가바르는 레콩키스타 시대 이베리아 반도에서 활동한 경무장 보병 강습부대로, 아라곤 왕국과 카탈루냐 지역을 중심으로 민첩성과 기습 전술을 활용해 이슬람 세력과의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지중해 지역까지 활동 범위를 넓혀 아테네 공국 정복 등의 업적을 남겼고, 현재 스페인 군대의 여단 명칭으로 계승되었다.
  • 용병 - 민간군사기업
    민간군사기업은 국가가 아닌 민간 조직으로서 군사적 용역이나 경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말하며, 냉전 종식 후 분쟁 증가로 급성장하여 분쟁 지역에서 활동하나, 법적 규제 미비와 책임 소재 불분명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케헤른
어원 및 명칭
어원고대 아일랜드어 *cethern* ("전투 그룹") 또는 *ceithernach* ("군인")에서 유래
다른 이름케테란 (cateran)
개요
설명중세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고지대에서 활동한 게일족 전사 계층
역할주로 경보병, 약탈자, 용병으로 활동
특징
장비검, 도끼, 창, 활 등의 무기를 사용; 갑옷은 거의 착용하지 않음
전술빠른 기동성과 습격 전술을 활용
사회적 지위주로 하층 계급 출신이었으나, 용병으로 활동하며 사회적 이동성을 확보하기도 함
역사적 맥락
활동 시기중세 시대 (대략 12세기 ~ 16세기)
주요 활동 지역아일랜드, 스코틀랜드 고지대
관련 역사적 사건아일랜드 침공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문화적 의미
문학 및 전설다양한 문학 작품과 전설에 등장
민속게일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음
현대적 재해석
게임 및 영화다양한 게임과 영화에서 영감을 주는 존재로 등장
역사 연구역사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는 대상

2. 어원

''kern''이라는 단어는 중세 아일랜드어 단어 ''ceithern'' ceithern|케헤른mga 또는 ''ceithrenn''의 영어화된 표현으로, 사람들의 집단, 특히 전투원을 의미한다. 개별 구성원은 ''ceithernach''라고 불렸다.[1] 이 단어는 원시 켈트어 *''ketern''ā에서 파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궁극적으로는 사슬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어족 어근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2] Kern은 중세 아일랜드에서 게일족 병사를 지칭하는 용어로 영어에 채택되었으며, '고지대 약탈자' 또는 '강도'를 의미하는 ''cateran''으로 사용되었다. ''ceithernach''라는 용어는 현대 아일랜드어에서 체스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3. 군사적 역할

1521년 알브레히트 뒤러의 아일랜드 케른


마커스 기어르츠의 케른 대장 토마스 리, 1594


케른은 노르만 침략 이전 초기 아일랜드 군대와는 달리, 용병 갤로글라스 부대를 경보병으로 동행했다. 초기 아일랜드 군대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지역 훈련 군인이 더 많았다. 이전에는 케이선은 다양한 민병대 형태의 보병과 경마로 구성되었을 것이며, 나중에 갤로글라스를 동반하고 경기병으로 싸운 "말 소년"으로 기억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칼, 방패, 활, 투창 등 일반적인 물품이나 소유물로 무장했으며, 게일족 군대의 많은 부분을 채웠을 것으로 보인다.

3. 1. 군사 장비 및 전술

케른은 주로 용병 갤로글라스 부대를 경보병으로 동행했는데, 갤로글라스는 중보병의 필요를 채웠다. 갤로글라스는 더 많은 아일랜드인들이 그들을 모방하기 시작하면서 다른 형태의 보병을 대체하게 되었고, 순수한 아일랜드 출신의 갤로글라스가 만들어졌다. 16세기 중반에 셰인 오닐은 그의 농민들을 무장시켰고, 휴 오닐, 타이론 백작은 많은 케른을 현대적인 전투 복장과 무기로 장비했으며, 경험 많은 대장과 현대식 무기를 갖춘 전문 부대로 훈련시켰다고 알려져 있다.[3][4]

; 군사 장비 및 전술

장 프로아사르(c. 1337–c. 1410)는 아일랜드인들이 "매우 단순한" 갑옷(아마도 가죽이나 천 형태의 방어구)을 착용했다고 묘사한다. 케른은 속도와 기동성에 의존하는 경보병으로, 종종 훨씬 더 큰 부대를 상대하기 위해 기습 전술을 전력 증강(force multiplier)으로 활용했다. 한 작가의 말에 따르면, 그들은 "노동과 보병술에서 [영국 병사]보다 더 가볍고 억세다"고 한다.[5] 엘리자베스 1세의 아일랜드 부총독인 에섹스 백작의 수행원으로 복무한 존 딤목은 전쟁에 대비한 케른에 대한 전형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 . . 칼, 나무로 된 표적(둥근 방패), 또는 활과 뾰족한 화살통, 또는 세 개의 다트를 가볍게 무장한 일종의 보병으로, 매우 쉬운 솜씨로 던지며, 특히 기병에게는 치명적인 것보다 더 성가신 무기이다." 케른은 검(''claideamh''), 긴 단검(''scian''), 활 (''bogha'')과 일련의 투창, 또는 다트(''ga'')로 무장했다.[6]

케른은 구식 무기와 전술에 매달리지 않고, 기꺼이 대륙의 무기와 군사적 방법론을 빠르게 채택하여 화력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원래의 무장을 유지하고, 창과 사격 대형이 효과적이지 않은 숲과 덤불과 같은 지역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했다.[7]

4. 우드 케른

아일랜드의 앵글로-노르만 침략으로 인해 쫓겨난 토착 아일랜드인들은 아일랜드 숲에서 밴디트(bandit)로 활동했으며, 그들은 "우드 케른(wood kerns)" 또는 cethern coille|케헤른 코일레ga로 알려졌다.[8] 이들은 새로운 정착민들에게 매우 위협적이어서, 1297년에 숲의 영주들에게 나무의 쓰러진 가지나 자란 나무들을 제거하여 우드 케른의 공격을 어렵게 하도록 하는 법이 통과되었다.[8]

5. 문학 작품에서의 등장

셰익스피어의 희곡 ''헨리 6세 2부''(1599)에는 케언이 다음과 같이 등장한다.[9]

> 추기경:

> 요크 경, 운을 시험해 보시오.

> 아일랜드의 거친 케언들이 무기를 들고,

> 잉글랜드인의 피로 진흙을 반죽하네.

> 아일랜드로 군대를 이끌고 가시겠소,

> 각 카운티에서 선별하여 모은 병사들을,

> 아일랜드인들을 상대로 운을 시험해보시겠소?

셰익스피어는 ''맥베스''(1606)에서도 케언(과 갤로글라스)을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10]

> 자비 없는 맥도날드,

> 반역자로 불릴 만한 자, 그에게

> 자연의 악행이 번성하여

> 케언과 갤로글라스의 서부 섬에서

> 그를 따르네

참조

[1] 사전 Electronic 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www.dil.ie eDIL
[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Gaelic Language E. Mackay 1911
[3] 논문 Strategy and Tactics in Irish Warfare, 1593-160 1941
[4] 논문 Warfare in Sixteenth Century Ireland 1946–1947
[5] 문서 Warfare in the medieval Gaelic lordships
[6] 웹사이트 'Hags of hell':late medieval Irish kern https://www.historyi[...] 2021-04-19
[7] 서적 Becoming and Belonging in Ireland 1200-1600 AD : Essays on Identity and Cultural Practice https://www.worldcat[...] Project Muse 2018
[8] 서적 The Montgomery manuscripts: (1603–1706) https://archive.org/[...] J. Cleeland
[9] 웹사이트 William Shakespeare: King Henry VI, Second Part: ACT III, SCENE I. The Abbey at Bury St. Edmund's. (continued) http://www.literatur[...]
[10] 문서 Macbeth, Act I, Scene II
[11] 서적 The Irish Wars, 1485-1603 Osprey Publishing 1993
[12] 사전 Electronic 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www.dil.ie eDIL
[1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Gaelic Language E. Mackay 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