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 14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모스 140호는 1967년 2월 7일 발사된 소련의 소유스 우주선 무인 시험 비행체이다. 발사 후 자세 제어 장치 고장과 연료 과소비 등의 문제점을 보였으며, 대기권 재진입 과정에서 내열 실드 손상으로 아랄 해에 추락했다. 시험 결과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이어진 유인 우주선 소유스 1호 발사에서 블라디미르 코마로프 우주 비행사가 사망하는 사고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모스 위성 - 코스모스 146호
코스모스 146호는 1967년 소련의 존드 계획에 따라 프로톤-K 로켓으로 발사되어 달 궤도 전이 궤도 진입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무인 우주선으로, 실제 달 탐사 없이 시험 비행으로 진행되었다. - 코스모스 위성 - 코스모스 133호
코스모스 133호는 소유즈 우주선의 기술 검증과 자동 도킹 시스템 테스트를 위해 발사된 소련의 무인 우주선이었으나, 자세 제어 시스템 문제로 통제 불능 상태에 빠져 임무에 실패하고 대기권 재진입 중 자폭했으며, 소유즈 프로그램 지연 및 우주 개발 경쟁의 어두운 면을 드러낸 사건으로 평가된다. - 1967년 소련 - 소유스 1호
소유스 1호는 1967년 발사된 소련의 유인 우주선으로, 기술적 문제와 낙하산 시스템 결함으로 추락하여 블라디미르 코마로프가 사망하고 소련의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이 중단되었다. - 1967년 소련 - 코스모스 146호
코스모스 146호는 1967년 소련의 존드 계획에 따라 프로톤-K 로켓으로 발사되어 달 궤도 전이 궤도 진입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무인 우주선으로, 실제 달 탐사 없이 시험 비행으로 진행되었다. - 1967년 발사한 우주선 - 아폴로 4호
아폴로 4호는 아폴로 계획의 일환으로 새턴 V 로켓의 첫 시험 발사였으며, 아폴로 사령선의 열차폐막 성능 검증과 케네디 우주 센터 제39발사 시설의 첫 사용을 목표로 한 무인 시험 비행이다. - 1967년 발사한 우주선 - 소유스 1호
소유스 1호는 1967년 발사된 소련의 유인 우주선으로, 기술적 문제와 낙하산 시스템 결함으로 추락하여 블라디미르 코마로프가 사망하고 소련의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이 중단되었다.
코스모스 140호 | |
---|---|
개요 | |
임무 유형 | 시험 비행 |
운영 주체 | 실험설계국 (OKB-1) |
COSPAR ID | 1967-009A |
SATCAT | 02667 |
임무 기간 | 2일 |
우주선 정보 | |
우주선 | 소유스 7K-OK No.3 |
우주선 종류 | 소유스 7K-OK |
제작사 | 실험설계국 (OKB-1) |
발사 질량 | 6450kg |
착륙 질량 | 2500kg |
크기 | 길이 7.13m, 너비 2.72m |
발사 정보 | |
발사일 | 1967년 2월 7일, 03:21 GMT |
발사 로켓 | 소유스 11A511 s/n U15000-03 |
발사 장소 | 바이코누르, 1/5번 발사대 |
발사 계약자 | 실험설계국 (OKB-1) |
착륙 정보 | |
착륙일 | 1967년 2월 9일 |
착륙 장소 | 카자흐스탄 아랄해 |
궤도 정보 | |
궤도 기준 | 지구 중심 궤도 |
궤도 종류 | 지구 저궤도 |
궤도 근지점 | 165.0km |
궤도 원지점 | 218.0km |
궤도 경사 | 51.7° |
궤도 주기 | 88.5분 |
프로그램 정보 | |
프로그램 | 소유스 계획 |
이전 임무 | 소유스 7K-OK 제1호 |
다음 임무 | 소유스 1호 |
2. 배경
코스모스 133호 발사 이후, 소유스 우주선의 첫 시험 비행에서 많은 결함이 발견되었다. 이 때문에 유인 비행에 앞서 추가적인 시험 비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3호기 역시 무인으로 발사하기로 결정되었다.
2. 1. 초기 시험 비행의 문제점
1966년 11월 28일, 코스모스 133호 (소유스 7K-OK 제2호) 발사가 진행되었으나, 우주선에 많은 결함이 발견되었다. 1966년 12월 14일, 소유스 7K-OK 제1호 발사 시도 중 11A57 부스터(로켓) 이상으로 인해 발사에 실패했다. 발사 당시 11A57 부스터의 블로크 A 코어 스테이지가 점화되는 과정에서 스트랩온이 함께 점화되지 않았던 것이 원인이었다.[1]문제가 발견된 즉시 발사 취소 명령이 내려졌고, 발사대의 인력들은 서비스 타워를 제자리로 옮기고 추진연료를 배출하기 시작했다. 코어 스테이지와 스트랩온의 배출 작업은 완료되었으나, 발사 시도 후 약 27분 만에 발사 탈출 시스템(LES)이 갑자기 분사를 일으켰다. 이 과정에서 누출된 배기가스로 Blok I 3단 추진제 탱크가 과열 및 폭발을 일으켰다. 이 사고로 지상 인력 가운데 1명이 사망하고, 소유스 우주선과 코어 스테이지/스트랩온이 수리가 불가능할 정도로 심하게 손상되었다.[1]
31호 발사대 (LC-31)도 심하게 손상되었으나, 카자흐스탄의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7개월에 걸친 수리 작업 끝에 복원하여 재사용이 가능해졌다. 발사 탈출 시스템이 분사를 일으킨 이유는 지구 자전으로 인해 타이머가 활성화되어 발사체의 자이로스코프 패키지에 영향을 미쳤거나, 서비스 타워 중 하나가 충돌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1]
3. 발사
1967년 2월 7일, 코스모스 140호는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1번 발사대(LC-1)에서 소유스 11A511 로켓에 의해 발사되어 저궤도에 진입했다.[5][2] 궤도의 근지점은 165km, 원지점은 218km, 경사각은 51.7°, 공전 주기는 88.5분이었다.[5] 그러나 발사 직후 자세 제어 장치가 고장나고 전력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
4. 궤도 운영 및 문제점
코스모스 140호는 궤도에서 자세 제어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고 연료를 과도하게 소모했지만, 제어 가능한 상태를 유지했다.[6] 22번째 궤도에서 기동을 시도했으나 제어 시스템 문제는 계속되었다.[6] 이후 대기권 진입을 위해 역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시 오작동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예상보다 가파른 탄도 재진입을 하게 되었다. 그 결과, 방열판에 30cm 크기의 구멍이 뚫렸다.[3]
1967년 2월 7일, 코스모스 140호는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어 지구 궤도에 진입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자세 제어 장치가 고장나고 전력 부족 상태에 빠졌다. 2월 9일, 예정보다 일찍 역분사 로켓을 점화해 지구 궤도를 이탈했지만, 제어 장치 고장으로 캡슐은 급격한 각도로 대기권 재진입을 시작했다. 캡슐은 아랄 해의 얼음을 뚫고 수심 10m 아래로 가라앉았고, 이후 잠수부들이 캡슐을 회수했다.[3]
캡슐을 조사한 결과, 대기권 진입 시 내열 실드에 있던 30cm 점검용 구멍(플러그)이 타서 떨어져 나갔으며, 선내 기압도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문제로 인해 해당 플러그는 폐지되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시험 성능은 "충분히 훌륭하다"고 평가되어, 다음 비행으로 예정된 소유스 1호와 소유스 2호의 유인 도킹 임무가 승인되었다.[3] 그러나 소유스 1호는 궤도 진입 직후부터 잦은 고장을 일으켰고, 귀환 중 낙하산이 펴지지 않아 코마로프 우주 비행사가 사망하는 참사로 이어졌다.
5. 대기권 재진입 및 회수
1967년 2월 9일, 코스모스 140호는 역추진 로켓을 점화하여 지구 궤도를 이탈, 대기권 재진입을 시작했다.[6] 제어 장치 고장으로 캡슐은 계획보다 급한 각도의 탄도 진입 상태로 대기권에 재진입했다.[3] 캡슐은 예정 착륙 지점에서 500km 벗어난 아랄해의 얼음 위에 떨어졌고, 얼음을 뚫고 수심 10m 아래로 가라앉았다.[6]
회수된 캡슐 조사 결과, 대기권 진입 시 열 차폐막(내열 실드)에 설치된 30cm 크기의 점검용 플러그(구멍)가 불에 타 떨어져 나갔고, 선내 기압 저하가 발생했음이 밝혀졌다.[6] 이 문제로 인해 이 플러그는 폐지되었다.
6. 평가 및 영향
코스모스 140호는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시험 비행은 "충분히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6] 열 차폐막 문제는 설계 변경으로 해결 가능하며, 기타 문제들은 승무원의 적절한 대처로 대응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다음 소유스 우주선 발사는 유인 비행(소유스 1호)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소유스 1호는 궤도 진입 직후부터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했고, 결국 귀환 낙하산이 펴지지 않아 블라디미르 코마로프 우주 비행사가 사망하는 참사로 이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Soyuz spacecraft flights
http://www.energia.r[...]
S.P.Korolev RSC Energia
2009-04-16
[2]
웹사이트
Cosmos 140: Trajectory 1967-009A
https://nssdc.gsfc.n[...]
NASA
2020-02-27
[3]
웹사이트
Cosmos 140: Display 1966-109A
https://nssdc.gsfc.n[...]
NASA
2020-02-27
[4]
웹인용
Soyuz spacecraft flights
http://www.energia.r[...]
S.P.Korolev RSC Energia
2009-04-16
[5]
웹인용
Cosmos 140: Trajectory 1967-009A
https://nssdc.gsfc.n[...]
NASA
2020-02-27
[6]
웹인용
Cosmos 140: Display 1966-109A
https://nssdc.gsfc.n[...]
NASA
2020-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