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스타리카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타리카의 대통령은 코스타리카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 각료를 임명하며 4년 임기로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코스타리카는 1824년부터 1848년까지 국가 원수 시대를 거쳐 1848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드가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대통령은 공공군의 최고 사령관이며, 헌법에 따라 다양한 권한과 의무를 갖는다. 대통령 선거는 수정된 결선 투표제를 통해 진행되며, 1차 투표에서 40% 이상 득표자가 없으면 결선 투표를 치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타리카의 정치인 - 루이스 기예르모 솔리스
    코스타리카의 정치인이자 학자인 루이스 기예르모 솔리스는 시민 행동당 소속으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코스타리카 대통령을 역임하며 부패 척결, 경제 성장, 소득 불평등 감소를 목표로 사회적 진보주의 가치를 옹호했다.
  • 코스타리카의 정치인 - 아벨 파체코
    코스타리카의 정치인이자 작가인 아벨 파체코는 의사이자 텔레비전 진행자, 대학교 강사로 활동하다가 국회의원을 거쳐 코스타리카 대통령을 역임하며 부패 스캔들 논란에도 불구하고 저술 활동과 세계 시민상 수상으로 문화에 기여했다.
  • 코스타리카의 대통령 - 산토스 레온 에레라
    산토스 레온 에레라는 페르민 레온 케사다와 발비나 에레라 데 레온의 아들이며, 루이사 사발레타 브레네스와 결혼하여 라파엘과 발비나를 자녀로 두었다.
  • 코스타리카의 대통령 - 오틸리오 울라테 블랑코
    오틸리오 울라테 블랑코는 코스타리카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경제 성장과 사회 안정을 위해 노력했으나 정치적 혼란과 야당과의 갈등을 겪었다.
코스타리카의 대통령
기본 정보
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대통령 취임 연설
직책대통령
국가코스타리카
위치코스타리카 대통령궁
임기4년, 연속 재선 금지
설립1848년5월 8일
웹사이트코스타리카 대통령 공식 웹사이트
현직
현직 대통령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제48대)
취임일2022년5월 8일
초대 대통령호세=마리아 카스트로
역사
대통령직 창설1848년

2. 역사

코스타리카는 1821년 과테말라 총독부에서 독립한 후, 짧은 기간 동안 멕시코 제국에 합병되었다가 1823년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의 일원이 되었다. 1848년,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스 대통령은 코스타리카를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에서 탈퇴시키고 독립 공화국을 선포했다.[9]

1948년 코스타리카 내전 이후, 호세 피게레스 페레가 이끄는 군사 정부가 권력을 잡았다. 군사 정부는 18개월 동안 통치하며 여러 개혁을 단행했고, 이후 1948년 선거에서 당선된 오틸리오 울라테 블랑코에게 권력을 이양했다.[1]

이후 코스타리카는 민주주의 국가로 발전했으며, 민족해방당(PLN)과 사회기독교연합당(PUSC)이 번갈아 가며 정권을 잡았다. 오스카르 아리아스 산체스는 1986년부터 1990년까지, 그리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두 번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198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1] 2002년 아벨 파체코 대통령 이후 대통령 재선이 허용되었다.[1]

2. 1. 독립 이전



코스타리카는 1821년 과테말라 총독부에서 독립한 후, 짧은 기간 동안 멕시코 제국에 합병되었다가 1823년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의 일원이 되었다. 1848년,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스 대통령은 코스타리카를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에서 탈퇴시키고 독립 공화국을 선포했다.

대통령재임 기간정당비고
후안 모라 페르난데스1825년 ~ 1833년자유당초대 국가 원수, 자유주의적 개혁 추진[1]
호세 라파엘 가예고스1833년 ~ 1835년, 1845년 ~ 1846년보수당중앙 집권적 통치 강화[2]
브라우리오 카리요 콜리나1835년 ~ 1837년, 1838년 ~ 1842년자유당자유주의적 독재자, 경제 발전에 기여[3]
마누엘 아귈라 차콘1837년 ~ 1838년자유당[4]
프란시스코 모라산1842년자유당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 대통령, 코스타리카 잠시 통치[5]
안토니오 핀토 소아레스1842년자유당[6]
호세 마리아 알파로 사모라1842년 ~ 1844년, 1846년 ~ 1847년자유당국가 기반 시설 확충[7]
프란시스코 마리아 오레아무노 보닐라1844년자유당[8]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스1847년 ~ 1849년자유당교육 개혁 추진, 독립 공화국 선포[9]
미겔 모라 포라스1849년자유당[10]
후안 모라 포라스1849년 ~ 1859년자유당경제 발전 추진, 윌리엄 워커 침략 격퇴
호세 마리아 몬테알레그레 페르난데스1859년 ~ 1863년자유당정치적 안정 추구
헤수스 히메네스 사모라1863년 ~ 1866년, 1868년 ~ 1870년자유당, 군부군사 독재
브루노 카란사 라미레스1870년자유당
토마스 과르디아 구티에레스1870년 ~ 1876년, 1877년 ~ 1882년자유당자유주의적 독재자, 철도 건설 등 근대화 정책 추진
아니세토 에스퀴벨 사엔스1876년자유당
비센테 에레라 세레돈1876년 ~ 1877년보수당
사투르니노 리사노 구티에레스1882년자유당
프로스페로 페르난데스 오레아무노1882년 ~ 1885년자유당교육 개혁, 사회 기반 시설 확충
베르나르도 소토 알파로1885년 ~ 1890년자유당정치적 안정, 경제 발전 기여


2. 2. 국가 원수 시대 (1824-1848)

번호국가 원수초상화재임 기간정당비고
1후안 모라 페르난데스
1824년–1833년자유당두 번 연임, 1829년 재선.
2호세 라파엘 가예고스
1833년–1835년보수당사임, 마누엘 페르난데스 차콘, 니콜라스 울로아 소토가 국가 원수 대행으로 뒤를 이음.
3브라우리오 카리요 콜리나
1835년–1837년자유당1차 임기.
4후안 모라 페르난데스--1837년 3월–4월자유당임시.
5마누엘 아길라르 차콘
1837년–1838년자유당쿠데타로 축출.
6브라우리오 카리요 콜리나--1838년–1842년자유당2차 임기. 쿠데타로 축출.
7프란시스코 모라산
1842년 4월–9월자유당민중 봉기로 축출, 1842년 9월 15일에 처형.
8안토니오 핀토 소아레스
1842년 9월자유당민중 봉기로 집권, 곧 사임.
9호세 마리아 알파로 사모라
1842년–1844년자유당1차 임기. 임시.
10프란시스코 마리아 오레아무노 보닐라
1844년 11월–12월자유당쿠데타로 축출.
11호세 라파엘 가예고스--1845년–1846년보수당
12호세 마리아 알파로 사모라--1846년–1847년자유당2차 임기.
13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드
1847년–1848년자유당


2. 3. 공화국 초기 (1848-1948)

재임 기간정당선거비고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즈
--1848년 8월 31일[1]1849년 11월 16일무소속 자유당1847년미겔 모라 포라스
1849년 11월 16일1849년 11월 26일무소속 자유당임시 대통령후안 라파엘 모라 포라스
1849년 11월 26일1859년 8월 14일무소속 자유당1849년
1853년
1859년제1, 2, 3기호세 마리아 몬테알레그레 페르난데스
1859년 8월 14일1863년 5월 8일무소속 자유당1860년임시, 1859–1860헤수스 히메네스 사모라
1863년 5월 8일1866년 5월 8일무소속 자유당1863년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즈
--1866년 5월 8일1868년 11월 1일무소속 자유당1866년2기. 쿠데타로 축출헤수스 히메네스 사모라
--1868년 11월 1일1870년 4월 27일군부사실상2기브루노 카란사 라미레스
1870년 4월 27일1870년 8월 8일무소속 자유당토마스 과르디아가 임시 대통령으로 임명. 몇 달 만에 사임.토마스 과르디아 구티에레스
1870년 8월 10일1876년 5월 8일무소속 자유당1872년임시, 1870–1872, 이후 선출.아니세토 에스케벨 사인스
1876년 5월 8일1876년 7월 30일무소속 자유당1876년쿠데타로 축출.style="background:darkblue"빈센테 에레라 셀레돈
1876년 7월 30일1877년 9월 11일무소속 보수당과르디아가 임명.토마스 과르디아 구티에레스
--1877년 9월 11일1882년 7월 6일무소속 자유당사실상 2기. 재임 중 사망.사투르니노 리자노 구티에레스
1882년 7월 6일1882년 7월 20일무소속 자유당대통령 직무 대행.프로스페로 페르난데스 오레아무노
1882년 7월 20일1885년 3월 12일무소속 자유당1882년재임 중 사망.베르나르도 소토 알파로
1885년 3월 12일1890년 5월 8일무소속 자유당1886년두 번 연속 임기, 첫 번째는 미완료. 카를로스 두란 카르틴은 1889–1890년에 대통령 직무 대행.style="background:darkblue"호세 로드리게스 셀레돈
1890년 5월 8일1894년 5월 8일헌법1889년라파엘 이글레시아스 카스트로
1894년 5월 8일1902년 5월 8일시민1893년1기, 2기아센시온 에스케벨 이바라
1902년 5월 8일1906년 5월 8일국민연합1901년클레토 곤잘레스 비케스
--1906년 5월 8일1910년 5월 8일국민1905년1기리카르도 히메네스 오레아무노
1910년 5월 8일1914년 5월 8일공화당1909년1기. 헤수스 히메네스 사모라의 아들.알프레도 곤잘레스 플로레스
1914년 5월 8일1917년 1월 27일공화당사실상
페데리코 티노코 그라나도스
1917년 1월 27일1919년 8월 13일펠리키스타1기, 2기. 민중 봉기로 전복.후안 바우티스타 키로스 세구라
1919년 8월 13일1919년 9월 2일펠리키스타사실상이전 부통령. 탈출한 티노코를 대체. 미국 정부에 의해 사임 강요.프란시스코 아길라르 바르케로
1919년 9월 2일1920년 5월 8일공화당임시 대통령.훌리오 아코스타 가르시아
1920년 5월 8일1924년 5월 8일헌법1919년리카르도 히메네스 오레아무노
--1924년 5월 8일1928년 5월 8일공화당1923년2기클레토 곤잘레스 비케스
--1928년 5월 8일1932년 5월 8일국민연합1928년2기리카르도 히메네스 오레아무노
--1932년 5월 8일1936년 5월 8일국민공화1932년3기레온 코르테스 카스트로
1936년 5월 8일1940년 5월 8일국민공화1936년라파엘 앙헬 칼데론 과르디아
1940년 5월 8일1944년 5월 8일국민공화1940년테오도로 피카도 미찰스키
1944년 5월 8일1948년 4월 20일국민공화1944년산토스 레온 에레라
1948년 4월 20일1948년 5월 8일국민공화임시 대통령. 테오도로 피카도 미찰스키의 전 부통령.호세 피게레스 페르
1948년 5월 8일1949년 11월 8일사회민주사실상내전으로 집권. 정부 개편 후 선출된 대통령에게 권력 이양.


2. 4. 현대 코스타리카 (1948-현재)

1948년 코스타리카 내전 이후, 호세 피게레스 페레가 이끄는 군사 정부가 권력을 잡았다. 이 군사 정부는 18개월 동안 통치하며 여러 개혁을 단행했고, 이후 1948년 선거에서 당선된 오틸리오 울라테 블랑코에게 권력을 이양했다.[1]

이후 코스타리카는 민주주의 국가로 발전했으며, 민족해방당(PLN)과 사회기독교연합당(PUSC)이 번갈아 가며 정권을 잡았다. 오스카르 아리아스 산체스는 1986년부터 1990년까지, 그리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두 번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198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1]

2002년 아벨 파체코 대통령 이후 대통령 재선이 허용되었다.[1]

대통령
재임 기간정당선거비고
산토스 레온 에레라
1948년 4월 20일1948년 5월 8일국민공화테오도로 피카도 미찰스키의 전 부통령. 임시 대통령.
호세 피게레스 페레
1948년 5월 8일1949년 11월 8일사회민주사실상코스타리카 내전으로 집권. 정부 개편 후 선출된 대통령에게 권력 이양.
오틸리오 울라테 블랑코
1949년 11월 8일1953년 11월 8일국민연합1948년
호세 피게레스 페레
--1953년 11월 8일1958년 5월 8일국민해방1953년2기. 대통령 재선 금지.
마리오 에찬디 히메네스
1958년 5월 8일1962년 5월 8일국민연합1958년
프란시스코 오를리치 볼마르치치
1962년 5월 8일1966년 5월 8일국민해방1962년
호세 트레호스 페르난데스
1966년 5월 8일1970년 5월 8일국민통합1966년
호세 피게레스 페레
--1970년 5월 8일1974년 5월 8일국민해방1970년3기. 대통령 재선 금지.
다니엘 오두베르 키로스
1974년 5월 8일1978년 5월 8일국민해방1974년
로리고 카라소 오디오
1978년 5월 8일1982년 5월 8일통합연합1978년
루이스 몽헤 알바레스
1982년 5월 8일1986년 5월 8일국민해방1982년
오스카르 아리아스 산체스
1986년 5월 8일1990년 5월 8일국민해방1986년1기. 노벨 평화상 수상자 (1987).
라파엘 칼데론 포르니에르
1990년 5월 8일1994년 5월 8일사회기독교연합1990년라파엘 앙헬 칼데론 과르디아의 아들.
호세 피게레스 올센
1994년 5월 8일1998년 5월 8일국민해방1994년호세 피게레스 페레의 아들.
미겔 로드리게스 에체베리아
1998년 5월 8일2002년 5월 8일사회기독교연합1998년
아벨 파체코 데 라 에스프리에야
2002년 5월 8일2006년 5월 8일사회기독교연합2002년대통령 재선 허용.
오스카르 아리아스 산체스
--2006년 5월 8일2010년 5월 8일국민해방2006년2기.


3. 대통령 선출

코스타리카의 대통령은 국민이 직접 선출하며, 임기는 4년이다. 대통령 선거는 결선 투표제 방식으로 진행된다. 1차 투표에서 40% 이상 득표한 후보자가 없을 경우, 상위 득표자 2명을 대상으로 결선 투표를 실시한다.[5]

3. 1. 선거 제도

코스타리카의 대통령 선거는 수정된 결선 투표제를 통해 치러진다. 1차 투표에서 후보가 당선되려면 최소 40% 이상의 표를 얻어야 한다. 만약 1차 투표에서 이 기준을 충족하는 후보가 없을 경우,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상위 두 후보가 결선 투표를 통해 최종 승자를 가린다.[5]

3. 2. 대통령 자격

코스타리카 헌법 제139조에 따르면 대통령 또는 부통령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1]

# 출생에 의해 코스타리카 국민이며 시민권을 행사할 것.

# 세속적 신분일 것.

# 30세 이상일 것.

4.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

코스타리카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서, 헌법에 따라 다양한 권한과 의무를 가진다. 이러한 권한과 의무는 헌법 제139조와 제140조에 명시되어 있다.[4] 대통령의 권한은 크게 배타적 권한과 다른 장관들과 함께 행사하는 책무로 나눌 수 있으며, 헌법 제148조와 제149조에 따라 일정한 제한을 받는다.

4. 1. 권한

대통령은 코스타리카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며, 각료를 임명한다.[3]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지만 연임은 불가능하다. 부통령 또한 대통령과 동시에 선출된다. 1948년에 국군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다른 국가와는 달리 군의 최고 사령관은 아니지만, 공공 부대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4]

헌법 제139조에 따르면, 대통령의 배타적 권한은 다음과 같다.[4]

제140조에는 다른 장관들과 함께 대통령의 책무가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4]

4. 2. 의무

헌법 제139조에 따르면, 코스타리카 대통령의 고유 권한은 다음과 같다.[4]

헌법 제140조에는 대통령과 다른 각료들의 책무가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4]

4. 3. 권한 제한

코스타리카 헌법은 대통령의 권한에 제한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반하면 탄핵될 수 있다.[4]

헌법 제148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헌법이 부여한 권한 행사에 대해 책임을 진다. 각 정부 장관은 대통령과 함께 권한 행사에 대해 공동 책임을 진다. 정부 평의회 행위에 대한 책임은 투표에 참여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다.[4]

헌법 제149조는 대통령과 정부 장관이 공동 책임을 지는 경우를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4]

5. 역대 대통령 목록

국가 원수초상화재임 기간정당비고
후안 모라 페르난데스1824년–1833년자유당두 번 연임, 1829년 재선.
호세 라파엘 가예고스1833년–1835년보수당사임. 마누엘 페르난데스 차콘, 니콜라스 울로아 소토가 국가 원수 대행으로 뒤를 이음.
브라우리오 카리요 콜리나1835년–1837년자유당1차 임기.
후안 모라 페르난데스--1837년 3월–4월자유당임시.
마누엘 아길라르 차콘1837년–1838년자유당쿠데타로 축출.
브라우리오 카리요 콜리나--1838년–1842년자유당2차 임기. 쿠데타로 축출.
프란시스코 모라산1842년 4월–9월자유당민중 봉기로 축출, 1842년 9월 15일에 처형.
안토니오 핀토 소아레스1842년 9월자유당민중 봉기로 집권, 곧 사임.
호세 마리아 알파로 사모라1842년–1844년자유당1차 임기. 임시.
프란시스코 마리아 오레아무노 보닐라1844년 11월–12월자유당쿠데타로 축출.
호세 라파엘 가예고스--1845년–1846년보수당
호세 마리아 알파로 사모라--1846년–1847년자유당2차 임기.
호세 카스트로 마드리드1847년–1848년자유당



대통령재임 기간정당선거비고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즈--1848년 8월 31일[1] – 1849년 11월 16일무소속 자유당1847년"공화국 창설자".
미겔 모라 포라스1849년 11월 16일 – 1849년 11월 26일무소속 자유당임시 대통령.
후안 라파엘 모라 포라스1849년 11월 26일 – 1859년 8월 14일무소속 자유당1849년, 1853년, 1859년1, 2, 3기.
호세 마리아 몬테알레그레 페르난데스1859년 8월 14일 – 1863년 5월 8일무소속 자유당1860년임시(1859년–1860년).
헤수스 히메네스 사모라1863년 5월 8일 – 1866년 5월 8일무소속 자유당1863년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즈--1866년 5월 8일 – 1868년 11월 1일무소속 자유당1866년2기. 쿠데타로 축출.
헤수스 히메네스 사모라--1868년 11월 1일 – 1870년 4월 27일군부사실상2기.
브루노 카란사 라미레스1870년 4월 27일 – 1870년 8월 8일무소속 자유당토마스 과르디아 구티에레스가 임시 대통령으로 임명. 몇 달 만에 사임.
토마스 과르디아 구티에레스1870년 8월 10일 – 1876년 5월 8일무소속 자유당1872년임시(1870년–1872년), 이후 선출.
아니세토 에스키벨 사엔스1876년 5월 8일 – 1876년 7월 30일무소속 자유당1876년쿠데타로 축출.
비센테 에레라 셀레돈1876년 7월 30일 – 1877년 9월 11일무소속 보수당토마스 과르디아 구티에레스가 임명.
토마스 과르디아 구티에레스--1877년 9월 11일 – 1882년 7월 6일무소속 자유당사실상 2기. 재임 중 사망.
사투르니노 리사노 구티에레스1882년 7월 6일 – 1882년 7월 20일무소속 자유당대통령 직무 대행.
프로스페로 페르난데스 오레아무노1882년 7월 20일 – 1885년 3월 12일무소속 자유당1882년재임 중 사망.
베르나르도 소토 알파로1885년 3월 12일 – 1890년 5월 8일무소속 자유당1886년두 번 연속 임기, 첫 번째는 미완료. 카를로스 두란 카르틴은 1889년–1890년에 대통령 직무 대행.
호세 호아킨 로드리게스 셀레돈1890년 5월 8일 – 1894년 5월 8일헌법1889년
라파엘 이글레시아스 카스트로1894년 5월 8일 – 1902년 5월 8일시민1893년1, 2기.
아센시온 에스키벨 이바라1902년 5월 8일 – 1906년 5월 8일국민연합1901년
클레토 곤살레스 비케스--1906년 5월 8일 – 1910년 5월 8일국민1905년1기.
리카르도 히메네스 오레아무노1910년 5월 8일 – 1914년 5월 8일공화당1909년1기. 헤수스 히메네스 사모라의 아들.
알프레도 곤살레스 플로레스1914년 5월 8일 – 1917년 1월 27일공화당1913년에 명확한 후보자가 없어 의회에서 지명사실상. 페데리코 티노코 그라나도스의 쿠데타로 축출.
페데리코 티노코 그라나도스1917년 1월 27일 – 1919년 8월 13일펠리키스타쿠데타 후 권력을 잡았고, 1917년 선거에서 단독 후보1, 2기. 민중 봉기로 축출.
후안 바우티스타 키로스 세구라1919년 8월 13일 – 1919년 9월 2일펠리키스타사실상이전 부통령. 탈출한 페데리코 티노코 그라나도스 대체. 미국 정부에 의해 사임 강요.
프란시스코 아길라르 바르케로1919년 9월 2일 – 1920년 5월 8일공화당임시 대통령.
훌리오 아코스타 가르시아1920년 5월 8일 – 1924년 5월 8일헌법1919년
리카르도 히메네스 오레아무노--1924년 5월 8일 – 1928년 5월 8일공화당1923년2기.
클레토 곤살레스 비케스--1928년 5월 8일 – 1932년 5월 8일국민연합1928년2기.
리카르도 히메네스 오레아무노--1932년 5월 8일 – 1936년 5월 8일국민공화1932년3기.
레온 코르테스 카스트로1936년 5월 8일 – 1940년 5월 8일국민공화1936년
라파엘 앙헬 칼데론 과르디아1940년 5월 8일 – 1944년 5월 8일국민공화1940년
테오도로 피카도 미찰스키1944년 5월 8일 – 1948년 4월 20일국민공화1944년
산토스 레온 에레라1948년 4월 20일 – 1948년 5월 8일국민공화임시 대통령. 테오도로 피카도 미찰스키의 전 부통령.
호세 피게레스 페레르1948년 5월 8일 – 1949년 11월 8일사회민주사실상내전으로 집권. 정부 개편 후 선출된 대통령에게 권력 이양.
오틸리오 울라테 블랑코1949년 11월 8일 – 1953년 11월 8일국민연합1948년
호세 피게레스 페레르--1953년 11월 8일 – 1958년 5월 8일국민해방1953년2기. 대통령 재선 금지.
마리오 에찬디 히메네스1958년 5월 8일 – 1962년 5월 8일국민연합1958년
프란시스코 오를리치 볼마르치치1962년 5월 8일 – 1966년 5월 8일국민해방1962년
호세 호아킨 트레호스 페르난데스1966년 5월 8일 – 1970년 5월 8일국민통합1966년
호세 피게레스 페레르--1970년 5월 8일 – 1974년 5월 8일국민해방1970년3기. 대통령 재선 금지.
다니엘 오두베르 키로스1974년 5월 8일 – 1978년 5월 8일국민해방1974년
로드리고 카라소 오디오1978년 5월 8일 – 1982년 5월 8일통합연합1978년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1982년 5월 8일 – 1986년 5월 8일국민해방1982년
오스카르 아리아스 산체스1986년 5월 8일 – 1990년 5월 8일국민해방1986년노벨 평화상 수상자 (1987). 1기.
라파엘 앙헬 칼데론 포르니에르1990년 5월 8일 – 1994년 5월 8일사회기독교연합1990년라파엘 앙헬 칼데론 과르디아의 아들.
호세 마리아 피게레스 올센1994년 5월 8일 – 1998년 5월 8일국민해방1994년호세 피게레스 페레르의 아들.
미겔 앙헬 로드리게스 에체베리아1998년 5월 8일 – 2002년 5월 8일사회기독교연합1998년
아벨 파체코 데 라 에스프리에야2002년 5월 8일 – 2006년 5월 8일사회기독교연합2002년대통령 재선 허용.
오스카르 아리아스 산체스--2006년 5월 8일 – 2010년 5월 8일국민해방2006년2기.
라우라 친치야--2010년 5월 8일 – 2014년 5월 8일국민해방2010년
루이스 기예르모 솔리스--2014년 5월 8일 – 2018년 5월 8일시민행동당2014년
카를로스 알바라도 케사다--2018년 5월 8일 – 2022년 5월 8일시민행동당2018년
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2022년 5월 8일 – 현재사회민주진보2022년


6. 평가 및 영향

(이전 출력이 비어있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Presidentes de la República de Costa Rica https://www.tse.go.c[...] El Tribunal Supremo de Elecciones (government of Costa Rica)
[2] 뉴스 Costa Rica's new president: After Arias: Tax increases, trade deals and antidisestablishmentarianism. http://www.economist[...] 2010-05-08
[3] 웹사이트 executive branch http://www.guiascost[...]
[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Costa Rica https://www.constitu[...] 2017-06-24
[5] 웹사이트 Costa Rica http://www.electiong[...] IFES
[6] 서적 コスタリカの歴史 明石書店
[7] 문서 任期途中で辞任。
[8] 문서 クーデターにより辞任。
[9] 문서 大統領代行。
[10] 문서 在任中に死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