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타리카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타리카의 대통령은 코스타리카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 각료를 임명하며 4년 임기로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코스타리카는 1824년부터 1848년까지 국가 원수 시대를 거쳐 1848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드가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대통령은 공공군의 최고 사령관이며, 헌법에 따라 다양한 권한과 의무를 갖는다. 대통령 선거는 수정된 결선 투표제를 통해 진행되며, 1차 투표에서 40% 이상 득표자가 없으면 결선 투표를 치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타리카의 정치인 - 루이스 기예르모 솔리스
코스타리카의 정치인이자 학자인 루이스 기예르모 솔리스는 시민 행동당 소속으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코스타리카 대통령을 역임하며 부패 척결, 경제 성장, 소득 불평등 감소를 목표로 사회적 진보주의 가치를 옹호했다. - 코스타리카의 정치인 - 아벨 파체코
코스타리카의 정치인이자 작가인 아벨 파체코는 의사이자 텔레비전 진행자, 대학교 강사로 활동하다가 국회의원을 거쳐 코스타리카 대통령을 역임하며 부패 스캔들 논란에도 불구하고 저술 활동과 세계 시민상 수상으로 문화에 기여했다. - 코스타리카의 대통령 - 산토스 레온 에레라
산토스 레온 에레라는 페르민 레온 케사다와 발비나 에레라 데 레온의 아들이며, 루이사 사발레타 브레네스와 결혼하여 라파엘과 발비나를 자녀로 두었다. - 코스타리카의 대통령 - 오틸리오 울라테 블랑코
오틸리오 울라테 블랑코는 코스타리카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경제 성장과 사회 안정을 위해 노력했으나 정치적 혼란과 야당과의 갈등을 겪었다.
코스타리카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대통령 |
국가 | 코스타리카 |
위치 | 코스타리카 대통령궁 |
임기 | 4년, 연속 재선 금지 |
설립 | 1848년5월 8일 |
웹사이트 | 코스타리카 대통령 공식 웹사이트 |
현직 | |
현직 대통령 | 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제48대) |
취임일 | 2022년5월 8일 |
초대 대통령 | 호세=마리아 카스트로 |
역사 | |
대통령직 창설 | 1848년 |
2. 역사
코스타리카는 1821년 과테말라 총독부에서 독립한 후, 짧은 기간 동안 멕시코 제국에 합병되었다가 1823년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의 일원이 되었다. 1848년,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스 대통령은 코스타리카를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에서 탈퇴시키고 독립 공화국을 선포했다.[9]
1948년 코스타리카 내전 이후, 호세 피게레스 페레가 이끄는 군사 정부가 권력을 잡았다. 군사 정부는 18개월 동안 통치하며 여러 개혁을 단행했고, 이후 1948년 선거에서 당선된 오틸리오 울라테 블랑코에게 권력을 이양했다.[1]
이후 코스타리카는 민주주의 국가로 발전했으며, 민족해방당(PLN)과 사회기독교연합당(PUSC)이 번갈아 가며 정권을 잡았다. 오스카르 아리아스 산체스는 1986년부터 1990년까지, 그리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두 번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198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1] 2002년 아벨 파체코 대통령 이후 대통령 재선이 허용되었다.[1]
2. 1. 독립 이전
코스타리카는 1821년 과테말라 총독부에서 독립한 후, 짧은 기간 동안 멕시코 제국에 합병되었다가 1823년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의 일원이 되었다. 1848년,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스 대통령은 코스타리카를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에서 탈퇴시키고 독립 공화국을 선포했다.
대통령 | 재임 기간 | 정당 | 비고 |
---|---|---|---|
후안 모라 페르난데스 | 1825년 ~ 1833년 | 자유당 | 초대 국가 원수, 자유주의적 개혁 추진[1] |
호세 라파엘 가예고스 | 1833년 ~ 1835년, 1845년 ~ 1846년 | 보수당 | 중앙 집권적 통치 강화[2] |
브라우리오 카리요 콜리나 | 1835년 ~ 1837년, 1838년 ~ 1842년 | 자유당 | 자유주의적 독재자, 경제 발전에 기여[3] |
마누엘 아귈라 차콘 | 1837년 ~ 1838년 | 자유당 | [4] |
프란시스코 모라산 | 1842년 | 자유당 |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 대통령, 코스타리카 잠시 통치[5] |
안토니오 핀토 소아레스 | 1842년 | 자유당 | [6] |
호세 마리아 알파로 사모라 | 1842년 ~ 1844년, 1846년 ~ 1847년 | 자유당 | 국가 기반 시설 확충[7] |
프란시스코 마리아 오레아무노 보닐라 | 1844년 | 자유당 | [8] |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스 | 1847년 ~ 1849년 | 자유당 | 교육 개혁 추진, 독립 공화국 선포[9] |
미겔 모라 포라스 | 1849년 | 자유당 | [10] |
후안 모라 포라스 | 1849년 ~ 1859년 | 자유당 | 경제 발전 추진, 윌리엄 워커 침략 격퇴 |
호세 마리아 몬테알레그레 페르난데스 | 1859년 ~ 1863년 | 자유당 | 정치적 안정 추구 |
헤수스 히메네스 사모라 | 1863년 ~ 1866년, 1868년 ~ 1870년 | 자유당, 군부 | 군사 독재 |
브루노 카란사 라미레스 | 1870년 | 자유당 | |
토마스 과르디아 구티에레스 | 1870년 ~ 1876년, 1877년 ~ 1882년 | 자유당 | 자유주의적 독재자, 철도 건설 등 근대화 정책 추진 |
아니세토 에스퀴벨 사엔스 | 1876년 | 자유당 | |
비센테 에레라 세레돈 | 1876년 ~ 1877년 | 보수당 | |
사투르니노 리사노 구티에레스 | 1882년 | 자유당 | |
프로스페로 페르난데스 오레아무노 | 1882년 ~ 1885년 | 자유당 | 교육 개혁, 사회 기반 시설 확충 |
베르나르도 소토 알파로 | 1885년 ~ 1890년 | 자유당 | 정치적 안정, 경제 발전 기여 |
2. 2. 국가 원수 시대 (1824-1848)
번호 | 국가 원수 | 초상화 | 재임 기간 | 정당 | 비고 |
---|---|---|---|---|---|
1 | 후안 모라 페르난데스 | 1824년–1833년 | 자유당 | 두 번 연임, 1829년 재선. | |
2 | 호세 라파엘 가예고스 | 1833년–1835년 | 보수당 | 사임, 마누엘 페르난데스 차콘, 니콜라스 울로아 소토가 국가 원수 대행으로 뒤를 이음. | |
3 | 브라우리오 카리요 콜리나 | ![]() | 1835년–1837년 | 자유당 | 1차 임기. |
4 | 후안 모라 페르난데스 | -- | 1837년 3월–4월 | 자유당 | 임시. |
5 | 마누엘 아길라르 차콘 | 1837년–1838년 | 자유당 | 쿠데타로 축출. | |
6 | 브라우리오 카리요 콜리나 | -- | 1838년–1842년 | 자유당 | 2차 임기. 쿠데타로 축출. |
7 | 프란시스코 모라산 | 1842년 4월–9월 | 자유당 | 민중 봉기로 축출, 1842년 9월 15일에 처형. | |
8 | 안토니오 핀토 소아레스 | 1842년 9월 | 자유당 | 민중 봉기로 집권, 곧 사임. | |
9 | 호세 마리아 알파로 사모라 | 1842년–1844년 | 자유당 | 1차 임기. 임시. | |
10 | 프란시스코 마리아 오레아무노 보닐라 | 1844년 11월–12월 | 자유당 | 쿠데타로 축출. | |
11 | 호세 라파엘 가예고스 | -- | 1845년–1846년 | 보수당 | |
12 | 호세 마리아 알파로 사모라 | -- | 1846년–1847년 | 자유당 | 2차 임기. |
13 | 호세 마리아 카스트로 마드리드 | 1847년–1848년 | 자유당 |
2. 3. 공화국 초기 (1848-1948)

1853년
1859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