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는 비포장 도로, 잔디밭 등 다양한 지형을 달리는 육상 경기의 한 종목이다. 19세기 초 영국에서 시작되어, 학교 간의 경쟁을 거쳐 전국 대회로 발전했다. 국제 크로스컨트리 연맹이 설립되면서 국제적인 스포츠로 자리 잡았으며,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현재는 세계 육상 연맹 주최로 세계 선수권 대회가 매년 개최되고 있다. 경기 방식은 정해진 코스를 순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선수들은 다양한 전략과 장비를 활용하여 경쟁한다. 그러나 체중 감량에 대한 압박감으로 인해 섭식 장애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 모에스고르 박물관
    덴마크 오르후스에 있는 모에스고르 박물관은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의 선사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의 역사를 전시하며, 보룸 에쇠이 고분, 일레루프 오달 유물, 갈레후스 황금 뿔 복제품, 그라발레 남자 등의 주요 전시물과 룬 문자 비석, 스냅툰 석, 호르닝 교회 등의 유물을 소장하고 100헥타르의 자연으로 둘러싸여 있다.
  • 육상 스포츠 - 파워리프팅
    파워리프팅은 스쿼트,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세 종목의 총 중량으로 순위를 가리는 근력 스포츠로, 1950년대에 시작되어 국제 파워리프팅 연맹(IPF) 창설 후 국제적인 스포츠로 발전했으며, 장비 사용 여부, 체급, 연령별로 다양한 카테고리가 존재한다.
  • 육상 스포츠 - 육상 경기
    육상 경기는 달리기, 걷기, 도약, 투척 등을 통해 경쟁하는 가장 오래된 스포츠 중 하나로, 고대 올림픽에서 시작되어 근대 올림픽의 핵심 종목이 되었으며 트랙, 필드, 도로 경기로 나뉜다.
  • 영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컬링
    컬링은 얼음 위에서 스톤을 던져 중앙 버튼에 더 가깝게 붙이는 겨울 스포츠로, 스코틀랜드에서 시작되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스위핑과 팀워크를 통해 승패가 결정된다.
  • 영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모토크로스
    모토크로스는 1909년 영국에서 유래한 오프로드 모터사이클 경주로, 스크램블 레이스에서 시작하여 2행정 엔진 기술 발전과 함께 세계적인 인기를 얻어 FIM 모토크로스 세계 선수권 대회(MXGP)를 비롯한 다양한 대회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4행정 엔진이 주류이다.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스포츠 정보
종목 이름크로스컨트리 달리기
영어 이름cross country running
일본어 이름クロスカントリー競走 (쿠로스칸토리 쿄-소-)
한국어 (한자) 이름단교(斷郊)
종목 분류육상
주관 단체세계 육상 연맹
올림픽1912년–1924년
세계 선수권1973년–
경기 거리3–12 km
관련 웹사이트세계 육상 연맹 크로스컨트리

2. 역사

포르투갈 알부페이라에서 열린 2010년 유럽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의 선수들


크로스컨트리 달리기의 기원은 1819년 슈루즈버리 학교에서 시작된 '페이퍼 체이스' 또는 '토끼와 사냥개' 게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1] 하지만, 이 아이디어는 이전부터 존재했다. 학교들은 모험적이고 운동적인 취미를 조직적인 스포츠로 바꾸기 시작했는데, 스코틀랜드의 말콤 3세는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빠른 주자를 찾아 왕실 전령으로 삼기 위해 브레마를 내려다보는 크레이그 코이니치에서 사람들을 달리게 했다고 전해진다.[12] 대영 박물관에 있는 1540년 필사본에는 체스터 경마장으로도 알려진 로디에서 열린 경주가 묘사되어 있다.[13][14]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17세기 초 글에서 존 폴스타프 경이 헨리 왕자에게 달리기 실력을 언급하는 장면을 묘사했고,[15] 사무엘 페피스는 1660년 8월 10일 일기에 하이드 파크에서 열린 달리기 경주를 관람했다고 기록했다.[16] 1720년 옥스퍼드 대학교 학부생이었던 에라스무스 필립스 경은 우드스톡 파크에서 열린 4마일 달리기 경주를 관람했다고 묘사했다.[17] 1826년 7월 ''벨스 라이프''는 밀턴의 신사와 차트의 신사 간의 달리기 시합 결과를 보도했다.[18]

1834년 럭비 학교에 Hare and Hounds가 알려졌고, 1837년에는 크릭 마을까지 약 12마일을 달리는 '크릭 런'이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연례 전통이 되었다.[19][20] 1850년대 초, 운동 클럽들이 훈련의 일환으로 자체 페이퍼 체이스를 개최하기 시작했고, 1867년 12월 7일 윔블던 공원에서 첫 전국 선수권 대회가 열렸다. 1869년에는 세계 최초의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클럽인 템스 헤어 앤 하운즈가 설립되었다.[19]

시간이 지나면서 종이 조각은 깃발, 잔디 위의 선 등으로 대체되었고, 경주는 농지, 숲 등 다양한 지형에서 열리게 되었다.

1879년 미들랜드 카운티 아마추어 크로스컨트리 협회, 1882년 노던 크로스컨트리 협회, 1883년 서던 카운티 크로스컨트리 협회가 잉글랜드 지역 스포츠 관리를 위해 설립되었다. 1883년에는 전국 크로스컨트리 연합이 결성되었고, 1933년 영국 크로스컨트리 연합으로 변경되었다. 스코틀랜드 크로스컨트리 연합은 1886년에 결성되어 첫 전국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고, 미국은 1887년에 뒤를 따랐다.

2. 1. 국제 크로스컨트리 역사



1819년, 슈루즈버리 학교 학생들이 교장에게 여우 사냥 클럽 결성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학생들은 말을 타거나 사냥개를 쫓는 대신, 소수의 학생들이 먼저 출발하여 먹이를 흉내 내고, 나머지는 개 무리가 쫓는 것처럼 간격을 두고 달리는 대체 클럽을 결성했다. 이 과정에서 사냥개와 함께하는 사냥 용어가 크로스컨트리 달리기에 적용되었고, 선두는 토끼(hare), 쫓는 무리는 사냥개(hound)라고 불렀다. 토끼들은 냄새를 모방하고 사냥개가 따라올 수 있도록 종이 조각 자루를 떨어뜨렸고, 이 스포츠는 페이퍼 체이스 또는 Hare and Hounds(토끼와 사냥개)라고 불렸다.[11]

이후 학교들은 모험적이고 운동적인 취미를 조직적인 스포츠로 바꾸기 시작했다. 1837년, 럭비 학교는 크릭 마을로 나가 학교로 돌아오는 약 12마일의 더 긴 달리기인 크릭 런을 시작했고, 이는 연례 전통이 되었다.[19] 1850년대 초까지, 운동 클럽들은 자체 페이퍼 체이스를 훈련의 한 형태로 개최하기 시작했고, 첫 전국 선수권 대회는 1867년 12월 7일에 윔블던 공원에서 열렸다.[19]

1869년, 세계 최초의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클럽인 템스 헤어 앤 하운즈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뉴욕의 윌리엄 C. 보스버그가 이 스포츠를 미국에 소개했다. 하버드 대학교는 1880년부터 경주를 개최했고,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는 1880년 12월 옥스퍼드에서 첫 번째 크로스컨트리 대회를 개최했다.[19]

1898년, 샐퍼드 해리어스의 해롤드 하드윅은 팀을 프랑스로 크로스컨트리 경기에 데려갔고, 그 과정에서 국제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를 스포츠로 발명했다. 국제 크로스컨트리 연맹은 1903년에 결성되었고,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의 4개국은 그해 경기를 시작했고, 1907년 프랑스가 팀을 파견하여 진정한 국제 행사가 되었다.[19]

크로스컨트리 릴레이 아이디어는 1903년 파리에서 시작되었는데, 스타데 프랑세즈의 회원들이 1903년 12월 26일 박싱 데이에 열릴 약 14마일의 릴레이 경기를 위해 사우스 런던 해리어스를 파리로 초청했다.[21]

여성은 건강과 생식 능력에 해를 끼친다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수년 동안 이 스포츠에서 배제되었다. 여성 스포츠 클럽과 여성 팀을 위한 공식적인 대회는 1920년대가 되어서야 등장했다. 프랑스는 1918년에 여성 전국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 최초의 국가였고, 1927년 2월 루턴의 후 공원에서 최초의 잉글랜드 여성 선수권 대회가 열렸으며, 여성은 1931년부터 비공식적으로 국제 크로스컨트리에 참여할 수 있었다.[25]

에드빈 와이드, 빌레 리톨라, 그리고 파보 누르미 (왼쪽)가 1924년 하계 올림픽 파리에서 개인 크로스컨트리 경기에 출전한 모습. 40°C를 넘는 더위로 인해 38명의 출전 선수 중 15명만이 경기를 완주했다.


크로스컨트리는 1912년 하계 올림픽, 1920년 하계 올림픽, 1924년 하계 올림픽에서 단체전 및 개인전 종목으로 치러졌다. 스웨덴은 1912년 금메달을, 핀란드파보 누르미를 필두로 1920년과 1924년에 금메달을 획득했다. 1924년 파리 폭염 속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38명의 선수 중 15명만이 결승점에 도달했다.[26] 그러나 높은 기권율에 충격을 받은 올림픽 관계자들은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를 향후 올림픽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29]

최근에는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를 올림픽에 다시 포함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다. 2020년, 세계 육상 연맹 회장 세바스찬 코는 2024년 하계 올림픽 파리에서 이 종목을 유치하려 했지만,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이 제안을 거부했다. 2024년 하계 올림픽이 개최된 후, 코는 대신 이 종목을 동계 올림픽에 포함시키려고 노력했다.[31]

1973년부터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명칭을 변경한 세계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를 매년 개최하기 시작했다. 1981년에는 아프리카 국가인 에티오피아가 남자부에서 처음으로 우승했으며, 10년 후에는 아프리카 국가인 케냐가 여자부에서 처음으로 우승했다. 에티오피아 또는 케냐는 1981년 이후 모든 남자부 타이틀을, 2001년 이후 모든 여자부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0년까지 케냐는 세계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40번, 에티오피아는 23번 우승했다.

3. 경기 방식 및 규칙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는 코스 표면, 회전 빈도, 오르막과 내리막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전략을 달리해야 하므로, 일정한 페이스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빠른 출발로 선두를 차지하는 것과 꾸준한 페이스로 효율을 높이는 것 중 어떤 전략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코치와 선수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7][8] 팀원 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팀도 있고, 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야 한다는 팀도 있다.[9] "무리"의 앞에서 달릴지, 뒤에서 따라가다 마지막에 속도를 낼지는 선수의 기술, 지구력, 경주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경기 전 음식 섭취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며, 무엇보다 사전 훈련이 가장 중요하다.

크로스컨트리 달리기에는 특별한 장비가 많이 필요하지 않다. 보통 반바지와 조끼(싱글렛)를 입고 달리며, 소속 클럽이나 학교를 상징하는 색상을 사용한다. 추운 날씨에는 긴 소매 셔츠와 타이츠를 착용하여 보온성을 높일 수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신발은 크로스컨트리 스파이크인데, 이는 가벼운 레이싱 신발로 고무 밑창과 5개 이상의 금속 스파이크가 부착되어 있다. 스파이크 길이는 코스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진흙 코스에는 25mm 길이, 단단한 코스에는 6mm 길이의 스파이크가 적합하다. 스파이크는 풀밭이나 진흙 등 미끄러운 곳에 적합하지만, 포장된 표면이나 흙길이 많은 코스에서는 레이싱 플랫을 선택할 수도 있다.[10]

3. 1. 코스 설계

크로스컨트리 코스는 자연 또는 인공 장애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군사 스타일의 장애물 코스처럼 높은 장벽을 넘거나 깊은 참호를 통과하거나 수풀을 헤쳐나가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지속적인 달리기를 지원한다.[3]

코스 폭은 최소 5m 이여야 선수들이 경기 중에 다른 선수들을 추월할 수 있다. 명확한 표시는 선수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지 않도록 하고, 관중들이 경기에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표시는 코스 양쪽에 테이프나 리본, 바닥에 분필이나 페인트, 또는 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기에서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색깔 있는 깃발을 사용하는데, 왼쪽 방향은 빨간색 깃발, 오른쪽 방향은 노란색 깃발, 직진하거나 깃발에서 약 3.05m 이내를 유지하는 경우는 파란색 깃발을 사용한다. 코스에는 또한 일반적으로 각 킬로미터 또는 각 마일마다 거리 표시가 포함된다.[4]

코스는 시작 지점에서 접촉과 혼잡을 줄이기 위해 첫 번째 회전 지점 전에 400m에서 1200m의 평탄한 지형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작은 규모의 경기에서는 첫 번째 회전 지점이 훨씬 짧은 거리에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코스는 결승선 후에 순위 기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펜스 또는 유도선을 갖추어야 한다.[5]

코스의 지형은 자연 또는 인공 구조물 중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경기자에게 코스를 명확하게 표시하고, 관중의 침입을 막기 위해 양쪽 가장자리에 테이프나 선 등으로 간단한 구획을 설치한다.

3. 2. 경기 거리

국제 대회 코스는 1750m에서 2000m 사이의 루프로 구성된다. 선수들은 경기에 따라 3~6바퀴를 돈다. 시니어 남자 및 여자는 10km 코스에서, 주니어 남자는 8km 코스에서, 주니어 여자는 6km 코스에서 경기를 치른다.[3]

미국에서는 대학 남자 선수들이 일반적으로 8km 또는 10km 코스에서, 대학 여자 선수들은 5km 또는 6km 코스에서 경기를 한다.[5] 고등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약 4.83km 또는 5km 코스에서 경기를 치른다.[6]

대부분의 국제 대회는 순환 코스에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최근의 세계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는 시니어 부문은 남녀 모두 10km, 20세 미만 부문은 남자 8km, 여자 6km로 진행된다.[77]

또한, 대회에 따라 릴레이 경주도 진행된다. 예를 들어, 세계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9년부터 남녀 혼성 릴레이가 4명 × 2km의 거리로 진행된다.

3. 3. 경기 전략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는 주로의 표면, 회전 빈도 및 좁은 정도, 오르막과 내리막의 양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전략이 반드시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페이스로 달리는 것으로 단순화되지는 않는다. 코치와 크로스컨트리 선수들은 선두로 치고 나가기 위한 빠른 출발과 생리적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꾸준한 페이스의 상대적 장점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7][8] 일부 팀은 팀원들에게 격려를 제공하기 위해 그룹으로 달리는 것을 강조하는 반면, 다른 팀은 모든 개인이 자신의 레이스를 펼쳐야 한다고 주장한다.[9] 또한, "무리" 앞에서 달릴지, 뒤에서 따라가다 마지막에 치고 나갈지도 중요하지만, 이는 선수의 개인적인 기술, 지구력 및 경주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선수들은 또한 경주 전 음식 섭취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사전 훈련이다.

3. 4. 장비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는 특별한 장비가 거의 필요하지 않다. 대부분의 경기에서 선수들은 반바지와 조끼 또는 싱글렛을 착용하고 달리며, 일반적으로 클럽이나 학교의 색상을 사용한다. 특히 추운 날씨에는 긴 소매 셔츠와 타이츠를 착용하여 이동성을 잃지 않으면서 보온을 유지할 수 있다. 가장 흔한 신발은 크로스컨트리 스파이크로, 고무 밑창과 밑창 앞부분에 5개 이상의 금속 스파이크가 부착된 경량 레이싱 신발이다. 스파이크 길이는 경기 조건에 따라 다르며, 진흙 코스에는 25mm 길이의 스파이크가 적합하다. 코스 표면이 단단한 경우에는 6mm 길이의 짧은 스파이크가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스파이크는 풀밭, 진흙 또는 기타 미끄러운 조건에 적합하지만, 코스에 포장된 표면이나 흙길이 상당 부분 포함된 경우 선수들은 스파이크가 없는 고무 밑창 레이싱 신발인 레이싱 플랫을 선택할 수 있다.[10]

4. 주요 대회

세계 육상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는 세계 육상 연맹이 주최하는 국제 대회로, 선수들은 자국을 대표하여 출전한다. 2011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된다.[49] NCAA 디비전 I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는 매년 가을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가 남녀 선수들을 위해 개최하며, 선수들은 학교 대표로 출전한다.[51] USATF 전국 클럽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는 미국 육상 연맹이 주최하며, 보통 2월 중순에 열린다.[53] 그레이트 에든버러 국제 크로스 컨트리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매년 열렸으나, 2019년 이후로는 개최되지 않고 있다.[56]

4. 1. 국제 대회

1973년부터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세계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를 매년 개최하기 시작했다.[49] 1975년에는 뉴질랜드 남자 선수와 미국 여자 선수가 우승하여 비유럽 국가가 처음으로 선수권 대회를 석권했다. 1981년에는 에티오피아가 남자부에서 처음으로 우승했으며, 10년 후에는 케냐가 여자부에서 처음으로 우승했다. 에티오피아 또는 케냐는 1981년 이후 모든 남자부 타이틀을, 2001년 이후 모든 여자부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0년까지 케냐는 세계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40번, 에티오피아는 23번 우승했다.

세계 육상 연맹은 이 대회를 "세계 육상 시리즈에서 가장 고되고 기본에 충실한 행사"라고 묘사한다.[50] 2011년부터 이 대회는 격년으로 개최된다.[49]

챔피언십 외에도, IAAF 월드 크로스 컨트리 대회에는 그레이트 에든버러 국제 크로스 컨트리, 이탈리카 국제 크로스 컨트리, 안트림 국제 크로스 컨트리, 친퀘 물리니, 나이로비 크로스, 지바 국제 크로스 컨트리, 후쿠오카 국제 크로스 컨트리, 유로크로스 및 아몬드 블라썸 크로스 컨트리가 있다.

다른 주요 국제 대회는 다음과 같다:

  • NCAA 디비전 I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NCAA Cross Country Championship (disambiguation))는 매년 가을 NCAA가 남녀 선수들을 위해 개최하는 대회로, 대학 간 크로스 컨트리 시즌의 정점을 장식한다. 선수들은 학교를 대표하며, 팀 또는 개인 자격으로 출전할 수 있다.[51] NCAA는 디비전 I 대회를 "모든 DI 선수권 대회 중 가장 흥미로운 대회 중 하나"라고 묘사한다.[52]
  • USATF 전국 클럽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USATF National Club Cross Country Championships)는 USA Track & Field이 주최하는 연례 크로스 컨트리 대회로, 보통 2월 중순에 열린다. 이 선수권 대회에는 마스터스 여자 6km, 마스터스 남자 60세 이상 8km, 마스터스 남자 (40-59세) 10km, 오픈 여자 6km, 오픈 남자 10km 등 다섯 개의 경기가 있다.[53] 오픈 경기는 세계 크로스 컨트리 선수권 대회 출전 선수를 선발하는 대회 역할을 한다.[54]
  • 그레이트 에든버러 국제 크로스 컨트리(Great Edinburgh International Cross Country)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매년 열리는 크로스 컨트리 대회이다. 이 대회는 주니어 남자 6km, 주니어 여자 4km, 시니어 남자 8km, 시니어 여자 6km 등 4개의 경기로 구성된다.[55] 이 행사는 종종 세계적인 수준의 선수들이 참가하지만, 2019년 이후로는 개최되지 않고 있다.[56]

4. 2. 대한민국 국내 대회

대한민국에서는 크로스컨트리 대회가 열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신 일본에서 열리는 주요 크로스컨트리 대회는 다음과 같다.

대회명개최지장소
일본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 크로스컨트리 경주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국영 우미노나카미치 해변공원
지바 크로스컨트리 대회지바현 지바시지바시 쇼와노모리 공원
전일본 비와코 크로스컨트리 대회, 전국 중학생 크로스컨트리 대회시가현 야스시시가현 희망 언덕 문화 공원


5. 섭식 장애 문제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는 경쟁에서 성공하기 위해 날씬한 신체를 요구한다.[67] 이러한 체중에 대한 강조는 이 스포츠 내에서 섭식 장애 문화를 낳았다.[68] 학자들은 크로스컨트리(장거리) 달리기 선수들 사이에서 섭식 장애 발생률이 높다고 언급했다.[68] 그들은 섭식 장애가 모든 달리기 선수에게서 발생할 수 있지만, 여성 선수들에게서 훨씬 더 흔하게 나타난다고 지적했다.[69] 사회적 압력 및 대학 환경의 전반적인 스트레스와 같은 다른 요인들도 여성 대학 크로스컨트리 선수들의 섭식 장애 발생에 기여한다.[70] 2019년 프로 선수 메리 케인이 장거리 달리기의 경쟁 압력이 자신의 섭식 장애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설명한 이후,[71] 많은 다른 저명한 여성 크로스컨트리 선수들이 이 스포츠의 섭식 장애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려 노력했다.[72][73][74]

참조

[1] 웹사이트 Cross country – Introduction http://www.iaaf.org/[...] 2011-02-14
[2] 웹사이트 World Tour competition structure announced for cross country, combined events and race walking PRESS RELEASE World Athletics https://worldathleti[...] 2024-03-13
[3] 문서 World Athletics Book of Rules C2.1 - Technical Rules (amended on 31 January 2020) https://www.worldath[...] 2020-02-02
[4] 문서 USA Track & Field 2011 Competition Rules http://www.usatf.org[...] 2011-02-27
[5] 문서 2011/2012 NCAA Men's and Women's Track & Field and Cross Country Rules http://www.ncaapubli[...] 2011-02-11
[6] 웹사이트 Trabuco Cross Country for Dummies https://www.trabucox[...] Trabuco Hills High School 2022-01-25
[7] 간행물 Tactics & Strategy http://www.ccjournal[...] Cross Country Journal 1984-07-01 # Assuming July-August means July 1st
[8] 웹사이트 Cross Country – Tactical approach http://www.brianmac.[...] 2011-03-04
[9] 서적 Coaching Cross Country Successfully https://archive.org/[...] Human Kinetics
[10] 문서 2011 NFHS Track & Field and Cross Country Rules Book National Federation of State High School Associations
[11] 웹사이트 Grandfathers and great-grandfathers of Cross Country https://worldathleti[...] 2024-05-31
[1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ighland Games http://www.ceresgame[...]
[13] 웹사이트 The Origins of the Braemar Games Hill Race https://www.abdn.ac.[...] 2024-05-31
[14] 서적 Badminton Library of Sports and Pastimes
[15] 서적 History of Henry IV, Part I
[16] 웹사이트 Friday 10 August 1660 https://www.pepysdia[...] 2024-05-31
[17] 서적 Athletics and Football
[18] 뉴스 Bell's Life 1826-07-30
[19] 서적 Harrow School, Yesterday and Today
[20] 서적 Fifty Years of Sport, Vol III Eton, Harrow and Winchester
[21] 뉴스 Manchester Evening News 1903-12-03
[22] 뉴스 Sporting Life 1906-12-27
[23] 웹사이트 University of London https://www.london.a[...]
[24] 뉴스 Carlisle Journal 1851-06-13
[25] 웹사이트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6] 웹사이트 Paavo Nurmi at the Olympic Games – Paris 1924 http://www.urheilumu[...] 2012-09-23
[27] 웹사이트 50 stunning Olympic moments No31: Paavo Nurmi wins 5,000m in 1924 https://www.theguard[...] 2012-09-23
[28] 서적 Paavo Nurmi, juoksijoiden kuningas WSOY
[29] 서적 The Kings of Distance: A Study of Five Great Runners Taylor & Francis
[30] 웹사이트 Olympic.org Medallists database http://www.olympic.o[...]
[31] 웹사이트 Seb Coe Pushing for Cross Country to Be Included at 2030 Winter Olympics https://www.letsrun.[...]
[32] 문서 USATF Cross Country Championships Media Handbook http://www.usatf.org[...] 2011-02-12
[33] 웹사이트 Cross country – Landmarks http://www.iaaf.org/[...]
[34] 웹사이트 IAAF Calendar http://www.iaaf.org/[...]
[35] 웹사이트 Queensland Athletics http://www.qldathlet[...] 2015-08-20
[36] 웹사이트 Australian Masters Nationals Championships http://www.australia[...] 2015-08-20
[37] 웹사이트 Thompson Estate Athletics, Brisbane athletics and cross country running club http://www.thompsone[...] 2015-08-20
[38] 웹사이트 CIS Cross Country Championships http://english.cis-s[...] 2011-02-27
[39] 웹사이트 Pictures: Nagaland hosts South Asian, national cross country championships http://www.eastmojo.[...] 2023-03-10
[40] 웹사이트 Cross Country Championship: A fun run in the land of festivals https://sportstar.th[...] 2023-03-10
[41] 웹사이트 Himalayan Adventure Challenge: A Game of Limbs and Lungs https://sportstar.th[...] 2023-03-10
[42] 웹사이트 Chester-le-street schools http://www.chester-l[...] 2011-11
[43] 웹사이트 USA Track & Field – Cross Country http://www.usatf.org[...]
[44] 웹사이트 NCAA Sports Sponsorship http://web1.ncaa.org[...] 2011-02-14
[45] 웹사이트 National Federation of State High School Associations http://www.nfhs.org
[46] 웹사이트 About The Mt. SAC Cross Country Invitational http://events.mtsac.[...]
[47] 웹사이트 Meet Info https://nxn.runnersp[...]
[48] 웹사이트 Foot Locker Cross Country https://www.footlock[...] 2024-07-08
[49] 웹사이트 47th IAAF Congress – Day 1 NEWS World Athletics https://www.worldath[...] 2022-02-28
[50] 웹사이트 World Athletics World Cross Country Championships World Athletics Events Hosting https://www.worldath[...] 2022-02-28
[51] 웹사이트 Collegiate — NCAA, NAIA, NJCAA — Championship Qualifying Criteria and Information ::: USTFCCCA http://www.ustfccca.[...] 2022-02-28
[52] 웹사이트 How the DI college cross country championship works NCAA.com https://wwwcache.nca[...] 2022-02-28
[53] 웹사이트 USA Track & Field 2021 USATF National Club Cross Country Championships https://usatf.org/ev[...] 2022-02-28
[54] 웹사이트 Ritzenhein and Flanagan cruise to US XC titles NEWS World Athletics https://worldathleti[...] 2022-02-28
[55] 웹사이트 USA Track & Field Great Edinburgh Cross Country https://usatf.org/ev[...] 2022-02-28
[56] 웹사이트 Edinburgh to lose world class cross-country event https://www.scotsman[...] 2022-02-28
[57] 웹사이트 Facilities https://goterriers.c[...] 2022-02-28
[58] 웹사이트 fp.history http://web.mit.edu/n[...] 2022-02-28
[59] 웹사이트 Coast-to-Coast Battle in Beantown - Meet Information https://bceagles.com[...] 2022-02-28
[60] 웹사이트 The Eternal Magic of New York's Van Cortlandt Park https://www.outsideo[...] 2022-02-28
[61] 웹사이트 Cross Country – Van Cortlandt Park – a little history SHS Cross Country https://shscrosscoun[...] 2022-02-28
[62] 뉴스 A Century of Testing Runners' Speed and Spirit https://www.nytimes.[...] 2022-02-28
[63] 웹사이트 LaVern Gibson Championship Cross Country Course http://www.laverngib[...] 2022-02-28
[64] 웹사이트 The best college cross country courses you can run https://www.ncaa.com[...] 2022-02-28
[65] 웹사이트 Facilities - Zimmer Championship Course https://uwbadgers.co[...] 2022-02-28
[66] 웹사이트 6 things to know about the Nuttycombe Wisconsin Invitational NCAA.com https://www.ncaa.com[...] 2022-02-28
[67] 논문 An Increase in Fat Mass Index Predicts a Deterioration of Running Speed 2019-03
[68] 논문 The Female Athlete Triad 2012-07
[69]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Eating Disorder Risk among NCAA Division I Cross Country and Track Student-Athletes 2019-02-03
[70] 논문 A Tale of Two Runners: A Case Report of Athletes' Experiences with Eating Disorders in College https://pubmed.ncbi.[...] 2017-01
[71] 뉴스 Opinion I Was the Fastest Girl in America, Until I Joined Nike https://www.nytimes.[...] 2022-02-28
[72] 뉴스 Opinion I Changed My Body for My Sport. No Girl Should. https://www.nytimes.[...] 2022-02-28
[73] 웹사이트 Disordered eating: four runners share its devastating effects https://www.runnersw[...] 2022-02-28
[74] 웹사이트 WHILE IN EATING DISORDER RECOVERY, ALLIE OSTRANDER MAKES IT TO STEEPLECHASE FINAL https://www.teamusa.[...] 2022-02-27
[75] 웹사이트 63期断郊ガイド http://www.ibaraki-b[...] 防衛大学校 2022-09-30
[76] 웹사이트 断郊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2-09-30
[77] 웹사이트 Timetables confirmed for Bathurst and Yangzhou https://www.worldath[...] ワールドアスレティックス 2022-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