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로아티아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의 국가"는 크로아티아의 국가이다. 1835년 안툰 미하노비치가 "호르바츠카 도모비나(크로아티아 조국)"라는 제목으로 가사를 처음 발표했으며, 1846년 요십 루냐닌이 곡을 작곡했다. 이 노래는 1972년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적으로 크로아티아의 국가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가사의 일부만 사용된다. 가사에는 크로아티아의 자연과 애국심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크로아티아의 상징 - 크로아티아의 국기
    크로아티아 국기는 적백 체커보드 바탕에 크로아티아 역사적 지역 문장으로 장식된 왕관이 있으며, 이는 크로아티아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 그리고 다양한 지역들을 상징하며 1990년 12월 21일에 공식 채택되었다.
  • 다장조 작품 - 교향곡 1번 (베토벤)
    베토벤의 교향곡 1번은 1799년에 작곡되어 1800년에 완성되었으며, 1800년 빈에서 초연되었고,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영향을 받았지만 베토벤 특유의 개성이 드러나는 4악장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 다장조 작품 - 현을 위한 세레나데 (차이콥스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1880년에 작곡한 현을 위한 세레나데는 4악장으로 구성된 현악 오케스트라 작품으로, 2악장 왈츠는 널리 사랑받고 1악장 서주는 NHK 교향악단 아워 오프닝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크로아티아의 국가
기본 정보
Danicza-horvatska-domovina.png
국가의 가사는 1835년 3월 14일자 다니차(Danicza)에 처음 게재되었다.
명칭리예파 나샤 도모비노(Lijepa naša domovino)
로마자 표기Rijepa nasa domovino
의미우리의 아름다운 조국
상징
유형국가
국가크로아티아
작사안툰 미하노비치
작사일1835년
작곡요시프 루냐닌
작곡일1846년
채택1919년 (부분적으로)
설명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가
채택21941년 (완전히)
설명2크로아티아 독립국
재채택1972년 2월 29일

2. 역사

안툰 미하노비치가 1835년에 "호르바츠카 도모비나(Horvatska domovina, 크로아티아 조국)"라는 제목으로 가사를 처음 발표했다.[2] 1846년, 요십 루냐닌이 "호르바츠카 도모비나"의 곡을 작곡했다.[2] 요시프 벤들이 군악 오케스트라에 맞춰 곡을 개작했다.[2] 멜로디의 원래 형태는 원래 악보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아 알려져 있지 않다.[4]

1861년, 자그레브 대성당의 교사이자 오르간 연주자인 바트로슬라브 리히텐에거가 남성 합창단을 위해 편곡 및 화음화했다.[2][3] 이후 크로아티아인의 민족적 국가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리에파 나사"라는 제목이 사용되기 시작했다.[2][3] 원래 가사는 14절이었으나, 가사에 몇 가지 사소한 수정이 이루어졌다.[4]

이 노래는 크로아티아 의회에 의해 즉시 국가로 채택되지 않았다. 1907년, 크로아티아 합창 클럽 협회는 의회에 이 노래를 국가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1918년 10월 29일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 국가가 오스트리아-헝가리와의 관계를 공식적으로 단절하는 의회 회의를 포함하여, 비공식적으로 의식에서 국가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했다.[4]

1918년과 1941년 사이에 크로아티아 국가의 일부가 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가의 일부였으며, 크로아티아인의 비공식적인 국가였다. 유고슬라비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크로아티아 독립국에서는 가사에 약간의 수정이 가해지긴 했지만, 국가로 사용되었다.[4] 크로아티아 파르티잔도 예를 들어 자브노흐 회의에서 이 노래를 사용했다.

이 노래는 1972년 2월 29일 SR 크로아티아 의회에서 채택된 크로아티아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적으로 크로아티아의 국가가 되었다. 1974년과 1990년의 헌법, 가사가 약간 수정되었으며, 크로아티아의 문장, 크로아티아의 국기, 그리고 크로아티아 공화국 국가 법에 의해 확인되었다.[4]

2. 1. 초기 역사

안툰 미하노비치가 1835년에 "호르바츠카 도모비나(Horvatska domovina, 크로아티아 조국)"라는 제목으로 가사를 처음 발표했다.[2] 1846년, 요십 루냐닌이 "호르바츠카 도모비나"의 곡을 작곡했다.[2] 요시프 벤들이 군악 오케스트라에 맞춰 곡을 개작했다.[2] 1861년, 바트로슬라브 리히텐에거가 남성 합창단을 위해 편곡 및 화음화했다.[2][3] 이후 크로아티아인의 민족적 국가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리에파 나사"라는 제목이 사용되기 시작했다.[2][3] 원래 가사는 14절이었으나, 현재는 1, 2, 13, 14절만 국가의 일부로 사용된다. 이 시는 1835년 류데비트 가이가 편집한 문화 잡지 ''다니차 일리스카'' 10호에 처음 게재되었다.[9][10]

가사의 작가 안툰 미하노비치(Antun Mihanović)


작곡가 요시프 루냐닌(Josip Runjanin)


2. 2. 국가 지정 과정

안툰 미하노비치가 쓴 원래 가사는 1835년 "호르바츠카 도모비나"("크로아티아 조국")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판되었다.[2] 1846년, 요십 루냐닌(1821–1878)이 "호르바츠카 도모비나"의 곡을 작곡했다.[2] 루냐닌의 군악대장 요십 벤들은 군악 오케스트라에 맞춰 그의 곡을 개작했다.[2] 멜로디의 원래 형태는 원래 악보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아 알려져 있지 않다.[4]

이 노래는 1861년 자그레브 대성당의 교사이자 오르간 연주자인 바트로슬라브 리히텐에거에 의해 남성 합창단을 위해 편곡 및 화음화되었으며, 이후 크로아티아인의 민족적 국가로 불리기 시작했다.[2][3] "리에파 나사"라는 제목은 그때부터 사용되었다. 원래 가사는 14절로 구성되어 있다. 그 이후, 가사에 몇 가지 사소한 수정이 이루어졌다.[4]

이 노래는 크로아티아 의회에 의해 즉시 국가로 채택되지 않았다. 1907년, 크로아티아 합창 클럽 협회는 의회에 이 노래를 국가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1918년 10월 29일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 국가가 오스트리아-헝가리와의 관계를 공식적으로 단절하는 의회 회의를 포함하여, 비공식적으로 의식에서 국가로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했다.[4]

1918년과 1941년 사이에 크로아티아 국가의 일부가 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가의 일부였으며, 크로아티아인의 비공식적인 국가였다. 유고슬라비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크로아티아 독립국에서는 가사에 약간의 수정이 가해지긴 했지만, 국가로 사용되었다.[4] 크로아티아 파르티잔도 예를 들어 자브노흐 회의에서 이 노래를 사용했다.

이 노래는 1972년 2월 29일 SR 크로아티아 의회에서 채택된 크로아티아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적으로 크로아티아의 국가가 되었다. 1974년과 1990년의 헌법, 가사가 약간 수정되었으며, 크로아티아의 문장, 크로아티아의 국기, 그리고 크로아티아 공화국 국가 법에 의해 확인되었다.[4]

3. 가사

wikitext

크로아티아어 가사참고 번역


3. 1. 크로아티아어 가사 (현재 공식 가사)

가이차IPA 표기



대부분 첫 번째 절만 불린다.[9]

3. 2. 한국어 번역

크로아티아어 가사는 다음과 같이 한국어로 번역할 수 있다.

크로아티아어 가사한국어 번역
우리의 아름다운 조국,
아름다운 우리의 조국이여,
그대여, 당신은 우리의 유일한 영광,
사랑스러운 조국은 우리에게 영광,
드라바강이여, 사바강이여, 계속 흘러라,
드라바 강, 사바 강은 흐르고,
그대 들판에 태양이 내리쬐는 동안,
태양이 밭을 비출 때,



가사에는 크로아티아의 자연에 대한 사랑과 애국심이 담겨 있다.

3. 3. 원문 가사 (1835년)



이 시는 1835년 류데비트 가이(Ljudevit Gaj)가 편집한 문화 잡지 ''다니차 일리스카(Danica ilirska)'' 10호에 처음 게재되었다.[9][10] 원래는 14절로 구성되었으나, 오늘날에는 1, 2, 13, 14절만 국가의 일부로 사용된다.

크로아티아어 원문영어 번역
Ljiěpa naša domovino,아름다운 우리의 조국,


4. 상징과 의미

4. 1. 자연

4. 2. 애국심

5. 한국과의 관계

5. 1. 수교 이전

5. 2. 미래 협력 방안

참조

[1] 웹사이트 lijep http://hjp.znanje.hr[...] Novi Liber / Srce 2016-03-14
[2] 간행물 Vrsni katalog emocija i epiteta http://www.matica.hr[...] Matica hrvatska 2003-03-20
[3] 웹사이트 Josip Runjanin http://www.runjanina[...] Josip Runjanin Music School 2014-05-13
[4] 웹사이트 State emblems http://www.mvep.hr/e[...] Ministry of Foreign and European Affairs (Croatia)
[5] 서적 Croatian Pioneers of Kenaston, Saskatchewan: "I Tell You Story--" : a Task of Gratitute https://books.google[...] K.N. Beckie 2004
[6] 서적 Pěsmarica https://books.google[...] Natisnil F. Skaza in drugovi 1872
[7] 웹사이트 U 'Milijunašu' kiksao na pitanju na koje bi odgovor trebao znati svaki Hrvat! Znate li ga vi? https://www.vecernji[...] 2022-01-12
[8] 웹사이트 Slobodna Dalmacija - 'Ako se pitate što je Hea, to je Hrvat u izvedbi Josipe Lisac!': jedne zbunila, druge dojmila; Kako se vama svidjela 'Lijepa naša' na inauguraciji? https://slobodnadalm[...] 2022-01-12
[9] 웹사이트 http://www.nsk.hr/ho[...] 2013-03-14
[10] 웹사이트 http://fluminensia.o[...] 2013-03-14
[11] 웹사이트 Horvatska domovina https://www.nsk.hr/h[...] 2013-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