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레네의 헤게시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레네의 헤게시아스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 쾌락을 인생의 목표로 삼았던 키레네 학파의 영향을 받았지만, 인간의 삶에 대해 더욱 비관적인 견해를 가졌다. 그는 행복은 달성 불가능하며, 현자의 목표는 고통과 슬픔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서 《단식으로 죽음》에서 죽음을 삶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묘사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자살을 권유한 혐의로 '죽음 설득자'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알렉산드리아에서 강의가 금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세기 철학자 - 테오프라스토스
테오프라스토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이자 리케이온 학파의 후계자인 고대 그리스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특히 식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겨 "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식물 연구와 기상학, 논리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 기원전 3세기 철학자 - 에피쿠로스
에피쿠로스는 기원전 341년 사모스에서 태어난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 원자론적 유물론에 기반한 자연학과 쾌락을 최고의 선으로 보는 윤리학을 주창하며 쾌락주의 철학의 시조로 여겨지고, 아타락시아를 강조하며 '에피쿠로스의 정원' 공동체를 통해 철학적 삶을 추구했다.
| 키레네의 헤게시아스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헤게시아스 |
| 출생 | 키레네 |
| 활동 시기 | 기원전 290년경 |
| 직업 | 철학자 |
| 학파 | 키레네 학파 |
| 영향 받은 인물 | 에우리피데스, 테오도로스 |
| 별칭 | "페이시타나토스" (πεισιθάνατος, 죽음을 설득하는 자) |
| 철학 | |
| 주요 사상 | 쾌락주의 (다소 비관적인 견해) 삶의 목표는 고통 회피 죽음은 삶보다 낫다 지혜로운 자도 행복을 누릴 수 없다 가난, 추방, 노예 상태는 무관심한 것 |
| 영향 | |
| 영향 받은 학파 | 에피쿠로스 학파 (일부) |
2. 생애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헤게시아스가 아리스티포스(기원전 435년경 – 기원전 360년경)의 제자인 키레네의 안티파테르의 제자이고, 안티파테르는 에피티메데스의 제자이며, 에피티메데스는 파라이바테스의 제자라고 서술하였다.[11] 그는 안니케리스와 동기였지만, 안니케리스가 우애, 우정 등 우호성을 강조한 키레네 학파의 학풍과는 달리 키레네 학파의 최대 허무주의적 학풍을 발전시켰다.[11]
헤게시아스는 아리스티포스처럼 쾌락을 삶의 목표로 보았지만, 인간의 삶에 대해 더 비관적인 관점을 가졌다.[11] 그는 행복은 얻을 수 없으므로 인생의 목표가 될 수 없다고 했으며, 현명한 사람의 유일한 인생 목표는 고통과 슬픔에서 해방되는 것이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11] 또한 모든 사람은 스스로 만족할 수 있기에, 외부 대상은 쾌락의 진정한 원천이 되지 못한다고 보았다.[11]
3. 철학
현자는 자신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아야 하며, 행위는 완전히 무관하다고 보았다. 행위가 무관하다면 삶 또한 그러하며, 따라서 죽음보다 더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2] 그의 저작은 현존하지 않으며, 학설과 일화가 단편적으로 전해진다.
3. 1. 주요 주장
헤게시아스는 아리스티포스를 따라 쾌락을 인생의 목표로 여겼지만, 인간의 삶에 대해 더욱 비관적인 견해를 가졌다. 그는 에우다이모니아(행복)는 달성 불가능하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현자의 목표는 고통과 슬픔에서 벗어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모든 사람은 자급자족적이므로 모든 외부적인 재화는 진정한 쾌락의 근원이 아니라고 보았다.
—|헤게시아스의 말grc[2]
> 완전한 행복은 존재할 수 없다. 왜냐하면 육체는 많은 감각으로 가득 차 있고, 정신은 육체와 공감하며, 육체가 고통스러울 때 함께 괴로워하며, 또한 운명이 우리가 미리 소중히 여기는 많은 것들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이유로, 완전한 행복은 우리의 손에서 벗어난다. 더욱이 삶과 죽음 모두 바람직하다. 그들은 또한 본질적으로 유쾌하거나 불쾌한 것은 없으며, 결핍, 희소성, 포만감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기뻐하고 어떤 사람들은 화를 낸다고 말한다. 그리고 부와 가난은 쾌락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부유한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들과 다른 방식으로 쾌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그들은 노예와 자유는 쾌락의 기준에 따라 무관한 것이며, 출생의 고귀함과 비천함, 영광과 불명예도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그들은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사는 것이 편리하지만, 현명한 사람에게는 무관한 문제라고 덧붙인다. 그리고 현명한 사람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모든 것을 할 것이며, 다른 사람을 자신만큼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 것이고, 다른 사람에게서 아무리 큰 이점을 얻더라도 자신이 줄 수 있는 것과 같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따라서 현자는 자신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아야 하며, 행위는 완전히 무관하다. 그리고 행위가 무관하다면, 삶 또한 그러하며, 따라서 죽음보다 더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현명한 사람은 좋은 것을 추구하는 데 그다지 몰두하지 않고, 나쁜 것을 피하려고 노력하며, 모든 고통과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것을 최고의 선으로 여길 것이라고 헤게시아스는 주장했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철학자 열전』에 따르면, 헤게시아스의 제자들은 키레네 학파적인 쾌락주의와 감각 회의에 더하여, 다음의 학설을 내세웠다.
키케로는 헤게시아스가 《단식으로 죽음》(ἀποκαρτερῶνel)이라는 책을 썼다고 주장하는데, 이 책에서 스스로 굶어 죽기로 결심한 사람이 죽음이 실제로 삶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친구들에게 이야기하며, 이 작품에 담긴 인간의 비참함에 대한 암울한 묘사가 너무나 압도적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도록 영감을 주었고, 그 결과 저자는 "죽음 설득자"(Peisithanatos)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키케로의 『』에 따르면, 헤게시아스의 저작에 『단식으로 자살하는』([7] 아포카르테론)이 있었다.[8] 그 내용은, 단식 자살 중인 사람이 친구에게 인생의 곤란한 점을 열거하여, 독자를 자살로 유도하는 것이었다.[8]
키케로의 동서(同書)나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의 『기행록』에 따르면, 헤게시아스의 수강생들 중 많은 수가 실제로 자살했기 때문에, 프톨레마이오스 2세에 의해 강의가 금지되었다고 한다.[8][9] 그 책은 알렉산드리아에서 출판되었으며, 그곳에서 그는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푸스(기원전 285–246년)에 의해 가르치는 것이 금지되었다.
3. 2. 『단식으로 죽음』과 강의 금지
키케로의 증언에 따르면, 헤게시아스는 《단식으로 죽음》(ἀποκαρτερῶν|아포카르테론el)이라는 책을 썼는데, 이 책에서 스스로 굶어 죽기로 결심한 사람이 죽음이 실제로 삶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친구들에게 이야기한다.[3] 이 작품에 담긴 인간의 비참함에 대한 암울한 묘사가 너무나 압도적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도록 영감을 주었고, 그 결과 저자는 "죽음 설득자"(Peisithanatos)라는 별명을 얻었다.[3] 그 책은 알렉산드리아에서 출판되었으며, 그 결과로 왕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푸스(기원전 285–246년)에 의해 가르치는 것이 금지되었다.[3]
키케로의 『투스쿨라눔 담론집』에 따르면, 헤게시아스의 저작에 『단식으로 자살하는』(ἀποκαρτερῶν|아포카르테론grc)이 있었다.[8] 그 내용은, 단식 자살 중인 사람이 친구에게 인생의 곤란한 점을 열거하여, 독자를 자살로 유도하는 것이었다.[8]
키케로의 동서(同書)나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의 『기행록』에 따르면, 헤게시아스의 수강생들 중 많은 수가 실제로 자살했기 때문에, 프톨레마이오스 2세에 의해 강의가 금지되었다고 한다.[8][9]
4. 평가 및 영향
(요약과 참조할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주어진 결과물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 없이는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Greek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2-12
[2]
기타
[3]
기타
Tusculanae Quaestiones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Hellenistic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ギリシア哲学者列伝
岩波文庫
[6]
서적
哲学の歴史 第1巻 哲学誕生 古代1
中央公論新社
[7]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abinnas, Hecataeus, Hege'sias
http://www.perseus.t[...]
2022-02-20
[8]
서적
哲学V : トゥスクルム荘対談集
岩波書店
[9]
서적
西洋古典学事典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Greek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2-12
[11]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