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톰톰은 드럼 세트의 구성 요소로, 남아시아의 음악 전통과 서양 악기 제조 기술의 융합을 통해 발전했다. 스리랑카의 "타마타마" 드럼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1936년 Slingerland 드럼 회사에서 림, 텐션 로드, 러그가 있는 완전 조율 가능한 톰톰을 최초로 선보였다. 톰톰은 쉘, 하드웨어, 헤드로 구성되며, 다양한 크기와 재질로 제작되어 음색을 낸다. 톰톰은 드럼 세트, 오케스트라, 밴드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한국에서는 현대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울림악기 - 콩가
콩가는 쿠바 카니발 리듬 '라 콩가'에서 유래한 타악기로, 아프리카 리듬과 춤이 혼합된 쿠바 음악에서 시작되었으며 툼바도라라고도 불리며 라틴 아메리카 음악, 재즈, 팝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막울림악기 - 보란
보란은 아일랜드의 전통 북으로, 둥근 나무 틀에 가죽을 씌워 손이나 채로 연주하며, 1960년대 민속 음악 부흥기에 악기로 인정받아 켈트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된다. - 북 - 탬버린
탬버린은 고대 이집트와 근동에서 유래하여 종교 의식과 다양한 문화에서 사용된 오랜 역사를 지닌 악기로, 둥근 틀에 막과 징글이 달린 형태이며 다양한 음악 장르와 구세군에서 활용되고, 전 세계에 유사한 악기들이 존재한다. - 북 - 말하는 북
말하는 북은 아프리카에서 가죽 장력 조절로 음높이를 바꾸어 말소리를 내는 타악기로, 서아프리카 부족들의 역사와 관련되어 종교 의식이나 음악에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도 등장한다. - 타악기 - 전자 드럼
전자 드럼은 1970년대 후반부터 개발되어 현실적인 연주감과 다양한 기능을 갖춘 악기로 진화했으며, 롤랜드 등의 제조사에서 어쿠스틱 드럼에 가까운 사운드와 타격감을 제공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대중화에 기여했고, 현재는 고품질 디지털 사운드와 향상된 센서 기술을 갖춘 다양한 종류의 전자 드럼이 널리 사용된다. - 타악기 - 콩가
콩가는 쿠바 카니발 리듬 '라 콩가'에서 유래한 타악기로, 아프리카 리듬과 춤이 혼합된 쿠바 음악에서 시작되었으며 툼바도라라고도 불리며 라틴 아메리카 음악, 재즈, 팝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톰톰 | |
|---|---|
| 탐탐 | |
![]() | |
| 종류 | 타악기 |
| 발명 | 19세기 후반 |
| 관련 악기 | 드럼 세트 차이니스 탐 로토탐 |
| 특징 | |
| 형태 | 원통형 드럼 |
| 크기 | 일반적으로 6 ~ 24 |
| 재료 | 나무, 금속, 아크릴 |
| 헤드 | 인공 피혁 |
| 연주 방법 | 드럼 스틱으로 연주 |
| 소리 | 다양한 음색과 울림 |
| 역할 | |
| 드럼 세트 | 리듬과 멜로디 강조 |
| 오케스트라 | 특수 효과 및 극적인 분위기 연출 |
| 팝, 록, 재즈 | 다양한 리듬과 솔로 연주 |
2. 역사
싱할라족이 스리랑카에서 연주하는 "타마타마"라고 불리는 드럼은 그 나라의 여러 불교 의식에 사용된다.[2][3] 이 드럼은 불교 사찰에서 호라나바라는 갈대 악기와 함께 연주되는 것을 흔히 들을 수 있다. 이것은 남인도 타밀 문화와 관련된 프레임 드럼인 타밀어 "타파탐" 또는 "타푸"에서 어원적으로 파생되었을 수 있다.[4] 그러나 서양 드럼 세트의 톰톰 드럼은 프레임 드럼보다 스리랑카 버전과 훨씬 더 유사하다.
영국 식민주의자들은 남아시아 전역에서 원주민들의 "톰톰"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해 불만을 터뜨렸다.[5] 톰톰이라는 용어는 식민 시대의 스리랑카(당시 실론이라고 불림) 또는 남인도에서의 경험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톰톰"이라는 용어는 텔루구어와 힌디어에도 변형이 있지만, 스리랑카에만 같은 이름(타마타마)을 가진 토착 드럼이 있다. 아마도 서양인들이 아시아 문화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에, 서양 클래식 음악에서 "탐탐"이 중국 징을 지칭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 용어가 종종 중국에 잘못 기인되기도 한다.
최초의 미국 드럼 세트 톰은 림이 없었고, 일반적으로 "중국식" 톰톰이라고 불렸다. 돼지 가죽 헤드는 금속 못으로 나무 쉘에 고정되었다. 진 크루파의 완전 조율 가능한 톰에 대한 개념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Slingerland 드럼 및 밴조 회사는 1936년에 금속 또는 나무 림, 텐션 로드 및 러그가 있는 완전 조율 가능한 톰톰(상단 및 하단 헤드)을 최초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후, "행잉 톰" 또는 "랙 톰"으로 알려진 마운트 톰은 각각 1인치씩 깊어졌고, 이 크기는 "파워 톰"이라고 불렸다. "캐논 뎁스"로 알려진 매우 깊은 행잉 톰은 인기를 얻지 못했다. 이 모든 것은 더블 헤드였다. 이 악기는 아시아 또는 아메리카 원주민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악기는 옛날에는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2. 1. 기원
싱할라족이 스리랑카에서 연주하는 "타마타마"라고 불리는 드럼은 그 나라의 여러 불교 의식에 사용된다.[2][3] 이 드럼은 불교 사찰에서 호라나바라는 갈대 악기와 함께 연주되는 것을 흔히 들을 수 있다. 이것은 남인도 타밀 문화와 관련된 프레임 드럼인 타밀어 "타파탐" 또는 "타푸"에서 어원적으로 파생되었을 수 있다.[4] 그러나 서양 드럼 세트의 톰톰 드럼은 프레임 드럼보다 스리랑카 버전과 훨씬 더 유사하다.영국 식민주의자들은 남아시아 전역에서 원주민들의 "톰톰"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해 불만을 터뜨렸다.[5] 톰톰이라는 용어는 식민 시대의 스리랑카(당시 실론이라고 불림) 또는 남인도에서의 경험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톰톰"이라는 용어는 텔루구어와 힌디어에도 변형이 있지만, 스리랑카에만 같은 이름(타마타마)을 가진 토착 드럼이 있다.
최초의 미국 드럼 세트 톰은 림이 없었고, 일반적으로 "중국식" 톰톰이라고 불렸다. 돼지 가죽 헤드는 금속 못으로 나무 쉘에 고정되었다. 진 크루파의 완전 조율 가능한 톰에 대한 개념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Slingerland 드럼 및 밴조 회사는 1936년에 금속 또는 나무 림, 텐션 로드 및 러그가 있는 완전 조율 가능한 톰톰(상단 및 하단 헤드)을 최초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 악기는 아시아 또는 아메리카 원주민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2. 2. 초기 발전
영국 식민주의자들은 남아시아 전역에서 원주민들의 "톰톰"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해 불만을 터뜨렸다.[5] 톰톰이라는 용어는 식민 시대의 스리랑카(당시 실론이라고 불림) 또는 남인도에서의 경험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톰톰"이라는 용어는 텔루구어와 힌디어에도 변형이 있지만, 스리랑카에만 같은 이름(타마타마)을 가진 토착 드럼이 있다. 아마도 서양인들이 아시아 문화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에, 서양 클래식 음악에서 "탐탐"이 중국 징을 지칭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 용어가 종종 중국에 잘못 기인되기도 한다.최초의 미국 드럼 세트 톰은 림이 없었고, 일반적으로 "중국식" 톰톰이라고 불렸다. 돼지 가죽 헤드는 금속 못으로 나무 쉘에 고정되었다. 진 크루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Slingerland 드럼 및 밴조 회사는 1936년에 금속 또는 나무 림, 텐션 로드 및 러그가 있는 완전 조율 가능한 톰톰(상단 및 하단 헤드)을 최초로 제공하였다. 대부분의 중국 톰은 지름이 10~14인치였지만, 미국 드럼 회사들은 결국 더 넓은 범위의 지름과 깊이를 생산했다. 이 드럼들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드럼 림에 클램프로 고정되거나 플로어 스탠드 드럼으로 받침대에 놓였다. 크루파가 선택한 크기는 수십 년 동안 "표준"이 되었으며, 13 × 9″(마운트) 및 16 × 16″(플로어)였다. 나중에는 세 개(또는 16 × 16″보다 큰 경우 네 개)의 다리에 부착된 플로어 톰 디자인이 등장했다. 스네어 드럼과 다양한 크기의 베이스 드럼과 함께 네 개의 드럼 조합이 "세트"가 되었다.
2. 3. 현대적 발전
진 크루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Slingerland 드럼 및 밴조 회사는 1936년에 금속 또는 나무 림, 텐션 로드 및 러그가 있는 완전 조율 가능한 톰톰(상단 및 하단 헤드)을 최초로 제공하기 시작했다.[6][7] 최초의 미국 드럼 세트 톰은 림이 없었고, 일반적으로 "중국식" 톰톰이라고 불렸다. 돼지 가죽 헤드는 금속 못으로 나무 쉘에 고정되었다. 대부분의 중국 톰은 지름이 10~14인치였지만, 미국 드럼 회사들은 결국 더 넓은 범위의 지름과 깊이를 생산했다. 이 드럼들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드럼 림에 클램프로 고정되거나 플로어 스탠드 드럼으로 받침대에 놓였다. 크루파가 선택한 크기는 수십 년 동안 "표준"이 되었으며, 13 × 9″(마운트) 및 16 × 16″(플로어)였다. 나중에는 세 개(또는 16 × 16″보다 큰 경우 네 개)의 다리에 부착된 플로어 톰 디자인이 등장했다. 스네어 드럼과 다양한 크기의 베이스 드럼과 함께 네 개의 드럼 조합이 "세트"가 되었다. ("키트"라는 용어는 1960년대 중반에 등장했다.)[6][7]이후, "행잉 톰" 또는 "랙 톰"으로 알려진 마운트 톰은 각각 1인치씩 깊어졌고, 이 크기는 "파워 톰"이라고 불렸다. "캐논 뎁스"로 알려진 매우 깊은 행잉 톰은 인기를 얻지 못했다. 이 모든 것은 더블 헤드였다.
3. 구조와 제조
톰톰은 원통형 몸통에 윗면과 아랫면, 또는 윗면에만 "헤드"라고 불리는 막(일반적으로 플라스틱제)을 씌운 구조이다. 윗면에만 헤드가 씌워진 톰톰은 "멜로딕 탐"이라고도 불리며, 스네어 드럼과 비슷하지만 스네어 와이어(스나피)가 없다. 톰톰은 플로어 스탠드나 베이스 드럼, 마칭 리그 등에 부착할 수 있으며, 단면 또는 양면 헤드를 사용한다.
3. 1. 쉘
톰은 일반적으로 쉘, 크롬 도금 또는 금속 하드웨어, 그리고 헤드로 구성된다. 쉘 깊이 표준은 제조 시대와 드럼 스타일에 따라 다르다. 톰톰은 일반적으로 약 15.24cm, 약 20.32cm, 약 25.40cm, 약 30.48cm, 약 33.02cm, 약 35.56cm, 약 38.10cm, 약 40.64cm, 그리고 약 45.72cm 지름으로 만들어지며, 이에 맞는 헤드가 장착된다. 음질을 향상시키고 특히 목재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는 완벽하게 둥근 쉘을 만드는 것이며, 이 제조 기술에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다.쉘은 종종 6~8겹의 나무 겹판(예: 마호가니와 팔카타, 자작나무 또는 단풍나무를 단일 나무 겹판에 사용)으로 제작되거나, 통나무(선삭) 또는 인공 재료(예: 유리 섬유, 압착 강철, 아크릴 유리, 수지 복합재)로 제작된다. 나무 또는 복합 쉘은 다양한 색상 및 효과(예: 반짝임 또는 다색)의 플라스틱으로 라미네이팅하여 마감할 수 있으며, 천연 나무는 얼룩을 내거나 자연 상태로 두어 투명 래커로 칠할 수 있다. 강철은 일반적으로 크롬 도금되고, 유리 섬유는 자체 색상이며, 아크릴 유리는 착색 또는 투명하다.
3. 2. 하드웨어
일반적으로 톰은 쉘, 크롬 도금 또는 금속 드럼 하드웨어, 그리고 헤드로 구성된다. 쉘 깊이 표준은 제조 시대와 드럼 스타일에 따라 다르다. 톰-탐은 일반적으로 약 15.24cm, 약 20.32cm, 약 25.40cm, 약 30.48cm, 약 33.02cm, 약 35.56cm, 약 38.10cm, 약 40.64cm, 그리고 약 45.72cm 지름으로 만들어지며, 이에 맞는 헤드가 장착된다.톰-탐은 플로어 스탠드에 맞게 조절 가능한 마운트나 베이스 드럼 또는 마칭 리그에 부착할 수 있다. 단면 또는 양면 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드럼 하드웨어의 경우, 하나 또는 두 개의 주조 또는 프레스 금속 림이 쉘에 볼트로 고정된 너트 박스에 나사산 텐션 로드 또는 러그로 부착되어 헤드를 쉘의 베어링 가장자리에 고정한다. 텐션 로드 어셈블리는 공진을 억제하거나 추가 진동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예측 가능하고 안전한 튜닝을 가능하도록 정밀 가공, 주조 및 장착되어야 한다. 모든 구성 요소는 큰 장력을 받게 되며 연주로 인해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마운팅 시스템은 쉘의 단순한 주조 블록에서 클램프 또는 홀더에 부착된 로드에 부착되고 클램프되는 방식에서 쉘에 부착되지 않고 프레임이 튜닝 러그에 클램프되는 훨씬 더 정교한 배열까지 매우 다양하다.
또 다른 종류의 로드 클램프 시스템을 사용하면 드럼 쉘에 로드가 통과할 구멍이 없이 톰 홀더에 드럼을 부착할 수 있다. 클램프는 쉘의 진동 범위를 저하시키지 않고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볼트로 노드 지점에 부착된다. 노드 지점은 쉘의 공진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도록 마운트가 허용되는 쉘에서 진동이 가장 적은 위치이다.
일부 드러머는 스네어 드럼 스탠드를 사용하여 톰을 잡고 위치를 더 쉽게 잡는다.
4. 종류
톰톰은 드럼 세트에서 빠질 수 없는 악기로, 크기가 다른 톰톰이 2~4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스탠드에 고정하거나 베이스 드럼 상부에 세팅하며, 악기 하부에 부착된 다리로 바닥에 놓는 것은 플로어 톰이라고 한다.
오케스트라나 취주악 등에서 사용되는 톰톰은 "콘서트 톰"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크기가 다른 4~8개 정도의 톰톰 전부를 스탠드에 고정하고 연주하는 스타일은 통상 "입주(立奏)"이다.
마칭 밴드에서는 음정이 다른 복수의 톰톰을 캐링 홀더에 장착하거나 스탠드에 설치하여 연주한다. 팀바레스와 비슷한 소리가 날 정도로 하이 피치로 튜닝된다.
4. 1. 더블 헤드 톰
원통형 몸통에, 윗면과 아랫면, 또는 윗면에만 "헤드"라고 불리는 막(일반적으로 플라스틱제)이 씌워져 있다. 스네어 드럼의 몸통을 깊게 한 형태이지만, 스네어 와이어(스나피)가 씌워져 있지 않다는 점이 다르다.4. 2. 싱글 헤드 톰 (콘서트 톰)

싱글 헤드 톰톰은 '''콘서트 톰'''이라고도 불리며 드럼 키트에서도 사용되었지만, 1970년대 이후 인기가 떨어졌다. 콘서트 톰은 단일 헤드와 해당 더블 헤드 톰보다 약간 얕은 쉘을 가지고 있다. 필 콜린스는 그의 셋업에 4개의 싱글 헤드 랙 마운트 톰과 2개의 플로어 톰(Gretsch)을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하단 헤드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 튜닝이 더 쉽다.[10]
콘서트 톰이라는 용어는 드럼 키트가 아닌 콘서트 밴드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더블 또는 싱글 헤드 톰톰 드럼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0]
4. 3. 로토톰
로토톰은 쉘이 전혀 없고, 단 하나의 헤드와 강철 프레임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드럼과 달리, 로토톰은 가변적인 고정 음고를 가지고 있어, 일부 작곡가들은 조율된 악기로서 로토톰을 위한 곡을 쓰기도 하며, 특정 음을 요구하기도 한다. 헤드를 회전시켜 빠르게 조율할 수 있는데, 헤드가 나사산 위에서 회전하면서 드럼 림에 상대적으로 헤드를 올리거나 내려 헤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방식이다.4. 4. 공 베이스 드럼
꽹과리 베이스 드럼(일명 "꽹과리 드럼")은 크고 단면 헤드를 가진 탐으로, 대개 약 50.80cm 또는 약 55.88cm 크기이며, 드럼 헤드는 쉘보다 약 5.08cm 더 크다. 베이스 드럼과 유사한 소리를 내지만, 더 개방적이고 긴 서스테인을 갖는다. 표준 플로어 탐 다리로 장착할 수 있지만, 많은 드러머들이 플로어 탐 옆에 각도를 주어 장착한다. 닐 피어트, 스튜어트 코플랜드, 빌 브루포드, 사이먼 필립스 (드러머)|사이먼 필립스, 제이슨 비트너, 마이크 포트노이, 돔 하워드가 꽹과리 베이스 드럼을 사용한 대표적인 드러머들이다.4. 5. 플로어 톰
플로어 톰은 지름과 거의 같은 깊이를 가진 이중 헤드 드럼으로, 오른손잡이 드러머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보통 세 개의 다리에 장착된다. 드럼 키트에서 스틱으로 연주하는 드럼 중 가장 낮은 음을 담당하며, 베이스 드럼 위에 있지만 다른 모든 드럼보다는 낮고, 가장 공명성이 뛰어나 베이스 드럼보다도 울림이 크다.[1]원통형 몸통에 윗면과 아랫면, 또는 윗면에만 "헤드"라고 불리는 막(일반적으로 플라스틱제)이 씌워져 있다. 윗면에만 헤드가 씌워진 탐탐은 양면에 헤드가 씌워진 것과 구별하여 "멜로딕 탐"이라고도 불린다.[1] 스네어 드럼의 몸통을 깊게 한 형태이지만, 스네어 와이어(스나피)가 없다는 점이 다르다.[1]
드럼 세트에서 빠질 수 없는 악기이며, 크기가 다른 톰톰이 2~4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악기는 스탠드에 고정하거나 베이스 드럼 상부에 세팅한다. 악기 하부에 부착된 다리로 바닥에 놓는 것을 플로어 톰이라고 한다.[1]
5. 사운드
톰은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낸다. 위키미디어 공용의 드럼 페이지에서 8인치 랙 톰, 12인치 랙 톰, 플로어 톰 등 다양한 톰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6. 세팅
드럼 세트에서 톰톰은 필수적인 악기로, 주로 크기가 다른 2~4개의 톰톰이 사용된다. 톰톰은 스탠드에 고정하거나 베이스 드럼 위에 설치한다. 다리를 부착하여 바닥에 설치하는 톰톰은 플로어 탐이라고 부른다.
오케스트라나 취주악 등에서는 "콘서트 탐"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크기가 다른 4~8개 정도의 톰톰을 모두 스탠드에 고정하여 연주하는 스타일은 보통 "입주(立奏)"라고 한다.
마칭 밴드에서는 음정이 다른 여러 개의 톰톰을 캐링 홀더에 장착하거나 스탠드에 설치하여 연주한다. 높은 음높이로 조율하기 때문에 팀바레스와 비슷한 소리가 나지만, 팀바레스와 구조는 같아도 역사적으로 다른 계통이며 다른 악기로 인식된다.
6. 1. 표준 직경
표준적인 록 구성은 약 30.48cm, 약 33.02cm 행잉 톰과 약 40.64cm 플로어 톰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인 퓨전 구성은 약 25.40cm, 약 30.48cm, 약 35.56cm 직경의 톰을 갖춘 구성을 의미한다. "퓨전" 및 "록"이라는 용어는 드럼 제조 회사에서 만든 마케팅 용어이며, 통용되는 규범에 가깝다.[8][9]6. 2. 표준 깊이
1950년대에서 1980년대 사이의 표준 깊이 랙 톰은 12×8과 13×9였다. 이 "클래식" 구성은 여전히 인기가 있다. 1970년대 초에는 콘서트 탐이 등장했는데, 러드비히는 6x5.5, 8x5.5, 10x6.5, 12x8, 13x9, 14x10, 15x12, 16x14 등의 싱글 헤드 톰을 생산하여 스탠드에 쌍으로 장착했다."FAST" 사이즈는 10×8, 12×9, 13×10 등이며, DW에서 사용한 마케팅 용어이지만 DW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고 모든 드럼 제조업체에서 사용된다.
"New standard" 사이즈(10×9, 12×10, 13×11 등)는 1950년대에 "표준"으로 여겨졌던 것보다 2인치 더 깊다.
"파워" 톰은 표준보다 1인치 더 깊으며, 10×9 또는 10×10, 12×11, 13×12의 크기로 1980년대에 클래식 구성을 제치고 인기를 얻었다.
스퀘어(10×10, 12×12, 13×13 등)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흔했다. 하이퍼드라이브는 타마에 의해 처음 대중화된 얕은 깊이로, 10×6.5, 12×7, 13×7.5 등이다.
7. 한국에서의 톰톰
이전 출력이 빈 문자열이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을 그대로 반환합니다.
8. 인상적인 톰톰 연주곡
- 레너드 번스타인의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 다리우스 미요의 타악기와 소규모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 요한 데 메이의 익스트림 메이크오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 교향곡 14번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st Edition
OUP
1928
[2]
서적
The Musical Gift: Sonic Generosity in Post-War Sri Lanka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3]
서적
Sri Lankan Drumming; The Thammattama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2013
[4]
서적
Crucible of Conflict: Tamil and Muslim Society on the East Coast of Sri Lanka
Duke University Press
2008
[5]
서적
Mirrors of Viol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6]
서적
The Slingerland Book
Rebeats Press
2004
[7]
서적
The Complete History of the Leedy Drum Company
Centerstream Publications
1993
[8]
서적
The Drum: A History
Scarecrow Press
2011-12-29
[9]
서적
Guide to Vintage Drums
Centerstream Publishing
2000-12-31
[10]
웹사이트
Pearl Drums - Philharmonic PTA Concert Toms
https://web.archive.[...]
2012-02-28
[11]
간행물
最新音楽用語事典
リットーミュージック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