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분류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일분류법은 흙의 입도 분포와 소성(塑性)을 기준으로 흙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흙은 200번 체 통과 입자 비율에 따라 조립토와 세립토로 나뉘며, 조립토는 자갈과 모래로, 세립토는 실트와 점토로 세분된다. 흙의 분류는 균등 계수, 곡률 계수, 액성 한계, 소성 지수, 소성도표 등을 활용하여 이루어진다. 대한민국에서는 통일분류법을 기반으로 한 한국산업표준(KS F 2324)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질역학 - 산사태
산사태는 사면 안정성 훼손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므로, 사전 예방과 위험 지역 관리가 중요하다. - 토질역학 - 점토
점토는 2~5µm 이하의 미세한 토양 입자로, 층상 규산염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정의와 분류 기준이 다르고, 가소성과 소성능력, 흡착성, 이온 교환 능력을 활용하여 건축,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특정 점토는 토목 공사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지질학 -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암석권이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연약권 위를 이동하며 지진, 화산 활동, 산맥 형성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이론으로, 1960년대 후반에 정립되어 해저 자기 줄무늬 패턴과 고지자기 자료로 뒷받침되며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판 운동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지질학 - 판 (지각)
판은 지구 표면을 덮는 조각으로,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분되며,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등 14~15개의 주요 판과 40여 개의 소규모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일분류법 | |
---|---|
개요 | |
이름 | 통일 분류법 |
영어 명칭 |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 |
목적 | 공학적 목적을 위한 흙 분류 |
분류 기준 | |
주요 분류 | 조립토 (Coarse-grained soils) 세립토 (Fine-grained soils) |
조립토 세분류 | 자갈 (Gravels, G) 모래 (Sands, S) |
세립토 세분류 | 실트 (Silts, M) 점토 (Clays, C) |
추가 분류 기호 | 뚜렷한 유기물 함유 (O) 매우 유기질 흙 (Pt) |
입도 분포 | 입도분포 양호 (W) 입도분포 불량 (P) |
소성 지수 | 소성 지수 높음 (H) 소성 지수 낮음 (L) |
분류 과정 | |
1단계 | 흙 시료의 입도 분석 실시 |
2단계 | 흙 시료의 액성 한계 및 소성 한계 측정 |
3단계 | 입도 분석 결과와 액성/소성 한계 결과를 바탕으로 흙 분류 |
활용 | |
활용 분야 | 토질공학 지반공학 |
활용 목적 | 지반의 공학적 특성 예측 및 설계 |
2. 분류 기준 및 기호
: 액성 한계, : 소성 지수, : 균등 계수, : 곡률 계수라 하고, 200번 체의 크기를 0.075mm, 4번 체의 크기를 4.75mm라 하면
분류 기준 | 토군 기호 | 분류 | |||
---|---|---|---|---|---|
조립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하 | 자갈(Gravel; G) 조립토 중에서 4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하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5 % 미만 | 이고 | GW |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Well graded) |
위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음 | GP |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Poor graded) |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12 % 초과 | 소성도표의 A선 아래 또는 | GM | 실트질이 섞인 자갈 | ||
소성도표의 A선 위 또는 | GC | 점토질이 섞인 자갈 | |||
모래(Sand; S) 조립토 중에서 4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상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5 % 미만 | 이고 | SW |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 |
위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음 | SP |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12 % 초과 | 소성도표의 A선 아래 또는 | SM | 실트질이 섞인 모래 | ||
소성도표의 A선 위 또는 | SC | 점토질이 섞인 모래 | |||
세립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상 | 실트(Silt; M) 또는 점토(Clay; C) | 소성도표의 A선 아래 또는 | 색, 냄새에 의해 구분 | ML | 압축성이 낮은 실트, 무기질 실트 |
OL | 유기질 실트 또는 유기질 점토 | ||||
소성도표의 A선 위 또는 | CL | 압축성 낮은 점토, 무기질 점토 | |||
실트(Silt; M) 또는 점토(Clay; C) | 소성도표 A선 아래 | 색, 냄새에 의해 구분 | MH | 소성성이 큰 무기질 실트 | |
OH | 소성성이 큰 유기질 점토, 유기질 실트 | ||||
소성도표 A선 위 | CH | 소성성이 큰 무기질 점토 | |||
유기질 성분이 매우 많은 흙 | Pt | 이탄(Peat) |
단, 조립토의 미세 입자(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 비율이 5% 이상, 12 % 이하에 속하거나, 소성도표의 A선 위에 위치하며 인 경우에는 분류 기호를 이중으로 표기하여 분류한다.
2. 1. 조립토
조립토는 200번 체(0.075mm)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50% 이상인 흙을 말한다. 조립토는 다시 4번 체(4.75mm)를 기준으로 자갈(G)과 모래(S)로 구분된다.조립토는 200번 체를 통과하는 세립분의 함량과 입도 분포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 자갈(Gravel; G): 조립토 중에서 4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이하인 흙
- GW: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 (200번 체 통과 미세 입자 비율 5% 미만, 균등 계수 ${\color{red} 4}$ 이상, 곡률 계수 1~3)
- GP: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 (GW 기준 미달, 200번 체 통과 미세 입자 비율 5% 미만)
- GM: 실트질이 섞인 자갈 (200번 체 통과 미세 입자 비율 12% 초과, 소성도표 A선 아래 또는 소성 지수 4 이하)
- GC: 점토질이 섞인 자갈 (200번 체 통과 미세 입자 비율 12% 초과, 소성도표 A선 위 또는 소성 지수 7 초과)
- 모래(Sand; S): 조립토 중에서 4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이상인 흙
- SW: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200번 체 통과 미세 입자 비율 5% 미만, 균등 계수 ${\color{red} 6}$ 이상, 곡률 계수 1~3)
- SP: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SW 기준 미달, 200번 체 통과 미세 입자 비율 5% 미만)
- SM: 실트질이 섞인 모래 (200번 체 통과 미세 입자 비율 12% 초과, 소성도표 A선 아래 또는 소성 지수 4 이하)
- SC: 점토질이 섞인 모래 (200번 체 통과 미세 입자 비율 12% 초과, 소성도표 A선 위 또는 소성 지수 7 초과)
단, 조립토의 미세 입자(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 비율이 5% 이상, 12% 이하이거나, 소성도표의 A선 위에 위치하며 소성 지수가 4와 7 사이인 경우에는 분류 기호를 이중으로 표기한다.
2. 2. 세립토
세립토는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이상인 흙을 말한다. 세립토는 액성 한계(LL) 값에 따라 50% 미만과 이상으로 나뉜다. 실트(M)와 점토(C)는 소성도표 상에서의 위치 및 소성 지수(PI)에 따라 구분된다.액성 한계()가 50% 미만인 경우, 소성도표의 A선 아래 또는 소성 지수()가 4 미만이면 압축성이 낮은 실트(ML) 또는 유기질 실트나 유기질 점토(OL)로 분류된다. 색깔과 냄새를 통해 ML과 OL을 구별한다. 소성도표의 A선 위 또는 소성 지수가 7보다 크면 압축성 낮은 점토(CL)로 분류된다.
액성 한계가 50% 이상인 경우, 소성도표 A선 아래에 위치하면 소성성이 큰 무기질 실트(MH) 또는 소성성이 큰 유기질 점토나 유기질 실트(OH)로 분류된다. 소성도표 A선 위에 위치하면 소성성이 큰 무기질 점토(CH)가 된다.
2. 3. 기타
이탄(Pt)은 유기질 성분이 매우 많은 흙이다.3. 이중 기호
조립토에서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5% 이상 12% 이하인 경우나, 소성도표의 A선 위에 위치하며 소성 지수가 4와 7 사이인 경우에는 두 가지 분류 기호를 함께 사용하여 분류한다. 예를 들어 GW-GM, SP-SC 등과 같이 표기한다.
4. 소성도표
소성도표는 흙의 액성 한계와 소성 지수를 기준으로 흙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도표이다. 소성도표에서 A선은 흙의 소성성을 구분하는 기준선 역할을 한다.
5. 한국산업표준(KS F 2324)
대한민국에서는 통일분류법을 기반으로 한 한국산업표준(KS F 2324)을 사용하여 흙을 분류한다.[2][3]
: 액성 한계, : 소성 지수, : 균등 계수, : 곡률 계수라 하고, 200번 체의 크기를 0.075mm, 4번 체의 크기를 4.75mm라 하면, 흙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분류 기준 | 토군 기호 | 분류 | |||
---|---|---|---|---|---|
조립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하 | 자갈(Gravel; G) 조립토 중에서 4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하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5 % 미만 | 이고 | GW | 입도 분포가 좋은 자갈(Well graded) |
위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음 | GP | 입도 분포가 나쁜 자갈(Poor graded) |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12 % 초과 | 소성도표의 A선 아래 또는 | GM | 실트질이 섞인 자갈 | ||
소성도표의 A선 위 또는 | GC | 점토질이 섞인 자갈 | |||
모래(Sand; S) 조립토 중에서 4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상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5 % 미만 | 이고 | SW | 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 | |
위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음 | SP | 입도 분포가 나쁜 모래 | |||
200번 체를 통과하는 미세 입자의 비율이 12 % 초과 | 소성도표의 A선 아래 또는 | SM | 실트질이 섞인 모래 | ||
소성도표의 A선 위 또는 | SC | 점토질이 섞인 모래 | |||
세립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의 비율이 50 % 이상 | 실트(Silt; M) 또는 점토(Clay; C) | 소성도표의 A선 아래 또는 | 색, 냄새에 의해 구분 | ML | 압축성이 낮은 실트, 무기질 실트 |
OL | 유기질 실트 또는 유기질 점토 | ||||
소성도표의 A선 위 또는 | CL | 압축성 낮은 점토, 무기질 점토 | |||
실트(Silt; M) 또는 점토(Clay; C) | 소성도표 A선 아래 | 색, 냄새에 의해 구분 | MH | 소성성이 큰 무기질 실트 | |
OH | 소성성이 큰 유기질 점토, 유기질 실트 | ||||
소성도표 A선 위 | CH | 소성성이 큰 무기질 점토 | |||
유기질 성분이 매우 많은 흙 | Pt | 이탄(Peat) |
조립토의 미세 입자(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 비율이 5% 이상, 12 % 이하에 속하거나, 소성도표의 A선 위에 위치하며 인 경우에는 분류 기호를 이중으로 표기하여 분류한다.
6. 활용
참조
[1]
서적
Geotechnical engineer's portable handbook : with the 2012 international building code
https://www.worldcat[...]
McGraw-Hill
2013
[2]
간행물
D 2487 – 06: Standard Practice for Classification of Soils for Engineering Purposes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https://lauwtjunnji.[...]
ASTM International
[3]
기타
Standard Practice for Classification of Soils for Engineering Purposes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www.astm.org
ASTM International
2000
[4]
서적
토목기사 과년도 - 토질 및 기초
성안당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