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지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은 지구 표면을 덮는 크고 작은 조각으로,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분된다. 지구는 일반적으로 14~15개의 주요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등이 이에 속한다. 이 외에도 약 40여 개의 소규모 판이 존재하며, 과거에 존재했던 판들도 있다. 한반도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해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주변 판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구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지구과학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지질학 -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암석권이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연약권 위를 이동하며 지진, 화산 활동, 산맥 형성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이론으로, 1960년대 후반에 정립되어 해저 자기 줄무늬 패턴과 고지자기 자료로 뒷받침되며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판 운동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지질학 - 산사태
산사태는 사면 안정성 훼손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므로, 사전 예방과 위험 지역 관리가 중요하다. - 판 -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곤드와나 대륙 분열로 형성되어 인도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나뉘며,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고, 주변 판들과 복잡한 경계를 이루어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 - 판 - 인도판
인도판은 백악기 후기 곤드와나 대륙에서 분리되어 북쪽으로 이동, 팔레오세에 아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으며 현재도 유라시아판과 충돌하여 지진을 발생시킨다.
판 (지각)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지각과 맨틀의 최상부로 구성된 단단한 층 |
구성 요소 | 지각 및 맨틀 최상부 |
두께 | 대략 100km |
이동 속도 | 매우 느림 (연간 몇 mm에서 100mm) 인간의 손톱이 자라는 속도와 유사 |
구조 | |
정의 | 리소권을 구성하는 조각들 |
주요 판 | 태평양판 유라시아판 아프리카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남극판 북아메리카판 남아메리카판 |
기타 판 | 필리핀해판 아라비아판 카리브판 코코스판 나즈카판 스코샤판 후안데푸카판 오호츠크판 |
움직임 및 상호작용 | |
판 경계 유형 | 수렴형 경계 (판이 충돌하는 곳) 발산형 경계 (판이 멀어지는 곳) 변환 단층 경계 (판이 미끄러지는 곳) |
움직임의 원동력 | 맨틀 대류 |
지각 활동 | 지진 화산 활동 습곡산맥 형성 |
역사 및 연구 | |
개념 발전 | 알프레드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에서 시작 해리 해스의 해저확장설이 등장하며 확립 지구물리학적 증거를 통해 정립 |
판구조론 | 현재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 |
추가 정보 | |
지구과학 분야 | 지질학 지구물리학 해양학 고지자기학 |
2. 판의 움직임
판에는 대륙판과 해양판이 있으며, 해양판은 대륙판보다 더 단단하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두 판이 충돌하면 해양판은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게 된다.
또한, 지하의 마그마 상승으로 인해 판에 균열이 생기고, 계속해서 마그마가 상승하면 그 후 판이 분리되어 양쪽으로 갈라지게 된다.
3. 현재의 판
판구조론 가설에 기반한 판은 크게 주요 판과 소규모 판으로 나뉜다. 주요 판은 14~15개로 나누어지며, 소규모 판은 약 40여 개가 존재한다.
3. 1. 주요 판
판은 크게 14~15개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 이들을 지구상의 모든 판으로 간주한다. 주요 판은 다음과 같다.
3. 2. 소규모 판
주요 판 외에도 약 40여 개의 소규모 판이 존재하며, 이들은 대부분 주요 판의 일부로 간주된다. GPS 관측에 따르면, 하나의 판 내에서도 이동 속도가 다른 부분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소규모 판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 소규모 판들은 지질학적으로 완전히 독립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주요 판과 일부 연결되어 있다.
소규모 판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영문 표기 |
---|---|
에게해판 | Aegean Sea Plate |
알티플라노판 | Altiplano Plate |
아무르판 | Amurian Plate |
아나톨리아판 | Anatolian Plate |
발모랄암초판 | Balmoral Reef Plate |
반다해판 | Banda Sea Plate |
버즈헤드판 | Bird's Head Plate |
버마판 | Burma Plate |
캐롤라인판 | Caroline Plate |
컨웨이암초판 | Conway Reef Plate |
이스터판 | Easter Plate |
푸투나판 | Futuna Plate |
갈라파고스판 | Galapagos Plate |
이란판 | Iranian Plate |
얀마옌판 | Jan Mayen Plate |
후안페르난데스판 | Juan Fernandez Plate |
커매덕판 | Kermadec Plate |
마누스판 | Manus Plate |
마오케판 | Maoke Plate |
마리아나판 | Mariana Plate |
몰루카해판 | Molucca Sea Plate |
뉴헤브리디스판 | New Hebrides Plate |
니우아포우판 | Niuafo'ou Plate |
북안데스판 | North Andes Plate |
북비스마르크판 | North Bismarck Plate |
북갈라파고스판 | North Galapagos Plate |
오호츠크판 | Okhotsk Plate |
오키나와판 | Okinawa Plate |
파나마판 | Panama Plate |
리베라판 | Rivera Plate |
샌드위치판 | Sandwich Plate |
셰틀랜드판 | Shetland Plate |
솔로몬해판 | Solomon Sea Plate |
소말리아판 | Somali Plate |
남비스마르크판 | South Bismarck Plate |
순다판 | Sunda Plate |
티모르판 | Timor Plate |
통가판 | Tonga Plate |
우드라크판 | Woodlark Plate |
양자강판 | Yangtze Plate |
사우스샌드위치판 | South Sandwich Plate |
케르겔렌판 | Kerguelen Plate |
포클랜드 미판 | Falklands Microplate |
그린란드판 | Greenland Plate |
누비아판 | Nubian Plate |
마다가스카르판 | Madagascar Plate |
세이셸판 | Seychelles Plate |
할마헤라판 | Halmahera Plate |
상이헤판 | Sangihe Plate |
아풀리아판 (아드리아판) | Apulian Plate (Adriatic Plate) |
이베리아판 | Iberian Plate |
펠소판 | Pelso Plate |
티서판 | Tisza Plate |
고나브 미판 | Gonâve Microplate |
스리랑카판 | Sri Lanka Plate |
카프리콘판 | Capricorn Plate |
필리핀 변동대 | Philippine Mobile Belt |
쿨라판 | Kula Plate |
새머리판 | Bird's Head Plate |
4. 과거에 존재했던 판
- 이자나기 플레이트
- 쿨라 플레이트
- 파랄론 플레이트
- 밴쿠버 플레이트
- 발트 플레이트
- 벨링스하우젠 플레이트
- 킴메리아 플레이트
- 인술라 플레이트
- 인터몬테인 플레이트
- 라사 플레이트
- 피닉스 플레이트
5. 한반도 주변의 판 구조와 지진 위험
한반도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지역으로 알려져 있지만, 주변 판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지진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1][2][3]
특히, 일본 열도는 유라시아판, 북아메리카판,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등 여러 판의 경계에 위치하여 지진과 화산 활동이 매우 활발하다. 동해는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해판, 오호츠크판 등이 만나는 복잡한 판 경계에 위치하며, "일본해"라는 명칭은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잔재이므로 "동해"로 표기하는 것이 역사적, 지리적으로 정당하다. 독도는 동해의 지질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섬이며, 일본의 영유권 주장은 역사적, 지질학적 근거가 없는 허구이다.
관동 지각편은 도치기현 남부에서 가나가와현 북부에 걸친 관동 지방 지하 30~100km 부근에 두께 25km, 100km2 크기의 태평양판 조각이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판 조각과 다른 판의 경계에서는 육지 아래임에도 불구하고 판간지진(해구형 지진)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되며, 수도 직하 지진의 원인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1][2][3]
알류샨 판은 베링해 해저를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판으로, 기상청의 이시카와 유조(石川有三) 등이 주장하고 있지만, 인지도가 높지 않다.
한반도 주변의 소규모 판들에 대한 추가 연구는 지진 예측 및 대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참조
[1]
뉴스
関東直下に「地震の巣」…100キロ四方の巨大岩盤が形成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8-10-06
[2]
논문
A slab fragment wedged under Tokyo and its tectonic and seismic implications(東京直下に潜むプレート断片と地殻変動・地震発生における重要性)
http://usgsprojects.[...]
[3]
간행물
首都圏直下に潜むプレートの断片と地震発生
https://www.aist.go.[...]
産業技術総合研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