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르키아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키아속은 식물 분류군으로, 2020년 Plants of the World Online(POWO)에 의해 여러 종이 인정되었다. 이 속에는 네레, 프타이콩 등 다양한 종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거리나무아과 - 카시아속
    카시아속은 다양한 기후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포함하는 속으로, 많은 종이 다른 속으로 이동되었지만, 관상용, 산림 복구, 사막화 방지 등에 활용되며, 일부 종은 전통 의학이나 요리에도 사용되나 독성이 있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고, 한국에서는 카시아를 찾아볼 수 있다.
  • 실거리나무아과 - 소목 (식물)
    소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심재와 협에서 적색 염료인 브라질린을 얻을 수 있으며, 가지에 가시가 있고 노란색 꽃이 피며, 소목색 염료 및 한방 약재로 사용된다.
  • 1826년 기재된 식물 - 난초아과
    난초아과는 난초과의 아과로,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에 따라 분류가 수정되고 있으며, 육상에서 자라고 절단성이거나 과립 형태의 꽃가루덩이, 곧추선 꽃밥을 가지며, 다양한 서식지에서 독립 영양 또는 종속 영양 생활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 1826년 기재된 식물 - 자금우
    자금우는 한반도 남부 산지 숲 밑에서 자라는 상록 관목으로, 붉은색 열매와 흰색 꽃이 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파르키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Parkia platycephala
학명Parkia
명명자R.Br.
이명Paryphosphaera H. Karst.
모식종네레 (P. biglobosa (Jacq.) G.Don)
하위 분류본문 참조
분류학적 정보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콩목
콩과
아과실거리나무아과
미분류 (분류군)미모사군
하위 종

2. 하위 종

파르키아속에는 다음 종이 속한다.


  • 네레 ''P. biglobosa''
  • 프타이콩 ''P. speciosa''
  • ''P. bahiae''
  • ''P. balslevii''
  • ''P. barnebyana''
  • ''P. bicolor''
  • ''P. biglandulosa''
  • ''P. cachimboensis''
  • ''P. decussata''
  • ''P. discolor''
  • ''P. filicina''
  • ''P. filicoidea''
  • ''P. gigantocarpa''
  • ''P. igneiflora''
  • ''P. intermedia''
  • ''P. javanica''
  • ''P. korom''
  • ''P. leiophylla''
  • ''P. lutea''
  • ''P. madagascariensis''
  • ''P. multijuga''
  • ''P. nitida''
  • ''P. panurensis''
  • ''P. paraensis''
  • ''P. parrii''
  • ''P. parvifoliola''
  • ''P. paya''
  • ''P. pendula''
  • ''P. perrieri''
  • ''P. platycephala''
  • ''P. reticulata''
  • ''P. sherfeseei''
  • ''P. singularis''
  • ''P. sumatrana''
  • * ''P. sumatrana'' subsp. ''streptocarpa''
  • ''P. timoriana''
  • ''P. truncata''
  • ''P. ulei''
  • * ''P. ulei'' var. ''surinamensis''
  • ''P. velutina''
  • ''P. versteeghii''

2. 1. 주요 종


  • 파르키아 바히애
  • 파르키아 발슬레비이
  • 파르키아 바네비아나
  • 파르키아 바이컬러 – 아프리카 로커스트빈
  • 파르키아 비글란둘로사
  • 파르키아 비글로보사
  • 파르키아 카침보엔시스
  • 파르키아 데쿠사타
  • 파르키아 디스컬러
  • 파르키아 필리시나
  • 파르키아 필리코이데아
  • 파르키아 기간토카르파
  • 파르키아 이그네이플로라
  • 파르키아 인시그니스
  • 파르키아 인터미디아
  • 파르키아 자바니카
  • 파르키아 코롬
  • 파르키아 레이오필라
  • 파르키아 루테아
  • 파르키아 마다가스카리엔시스
  • 파르키아 멀티유가
  • 파르키아 나나
  • 파르키아 니티다
  • 파르키아 파누렌시스
  • 파르키아 파라엔시스
  • 파르키아 파리이
  • 파르키아 파르비폴리오라
  • 파르키아 파야
  • 파르키아 펜둘라
  • 파르키아 플라티세팔라
  • 파르키아 레티쿨라타
  • 파르키아 셔페시
  • 파르키아 싱귤라리스
  • 파르키아 스페키오사 – 뒤틀린 클러스터빈, 스팅빈
  • 파르키아 수마트라나
  • 파르키아 티모리아나 – 트리빈
  • 파르키아 트룬카타
  • 파르키아 울레이
  • 파르키아 벨루티나
  • 파르키아 베르스테이지[6]

2. 2. 전체 종 목록

2020년 Plants of the World Online(POWO)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종이 인정되었다.[6]

학명일반명
파르키아 바히애 P. bahiaela
파르키아 발슬레비이 P. balsleviila
파르키아 바네비아나 P. barnebyanala
파르키아 바이컬러 P. bicolorla아프리카 로커스트빈
파르키아 비글란둘로사 P. biglandulosala
파르키아 비글로보사 P. biglobosala네레
파르키아 카침보엔시스 P. cachimboensisla
파르키아 데쿠사타 P. decussatala
파르키아 디스컬러 P. discolorla
파르키아 필리시나 P. filicinala
파르키아 필리코이데아 P. filicoideala
파르키아 기간토카르파 P. gigantocarpala
파르키아 이그네이플로라 P. igneiflorala
파르키아 인시그니스 P. insignisla
파르키아 인터미디아 P. intermediala
파르키아 자바니카 P. javanicala
파르키아 코롬 P. koromla
파르키아 레이오필라 P. leiophyllala
파르키아 루테아 P. luteala
파르키아 마다가스카리엔시스 P. madagascariensisla
파르키아 멀티유가 P. multijugala
파르키아 나나 P. nanala
파르키아 니티다 P. nitidala
파르키아 파누렌시스 P. panurensisla
파르키아 파라엔시스 P. paraensisla
파르키아 파리이 P. parriila
파르키아 파르비폴리오라 P. parvifoliolala
파르키아 파야 P. payala
파르키아 펜둘라 P. pendulala
파르키아 플라티세팔라 P. platycephalala
파르키아 레티쿨라타 P. reticulatala
파르키아 셔페시 P. sherfeseeila
파르키아 싱귤라리스 P. singularisla
파르키아 스페키오사 P. speciosala뒤틀린 클러스터빈, 스팅빈
파르키아 수마트라나 P. sumatranala
파르키아 티모리아나 P. timorianala트리빈
파르키아 트룬카타 P. truncatala
파르키아 울레이 P. uleila
파르키아 벨루티나 P. velutinala
파르키아 베르스테이지 P. versteeghiila


참조

[1] 간행물 2020-03-27
[2] 논문 A new subfamily classification of the Leguminosae based on a taxonomically comprehensive phylogeny
[3] 논문 "A cladistic analysis of ''Parkia''"
[4] 논문 "''Parkia nana'' (Leguminosae, Mimosoideae), a New Species from the Sub-Andean Sandstone Cordilleras of Peru"
[5] 서적 "''Parkia'' (Leguminosae: Mimosoideae) (Flora Neotropica Monograph No. 43) with ''Dimorphandra'' (Caesalpiniaceae) (FN Monograph No. 44)"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Press
[6] 웹사이트 "''Parkia''"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0-03-27
[7] 논문 "A cladistic analysis of ''Parkia''"
[8] 논문 "''Parkia nana'' (Leguminosae, Mimosoideae), a New Species from the Sub-Andean Sandstone Cordilleras of Peru"
[9] 서적 "''Parkia'' (Leguminosae: Mimosoideae) (Flora Neotropica Monograph No. 43) with ''Dimorphandra'' (Caesalpiniaceae) (FN Monograph No. 44)"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