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레는 콩과에 속하는 쌍자엽 속씨식물로, 학명은 Parkia biglobosa이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아프리카 로커스트 빈(African locust bean)이라고도 불린다. 열매는 식용, 사료, 약용으로 사용되며, 특히 씨앗을 발효시켜 만든 조미료는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토양 비옥도 개선에도 기여하며 경제적 가치도 높아, 아프리카 지역에서 중요한 작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의 나무 - 마룰라나무
    마룰라나무는 아프리카와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인 낙엽수로, 식용 열매를 맺고 아마룰라 리큐어의 원료로 쓰이며 아프리카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무이다.
  • 수단의 나무 - 바오밥나무 (종)
    바오밥나무는 사바나 지역에서 자라는 키 큰 나무로, 물 저장 능력이 뛰어나 가뭄에 강하며, 식량, 물, 의약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아프리카 문화에서 신성하게 여겨진다.
  • 니제르의 식물상 - 타마린드
    타마린드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인 콩과 상록교목으로, 신맛이 나는 과육이 있는 꼬투리 열매는 요리, 음료, 의학,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며,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주요 작물로 재배된다.
  • 니제르의 식물상 - 키와노
    키와노는 아프리카 원산의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타원형 열매로, 젤리 형태의 과육은 독특한 맛을 가지며, 식용, 관상용, 접목 대목으로 사용된다.
  • 부르키나파소의 식물상 - 타마린드
    타마린드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인 콩과 상록교목으로, 신맛이 나는 과육이 있는 꼬투리 열매는 요리, 음료, 의학,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며,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주요 작물로 재배된다.
  • 부르키나파소의 식물상 - 키와노
    키와노는 아프리카 원산의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타원형 열매로, 젤리 형태의 과육은 독특한 맛을 가지며, 식용, 관상용, 접목 대목으로 사용된다.
네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히로하프사마메노키
학명Parkia biglobosa
명명자(Jacq.) R.Br. ex G.Don
이명Inga biglobosa (Jacq.) Willd.
Inga faeculifera Ham.
Inga faroba Mérat & Lens
Inga senegalensis DC.
Mimosa biglobosa Jacq.
Mimosa taxifolia Pers.
Parkia africana R.Br.
Parkia clappertoniana Keay
Parkia intermedia Oliv.
Parkia oliveri J.F.Macbr.
Parkia uniglobosa G.Don
Prosopis faeculifera Desv.
상태LC
상태 시스템IUCN3.1
IUCN 참고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BGCI) & IUCN SSC Global Tree Specialist Group. 2019. Parkia biglobos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144263048A149029456. 2022년 7월 11일에 확인함.
GRINParkia biglobosa 2022년 7월 11일에 확인함.
범어bm
라틴어la
분류
식물계
문 (미분류)속씨식물군
강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목 (미분류)장미군
콩목
콩과
아과네무노키아과
프사마메노키속
기타 명칭
영어Néré

2. 명칭

학명은 ''Parkia biglobosa''이다. 한국어로는 '히로하후사마메노키'라는 명칭이 제안되었으나, 동속의 다른 종(Parkia sumatranasv)과의 혼동 가능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African locust bean영어이라는 영어 명칭이 있으며, Parkia filicoideasv에도 같은 명칭이 사용되어 혼동될 수 있다.[24] 일본에서는 Parkia filicoideasv를 히로하후사마메노키라고 하는 문헌도 존재한다.[25] Parkia filicoideasv에는 "서아프리카이네고마메"라는 가칭이 부여되었다.

네레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언어로 불린다.

3. 분포

아프리카가 원산지로, 북아프리카 (수단)[33], 중앙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카메룬)[33], 서아프리카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이지리아, 니제르, 말리, 베냉,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시에라리온, 토고, 코트디부아르)[33]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구체적으로는 세네갈, 감비아, 기니비사우, 기니, 시에라리온, 말리, 코트디부아르, 부르키나파소, 가나, 토고, 베냉, 니제르, 나이지리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수단 (남수단 포함)[23]에 분포한다. 인도에도 이입된 기록이 있다.[23]

4. 특징

콩과(Fabaceae)에 속하는 쌍자엽 속씨식물로, 키가 7~20m (최대 30m)까지 자라는 낙엽성 다년생 식물이다.[4][5][6] 두껍고 짙은 회갈색 껍질을 가진 내화성 양지 식물이다.[5] 열매 꼬투리는 처음에는 분홍색이지만 완전히 익으면 짙은 갈색으로 변하며, 길이는 30cm~40cm (최대 45cm) 정도이다. 각 꼬투리에는 최대 30개의 씨앗이 들어 있으며, 씨앗은 달콤하고 가루 형태의 노란색 펄프에 박혀 있다.[5]

5. 생육 조건

네레 씨앗은 붉은색-어두운색과 어두운색(검은색) 두 종류가 있다. 어두운색 씨앗은 껍질이 더 단단하여 발아를 위해 전처리가 필요하다.[5] 일반적인 발아율은 75% 정도이지만, 씨앗을 약 7분 동안 데친 후 심기 전에 하룻밤 동안 뜨거운 물에 담가두면 발아율을 높일 수 있다.[5] 묘목은 비교적 빠르게 자라 1년 만에 1m 높이에 도달할 수 있다.[8]

사헬 지역의 건기(12월~4월)에 5~7년 만에 꽃이 피기 시작하며, 주로 박쥐에 의해 수분되지만 꿀벌, 파리, 말벌, 개미 등 다른 곤충에 의해서도 수분될 수 있다.[5]

네레는 해발 0~300m, 연평균 강수량 400~700mm, 연평균 기온 약 24~28°C의 환경에서 잘 자란다.[5] 배수가 잘 되는 두꺼운 점토질 토양을 선호하지만, 얕고 얇은 모래 토양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5]

6. 이용

네레는 식용, 사료,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씨앗을 둘러싼 노란색 펄프는 단맛이 나며 탄수화물이 풍부하여 식용으로 사용되고, 음료를 만드는 데에도 쓰인다.[12][13] 씨앗은 발효시켜 숨발라(숨바라, sumbala), 다와다와(dawadawa) 등의 조미료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한국된장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34][12] 서아프리카에서는 씨앗을 발효시킨 것을 순바라, 네투투(netetu) 등으로 부르며 조미료로 널리 이용한다.[26] 로커스트빈 씨앗은 지방(29%), 단백질(35%), 탄수화물(16%)이 풍부하며, 지방과 칼슘의 좋은 공급원이다.[6]

과육, 잎, 씨앗은 가축과 가금류의 사료로 사용되며, 꽃은 꿀벌을 유인하여 꿀 생산에 기여한다.[15]

서아프리카에서 네레 나무의 수피, 뿌리, 잎, 꽃, 열매, 씨앗은 전통 의학에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7] 특히 수피와 잎이 약용으로 중요하게 사용되며, 고혈압과 같은 순환계 질환, 호흡기, 소화기,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7]

6. 1. 식용

씨앗을 둘러싼 노란색 펄프는 자연적으로 단맛이 나며, 탄수화물이 풍부하여 식용으로 사용된다.[12] 펄프는 음료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13]

숨바라(sumbala)(''다와다와'' 또는 dawadawa라고도 함)와 로커스트빈 씨앗


씨앗은 발효시켜 숨발라(숨바라, sumbala), 다와다와(dawadawa) 등의 조미료로 만들어진다.[34] 이는 한국된장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지역에 따라 하우사족과 가나 북부 부족에게는 ''다다와''(daddawa), 이보족에게는 ''시코무''(sikomu), 티브족에게는 ''눈''(nune), 나이지리아요루바족에게는 ''이루''(irú) 등으로 불린다.[12] 서아프리카에서는 씨앗을 발효시킨 것을 순바라, 네투투(netetu) 등으로 부르며 조미료로 널리 이용한다.[26]

로커스트빈 씨앗은 지방(29%), 단백질(35%), 탄수화물(16%)이 풍부하며, 지방과 칼슘의 좋은 공급원이다.[6] 씨앗은 먼저 껍질을 제거하기 위해 요리한 다음 발효시켜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씨앗을 가루로 빻아 케이크 형태로 만들기도 한다. ''다와다와''(dawadawa) 발효 연구에 따르면, ''그멜리나 아르보레아''와 바나나 잎이 씨앗 발효를 촉진하고 지방, 단백질,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며 탄수화물 함량을 감소시킨다.[14] 씨앗을 감싸는 노란색 펄프 부분은 당분이 많아 간식으로 즐겨 먹는다.[27]

6. 2. 사료

과육, 잎, 씨앗은 가축과 가금류의 사료로 사용된다. 꽃은 꿀벌을 유인하여 꿀 생산에 기여한다.[15]

6. 3. 약용

서아프리카에서 네레 나무의 수피, 뿌리, 잎, 꽃, 열매, 씨앗은 전통 의학에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7] 수피는 약용으로 가장 중요하며, 잎이 그 다음으로 중요하다. 기생충 감염, 고혈압과 같은 순환계 질환, 호흡기, 소화기,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7] 수의학에서는 뿌리 달인액이 가금류의 콕시듐증 치료에 사용된다.[7]

토고의 치유사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네레는 고혈압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물 중 하나였다.[17] 나이지리아 남서부에서는 피부 섬유아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쳐 상처 치유에 효과가 있는 식물로도 알려져 있다.[18] 기니에서 말라리아 치료에 사용되는 식물 조사에서는 네레가 가장 효과적인 식물 중 하나로 나타났다.[19] 네레의 항균 특성은 스트렙토마이신보다 우수하여 세균 감염 관리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잠재적 공급원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0]

7. 경제적 가치

네레 재배는 많은 아프리카인, 특히 여성들에게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네레 열매는 부르키나파소에서 활발하게 상업화되고 있으며, "전국적인 설문조사 응답자의 50% 이상이 네레 열매 거래에 참여한다"고 답했다.[16] 발효된 씨앗(''다와다와'') 판매는 주로 여성이 담당하며, 건조된 씨앗 판매에는 남성과 여성 모두 참여한다.[16]

나이지리아 북부의 연간 씨앗 생산량은 약 200,000톤으로 추정된다.[8] 네레 제품은 국제 무역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서아프리카 지역 및 지역 무역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8] 씨앗은 특히 귀중하게 여겨지며, 국경 간 이동이 이루어지는 사헬 지역에서 많은 지역 무역이 발생한다.[8]

8. 토양 비옥도 개선 효과

아프리카콩나무 잎은 토양 비옥도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실험에서, 아프리카콩나무의 격리된 상대 효과는 실험 3년 차에 86%였다.[10] 이 기간 동안 토양 생산성의 상대 지수는 아프리카콩나무의 경우 분명히 높아졌으며, P(인)와 유기 탄소 축적도 증가했다.[10]

9. 기타

아프리카콩나무는 다른 작물에 그늘을 드리워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한 실험에서 아프리카콩나무는 2년 동안 진주 조의 영양 생장과 수확량 모두에 억제 효과를 보였다.[11] 가지 수확량 또한 통제된 구획에서 수확량의 1/3에서 1/10 사이로 억제되었다.[11]

하지만 고추 수확량은 아프리카콩나무 캐노피 아래에서 최대 150%까지 증가했다.[11] 한편, 아프리카콩나무 잎은 토양 비옥도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실험에서 아프리카콩나무의 격리된 상대 효과는 실험 3년차에 86%였으며, P와 유기 탄소 축적도 증가했다.[10]

참조

[1] 간행물 "''Parkia biglobosa''" 2022-07-11
[2] 웹사이트 "''Parkia biglobosa'' (Jacq.) R.Br. ex G.Don" http://powo.scienc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7
[3] GRIN 2022-07-11
[4] 논문 The role of woody species in managing food shortage in Burkina Faso https://www.webofkno[...] 2012
[5] 웹사이트 Species Information – Parkia biglobosa. (n.d.). Agroforestry Tree Database http://www.worldagro[...]
[6] 논문 Regeneration of Parkia biglobosa Benth.: An important tree species of Africa 2012
[7] 서적 "''Parkia biglobosa'' African Locust Bean" CABI North American Office 2008
[8] 웹사이트 Parkia biglobosa. (n.d.). Protabase http://database.prot[...]
[9] 웹사이트 Parkia biglobosa. (n.d.). Protabase http://database.prot[...]
[10] 논문 Effect of tree foliage of locust bean (Parkia biglobosa) and neem (Azadirachta indica) on soil fertility and productivity of maize in a savanna alfisol. 2002
[11] 논문 Testing the shade tolerance of selected crops under Parkia biglobosa (Jacq.) Benth. in an agroforestry parkland in Burkina Faso, West Africa 2012
[12] 웹사이트 Locust Bean Products http://www.fao.org/d[...] null
[13]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2005
[14] 논문 Incubation and fermentation of African locust beans (''Parkia biglobosa'') in production of "dawadawa" 2007
[15] 웹사이트 African locust bean (Parkia biglobosa & Parkia filicoidea) https://www.feediped[...] 2018-01-25
[16] 논문 Exploiting the potential of indigenous agroforestry trees: Parkia biglobosa and Vitellaria paradoxa in sub-Saharan Africa 2004
[17] 논문 Ethnobotanical study of medicinal plants used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in the Central Region of Togo. 2011
[18] 논문 Ethnopharmacological survey and in vitro evaluation of wound-healing plants used in South-western Nigeria. 2011
[19] 논문 Ethnobotanical survey on medicinal plants used by Guinean traditional healers in the treatment of malaria. 2013
[20] 논문 Preliminary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rude stem bark extracts and fractions of Parkia biglobosa (Jacq.). 2013
[21] 문서 クロンキスト体系ではネムノキ科とする。
[22] 기타
[23] 웹사이트 Plants of the World Online http://www.plantsoft[...]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
[24] 웹사이트 Feedipedia https://www.feediped[...] 2018-06-29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웹인용 "''Parkia biglobosa'' (Jacq.) G.Don"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0-07-14
[33] 웹인용 "''Parkia biglobosa'' (Jacq.) R. Br. ex G. Don"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2-06-27
[34] 뉴스 아프리카로 옮겨온 선진국병 http://www.ilemonde.[...] 2017-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