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보 하비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보 하비코는 핀란드의 시인이자 작가로, 헬싱키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그는 핀란드 모더니즘 운동의 선두 주자였으며 시, 소설, 희곡, 오페라 대본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다. 하비코는 핀란드 문학 협회 알렉시스 키비 상, 프로 핀란디아 메달,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 스웨덴 한림원 북유럽상, 아메리카 문학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 사자 훈장 수훈자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에드가르스 린케비치는 라트비아의 정치인으로, 2023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2023년 7월부터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외무장관을 역임했고, 2014년에는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공개했다.
  • 핀란드 사자 훈장 수훈자 - 베이요 메리
    베이요 메리는 1957년 《마닐라 로프》를 시작으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한 핀란드의 작가로, 그의 작품 중 일부는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기도 했다.
  • 핀란드 백장미 훈장 수훈자 -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라트비아 정치인이자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인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는 경제학과 물리학을 전공하고 2002년 정계에 입문,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라트비아 총리를 역임 후 유럽 연합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며 유럽 연합의 경제 정책에 기여하고 있다.
  • 핀란드 백장미 훈장 수훈자 - 베이요 메리
    베이요 메리는 1957년 《마닐라 로프》를 시작으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한 핀란드의 작가로, 그의 작품 중 일부는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기도 했다.
  • 핀란드의 극작가 - 알렉시스 키비
    알렉시스 키비는 핀란드어로 작품을 쓴 최초의 주요 작가 중 한 명이자 핀란드 문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소설가 겸 극작가로, 대표작으로는 소설 《일곱 형제》와 희곡 《황무지 구두 수선공》이 있다.
  • 핀란드의 극작가 - 민나 칸트
    19세기 핀란드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 페미니스트인 민나 칸트는 여성 참정권 운동에 기여하고 리얼리즘 문학을 개척하며 핀란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파보 하비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0년의 파보 하비코
파보 하비코 (1960년)
본명Paavo Juhani Haavikko
직업소설가, 시인, 극작가
국적핀란드
출생일1931년 1월 25일
출생지핀란드 헬싱키
사망일2008년 10월 6일
사망지핀란드 헬싱키
문학 활동
장르시, 소설, 희곡
주요 작품〈겨울궁전〉
영향 받은 인물엘리엇
수상
수상 내역알렉시스 키비 상(1966년)
에이노 레이노 상(1963)
노이슈타트 국제문학상(1984년)

2. 생애

파보 하비코는 헬싱키에서 태어나 성장했으며, 1951년 칼리오 공립학교를 졸업하고 첫 시집을 출판했다.[2] 1950년대에 몇 권의 시집을 더 출판하여 핀란드 모더니즘 운동의 선두 주자가 되었고, 핀란드 전후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받는다.[1]

파보 하비코와 그의 첫 번째 아내, 작가 마르야-리사 바르티오 (1924–1966).


첫 아내 마르야-리사 바르티오는 작가였으며, 1966년 그녀가 사망한 후 한동안 글을 쓰지 않았다. 1971년 리트바 라이니오와 결혼했으나 1983년부터 별거했다.[1][3]

2. 1. 유년 시절과 초기 경력



파보 하비코는 헬싱키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그의 아버지는 제본업자였고 나중에는 수입 사업에 종사했다. 1951년, 하비코는 칼리오 공립학교를 졸업하고 첫 시집을 출판했다.[2]

1950년대에 하비코는 몇 권의 시집을 더 출판했으며, 그 절정은 "탈비팔라시"("겨울 궁전", 1959)였다.[2] 그는 핀란드에서 떠오르는 모더니즘 운동의 선두에 있었으며, 그 후 수십 년 동안 다른 많은 장르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의 문학적 업적 덕분에 그는 핀란드에서 그의 세대와 전후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가 되었다.[1]

하비코의 첫 번째 아내 마르야-리사 바르티오 역시 작가였다. 그들은 두 자녀를 두었다. 마르야-리사 바르티오는 1966년에 사망했고, 하비코는 오랫동안 글을 쓰지 않았다.[2] 1971년에 리트바 라이니오와 결혼했다.[3] 그들은 1983년부터 별거했다.[1]

2. 2. 결혼과 가족



하비코의 첫 번째 아내는 작가 마르야-리사 바르티오였다. 그들은 두 자녀를 두었다. 1966년 마르야-리사 바르티오가 사망하자 하비코는 오랫동안 글을 쓰지 않았다.[2]

1971년 하비코는 리트바 라이니오와 결혼했다.[3] 1983년부터 그들은 별거했다.[1]

2. 3. 문학 외 활동

1967년부터 1983년까지 하비코는 오타바 출판사의 문학 감독을 맡았고, 1989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아트 하우스 출판사의 소유주였다.[2][5]

그는 가족과 함께 연료용 이탄을 생산하는 회사를 운영했다.[6] 또한 숲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가 사망했을 때, 그의 가족은 300만유로를 상속받았다.[7]

3. 작가로서의 경력

하비코는 시인으로 시작했지만, 거의 모든 문학 장르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희곡은 전통적인 연극 무대에서 거의 공연되지 않았다. 텔레비전 시리즈 《쇠의 시대(Rauta-aika)》는 핀란드 국민 서사시 칼레발라를 자유롭게 묘사했다. 오페라 《기사》(Ratsumies, The Horseman영어)와 《왕은 프랑스로 간다(Kuningas lähtee Ranskaan, The King goes forth to France영어)는 하비코의 대본에 맞춰 아울리스 살리넨이 작곡했다.[7]

하비코는 자신의 작품을 역사적 맥락에 많이 배치했지만, 희곡 《농부와 여우》(Agricola ja kettu)에서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와 스탈린을 언급하거나, 바이킹 통치자로 우르호 칼레바 케코넨을 등장시키는 등 현대 정치에 대한 언급도 포함했다.[2] 그는 주간지 《수오멘 쿠발레흐티(Suomen Kuvalehti)》의 칼럼에서 핀란드의 주요 정치인과 공무원을 면밀히 분석했다.[1]

하비코의 시에는 왕, 궁궐, 정원, 숲 등이 자주 등장했다.[1] 그는 사랑, 낭만, 남녀 관계를 묘사하는 데 재능이 있었으며, 첫 번째 아내가 사망한 후에는 경제, 정치, 사회와 같은 주제에 대해 쓰기 시작했다.[7]

3. 1. 다양한 장르에서의 활동

하비코는 시인으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거의 모든 문학 장르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희곡은 전통적인 연극 무대에서 거의 공연되지 않았다. 텔레비전 시리즈 《쇠의 시대(Rauta-aika)》는 핀란드 국민 서사시 칼레발라를 자유롭게 묘사했다. 오페라 《기사》(Ratsumies, The Horseman영어)와 《왕은 프랑스로 간다》(Kuningas lähtee Ranskaan, The King goes forth to France영어)는 하비코의 대본에 맞춰 아울리스 살리넨이 작곡했다.[7]

하비코는 자신의 작품을 역사적 맥락에 많이 배치했지만, 그의 희곡 《농부와 여우》(Agricola ja kettu)에서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와 스탈린을 언급하거나, 바이킹 통치자로 우르호 칼레바 케코넨을 등장시키는 등 현대 정치에 대한 언급도 포함했다.[2] 그는 주간지 《수오멘 쿠발레흐티》(Suomen Kuvalehti)의 칼럼에서 핀란드의 주요 정치인과 공무원을 면밀히 분석했다.[1]

하비코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이미지로는 왕, 궁궐, 정원, 숲 등이 있었다.[1] 하비코는 사랑, 낭만, 남녀 관계를 묘사하는 데 재능이 있었다. 첫 번째 아내가 사망한 후, 그는 시에서 잘 다루지 않는 경제, 정치, 사회와 같은 주제에 대해 쓰기 시작했다.[7]

그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
머나먼 곳에 이르는 길 (Tiet etäisyyksiin)1951
조국 (Synnyinmaa)1955
잎은 잎 (Lehdet lehtiä)1958
겨울궁전 (Talvipalatsi)1959
개인의 일 (Yksityisiä asioita)1960
클라우디우스 키빌리크센 음모단 탁자 위의 유리잔 (Lasi Claudius Civiliksen salaliittolaisten pöydällä)1964
영구평화의 시대 (Ikuisen rauhan aika)1981
쇠의 시대 (Rauta-aika)1982


3. 2. 오페라 대본

하비코는 시인으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거의 모든 문학 장르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아울리스 살리넨은 하비코의 대본에 맞춰 오페라 《기사》(Ratsumies, 영어 제목: The Horseman)와 《왕은 프랑스로 간다》(Kuningas lähtee Ranskaan, 영어 제목: The King goes forth to France)를 작곡했다.[7]

3. 3. 역사와 현대 정치의 결합

하비코는 시인으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거의 모든 문학 장르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희곡은 전통적인 연극 무대에서 거의 공연되지 않았다. 텔레비전 시리즈 《쇠의 시대(Rauta-aika)》는 핀란드 국민 서사시 칼레발라를 자유롭게 묘사했다. 오페라 《기사(Ratsumies, The Horseman영어)》와 《왕은 프랑스로 간다(Kuningas lähtee Ranskaan, The King goes forth to France영어)》는 하비코의 대본에 맞춰 아울리스 살리넨이 작곡했다.[7]

하비코는 자신의 작품을 역사적 맥락에 많이 배치했지만, 그의 희곡 《농부와 여우》(Agricola ja kettu)에서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와 스탈린을 언급하거나, 바이킹 통치자로 우르호 칼레바 케코넨을 등장시키는 등 현대 정치에 대한 언급도 포함했다.[2] 그는 주간지 《수오멘 쿠발레흐티(Suomen Kuvalehti)》의 칼럼에서 핀란드의 주요 정치인과 공무원을 면밀히 분석했다.[1]

하비코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이미지로는 왕, 궁궐, 정원, 숲 등이 있었다.[1] 하비코는 사랑, 낭만, 남녀 관계를 묘사하는 데 재능이 있었다. 첫 번째 아내가 사망한 후, 그는 시에서 잘 다루지 않는 경제, 정치, 사회와 같은 주제에 대해 쓰기 시작했다.[7]

3. 4. 작품의 주제와 특징

하비코는 시인으로 경력을 시작했지만, 거의 모든 문학 장르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희곡은 전통적인 연극 무대에서 거의 공연되지 않았다. 텔레비전 시리즈 《쇠의 시대》(Rauta-aika)는 핀란드 국민 서사시 칼레발라를 자유롭게 묘사했다. 오페라 《기사》(Ratsumies, The Horseman영어)와 《왕은 프랑스로 간다》(Kuningas lähtee Ranskaan, The King goes forth to France영어)는 하비코의 대본에 맞춰 아울리스 살리넨이 작곡했다.[7]

하비코는 자신의 작품을 역사적 맥락에 많이 배치했지만, 그의 희곡 《농부와 여우》(Agricola ja kettu)에서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와 스탈린을 언급하거나, 바이킹 통치자로 우르호 칼레바 케코넨을 등장시키는 등 현대 정치에 대한 언급도 포함했다.[2] 그는 주간지 《수오멘 쿠발레흐티》(Suomen Kuvalehti)의 칼럼에서 핀란드의 주요 정치인과 공무원을 면밀히 분석했다.[1]

하비코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이미지로는 왕, 궁궐, 정원, 숲 등이 있었다.[1] 하비코는 사랑, 낭만, 남녀 관계를 묘사하는 데 재능이 있었다. 첫 번째 아내가 사망한 후, 그는 시에서 잘 다루지 않는 경제, 정치, 사회와 같은 주제에 대해 쓰기 시작했다.[7]

4.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수여 기관비고
1966년Aleksis Kiven palkinto|알렉시스 키비 상fi핀란드 문학 협회[1]
1967년프로 핀란디아 메달
1969년헬싱키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1]
1978년핀란드 백장미 기사 훈장 1급
1984년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8]
1993년스웨덴 한림원 북유럽상작은 노벨상으로 알려짐 [1]
2007년아메리카 문학상


5. 작품 목록

하비코는 시, 희곡, 오페라 대본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을 남겼다. 8개월마다 한 권의 책을 썼다고 할 정도로 왕성하게 활동했다.[2]

'''주요 작품:'''


  • 머나먼 곳에 이르는 길 (1951)
  • 조국 (1955)
  • 잎은 잎 (1958)
  • 겨울궁전 (1959)
  • 개인의 일 (1960)
  • 클라우디우스 키빌리크센 음모단 탁자 위의 유리잔 (1964)
  • 영구평화의 시대 (1981)
  • 철의 시대 (1982)

5. 1. 시

제목연도출판사비고
머나먼 곳에 이르는 길 (Tiet etäisyyksiin)1951WSOY
조국 (Synnyinmaa)1955오타바
잎은 잎 (Lehdet lehtiä)1958오타바
겨울궁전 (Talvipalatsi)1959오타바The Winter Palace
개인의 일 (Yksityisiä asioita)1960
클라우디우스 키빌리크센 음모단 탁자 위의 유리잔 (Lasi Claudius Civiliksen salaliittolaisten pöydällä)1964
나무, 그들의 모든 푸르름1966오타바
해협을 건너는 여행의 시1973오타바
스물 하나1974오타바One and twenty영어 (2007, 번역: Anselm Hollo), 비버턴: Aspasia Books
와인, 쓰기1976오타바
변호1977WSOY시와 격언
영구평화의 시대 (Ikuisen rauhan aika)1981
철의 시대 (Rauta-aika)1982
급류의 삶 다섯 연작1987아트 하우스
5월, 영원한1988아트 하우스
사랑과 죽음에 관하여1989아트 하우스
겨울 시1990아트 하우스
나무의 우월성에 관하여1993아트 하우스
프로스페로의 시2001아트 하우스


5. 2. 시집

제목출판년도출판사
Tiet etäisyyksiinfi1951년
Synnyinmaafi1955년
Lehdet lehtiäfi1958년
Talvipalatsifi1959년
Yksityisiä asioitafi1960년
Lasi Claudius Civiliksen salaliittolaisten pöydälläfi1964년
Ikuisen rauhan aikafi1981년
Rauta-aikafi1982년
시 1951–19611962년오타바
시 1949–19741975년오타바
서사시1975년오타바
다리. 선정시1984년오타바
시! 시 1984–19921992년WSOY
* 마감 후1984년
* 사랑과 격분으로1985년
* 급류처럼 흐르는 삶의 다섯 연작1987년
* 5월, 영원히1988년
* 겨울 시1990년
* 검은 허브집1992년
글자 기호 검정. 시 1949–19661993년WSOY
폭군의 찬가. 시 1970–19811994년WSOY
선정시2006년WSOY


  • ''시! 시 1984-1992''에는 격언집 ''어둠''(1984) 및 ''시민의 자유에 관하여''(1989)의 모든 시와, ''마감 후''와 ''사랑과 격분으로'', ''검은 허브집''이 포함되어 있다. ''마감 후''와 ''사랑과 격분으로''는 처음 출판되었을 때 저자가 소수의 친구들에게만 배포했고, ''검은 허브집''은 이전에 출판되지 않았다.

5. 3. 희곡


  • Tiet etäisyyksiin|티에트 에태이시윅신|머나먼 곳에 이르는 길fi, 1951
  • Synnyinmaa|쉬뉜마|조국fi, 1955
  • Lehdet lehtiä|레흐데트 레흐티애|잎은 잎fi, 1958
  • Talvipalatsi|탈비팔라트시|겨울궁전fi, 1959
  • Yksityisiä asioita|윅시튀이시애 아시오이타|개인의 일fi, 1960
  • Lasi Claudius Civiliksen salaliittolaisten pöydällä|라시 클라우디우스 키빌리크센 살라리톨라이스텐 푀이댈래|클라우디우스 키빌리크센 음모단 탁자 위의 유리잔fi, 1964
  • Ikuisen rauhan aika|이쿠이센 라우한 아이카|영구평화의 시대fi, 1981
  • Rauta-aika|라우타 아이카|철의 시대fi, 1982
  • Münchhausen; Nuket: kaksi näytelmää|뮌히하우젠; 누케트: 캑시 내위텔매fi, 1960, 오타바
  • Ylilääkäri: kaksi näytelmää|윌릴래캐리: 캑시 내위텔매fi, 1968, 오타바. 《일릴래캐리》와 《아그리콜라 야 케투》를 포함한다.
  • Sotilaallinen ilta Viipurissa 1918|소틸랄리넨 일타 비푸리사 1918fi, 1978, 오타바
  • Viisi pientä draamallista tekstiä|비시 피엔태 드라말리스타 텍스티애fi, 1981, 오타바
  • Sulka: 12 näytelmää|술카: 12 내위텔매fi, 1997, WSOY. 《술카》(1973), 《라츠마니스》(1974) (《기마병》), 《쿠닝가스 래흐테에 란스카안》(1974) (《왕은 프랑스로 간다》), 《하랄드 피탘카이넨》(1974), 《아그리콜라 야 케투》(1968), 《쿠닝가스 하랄드, 야히바이스엣》(라디오 극, 1978), 《카이사 야 오토》(1976), 《헤라 외스탄스코그》(1981), 《네 바흐빔맛 미에헤트 에이 에흐지키 쟈아》(1976), 《나이슴메츠ä》(라디오 극, 1989), 《엔글란틸라이넨 타리나》(1990), 《아나스타시아 야 민ä》(1992) (《아나스타샤와 나》)를 포함한다.
  • Airo ja Brita|아이로 야 브리타fi, 1999, 아트 하우스
  • Hitler sateenvarjo|히틀러 사텐바료fi, 2004, WSOY

5. 4. 기타 산문


  • 〈Tiet etäisyyksiinfi〉, 1951년
  • 〈Synnyinmaafi〉, 1955년
  • 〈Lehdet lehtiäfi〉, 1958년
  • 〈Yksityisiä asioitafi〉, 1960년
  • 〈Lasi Claudius Civiliksen salaliittolaisten pöydälläfi〉, 1964년
  • 〈Ikuisen rauhan aikafi〉, 1981년
  • 〈Rauta-aikafi〉, 1982년
  • Kullervo's Story|쿨레르보의 이야기영어, 1982년

5. 5. 오페라 대본


  • Tiet etäisyyksiin|티에트 에타이쉬윜신|머나먼 곳에 이르는 길fi, 1951년
  • Synnyinmaa|쉬뉜마|조국fi, 1955년
  • Lehdet lehtiä|레흐데트 레흐티아|잎은 잎fi, 1958년
  • Talvipalatsi|탈비팔라트시|겨울궁전fi, 1959년
  • Yksityisiä asioita|윅시튀이시아 아시오이타|개인의 일fi, 1960년
  • Lasi Claudius Civiliksen salaliittolaisten pöydällä|라시 클라우디우스 키빌리크센 살라리톨라이스텐 표이달라|클라우디우스 키빌리크센 음모단 탁자 위의 유리잔fi, 1964년
  • Ikuisen rauhan aika|이쿠이센 라우한 아이카|영구평화의 시대fi, 1981년
  • Rauta-aika|라우타 아이카|철의 시대fi, 1982년
  • 파보 더 그레이트. 위대한 경주. 위대한 꿈., 2000년
  • Ratsumies|라추미에스|기수fi, 1974년
  • Kuningas lähtee Ranskaan|쿠닝가스 라흐테 란스칸|왕은 프랑스로 간다fi, 1974년

참조

[1] 웹사이트 Paavo Haavikko (1931-2008) http://authorscalend[...] Kuusankoski library 2016-05-05
[2] 웹사이트 Haavikko, Paavo (1931 - 2008) http://www.kansallis[...] Biografiakeskus,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16-05-05
[3] 웹사이트 Haavikko, Paavo (1931 - 2008) http://www.kansallis[...] Biografiakeskus,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16-09-19
[4] 서적 Who's Who in Twentieth Century World Poet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12-05
[5] 간행물 Contemporary Authors Online Gale 2008
[6] 웹사이트 Kustantajaperhe tekee turvebisnestä http://www.kaleva.fi[...] 2016-09-20
[7] 웹사이트 Elämä oli ennen toisenlaista, mutta nyt se on toisenlaista http://seinajoenkaup[...] 2016-09-20
[8] 웹사이트 OU.edu http://www.ou.edu/w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