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패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모는 한국과 중국 북동부에 분포하는 식물이다. 백색의 비늘줄기를 가지며, 5월에 자주색 꽃이 피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비늘줄기는 진해·거담 및 최유제로 사용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화단이나 화분에 심어 기르며, 인공교배를 통해 새로운 품종을 만들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합과 - 얼레지
    얼레지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봄에 잎이 돋아 꽃을 피운 후 지상부가 사라지는 스프링 에페머럴 식물이며, 얼룩덜룩한 잎과 뒤로 말리는 자주색 꽃잎이 특징이고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잎은 식용, 비늘줄기는 약용으로 사용된다.
  • 백합과 - 개감채
    개감채는 한국 북부 고산 지대와 북반구 한대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6~8월에 흰색 꽃이 피고 어린순과 인경을 식용하며 약재로도 사용한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산철쭉
    산철쭉은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으로, 영산홍의 한 형태이며 대한민국 남부와 일본, 미얀마, 중국 등에 분포하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패모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랴브치크 우수리스키 (2).jpg
학명Fritillaria ussuriensis
명명자Maxim.
이명Fritillaria usuriensis, 대체 철자, 예: World Checklist 및 IPNI
생물 분류
식물계
미분류_문속씨식물군
미분류_강외떡잎식물군
백합목
백합과
패모속
아속패모아속
패모
크기
높이100 cm

2. 분포

한국과 중국 북동부에 분포한다.

3. 특징

비늘줄기는 백색이고 육질이며 5-6개의 비늘조각으로 되어 있다. 원줄기는 높이가 25cm 내외이다. 잎은 2개 또는 3개씩 두루 달리고 선형이며, 윗부분에 달린 것은 끝이 안으로 말려서 덩굴손같이 보인다. 꽃은 5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서 밑을 향한다. 꽃덮이조각과 수술은 6개씩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4. 이용

비늘줄기는 중국패모(Fritillaria thunbergii)와 더불어 진해·거담 및 최유제로 사용한다.

5. 재배 및 관리

화단에 심을 경우에는 북풍을 막을 수 있는 자리가 좋다. 화분에 심을 때는 흙을 산모래 7에 부엽 3의 비율로 섞어 쓴다. 밝은 곳에 두고 키우다가 휴면기에 접어들면 벤치 아래 등 그늘진 곳에 두고 물주는 횟수를 줄이며 봄을 기다린다. 옮겨심기는 휴면 기간인 겨울철에 한다. 인공교배를 통해 종자를 얻으면 씨뿌리기로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낼 수도 있으므로, 많은 애호가가 가정에서 인공교배를 시도해보기를 권한다.[5]

참조

[1] 간행물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Fritillaria usuriensis Maxim. http://apps.kew.org/[...]
[2] 간행물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Fritillaria usuriensis Maxim. http://www.ipni.org/[...]
[3] 서적 Decas Plantarum Novarum Petropoli 1882
[4] 간행물 Flora of China, Vol. 24 Page 131 平贝母 ping bei mu Fritillaria ussuriensis Maximowicz in Trautvetter et al., Decas Pl. Nov. 9. 1882. http://www.efloras.o[...]
[5] 서적 세밀화로보는한국의야생화 김영사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