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양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양공주는 본래 양신장공주였으나 평양이후 조참의 후손인 조수와 결혼하면서 평양공주로 불렸다. 그녀는 시녀 위온의 딸 위자부를 한 무제에게 소개하여 후궁으로 들였으며, 위자부의 이복 오빠인 위청을 남편으로 맞이했다. 조수가 사망한 후 하후포와 재혼했으나 하후포가 사망한 후 위청과 재혼하여 남은 생을 함께 했다. 평양공주는 오빠인 한 무제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위자부와 한 무제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세기 사람 - 복승
    복승은 진나라 박사로, 분서갱유 당시 《상서》를 보존하고 한나라 때 제자들을 가르쳐 금문상서 학파 형성의 기반이 된 인물이다.
  • 기원전 2세기 사람 - 중항열
    중항열은 전한 시대에 흉노에 투항하여 흉노의 발전에 기여하고 한나라를 공격하도록 부추기는 등 한간으로 비판받았으며, 흉노 문화의 우월성을 주장하며 흉노의 민족적 독립을 옹호한 인물이다.
  • 전한의 공주 - 노원공주
    노원공주는 전한 고제의 딸이자 혜제의 누이로, 흉노와의 정략결혼을 피해 조왕 장오에게 시집갔으며, 유방 사후 여태후의 권력 강화를 위한 혼인 정책의 중심에 있다가 제나라 왕태후가 된 후 안릉에 묻혔고 드라마 미인심계 등을 통해 재조명되었다.
  • 전한의 공주 - 관도장공주
    관도장공주는 전한 문제의 딸로, 관도에 봉해져 관도공주로 불렸으며, 경제에게 여자를 소개하고 딸 진아교를 무제와 결혼시키려 했지만 실패했고, 이후 동언을 총애하다 그와 함께 묻혔다.
평양공주
기본 정보
아버지한 경제
어머니왕지
작위양신장공주
배우자조시, 평양후
하후파, 여음후
위청, 장평열후
자녀조상

2. 생애

평양공주는 무제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무제는 종종 그녀의 저택을 방문했다. 평양공주는 무제와 위자부를 맺어준 중요한 인물이다.[8][9] 위자부는 평양공주의 집에서 가수로 일했으며, 위청은 마부로 일했다. 무제는 위자부를 후궁으로 맞이했고,[10][11] 위청은 근위 기병으로 발탁된 후 흉노와의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다.[12]

기원전 131년, 평양공주의 남편 조수가 사망하자, 평양공주는 여음의 후작 하후포와 재혼했다. 기원전 115년, 하후포가 아버지의 하녀와 간통한 죄로 자살하자, 평양공주는 위청과 재혼했다. 평양공주는 위청이 이전 자신의 하인이었기 때문에 망설였지만, 위청이 고위 후작이 된 것을 알고 마음을 바꾸었다.[13] 평양공주는 위 황후를 통해 무제에게 자신의 뜻을 전했고, 무제의 축복을 받아 위청과 결혼했다.

2. 1. 초기 생애와 첫 번째 혼인

본래 칭호는 양신장공주(陽信長公主)였으나 조참의 후손인 평양이후 조수(曹壽)와 결혼하면서 그의 봉호를 따라 평양공주로 불리게 되었다. 평양공주는 조수와의 사이에서 아들 조양(曹襄)을 낳았다.[6][7]

평양공주의 시녀 위온(衛溫)은 1남 3녀를 두었는데, 그 중 관리 정계(鄭季)와 사통해 낳은 아들이 위청이다. 위청은 아버지 쪽 식구들에게 구박을 받자 어머니가 일하는 평양공주의 집으로 와 노복이 되었다. 위온의 딸 위자부는 평양공주의 집에서 가희(歌姬)로 일했는데, 뛰어난 미모와 재능을 눈여겨본 평양공주는 무제가 자신의 집을 방문했을 때 위자부를 추천했다. 무제는 위자부를 총애했고, 평양공주는 위자부를 궁으로 보내며 "네가 총애를 받더라도 나를 잊어서는 안 된다"라고 당부했다. 위자부가 무제의 총애를 받으면서 위청 또한 관직을 얻어 출세했고, 흉노 정벌에 큰 공을 세웠다.[12]

기원전 131년 남편 조수가 세상을 떠나자,[13] 평양공주는 재혼할 상대를 찾았다. 주위 사람들은 위청을 천거했지만, 평양공주는 과거 자신의 노복이었던 위청을 남편으로 맞는 것을 망설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위청이 황후의 동생이자 뛰어난 인물임을 강조했고, 평양공주도 이를 받아들여 위청과 재혼하기로 결심했다.

2. 2. 위자부와 무제의 만남

평양공주의 시녀 위온(衛溫)은 1남 3녀가 있었는데, 그 중 관리 정계(鄭季)와 사통해 낳은 아들 위청은 아버지 쪽 식구들의 구박을 견디지 못하고 어머니가 일하는 평양공주의 집을 찾아와 그녀의 노복이 되었다. 위온의 딸 위자부는 빼어난 미모와 자질로 평양공주의 집에서 가희를 하고 있었는데, 무제가 평양공주를 찾아왔을 때 위자부에게 관심을 보였다. 평양공주는 위자부를 입궁시켰다. 이때 가마에 오르는 위자부의 등을 두드리며 "네가 총애를 받더라도 나를 잊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2. 3. 위청의 발탁과 두 번째 혼인

평양공주는 본래 양신장공주(陽信長公主)였으나 평양후 조참의 후손인 평양이후 조수(曹壽)와 결혼하면서 그의 봉호를 따라 평양공주로 불리게 되었다. 평양공주의 시녀 위온(衛溫)은 1남 3녀가 있었는데, 그 중 관리 정계(鄭季)와 사통해 낳은 아들 위청은 아버지 쪽 식구들의 구박을 견디지 못하고 어머니가 일하는 평양공주의 집을 찾아와 그녀의 노복이 되었다. 위온의 딸 위자부는 빼어난 미모와 자질로 평양공주의 집에서 가희를 하고 있었는데, 무제가 평양공주를 찾아왔을때 그녀에게 관심을 보이자 평양공주는 위자부를 입궁시켰다. 이때 위자부의 등을 두드리며 "네가 총애를 받더라도 나를 잊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고 한다. 위자부가 무제의 총애를 받기 시작하면서 위청 또한 관직을 얻어 출세하였고 흉노를 일곱 차례나 정벌하는 등 큰 공을 세웠다.

기원전 131년 평양공주의 남편 조수가 세상을 떠나자, 공주는 재혼할 남편감을 물색했고 주위 사람들이 위청을 천거했다. 평양공주는 과거에 자신의 집에서 노복으로 일하던 위청을 어떻게 남편으로 맞느냐고 했지만, 사람들은 그가 황후의 동생으로 천하에 그만한 인물이 없다고 했고 공주도 이를 옳게 여겨 위청을 택했다.

이후 평양공주는 여음의 후작인 하후포와 재혼했다. 하지만 하후포가 기원전 115년에 아버지의 하녀와 간통하여 자살한 후, 평양공주는 다시 재혼을 고려했고, 그녀의 조언자들은 위청을 구혼자로 제안했다. 그녀는 처음에 위청이 자신의 이전 하인이었기 때문에 망설였지만, 위청이 이미 고위 후작이 되었다는 것을 상기한 후 동의했다.[13] 위 황후를 통해 자신의 소망을 표현한 후, 평양공주는 무제의 축복을 받아 위청과 결혼했고, 그들의 남은 생애 동안 그의 배우자로 남았다.

2. 4. 하후포와의 혼인

평양공주는 조시와 결혼하여 아들 조상(曹襄)을 낳았다. 조상이 친아들이 아니라 첩에게서 얻은 아들, 즉 서자(庶子)일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 조상은 기원전 131년에 아버지의 작위를 물려받았다.[6][7]

조시가 기원전 131년에 사망하자, 평양공주는 여음의 후작 하후포와 재혼했다. 그러나 기원전 115년, 하후포는 아버지의 하녀와 간통한 죄로 자살했다. 이후 평양공주는 다시 재혼할 생각을 했고, 주변 사람들은 위청을 추천했다. 평양공주는 처음에는 위청이 자신의 하인이었다는 점 때문에 망설였지만, 위청이 이미 높은 지위에 올랐다는 사실을 알고 마음을 바꾸었다.[13]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Comprehensive Mirror to Aid in Government): Modern Chinese Edition edited by Bo Yang Taipei 1982-1989
[2] 서적 The Magnificent Emperor Wu: China's Han Dynasty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20-05-01
[3]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Shang Dynast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16
[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 - 618 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26
[5]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史记 卷五十四 曹相国世家第二十四》
[6] 서적 Representations of Childhood and Youth in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4
[7] 서적 Han Material 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2-02
[8] 서적 Ban Gu's History of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a Press
[9] 서적 Transgressive Typologies: Constructions of Gender and Power in Early Tang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2020-10-26
[10] 서적 Records of Han Dynasty: Zi Zhi Tong Jian 资治通鉴; or Comprehensive Mirror in Aid of Governance; Volume 9-68 https://books.google[...] DeepLogic
[11] 서적 Women Shall Not Rule: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Han to Liao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3-06-06
[12] 서적 The Poetry and Prose of Wang Wei: Volume I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20-07-06
[13] 서적 A GENERAL INTRODUCTION TO CHINESE CULTURE https://books.google[...] American Academic Press 2022-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