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항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항열은 한나라의 환관으로, 흉노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가 흉노에 귀순하여 흉노의 선우를 섬기며 한나라에 대항한 인물이다. 그는 흉노에게 한나라 침략을 부추기고, 흉노의 문서를 개정하는 등 흉노의 발전을 도왔다. 또한 그는 한나라의 사신에게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며 흉노의 한나라 침략을 심화시켰고, 이는 '한의 재앙'으로 불렸다. 그는 흉노 문화의 우월성을 주장하며 흉노의 독립을 강조했으며, 사가들은 그를 배신자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세기 사람 - 평양공주
평양공주는 전한 시대 양신장공주로, 평양의후 조수와 혼인 후 평양공주로 불렸으며, 위청과 위자부의 후원자로서 이들의 성공에 기여했고 정치적 감각과 인물 식별 능력이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지만, 사치와 가문 인사 등용에 치중했다는 비판도 있다. - 기원전 2세기 사람 - 복승
복승은 진나라 박사로, 분서갱유 당시 《상서》를 보존하고 한나라 때 제자들을 가르쳐 금문상서 학파 형성의 기반이 된 인물이다. - 흉노 사람 - 이릉
이릉은 전한의 무장으로 이광의 손자이며 기마궁술에 능하여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흉노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항복 후 흉노의 우교왕이 되어 20여 년간 망명 생활을 하다 병사했고 그의 항복은 조국을 배신했다는 비판과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옹호론이 있다. - 흉노 사람 - 한왕 신
한왕 신은 초한쟁패 시기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흉노와의 관계 악화로 흉노에 투항하여 전한과 대립한 한나라 양왕의 후손이다. - 한나라의 환관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 한나라의 환관 - 조등
조등은 후한의 환관으로 안제부터 환제까지 다섯 황제를 섬기며 고위 관직을 역임했고, 순제의 신임을 얻어 환제 옹립에 기여했으며, 청렴하고 아량 있는 성품과 인재 발탁 능력으로 당대인들의 존경을 받았고, 사후 증손자 조비에 의해 고황제로 추존되어 묘소가 보호받고 있다.
| 중항열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중항열 |
| 원어 표기 | 中行說 |
| 로마자 표기 | Zhōngháng Yuè |
| 생몰년도 | 기원전 2세기 |
| 경력 | |
| 소속 | 한나라 → 흉노 |
| 주요 활동 | 흉노 선우 측근 |
| 기타 | |
| 참고 사항 | 환관 출신 |
2. 약력
당시 한 왕조는 황제의 자리를 노리던 여씨(呂氏) 일족이 멸망한 뒤에도 한 조정을 위협하는 많은 불평분자들이 여전히 존재했고, 그들을 진정시키기는 동안 외부 항쟁은 피해야 했다. 한의 문제는 흉노와 화친을 맺고는 선우에게 한의 황족의 딸을 시집보내면서, 중항열을 시종으로 함께 보냈다.[2]
중항열은 흉노의 나라에 가기를 거부했지만 한 조정은 그를 강제로 한에 보냈고, 이에 한 조정에 큰 원한을 품게 된 중항열은 “내 반드시, 한의 재앙이 되리라”라는 말을 남겼다.[2] 흉노에 도착한 중항열은 그대로 흉노에 귀순해, 당시의 선우였던 노상선우에게 청원해 그의 측근이 되었고, 한에서 보내오는 비단이나 음식 같은 물품을 받는 것이 흉노에게 오히려 불리한 일임을 노상선우에게 설파하면서 흉노가 원하는 것은 한을 쳐서 약탈해 오면 된다고 선우에게 한 침공을 부추겼다.[2]
또한 선우의 측근에게 글자와 셈법을 가르쳐 사람과 가축의 수를 파악하게 했으며, 흉노가 한에 보내는 문서의 양식과 문체도 흉노가 더 상위에 있도록 바꾸었다.
이후 흉노로 온 한의 사신에게도 한 조정에 대한 쓴소리를 늘어놓으며, 사신이 무엇을 말하든 듣지 않는다는 자세를 관철하였다. 이에 따라 흉노의 한 침공은 다시 심화되었고, 이것은 중항열이 말했던 “한의 재앙”이 되었다.
노상선우가 죽은 뒤에도 그 후계자 군신선우를 섬겼다.[2]
2. 1. 흉노 투항 전
중항열은 한나라 시대에 살았으며, 동쪽 유라시아 대초원에 거주하는 부족 연맹체인 이웃 흉노와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3] 두 정권 사이에는 자원과 국경 문제를 놓고 여러 차례 전쟁을 벌이면서 갈등이 있었다.[3] 기원전 200년 황실 군대가 패배한 후, 한나라는 결혼 동맹의 외교 정책인 ''화친''을 도입했다.[3] 화친 정책은 중국 공주를 흉노 지도자에게 시집보내는 결혼 기반 동맹을 만들었다.[4] 일반적으로 이러한 정략 결혼에는 귀중한 선물, 자원 및 기타 협정(예: 검문소 개방)이 수반되었으며, 이는 흉노에게 유익한 것으로 간주되었다.[5]중항열은 한나라의 환관이었다. 당시 문제는 흉노의 선우에게 한나라 황족의 여자를 시집보내면서 솜, 비단, 음식 등의 선물을 납부하여 화친 조약을 맺었다. 당시 한나라에서는 황제의 자리를 노리던 여씨를 멸망시켰지만, 아직 한나라를 위협하는 불평 분자의 존재가 많았고, 국내 안정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는 사정이 있어서, 한나라 국경을 어지럽히는 흉노와의 항쟁은 피해야 했다. 문제는 중항열을 흉노로 시집가는 여자의 호위역으로 보내기로 결정했다. 중항열은 흉노로 가는 것을 거부했지만, 한나라는 강제로 보냈다. 중항열은 한나라 조정에 격렬한 원한을 품고, "반드시 나는 한나라에게 재앙을 가져다주는 자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흉노에 도착한 중항열은 한나라와 결별하고 당시 흉노의 선우였던 노상 선우에게 귀순하여 그의 측근이 되었다. 중항열은 한나라로부터의 선물을 더 이상 받는 것은 흉노에게 좋지 않다고 노상에게 설득하고, 흉노가 원하는 것은 한나라에서 약탈하면 된다고 한나라에 대한 침공을 부추겼다. 또한, 선우의 측근에게 서기를 가르치고, 사람과 가축의 수를 파악하게 하였다. 흉노가 한나라에 보내는 문서의 양식과 문구는, 흉노가 더 상위가 되도록 개정되었다. 자신의 뒤에 흉노로 보내진 한나라의 사신에게는 한나라 조정에 대한 쓴소리를 내뱉고, 사신이 무슨 말을 하든 들은 척도 하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이로 인해 흉노의 한나라 침공이 다시 심각해졌고, 중항열은 한나라에게 재앙을 가져다주게 되었다.
노상 선우가 죽자, 중항열은 후계자인 군신 선우를 섬겼다.
2. 2. 흉노 투항 및 활동
중항열은 원래 한나라의 환관이었다. 당시 한나라는 황제의 자리를 노리던 여씨 일족을 멸망시켰지만, 여전히 불평분자들이 존재하여 국내 안정을 최우선으로 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나라는 국경을 어지럽히는 흉노와의 항쟁을 피하고자 했다. 문제는 흉노와 화친을 맺고 선우에게 한나라 황족의 딸을 시집보내면서, 중항열을 시종으로 함께 보냈다.[2]중항열은 흉노로 가기를 거부했지만, 한 조정은 강제로 그를 보냈다. 이에 원한을 품은 중항열은 "내 반드시, 한의 재앙이 되리라"라는 말을 남겼다.[2] 흉노에 도착한 중항열은 즉시 흉노에 귀순하여 노상선우의 측근이 되었다. 그는 노상선우에게 한에서 보내오는 비단이나 음식 같은 물품을 받는 것보다 흉노가 직접 한을 침공하여 약탈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설득했다.[2]
중항열은 선우의 측근에게 글자와 셈법을 가르쳐 인구와 가축 수를 파악하게 했으며, 흉노가 한에 보내는 문서의 양식과 문체를 흉노가 더 상위에 있도록 바꾸었다. 또한 흉노로 온 한의 사신에게 한 조정에 대한 쓴소리를 하며, 사신의 말을 듣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기원전 166년, 흉노는 한나라를 침략하여 수천 명의 농민과 가축을 포획했다.[6] 이 침략은 한나라와 흉노 간의 지속적인 전쟁을 시작하게 했다. 중항열의 이러한 행동은 그가 말했던 "한의 재앙"이 되었다. 노상선우가 죽은 뒤에도 중항열은 후계자인 군신선우를 섬겼다.
2. 3. 흉노에서의 최후
중항설은 한나라의 환관이었다. 당시 한나라의 문제는 흉노의 선우에게 한나라 황족의 여자를 시집보내고, 그 수행원으로 환관을 선택하여 함께 흉노로 보냈다. 또한 솜, 비단, 음식 등의 선물을 납부함으로써 흉노와의 화친 조약을 맺었다. 마침 한나라에서는 황제의 자리를 노리던 여씨를 멸망시켰지만, 아직 한나라를 위협하는 불평 분자가 많았고, 국내 안정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는 사정도 있어서, 한나라 국경을 어지럽히는 흉노와의 항쟁은 피해야 했다. 문제는 중항설을 흉노로 시집가는 여자의 호위역으로 흉노로 보내기로 결정했는데, 중항설은 이를 거부했지만 강요받았다.흉노에 도착한 중항설은 한나라 조정에 격렬한 원한을 품고 "반드시 나는 한나라에게 재앙을 가져다주는 자가 될 것이다"라고 말하며, 당시 흉노의 선우였던 노상 선우에게 귀순을 간청하여 측근이 되었다. 측근이 되자마자 중항설은 한나라로부터의 선물을 더 이상 받는 것은 흉노에게 좋지 않다고 노상에게 설득하고, 흉노가 원하는 것은 한나라에서 약탈하면 된다고 침공을 부추겼다. 또한, 선우의 측근에게 서기를 가르치고, 사람과 가축의 수를 파악하게 하였다. 흉노가 한나라에 보내는 문서의 양식과 문구는 흉노가 더 상위가 되도록 개정되었다. 자신의 뒤에 흉노로 보내진 한나라의 사신에게는 한나라 조정에 대한 쓴소리를 내뱉고, 사신의 말에 들은 척도 하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이로 인해 흉노의 한나라 침공이 다시 심각해졌고, 중항설은 한나라에 재앙을 가져다주게 되었다.
노상 선우가 죽자, 중항설은 후계자인 군신 선우를 섬겼다.
3. 사상 및 이념
중항열은 한 문화보다 흉노 문화와 전통이 더 뛰어나다고 주장했다. 중항열의 가장 중요한 이념 중 하나는 반(反) 중국 현지화였다.[1]
《사기》에 따르면, 흉노의 전통은 가축의 고기를 먹고, 젖을 마시며, 털옷을 입는 것이다. 가축은 풀과 물에 따라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흉노인들은 비상시에는 활을 쏘고 말을 타는 훈련을 하고, 평상시에는 스스로에 대한 규제가 거의 없다. 그들의 관료 체제는 매우 단순하며, 남자가 죽으면 그의 아내는 가족의 단절을 막기 위해 살아있는 형제, 아버지 또는 아들에게 재혼하는 풍습이 있었다. 반면 한나라는 남자가 아버지나 형제의 아내와 결혼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는 좋지 않고 서로를 죽이며, 심지어 성을 바꾸는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했다. 또한 한나라의 규칙은 황제와 신하 사이에 원한을 초래하고 궁궐에 대한 지출로 백성을 소모시킨다고 주장했다.[2] 중항열은 한족은 땅을 일구고 뽕나무를 심어 스스로 식량과 옷감을 조달하며, 자위(自衛)를 위해 벽을 쌓기 때문에, 비상시에는 싸우는 훈련을 하지 않고 비상시가 아닐 때 일을 한다고 보았다. 그는 좋은 숙소에서 살고, 좋은 옷을 입고, 잡담을 나누는 한족에게는 우월한 점이 없다고 평가했다.[2]
중항열은 선우(單于)에게 한(漢) 황제보다 더 큰 판, 도장, 인장을 사용하여 답신을 쓰도록 요청했고, 답신의 인사말에 오만한 어조를 사용하여 흉노의 힘을 과시했다.[2]
중항열은 "흉노의 총 인구는 한나라의 한 성보다 적다. 그러나 한나라와 흉노의 차이점이 흉노가 강한 이유이다. 따라서 흉노와 그 백성들이 한나라에 의존할 필요는 없다."라고 말하며 흉노의 민족 독립과 한나라로부터의 분리를 장려하는 태도를 보였다.[2] 한나라가 중항열과 논쟁하기 위해 사신을 보냈을 때, 그는 한나라가 흉노에게 제공하는 음식과 옷의 양과 질이 만족스럽지 않으면 흉노 기병들이 가을에 농작물을 파괴할 것이라고 위협했다.[2]
4. 평가
중항열은 종종 조국을 배신하고 적을 도운 '한간'(한족의 배신자)으로 여겨진다.[7] 《사기》는 그의 행위가 한나라의 이익을 해쳤음을 보여준다. 그는 흉노의 인구를 계산하고 그 세력을 추정했다.[8] 게다가 중항열이 외교에서 보인 오만함은 한나라에 대한 모욕으로 여겨졌다. 선우에 대한 그의 제안은 한나라를 상대로 여러 차례 전쟁을 일으키게 했다.[9] 서한 시대의 중국 시인이자 정치인인 가이는 중항열을 비판했다. 가이는 흉노 정권을 제거하고 중국식 현지화를 통해 강력하고 통일된 중국을 건설하는 것을 지지했다.[9] 또한, 그는 전쟁이 한족과 흉노 간의 문화적 차이의 유일한 이유라고 얕게 주장하며 지리적 위치와 기후의 영향을 무시했다는 비판도 받았다.[10]
4. 1. 부정적 평가
중항열은 종종 조국을 배신하고 적을 도운 '한간(한족의 배신자)'으로 여겨진다.[7] 《사기》는 그의 행위가 한나라의 이익을 해쳤음을 보여준다. 그는 흉노의 인구를 계산하고 그 세력을 추정했다.[8] 게다가 중항열이 외교에서 보인 오만함은 한나라에 대한 모욕으로 여겨졌다. 선우에 대한 그의 제안은 한나라를 상대로 여러 차례 전쟁을 일으키게 했다.[9] 서한 시대의 중국 시인이자 정치인인 가이는 중항열을 비판했다. 가이는 흉노 정권을 제거하고 중국식 현지화를 통해 강력하고 통일된 중국을 건설하는 것을 지지했다.[9] 또한, 그는 전쟁이 한족과 흉노 간의 문화적 차이의 유일한 이유라고 얕게 주장하며 지리적 위치와 기후의 영향을 무시했다는 비판도 받았다.[10]4. 2. 긍정적 평가 (한국의 시각)
5. 대중 문화에서의 묘사
2005년 텔레비전 드라마 ''한무대제''에서 중항열 역은 천창하이(陳長海)가 연기했다. 이 인물은 "흉노의 브레인, 중국 최초의 한간(漢奸)"으로 묘사되었다. 이 캐릭터는 연출을 위해 약간의 변경이 있었지만,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쓰여졌다.
참조
[1]
간행물
试论中行说的民族关系思想
http://www.airitilib[...]
2008-01-15
[2]
서적
匈奴列傳
https://ctext.org/sh[...]
[3]
간행물
Defamiliarizing the Foreigner: Sima Qian's Ethnography and Han-Xiongnu Marriage Diplomacy
2010
[4]
간행물
Marriage Alliances and Chinese Princesses in International Politics from Han through T'ang
1997
[5]
웹사이트
从王昭君和文成公主远嫁看汉唐和亲政策的变化-【维普网】-仓储式在线作品出版平台-www.cqvip.com
http://www.cqvip.com[...]
2018-10-20
[6]
웹사이트
中国历代纪元表
http://home.olemiss.[...]
2018-10-20
[7]
문서
大汉王朝的三大 “汉奸”
2009
[8]
웹사이트
西汉时期匈奴人口数量变化蠡测
http://rkyjj.cueb.ed[...]
[9]
웹사이트
贾谊的民族关系思想-【维普网】-仓储式在线作品出版平台-www.cqvip.com
http://www.cqvip.com[...]
2018-10-20
[10]
웹사이트
国家哲学社会科学文献中心
http://www.ncpssd.or[...]
2018-10-20
[11]
웹사이트
中行説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022-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