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폐안아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폐안아목은 2개 과, 12개 속, 46종으로 분류되는 두족류의 아목이다. 오스트레일리아꼴뚜기과와 꼴뚜기과로 나뉘며, 픽포드오징어속, 넓적오징어속, 창꼴뚜기속, 주머니꼴뚜기속, Doryteuthis속, Loligo속, 아프리카주머니꼴뚜기속, 뾰족꼴뚜기속, Aestuariolus속, Loliolus속, 창꼴뚜기속 등이 포함된다. 계통 관계는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꼴뚜기속의 위치는 불분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십완상목 - 대왕오징어
    대왕오징어는 네오오징어과와 함께 초과를 구성하는 단형 분류군에 속하며, 과거에는 여러 종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2013년 DNA 연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단일 종으로 결론 내려졌다.
  • 십완상목 - 갑오징어목
    갑오징어목은 두족강 두순아강에 속하며 갑오징어뼈라는 독특한 내부 구조, 뛰어난 위장술, 색 변화 메커니즘, 정교한 시각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120종 이상의 종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폐안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눈은 완전히 막으로 덮여 있음
눈은 완전히 막으로 덮여 있음
학명Myopsida
명명자Naef, 1916
분류
동물계 (Animalia)
연체동물문 (Mollusca)
두족강 (Cephalopoda)
상목십완형상목 (Decapodiformes)
살오징어목 (Teuthida)
아목폐안아목 (Myopsina)
아목 명명Orbigny, 1841
하위 분류
오스트레일리아꼴뚜기과 (Australiteuthidae)
꼴뚜기과 (Loliginidae)

2. 분류

폐안아목은 눈이 안막으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8] 2개 과, 12개 속, 46종으로 분류된다.[3] 한국명은 '세계 오징어류 도감'에 따른다.[4]


  • 오스트레일리아꼴뚜기과 (Australiteuthidae)
  • 꼴뚜기과 (Loliginidae) - 촉수주머니 중앙부에 4열 흡반이 있다.[8]

2. 1. 오스트레일리아꼴뚜기과 (Australiteuthidae)

Australiteuthidae영어는 오스트레일리아 연안에 서식하는 오스트레일리아꼴뚜기( ''Australiteuthis aldrichi'') 단일 종으로 구성된 폐안아목의 하위 과이다.[8]

2. 2. 꼴뚜기과 (Loliginidae)

꼴뚜기과는 폐안아목에 속하는 두족류 과로, 촉수주머니 중앙부에 4열의 흡반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8]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12개 속에 46종을 포함한다.[3] 한국에서는 '세계 오징어류 도감'에 따라 이름을 붙인다.[4]

꼴뚜기과는 다음과 같은 속을 포함한다.

  • 픽포드오징어속 (''Pickfordiateuthis'')
  • 넓적오징어속 (''Sepioteuthis'')
  • 창꼴뚜기속 (''Heterololigo'') - 창꼴뚜기 1종
  • 주머니꼴뚜기속 (''Lolliguncula'')
  • ''Doryteuthis''
  • ''Loligo''
  • ''Afrololigo'' - 아프리카주머니꼴뚜기 1종
  • 뾰족꼴뚜기속 (''Alloteuthis'')
  • ''Aestuariolus'' - 히카리주머니꼴뚜기 1종
  • ''Loliolus''
  • 창꼴뚜기속 (''Uroteuthis'')

2. 2. 1. 픽포드오징어속 (''Pickfordiateuthis'')

픽포드오징어속(''Pickfordiateuthis'')은 꼴뚜기과에 속하는 속이다.[3] 다음 3종을 포함하고 있다.

  • 베이어오징어 (''Pickfordiateuthis bayeri'')
  • 픽포드오징어 (''Pickfordiateuthis pulchella'')
  • ''Pickfordiateuthis vossi''

2. 2. 2. 넓적오징어속 (''Sepioteuthis'')

넓적오징어속( Sepioteuthis영어 Blainville, 1824)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3]

학명한국어 이름비고
Sepioteuthis australisla Quoy & Gaimard, 1832호주넓적오징어
Sepioteuthis lessonianala Lesson, 1830넓적오징어한국 연안 서식
Sepioteuthis sepioideala (Blainville, 1823)아메리카넓적오징어


2. 2. 3. 창꼴뚜기속 (''Heterololigo'')

Heterololigo영어 Natsukari, 1984는 창꼴뚜기 1종으로 구성된다.[3] 한국 연안에는 창꼴뚜기(''Heterololigo bleekeri영어'')가 서식한다.

2. 2. 4. 주머니꼴뚜기속 (''Lolliguncula'')

Lolliguncula영어 Steenstrup, 1881 주머니꼴뚜기속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3]

학명한국어 이름
Lolliguncula argusla Brakoniecki & Roper, 1985메테주머니꼴뚜기
Lolliguncula brevisla (Blainville, 1823)주머니꼴뚜기
Lolliguncula diomedeaela (Hoyle, 1904)파나마거짓주머니꼴뚜기
Lolliguncula panamensisla Berry, 1911파나마주머니꼴뚜기


2. 2. 5. ''Doryteuthis'' 속

Doryteuthis영어[3]

:Doryteuthis gahila (d'Orbigny, 1835) 파타고니아창꼴뚜기

:Doryteuthis oculala (Cohen, 1976) 카리브주머니꼴뚜기

:Doryteuthis opalescensla (Berry, 1911) 캘리포니아창꼴뚜기

:Doryteuthis pealeiila (Lesueur, 1821) 아메리카창꼴뚜기

:Doryteuthis pleiila (Blainville, 1823) 아메리카창꼴뚜기

:Doryteuthis roperila (Cohen, 1976) 로퍼창꼴뚜기

:Doryteuthis sanpaulensisla (Brakoniecki, 1984) 브라질창꼴뚜기

:Doryteuthis surinamensisla (Voss, 1974) 수리남주머니꼴뚜기

2. 2. 6. ''Loligo'' 속

''Loligo''영어 속에는 다음 3종이 속한다.[3]

학명한국어 명칭비고
Loligo forbesiila유럽대왕창꼴뚜기
Loligo reynaudiila아프리카창꼴뚜기
Loligo vulgarisla유럽창꼴뚜기한국 연안 서식 가능성


2. 2. 7. 아프리카주머니꼴뚜기속 (''Afrololigo'')

Brakoniecki, 1986 (아프리카주머니꼴뚜기)는 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3]

2. 2. 8. 뾰족꼴뚜기속 (''Alloteuthis'')

Wülker, 1920 뾰족꼴뚜기속에는 다음 3종이 있다.[3]

  • Adam, 1950 아프리카뾰족꼴뚜기
  • (Linnaeus, 1758) 뾰족꼴뚜기
  • (Lamarck, 1798) 가늘뾰족꼴뚜기

2. 2. 9. ''Aestuariolus'' 속

Alexeyev, 1992 속에는 히카리주머니꼴뚜기 1종이 있다.[3]

2. 2. 10. ''Loliolus'' 속

''Loliolus affinis''영어 보우즈주머니꼴뚜기[8]

''Loliolus beka''영어 베이카[8]

''Loliolus hardwickei''영어 아시아보우즈주머니꼴뚜기[8]

''Loliolus japonicus''영어 주머니꼴뚜기 (한국 연안 서식)[8]

''Loliolus sumatrensis''영어 히메주머니꼴뚜기[8]

''Loliolus uyii''영어 우이지머니꼴뚜기[8]

2. 2. 11. 창꼴뚜기속 (''Uroteuthis'')

Uroteuthis영어속은 꼴뚜기과에 속하는 두족류 속이다. 다음 종을 포함하고 있다:[3][4]

학명한국어 이름비고
Uroteuthis abulati|U. abulatila칼립소창꼴뚜기
Uroteuthis arabica|U. arabicala아라비아창꼴뚜기
Uroteuthis bartschi|U. bartschila오나가주머니꼴뚜기한국 연안 서식
Uroteuthis bengalensis|U. bengalensisla벵갈창꼴뚜기
Uroteuthis chinensis|U. chinensisla히라창꼴뚜기한국 연안 서식
Uroteuthis duvaucelii|U. duvauceliila아시아창꼴뚜기한국 연안 서식
Uroteuthis edulis|U. edulisla창꼴뚜기한국 연안 서식
Uroteuthis machelae|U. machelaela
Uroteuthis reesi|U. reesila리스창꼴뚜기
Uroteuthis robsoni|U. robsonila롭슨창꼴뚜기
Uroteuthis singhalensis|U. singhalensisla야세창꼴뚜기
Uroteuthis vossi|U. vossila필리핀창꼴뚜기
Uroteuthis (Photololigo) duvaucelii|U. (P.) duvauceliila흰꼴뚜기한국 연안 서식
Uroteuthis (Photololigo) sibogae|U. (P.) sibogaela반원니꼴뚜기한국 연안 서식


3. 계통

살오징어목에 속하는 폐안아목의 계통은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꼴뚜기속(Australiteuthis영어)의 계통학적 위치는 아직 불분명하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픽포드오징어속과 관련하여 창꼴뚜기류보다 공오징어목에 더 가깝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5]

꼴뚜기과 내에서는 Loligo영어, Doryteuthis영어, 우로테우티스속(Uroteuthis영어) 등이 비교적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6][7]

참조

[1] 서적 Squids http://www.fao.org/d[...] FAO 2010
[2] 웹사이트 Myopsida Naef, 1916 http://www.tolweb.or[...] 2008
[3] 웹사이트 Myopsida 2014-11-04
[4] 웹사이트 世界イカ類図鑑 https://rnavi.ndl.go[...] 2014-11-04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loliginid squids (Cephalopoda: Myopsida) based on analyses of multiple data sets
[6] 논문 Phylogeny and historical biogeography of the loliginid squids (Mollusca: Cephalopoda)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 data
[7] 논문 New molecular phylogeny of the squids of the family Loliginidae with emphasis on the genus Doryteuthis Naef, 1912: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s indicate the presence of cryptic species in the southern Atlantic Ocean
[8] 웹인용 총허용어획량(TAC)운영을 위한 2012년 수산자원조사원 활동지침서(FIRA-OB-2012-002)-두족류의 목(目)과 과(科)의 분류학적 특징 http://www.fira.or.k[...] 농림수산식품부,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2012-03
[9] 웹인용 Myopsida http://www.marinespe[...] 2012-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