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살오징어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오징어목(Teuthida)은 두족강 초형아강에 속하는 오징어의 총칭으로, 29개 과, 약 300종으로 분류되는 가장 큰 목이다. 눈의 덮개 유무에 따라 폐안아목과 개안아목으로 나뉘며, 대왕오징어는 개안아목에 속한다. 십완상목에 속하며, 10개의 팔을 가지고 있다. 오징어는 육식동물로, 8개의 팔과 2개의 촉수를 사용하여 먹이를 잡으며, 위장술, 먹물 분사, 생체 발광 등 다양한 생태적 특징을 보인다. 인간에게는 중요한 수산 자원으로 식용되며, 문학 작품이나 생체 모방 기술의 영감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족류 - 흡혈오징어
    흡혈오징어는 피를 빨지 않고 심해 유기물을 먹는 두족류로, 문어와 오징어의 특징을 가지며, 큰 눈과 독특한 방어 전략을 사용하고, 오징어와 문어의 공통 조상 형태로 여겨진다.
  • 두족류 - 흡혈오징어목
    흡혈오징어목은 두족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멸종된 켈라이니나, 원오징어아목, 중간오징어아목과 현존하는 흡혈오징어아목을 포함하며, 흡혈오징어아목에는 흡혈오징어과가 유일하게 속해 있고, 일부 분류군은 오랫동안 흡혈오징어목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하다.
살오징어목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카리브해 리프 오징어 (
카리브해 리프 오징어 (Sepioteuthis sepioidea)
학명Teuthida
명명자Alcide d'Orbigny, 1845
이명Teuthoidea
Teuthoida
영어squid
일본어スルメイカ (Surumeika)
한국어살오징어
분류
동물계 (Animalia)
연체동물문 (Mollusca)
두족강 (Cephalopoda)
아강초형아강 (Coleoidea)
상목십완상목 (Decapodiformes)
살오징어목 (Teuthida)
하위 분류
아목폐안아목 (Myopsina)
개안아목 (Oegopsina)
Bathyteuthida
† Plesioteuthididae (incertae sedis)
포함폐안아목 (Myopsida)
개안아목 (Oegopsida)
Bathyteuthida
제외Sepiolida
Sepiidae?
Spirulida?
생물학적 특징
화석 범위백악기 초기 - 현재

2. 분류

살오징어는 크게 눈이 안막으로 덮여 있는 폐안아목과 눈이 안막으로 덮여 있지 않은 개안아목으로 나뉜다.[65] 대왕오징어는 개안아목에 속한다. 살오징어목은 두족강 중에서 가장 큰 목으로, 29개 과에 약 300종으로 분류된다.

살오징어목은 십완상목에 속하며, 십완상목에는 스피룰라목, 갑오징어목, 세피올라목도 포함된다. 흡혈오징어는 오징어보다는 문어에 더 가깝다.[65]

최근에는 살오징어목이 다계통군으로 간주되어 독립된 목(폐안목, 개안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2. 1. 하위 분류

Teuthida영어는 두족강 초형아강 십완상목에 속하는 오징어의 총칭으로, 29개 과에 약 300종으로 분류된다.[65] 십완상목은 10개의 다리(팔)를 가진다.[65] 살오징어목은 크게 두 개의 아목, 즉 눈이 안막으로 덮여 있는 폐안아목(Myopsina)과 눈이 안막으로 덮여 있지 않은 개안아목(Oegopsina)으로 나뉜다.[65] 대왕오징어는 개안아목에 속한다.

  • '''두족강'''(Cephalopoda)
  • * 초형아강(Coleoidea)
  • ** 십완상목(Decapodiformes)

'''살오징어목'''(Teuthida)
* 폐안아목(Myopsina)
** 오스트레일리아꼴뚜기과(Australiteuthidae)
** 꼴뚜기과(Loliginidae)
* 개안아목(Oegopsina)
** 대왕오징어과(Architeuthidae)
** 반디불매오징어과(Enoploteuthidae)
** 갈고리흰오징어과(Gonatidae)
** 해파리오징어과(Histioteuthidae)
** 비늘무늬오징어과(Lepidoteuthidae)
** 마그나피나과(Magnapinnidae)
** 문어오징어과(Octopoteuthidae)
** 살오징어과(Ommastrephidae)
** 손톱오징어과(Onychoteuthidae)
** 지느러미오징어과(Thysanoteuthidae)

위의 과 목록은 Sanchez 외(2018)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미토콘드리아 및 핵 DNA 마커 서열을 사용하여 강력한 계통 발생을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2]

3. 계통

오징어는 두족강에 속하는 두족류이다. 오징어의 목(order) 수준의 분류는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으며,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징어는 쥐라기에 분기되었으며, 많은 오징어 과는 백악기 또는 그 이후에 나타났다.[4] 조상 두족류는 외투막에 잠겨 부력 조절에 사용된 곧은 격벽 껍질을 가진 앵무조개와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살오징어목은 십완상목에 속하며, 십완상목의 라틴어 학명 "Decapodiformes"는 그리스어로 "10개의 다리"를 의미하며, 한국어 명칭(십완상목, 十腕上目)은 10개의 팔을 의미한다. 살오징어목은 두족강 중에서 가장 큰 목으로 29개 과에 약 300종으로 분류된다.

크게 눈이 안막으로 덮여 있는 폐안아목(Myopsina)과 눈이 안막으로 덮여 있지 않은 개안아목(Oegopsina)의 2개 아목으로 나뉜다.[65] 대왕오징어는 개안아목에 속한다. 최근에는 살오징어목이 다계통군으로 간주되어 독립시키는 경우도 많으며, 그 경우 이들은 폐안목(Myopsida)과 개안목(Oegopsida)이 된다.

아래는 Sweeney와 Roper(1998)의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Jereb과 Roper(2010) 및 奥谷(2015)에 따른 분류이다.


  • '''살오징어목'''
  • * 폐안아목
  • ** 오스트랄리테우티스과
  • ** 창오징어과
  • * 개안아목
  • ** 히카리이카과
  • ** 안시스트로케이루스과
  • ** 피로테우티스과
  • ** 엔플로테우티스과
  • ** 오니코테우티스과
  • ** 고나투스과
  • ** 옥토포테우티스과
  • ** 키클로테우티스과
  • ** 히스티오테우티스과
  • ** 프시크로테우티스과
  • ** 레피도테우티스과
  • ** 바티테우티스과
  • ** 네오테우티스과
  • ** 아르키테우티스과
  • ** 크테노프테릭스과
  • ** 브라키오테우티스과
  • ** 바토테우티스과
  • ** 오마스트레피스과

오마스트레핀아과
토다로디나아과
일리키나아과

  • ** 티사노테우티스과
  • ** 마그나피니데과
  • ** 키로테우티스과
  • ** 마스티고테우티스과
  • ** 주비니테우티스과
  • ** 프로마코테우티스과
  • ** 크란키아과


십완상목을 구성하는 각 군의 계통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분자 계통 분석에서도 사용하는 데이터 세트나 분석 방법에 따라 다른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분석에서는 어느 경우든 옛날의 꼬리 오징어목(폐안류 + 개안류)과 갑오징어목(갑오징어류 + 둥근 오징어류 + 애기 오징어류 + 꼬꼬 오징어류)은 각각 단일 계통군이 아니다.

십완상목의 각 군의 계통 관계
Strugnell 외(2017) (mtDNA)Uribe와 Zardoya(2017) (mtDNA)Tanner 외(2017) (전사체)Lindgren과 Anderson(2018, 2021) (전사체)
갑오징어목갑오징어목갑오징어목애기오징어목
둥근오징어목애기오징어목둥근오징어목둥근오징어목
애기오징어목둥근오징어목애기오징어목개안목
폐안목폐안목폐안목폐안목
꼬꼬오징어목나츠메이카류개안목갑오징어목
개안목꼬꼬오징어목꼬꼬오징어목
나츠메이카류개안목


4. 형태

오징어는 부드러운 몸체를 가진 연체동물로, 활동적인 포식 생활에 적응하도록 진화했다. 머리와 발은 긴 몸체의 한쪽 끝에 위치하며, 이 끝은 기능적으로 전방에 위치하여 물속에서 움직일 때 동물을 이끌어 간다. 8개의 팔과 2개의 독특한 촉수가 입을 둘러싸고 있으며, 각 부속지는 근육수압 형태를 취하며 유연하고 잡을 수 있고, 보통 원반 모양의 흡반을 가지고 있다.[5]

흡반은 팔에 직접 놓여 있거나 자루가 있을 수 있다. 흡반 가장자리는 키틴으로 굳어 있으며, 작은 이빨 모양의 작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강력한 근육과 개별적인 제어를 허용하기 위해 각 흡반 아래에 있는 작은 신경절과 함께 먹이를 잡기 위한 매우 강력한 접착력을 제공한다.[18] 두 개의 촉수는 팔보다 훨씬 길고, 수축 가능하며, 손이라고 알려진 촉수의 주걱 모양 끝단에 제한되어 흡반이 존재한다.[5]

주요 몸체는 각 측면에 수영 지느러미가 있는 외투막에 둘러싸여 있다. 외투막 벽은 근육이 많고 내부적이다. 얇고 막 모양의 편평 상피로 덮여 있는 내장 덩어리는 "내장 혹"이라고 알려진 원뿔형 후방 영역을 형성한다. 연체동물 껍질은 동물의 기능적으로 등쪽 부분에 있는 내부의 세로 방향 키틴질 "펜"(검, gladius)으로 축소되어 오징어를 뻣뻣하게 만들고 근육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5]

4쌍의 팔과 1쌍의 촉완을 가지며, 흡반에는 자루와 키틴질의 각질환을 가지고 있다.[24]

5. 생태

오징어는 전 세계 바다의 조간대에서 수심 3,000m까지 분포하며, 헤엄을 치거나 물에 떠다니는 종이 많다.[47] 반딧불매오징어와 같은 일부 종은 몸에 발광기를 가지고 생물 발광을 한다.[47]

오징어는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어, 바닷새, 물개, 고래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의 먹이가 된다.[47] 어린 오징어는 다모류와 작은 물고기에게 먹히기도 한다.[47]

오징어는 육식동물이며, 강력한 팔과 흡반을 사용하여 먹이를 사냥한다.[41] 먹이를 발견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촉수를 뻗어 잡은 후, 팔로 끌어당겨 갈고리와 흡반으로 붙잡는다.[41] 일부 종의 오징어 침에는 먹이를 제압하는 독소가 들어있다.[5] 다나에오징어는 팔에 있는 큰 발광기에서 빛을 내뿜어 먹이를 유인하고 혼란스럽게 한다.[40]

채찍 모양의 ''매스티고테우티스''(매스티고테우티스) 촉수는 파리덫처럼 작은 유기체를 잡기 위해 작은 흡반으로 덮여 있다.


오징어는 큰 먹이를 잡을 수 있지만, 입은 비교적 작아서 음식은 키틴질 부리로 잘게 잘라 삼켜야 한다.[5] 치설은 구강에 위치하며, 여러 줄의 작은 이빨로 음식을 조각으로 분쇄한다.[5] 매스티고테우티스는 채찍 모양의 촉수 전체에 작은 흡반이 덮여 있어, 작은 유기체를 잡는 데 사용한다.[41]

오징어는 대부분 1년생 생활사를 가지며, 빠르게 성장하여 산란 후 곧 죽는다.[5]

6. 생리

오징어는 무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발달된 신경계를 가지고 있다. 식도를 둘러싸는 신경환 형태의 복잡한 뇌는 연골질 두개골에 싸여 있다. 식도 위에 있는 쌍을 이루는 뇌 신경절은 눈과 평형기에서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아래의 신경절은 입, 발, 외투막, 내장의 근육을 제어한다. 지름이 최대 1mm에 달하는 오징어 거대 축삭은 외투막 벽의 둥근 근육에 매우 빠르게 신경 메시지를 전달하여 강력한 수축과 제트 추진 시스템에서 최대 속도를 낼 수 있게 한다.[5]

머리 양쪽에 있는 한 쌍의 눈은 두개골에 융합된 캡슐 안에 들어 있다. 그 구조는 물고기 눈과 매우 유사하며, 3cm에서 무한대까지의 초점 심도를 가진 둥근 수정체가 있다. 이미지는 사람의 눈처럼 수정체의 모양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나 망원경처럼 수정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초점을 맞춘다. 오징어는 틈새 모양의 동공을 확장하고 수축시켜 빛의 강도 변화에 적응한다.[5] Histioteuthidae 과에 속하는 심해 오징어는 두 가지 다른 유형과 방향을 가진 눈을 가지고 있는데, 큰 왼쪽 눈은 관 모양이며 위를 향하고 있어 수주 상층부의 동물의 실루엣을 찾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정상적인 모양의 오른쪽 눈은 먹이를 감지하기 위해 앞과 아래를 향한다.[19]

평형기는 균형 유지에 관여하며 물고기의 내이와 유사하다. 이들은 두개골 양쪽에 있는 연골질 캡슐에 들어 있다. 평형기는 오징어에게 중력에 대한 신체 위치, 방향, 가속 및 회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들어오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평형기가 없으면 오징어는 평형을 유지할 수 없다.[5] 오징어는 청력이 제한적인 것으로 보이지만,[20] 머리와 팔에는 물의 움직임과 압력 변화에 약하게 민감한 털세포의 선이 있으며, 이는 물고기의 측선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유사하다.[5]

Siphon, intestine, nidamental gland, accessory nidamental gland, renal pore, and branchial heart에 대한 다이어그램
암컷 ''Chtenopteryx sicula''의 내장, 복부 모습


모든 두족류와 마찬가지로 오징어는 포식자이며 복잡한 소화계를 가지고 있다. 입에는 주로 키틴과 교차 결합된 단백질로 만들어진 날카롭고 뿔 모양의 부리가 있으며,[24] 이는 먹이를 죽이고 조각내어 다루기 쉽게 만드는 데 사용된다. 부리는 매우 튼튼하지만 다른 많은 생물의 이빨과 턱과는 달리 미네랄을 포함하지 않는다. 교차 결합된 단백질은 히스티딘과 글리신이 풍부하여 부리에 대부분의 동등한 합성 유기 물질보다 더 큰 강성과 경도를 부여한다.[25] 포획된 고래의 위장에는 소화되지 않은 오징어 부리가 종종 들어 있다. 입에는 모든 연체동물(이매패류 제외)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거친 혀인 치설이 있으며, 여러 줄의 이빨이 있다.[5] 일부 종에서는 독성 이 큰 먹이를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제압된 먹이는 부리에 의해 조각나고, 치설에 의해 식도로 이동하여 삼켜진다.[26]

음식 식괴는 근육 수축파(연동 운동)에 의해 소화관을 따라 이동한다. 긴 식도는 내장 덩어리의 중앙 부분에 있는 근육질의 로 이어진다. 소화선은 척추동물의 간과 유사하며, 췌장과 마찬가지로 이곳에서 분기되며, 둘 다 영양소의 대부분이 흡수되는 주머니 모양의 맹장인 맹장으로 비워진다.[5] 소화되지 않은 음식은 위에서 직장으로 직접 통과하여 맹장에서의 흐름에 합류하여 항문을 통해 외투강으로 배출된다.[5] 두족류는 수명이 짧으며, 성숙한 오징어의 경우 번식에 우선 순위가 주어진다.[27]

살오징어의 외투강은 세 개의 심장과 순환, 호흡, 배설을 지원하는 다른 기관들을 포함하는 해수로 채워진 주머니이다.[30] 살오징어는 몸 전체로 혈액을 펌프질하는 주요 전신 순환 심장과 두 개의 아가미 심장을 가지고 있다. 전신 심장은 세 개의 방, 즉 아래쪽의 심실과 위쪽의 두 개의 심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수축하여 혈액을 추진할 수 있다. 아가미 심장은 산소 공급을 위해 특별히 아가미로 혈액을 펌프질한 다음 전신 심장으로 되돌려 보낸다.[30] 혈액에는 구리가 풍부한 단백질인 헤모시아닌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낮은 해양 온도와 낮은 산소 농도에서 산소 운반에 사용되며, 산소화된 혈액을 짙은 푸른색으로 만든다.[30] 두 개의 정맥을 통해 전신 혈액이 아가미 심장으로 돌아오면서, 소변, 이산화 탄소, 용질 폐기물의 배설은 정맥 벽의 돌출부(신장공 부속지)를 통해 발생하며, 이는 외투강 해수를 통해 가스 교환과 배설을 가능하게 한다.[30]

투명 오징어(Cranchiidae)의 몸체는 부력을 위해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투명한 체강으로 채워져 있다.


앵무조개갑오징어와는 달리, 오징어는 부력을 제공하는 껍질 내부의 기체로 채워진 방이 없다. 문어처럼 해저 근처에 살면서 휴식을 취할 필요도 없다. 많은 오징어들은 물고기의 부레와 유사한 액체로 채워진 저장소를 체강이나 결합 조직에 가지고 있다. 이 저장소는 배설물의 산물인 저 분자량의 암모늄 이온으로 해수의 일반적인 무거운 금속 양이온을 대체하여 화학적 부력 챔버 역할을 한다. 밀도의 작은 차이는 단위 부피당 부력에 약간의 기여를 하며, 따라서 이 메커니즘은 효과를 내기 위해 큰 부력 챔버가 필요하다. 챔버가 액체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압력에 따라 부피가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부레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Cranchiidae과에 속하는 투명 오징어는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고 동물의 부피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거대한 투명 체강을 가지고 있어 필요한 깊이에서 떠 있을 수 있다. 약 28개의 오징어 과 중 절반이 부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메커니즘을 사용한다.[5] Bathyteuthidae과는 간과 외투, 머리 주변에서 발견되는 기름 성분으로 부력을 얻는다.[31]

6. 1. 위장

오징어는 얕은 물에서 배경과 일치하는 능동적 위장과 대광선 위장을 사용하여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먹이에 접근한다.[13]

오징어의 피부는 제어 가능한 다양한 색상의 색소포로 덮여 있어 주변 환경에 맞춰 색상을 바꿀 수 있다.[10] 피부는 또한 활성화되면 밀리초 내에 편광된 빛의 변화하는 피부 패턴을 생성하는 홍색소 및 백색소라고 불리는 빛 반사체를 포함한다.[11][12] 이러한 피부 위장은 인근 오징어와의 의사 소통, 먹이 감지, 사냥 또는 은신처 탐색 중 방향 감각 등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1]

중층해 오징어 중 일부는 해수면에서 내려오는 빛과 일치하는 빛을 생성하는 대광선 위장을 사용한다.[13][14][15] 이는 대비음영 효과를 만들어 하부를 상부보다 더 밝게 만든다.[13]

대광선 위장은 하와이밥테일오징어(''Euprymna scolopes'')에 의해서도 사용되는데, 이 오징어는 야행성 포식자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되는 빛을 생성하는 공생 박테리아( ''Aliivibrio fischeri'')를 가지고 있다.[16] 이 빛은 오징어의 하부에 있는 피부를 통해 비치며, 오징어의 외투강 내부의 크고 복잡한 이엽 빛 기관에 의해 생성된다. 오징어는 홍채의 모양을 변경하거나 하부에 있는 노란색 필터의 강도를 조절하여 빛의 생성을 제어하며, 이는 방출되는 파장의 균형을 변경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4] 하와이밥테일오징어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낮에는 모래 속에 숨기 때문에, 낮 동안에는 대광선 위장을 사용하지 않는다.[14]

오징어 피부의 제어 가능한 다양한 색상의 색소포는 위장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해 색상과 패턴을 빠르게 변경할 수 있게 해준다.

6. 2. 번식

오징어는 암수가 분리되어 있으며, 몸 뒷부분에 생식선이 하나 있다. 수정은 외부에서 이루어지는데, 보통 암컷의 외투강에서 일어난다. 수컷은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를 정포(정자 묶음) 형태로 보관하며, 얕은 물에 사는 종의 경우 교접기 역할을 하는 촉수를 이용해 암컷의 외투강 안에 정포를 넣는다.[5]

암컷은 난소에서 난자를 만들고, 난포선과 부속 난포선에서 영양분을 공급하고 난각을 형성한다. 생식공을 통해 외투강으로 들어간 난자는 일부 종의 경우 정포를 저장하는 수용기 근처에서 수정된다.[5]

대륙붕과 표해수층 또는 중층수의 얕은 물에 사는 종은 수컷의 팔 중 하나 또는 둘이 교접기로 변형되지만, 대부분의 심해 오징어는 그렇지 않다. 대왕오징어는 큰 생식기와 변형된 팔 끝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정포 전달에 사용되는지는 불확실하다.[23] 심해종 ''오니키아 잉겐스''는 발기 시 생식기가 몸 전체보다 길어, 심해 오징어가 몸 크기에 비해 가장 긴 생식기를 가진 동물 중 하나이다.[23][22]

오징어 알은 크고 많은 양의 난황을 포함하며, 벨리거 유생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발달한다. 배아는 난황 위에서 세포 원반으로 자라며, 난황낭을 형성하고 등쪽으로 자라 껍질샘, 아가미, 외투, 눈을 형성한다. 팔과 깔때기는 발의 일부로 발달하여 나중에 위로 이동한다. 난황은 배아가 자라면서 흡수되며, 일부 어린 오징어는 성체보다 수심이 더 높은 곳에 서식한다. 오징어는 수명이 짧은 경향이 있으며, 산란 후 죽는 경우가 많다.[5]

오징어의 구애는 열린 물에서 이루어지며, 수컷이 암컷을 선택하고 과시 행동을 통해 경쟁자를 몰아내기도 한다.[43] 카리브해 산호 오징어는 구애와 사회적 상호작용 중에 다양한 신체 패턴 변화를 보인다.[44] 짝짓기는 머리를 맞대는 자세로 이루어지며, 수컷은 교접기를 이용해 정포를 암컷의 외투강 내 적절한 위치에 넣는다.[5]

  • -|]]|오징어 알]]


정자는 즉시 사용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난자는 젤라틴 코팅에 싸여 외투강으로 이동하여 수정된다. ''살오징어속(Loligo)''은 난관선에서 추가적인 코팅이 더해지고, 암컷은 알을 끈이나 덩어리 형태로 기질에 부착하거나 자유롭게 떠다니도록 한다.[5]

7. 인간과의 관계

오징어는 인간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며, 전 세계 요리에서 사용된다. 특히 일본에서는 이카 소멘, 사시미, 튀김 등으로 먹는다.[57] 지중해에서는 ''L. vulgaris''(스페인어: Calamares, 이탈리아어: Calamaroit), 북동 대서양에서는 ''L. forbesii'', 미국 동부 해안에서는 ''L. pealei''가 많이 사용된다.[57] 날개오징어과 중에서는 살오징어( ''T. pacificus'')가 주요 상업 종으로, 캐나다, 일본, 중국 등 북태평양에서 대량으로 어획된다.[57]

영어권 국가에서는 식용 오징어를 17세기에 이탈리아어에서 유입된 ''깔라마리''라고 부르기도 한다.[58] 오징어는 특정 지역에서 많이 잡혀 어업에 큰 어획량을 제공한다. 몸통은 통째로 채우거나, 납작하게 썰거나, 링 모양으로 썰 수 있다. 다리, 촉수, 먹물도 식용 가능하며, 먹지 않는 부분은 부리와 글라디우스(펜)뿐이다. 오징어는 아연과 망간의 좋은 공급원이며, 구리가 풍부하고,[59] 셀레늄, 비타민 B12, 리보플라빈도 풍부하다.[60] 한국에서는 특히 살오징어가 많이 소비되며, 동해안을 중심으로 어업이 활발하다. 갑오징어, 한치 등도 인기 있는 식재료이며, 말린 오징어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간식이다.

쥘 베른의 ''해저 2만 리''(1870년)에 등장하는 거대한 오징어 형태의 바다 괴물. 알퐁스 드 뇌빌의 작품이다.


대왕오징어는 고대부터 심해의 괴물로 묘사되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 (기원전 4세기)의 ''동물지''[51]와 대 플리니우스 (서기 1세기)의 ''박물지''[52][53]에 대왕오징어에 대한 묘사가 나타난다. 그리스 신화의 고르곤은 오징어나 문어에서 영감을 얻었을 수 있으며, 메두사의 머리, 부리 모양의 혀와 송곳니, 촉수를 뱀으로 표현한 것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54] ''오디세이아''의 여섯 머리 바다 괴물 스킬라도 비슷한 기원을 가졌을 수 있다. 북유럽 전설의 크라켄 또한 거대한 두족류를 목격한 것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55]

H. G. 웰스의 단편 소설 "바다 약탈자"에는 사람을 잡아먹는 오징어 종인 ''Haploteuthis ferox''가 등장한다.[56] SF 소설 작가 쥘 베른은 1870년 소설 ''해저 2만 리''에서 크라켄과 유사한 괴물의 이야기를 다루었다.[55]

오징어 거대 축삭을 모방하여 만든 슈미트 트리거 (B)는 일반적인 비교기 (A)가 제거하지 못하는 노이즈를 제거한다. 녹색 점선은 임계값이다.


오징어의 적응형 위장을 모방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브리스톨 대학교 연구진은 전기 신호에 반응하여 색상과 질감을 변화시키는 유연한 "스마트" 소재인 전기 활성 유전체 탄성체를 사용하여 프로토타입 색소포를 만들었다. 이들은 빠른 능동적 위장을 제공하는 인공 피부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62]

오징어 거대 축삭은 오토 슈미트가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비교기 회로(슈미트 트리거)를 개발하도록 영감을 주었으며, 이는 축삭의 신경 자극 전달을 복제한다.[63]

7. 1. 어업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2002년 전 세계 두족류 어획량의 75.8%가 오징어였다.[61] 주요 어획 대상 종으로는 참오징어,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 오징어, 훔볼트 오징어 등이 있다.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오징어 소비 국가 중 하나이며, 동해안을 중심으로 오징어 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02년에 10000ton을 초과한 오징어 어획량은 다음과 같다.[61]

2002년 세계 오징어 어획량
일반명어획량
(톤)
비율(%)
Doryteuthis gahi긴오징어과파타고니아 오징어24,9761.1
Loligo pealei긴오징어과긴지느러미 근해 오징어16,6840.8
일반 오징어긴오징어과225,95810.3
Ommastrephes bartramii날개오징어과푸른 오징어22,4831.0
Illex argentinus날개오징어과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 오징어511,08723.3
Dosidicus gigas날개오징어과훔볼트 오징어406,35618.6
Todarodes pacificus날개오징어과참오징어504,43823.0
Nototodarus sloanii날개오징어과웰링턴 날치 오징어62,2342.8
오징어다양414,99018.6
총 오징어2,189,206100.0


참조

[1] 간행물 MolluscaBase https://www.marinesp[...]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22
[2] 논문 Genus-level phylogeny of cephalopods using molecular markers: current status and problematic areas 2018-02
[3] 논문 Fossil coleoid cephalopod from the Mississippian Bear Gulch Lagerstätte sheds light on early vampyropod evolution 2022-03-08
[4] 논문 Molecular clocks indicate turnover and diversification of modern coleoid cephalopods during the Mesozoic Marine Revolution 2017-03
[5]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6] 논문 Chitin and chitosan nanofibers: preparation and chemical modifications
[7] 논문 Morphological character evolution and molecular trees in sepiids (Mollusca: Cephalopoda): is the cuttlebone a robust phylogenetic marker? 2006
[8] 논문 A Study in Jet Propulsion: An analysis of the motion of the squid, ''Loligo vulgaris''
[9] 간행물 Fact or Fiction: Can a Squid Fly Out of the Water? https://www.scientif[...] 2010-08-02
[10] 논문 Cephalopod Camouflage: Cells and Organs of the Skin https://www.nature.c[...]
[11] 논문 Do cephalopods communicate using polarized light reflections from their skin? 2009
[12] 논문 Mechanisms and behavioural functions of structural coloration in cephalopods 2009
[13] 논문 Bioluminescent countershading in midwater animals: evidence from living squid 1976-03
[14] 논문 Counterillumination in the Hawaiian bobtail squid, ''Euprymna scolopes'' Berry (Mollusca : Cephalopoda) http://www.medmicro.[...]
[15] 논문 Oceanic Bioluminescence: an Overview of General Functions http://www.ingentaco[...]
[16] 논문 The winnowing: establishing the squid-''Vibrio'' symbiosis 2004-08
[17] 논문 Escape by Inking and Secreting: Marine Molluscs Avoid Predators Through a Rich Array of Chemicals and Mechanisms 2007-12
[18] 서적 Cephalopod Behaviou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Histioteuthidae Verrill, 1881. http://tolweb.org/Hi[...] The Tree of Life Web Project 2018-12-09
[20] 뉴스 The cephalopods can hear you http://news.bbc.co.u[...] BBC 2010-04-02
[21] 웹사이트 Hectocotylus http://tolweb.org/ac[...] Tree of Life Web Project 2018-12-14
[22] 뉴스 Super squid sex organ discovered http://news.bbc.co.u[...] 2010-07-07
[23] 논문 Observation of penis elongation in ''Onykia ingens'': implications for spermatophore transfer in deep-water squid
[24] 논문 Infiltration of chitin by protein coacervates defines the squid beak mechanical gradient http://www.escholars[...]
[25] 논문 Jumbo squid beaks: Inspiration for design of robust organic composites
[26] 서적 Cephalopod Behaviou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뉴스 Octopuses and the Puzzle of Aging https://www.nytimes.[...] 2018-12-12
[28] 논문 Onychoteuthis banksii
[29] 논문 Two New Species and a Review of the Squid Genus ''Onychoteuthis'' Lichtenstein, 1818 (Oegopsida: Onychoteuthidae) from the Pacific Ocean https://www.ingentac[...]
[30] 서적 Octopus, Squid, and Cuttlefish: A Visual, Scientific Guide to the Oceans' Most Advanced Invertebr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8-12-12
[31] 문서 Squid https://books.google[...]
[32] 웹사이트 Giant Squid and Colossal Squid Fact Sheet http://www.tonmo.com[...] The Octopus News Magazine Online
[33] 웹사이트 Meet The World's Smallest & Weirdest Squid, Idiosepius https://reefs.com/20[...] Reefs.com 2019-01-19
[34] 논문 Sea Creatures and the Problem of Equipment Damage 1978-08
[35] 논문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tlas of cephalopod distribution in the Southern Ocean http://www.nerc-bas.[...]
[36] 웹사이트 Colossal squid gifted to Te Papa https://www.beehive.[...] New Zealand Government 2007-03-21
[37] 뉴스 Microwave plan for colossal squid http://news.bbc.co.u[...] BBC 2018-01-25
[38] 뉴스 Colossal squid's big eye revealed http://news.bbc.co.u[...] 2019-01-19
[39] 간행물 The importance of microbes in animal development: lessons from the squid-''Vibrio'' symbiosis 2014
[40] 간행물 Observations of wild hunting behaviour and bioluminescence of a large deep-sea, eight-armed squid, ''Taningia danae'' http://www.pubs.roya[...] 2019-01-13
[41] 서적 Cephalopod Behaviou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Coordinated Hunting in Red Devils http://deepseanews.c[...] Deep Sea News 2018-12-09
[43] 간행물 Observations on the Mating Behavior of the Squid ''Sepioteuthis sepioidea'' https://www.ingentac[...]
[44] 서적 Cephalopod Behaviou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간행물 Mating and spermatophore placement in the onychoteuthid squid ''Moroteuthis ingens''
[46] 서적 Antarctic Nutrient Cycles and Food Webs
[47] 서적 Squid Empire: The Rise and Fall of the Cephalopo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48] 간행물 Cephalopods from the stomachs of a Risso's dolphin (''Grampus griseus'') from the Mediterranean
[49] 서적 Cephalopod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Cephalopod Species Known to Date Volume 2 Myopsid and Oegopsid Squid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50] 간행물 Habitat and trophic ecology of Southern Ocean cephalopods from stable isotope analyses
[51] 문서 Aristotle http://classics.mit.[...]
[52] 서적 The Search for the Giant Squid https://www.nytimes.[...] Penguin
[53] 문서 Pliny the Elder Naturalis historia
[54] 서적 Medusa:Solving the Mystery of the Gorg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5] 웹사이트 Are massive squid really the sea monsters of legend? https://www.bbc.co.u[...] BBC 2014-12-12
[56] 웹사이트 The Sea Raiders http://www.online-li[...] The Literature Network 1896-01-01
[5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58] 사전 Calamari https://www.merriam-[...] 2018-12-12
[59] 웹사이트 Squid – Overview: Food Market Exchange – B2B e-marketplace for the food industry http://www.foodmarke[...] 2002-08-01
[60] 웹사이트 California Market Squid http://www.fishwatch[...] 2017-03-27
[61] 간행물 Review of the state of world marine fishery resources: Fisheries technical paper http://www.fao.org/d[...]
[62] 잡지 Squid-inspired 'skin' could lead to smart camouflage https://www.wired.co[...] 2015-06-16
[63] 웹사이트 Otto H. Schmitt, Como People of the Past https://sites.google[...] 2019-02-13
[64] 문서 Fact or Fiction: Can a Squid Fly Out of the Water? http://www.scientifi[...] Scientific American 2010
[65] 웹인용 총허용어획량(TAC)운영을 위한 2012년 수산자원조사원 활동지침서(FIRA-OB-2012-002)-두족류의 목(目)과 과(科)의 분류학적 특징 http://www.fira.or.k[...] 농림수산식품부,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2012-10-06
[66] 웹인용 Oegopsida http://www.marinespe[...] 2012-10-06
[67] 웹인용 대추오징어상과(Bathyteuthoidea) http://www.marinespe[...] 2012-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