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트로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지트로늄은 전자와 양전자가 결합된 원자 유사 입자이다. 1934년 스체판 모호로비치치가 존재를 예측했으며, 1951년 마르틴 도이치가 실험적으로 발견했다. 포지트로늄은 전자와 양전자의 스핀 방향에 따라 파라포지트로늄과 오쏘포지트로늄의 두 가지 양자역학적 상태를 가지며, 각 상태는 서로 다른 수명과 붕괴 방식을 보인다. 파라포지트로늄은 짧은 수명(약 125피코초)을 가지며 주로 두 개의 감마선으로 붕괴하고, 오쏘포지트로늄은 긴 수명(약 142나노초)을 가지며 세 개의 감마선으로 붕괴한다. 포지트로늄은 물질 내에서 다양한 반응을 보이며, 물질의 구조와 특성을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특히,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과 같은 의료 영상 기술과 재료 과학 분야에서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별난 원자 - 뮤오늄
뮤오늄은 양전하를 띤 뮤온과 전자가 결합한 원자 유사 입자로, 수소 원자와 비슷하지만 질량 차이와 짧은 반감기, 자기장 의존성을 가지며, 뮤오늄 화합물 합성을 통해 물질 내 수소 원자 연구에 활용되고 뮤오닉 뮤오늄도 연구된다. - 별난 원자 - 수소화 포지트로늄
수소화 포지트로늄(PsH)은 양성자, 전자 2개, 양전자로 구성된 수소 분자와 유사한 크기의 분자로, 포지트로늄처럼 붕괴하며 감마선 광자를 방출하고 반수소 연구와 GBAR 실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광자학 - 광섬유 통신
광섬유 통신은 유리나 플라스틱 광섬유를 통해 빛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방식으로, 낮은 신호 손실, 넓은 대역폭, 전자기 간섭에 강한 특성 덕분에 장거리, 고속 통신에 유리하여 통신, 인터넷, 케이블 TV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된다. - 광자학 - 광 핀셋
광 핀셋은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미세 입자를 정밀하게 조작하는 장치로, 생물학, 물리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생명 과학과 양자 과학 연구에 기여한다. - 오늄 - 입실론 중간자
입실론 중간자(Υ)는 바닥 쿼크()와 그 반입자()로 이루어진 중성 하드론으로, 1977년 리언 레더먼에 의해 발견되어 3세대 쿼크의 존재 증명에 기여했으며, 입자 물리학 실험에서 B 중간자 연구에 활용된다. - 오늄 - 제이/프시 중간자
제이/프시 중간자는 1974년 발견된 맵시 쿼크와 반 맵시 쿼크로 구성된 중성 입자이며, 맵시 쿼크의 존재를 증명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본 입자 물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 포지트로늄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포지트로늄 |
| 기호 | Ps |
| 구성 | 전자, 양전자 |
| 통계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
| 상호작용 |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 상호작용 중력 상호작용 |
| 전하 | 0 |
| 색전하 | 없음 |
| 렙톤 수 | 0 |
| 바리온 수 | 0 |
| 스핀 | 파라포지트로늄은 0 오르토포지트로늄은 1 |
| 질량 및 수명 | |
| 질량 | 2me |
| 평균 수명 | 파라포지트로늄은 125피코초 오르토포지트로늄은 142나노초 |
| 추가 정보 | |
| 붕괴 입자 | 해당 없음 |
| 하전 반경 | 해당 없음 |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해당 없음 |
| 전기 분극률 | 해당 없음 |
| 자기 모멘트 | 해당 없음 |
| 자기 분극률 | 해당 없음 |
| 스핀 상태 수 | 해당 없음 |
| 스트레인지니스 | 해당 없음 |
| 참 | 해당 없음 |
| 보텀니스 | 해당 없음 |
| 톱니스 | 해당 없음 |
| 아이소 스핀 | 해당 없음 |
| 약 아이소 스핀 | 해당 없음 |
| 약 아이소 스핀_3 | 해당 없음 |
| 초전하 | 해당 없음 |
| 약초전하 | 해당 없음 |
| 카이랄리티 | 해당 없음 |
| B-L | 해당 없음 |
| X 하전 | 해당 없음 |
| 패리티 | 해당 없음 |
| G 패리티 | 해당 없음 |
| C 패리티 | 해당 없음 |
| R 패리티 | 해당 없음 |
2. 역사
크로아티아의 물리학자 스체판 모호로비치치(Stjepan Mohorovičićhr)는 1934년에 포지트로늄의 존재를 예측하였고,[33] 이를 "엘렉트룸"(Elektrumde)이라고 불렀다. 1945년에 미국의 아서 루아크(Arthur Edward Ruark영어)가 "포지트로늄"이라는 이름을 제안하였다.[34] 1951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마르틴 도이치(Martin Deutschde)가 실험적으로 발견하였다.[35][36]
포지트로늄의 바닥 상태는 수소처럼 전자와 양전자의 스핀의 상대적인 배향에 따라 두 가지 배열을 갖는다. 스핀이 서로 같은 방향을 가리키는 경우를 '''오르토 포지트로늄'''(orthopositronium영어, ''o''-Ps),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경우를 '''파라 포지트로늄'''(parapositronium영어, ''p''-Ps)이라고 부른다.
이후 포지트로늄의 특성에 대한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졌고, 양자 전기 역학(QED) 예측과의 비교를 통해 오쏘 포지트로늄 수명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으나, 추가적인 계산과 측정을 통해 해결되었다.[16] 열평형 상태가 아닌 포지트로늄의 수명 측정이 오류의 원인이었다.
2024년, CERN의 AEgIS 실험(AEgIS experiment) 협력 연구팀은 레이저 냉각을 이용하여 포지트로늄을 최초로 냉각하는 데 성공하여 실험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18] [19]
3. 양자역학적 상태
포지트로늄은 가장 낮은 에너지 궤도 상태(1S)를 가지며, 수소와 마찬가지로 전자와 양전자의 스핀 상대 방향으로 인해 초미세 구조를 갖는다. 포지트로늄의 질량은 전자 질량의 두 배에서 수 eV의 결합 에너지를 뺀 값(1.022 MeV)이다.
소멸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감마선을 생성하는 여러 채널을 통해 진행된다. 감마선들은 전체 에너지 1022 keV(소멸입자 각각은 511 keV/''c''2의 질량을 지님)로 생성된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소멸 채널은 둘 또는 세 광자를 생성하는데, 이는 전자와 양전자의 상대적인 스핀 배열에 의존한다. 한 광자 붕괴는 소멸 포지트로늄 근처에 다른 물체(전자 등)가 있어 소멸 사건에서 에너지의 일부가 이동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 실험실 실험에서 다섯 소멸 감마선까지 관측되어 양자 전동역학이 고차수라는 예측을 확인하였다. 뉴트리노-반뉴트리노 쌍으로 소멸하는 것도 가능하나 예측에 의하면 그 확률은 무시할 수 있다.
3. 1. 파라 포지트로늄 (p-Ps)
전자와 양전자의 스핀이 반평행(S=0)인 단일항(singlet영어) 상태 (1S0)이다. 평균 수명은 125피코초이며, 주로 두 개의 감마선(각각 511 keV)으로 붕괴한다.[1] 짝수 개의 광자로 붕괴할 수 있지만, 그 확률은 매우 낮다. 네 광자로의 붕괴에 대한 분기 비율은 1.439×10-6이다.[1]
3. 2. 오쏘 포지트로늄 (o-Ps)
orthopositronium영어, 기호 ''o''-Ps는 전자와 양전자의 스핀이 평행(S=1)인 삼중항 상태(3S1)이다. 진공에서의 평균 수명은 이며,[2] 주로 세 개의 감마선으로 붕괴한다. 다른 붕괴 방식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확률이 낮다. 예를 들어, 5광자 모드는 분지율이 ≈이다.[3]
3. 3. 준안정 상태
2S 상태의 포지트로늄은 준안정 상태이며 의 수명을 갖는다.[5] 이러한 여기 상태에서 생성된 포지트로늄은 빠르게 바닥 상태로 전이되어 소멸이 더 빨리 일어난다.
4. 에너지 준위
포지트로늄의 에너지 준위는 수소 원자와 유사하지만, 환산 질량이 전자의 절반이기 때문에 에너지 준위는 대략 수소 원자의 절반이다. 에너지 준위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 는 전자의 전하
- 는 플랑크 상수
- 는 진공 유전율
- 는 전자의 질량
- n은 주양자수
포지트로늄의 바닥 상태() 에너지 준위는 -6.8 eV이고, 다음 준위()는 -1.7 eV이다. 음의 부호는 결합 상태를 의미한다.
포지트로늄의 전자와 양전자의 질량은 같기 때문에, 초미세구조에 의한 에너지 보정은 미세구조에 의한 에너지 보정과 같다. 이 보정에서, 바닥 상태 간 스핀 상태 차이에 따른 에너지 준위 차이는 이론적으로 이나, 실제로는 이다. 이는 양전자와 전자가 충돌할 때 정지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가 감마선 형태의 광자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포지트로늄의 에너지 준위를 더 정확하게 계산하려면 베테-살피터 방정식이나 브라이트 방정식을 사용해야 한다.
5. 포지트로늄의 반응 (물질 내)
β+ 붕괴(양전자 방출)를 통해 생성된 고에너지 양전자는 물질 내에서 여러 반응을 거친다. 양전자는 원자와 충돌하여 속도가 느려지며, 물질 내의 전자와 쌍소멸하거나, 그 전에 포지트로늄을 형성할 수 있다.[11][12]
양전자의 반응 경로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반응 종류 | 비율 | 붕괴 산물 | 붕괴 시간 |
|---|---|---|---|
| 포지트로늄 형성 없이 직접 쌍소멸 | 약 60% | 주로 두 개의 감마선 | - |
| 파라-포지트로늄(p-Ps) 형성 후 붕괴 | 약 10% | 주로 두 개의 감마선 | 약 0.12 ns |
| 오쏘-포지트로늄(o-Ps) 형성 후 픽오프 소멸 | 약 30% | 주로 두 개의 감마선 | 수 ns |
| 오쏘-포지트로늄(o-Ps) 자체 붕괴 | 약 0.5% | 주로 세 개의 감마선 | 약 140 ns |
특히, 수명이 긴 오쏘 포지트로늄(o-Ps)은 물질 내에서 픽오프 소멸, 스핀 교환, 화학 반응 등 다양한 반응을 일으킨다. 이는 o-Ps 내의 양전자가 물질 내 전자와의 쌍소멸에 더 쉽게 소멸되고, 포지트로늄 자체가 불짝전자 하나를 가진 자유 라디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5. 1. 픽오프 소멸 (Pick-off Annihilation)
물질 내 방사성 원자가 β+ 붕괴(양전자 방출)를 거치면, 생성된 고에너지 양전자는 원자와 충돌하여 속도가 느려지고, 결국 물질 내의 많은 전자 중 하나와 쌍소멸한다. 그러나 쌍소멸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먼저 포지트로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 대한 이해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에서 매우 중요하다.[11][12]약 30%의 양전자는 ''오쏘''-포지트로늄을 형성하지만, 그 후 몇 나노초 이내에 반대 스핀을 가진 근처의 다른 전자를 '가로채어'(pick-off) 쌍소멸한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감마선을 생성한다. 이 기간 동안 매우 가벼운 포지트로늄 원자는 강한 영점 진동을 나타내며, 압력을 가하여 매질 내에 작은 나노미터 크기의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포지트로늄이 다른 원자와 충돌할 때, 포지트로늄 내 양전자의 파동함수가 충돌 상대 원자가 가진 전자의 파동함수와 겹치면 쌍소멸이 일어나 포지트로늄은 소멸한다. 이 확률은 포지트로늄과 다른 원자와의 충돌 빈도가 높을수록, 즉 기체에서는 압력이, 액체나 고체에서는 밀도가 클수록 높아진다. 이 반응은 물질 내 ''o''-Ps의 수명 결정에 크게 관여하고 있다.
5. 2. 스핀 교환 (Spin Exchange)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가 홑전자를 가질 경우, 포지트로늄 내의 전자는 물질에 포함된 전자와 스핀을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수소 원자에서도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오쏘 포지트로늄(o-포지트로늄)이 파라 포지트로늄(p-포지트로늄)이 되면, p-포지트로늄의 짧은 수명으로 소멸하게 된다.5. 3. 화학 반응
산화 반응이나 화합물 생성 등 수소 원자와 마찬가지로 화학 반응을 할 수 있다. 포지트로늄이 산화되면, 전자가 빼앗겨 양전자만 남는다.6. 포지트로늄 형성 메커니즘
포지트로늄 형성 메커니즘에는 Ore 모델과 스퍼 반응 모델(Spur Reaction Model영어)이 있다. Ore 모델은 양전자가 원자에서 전자를 떼어내 포지트로늄을 형성한다는 초기 모델이며,[1] 스퍼 반응 모델은 양전자가 물질 내에서 느려지면서 마지막에 전자를 포획하여 포지트로늄을 형성한다고 설명한다.[1]
6. 1. Ore 모델
Ore 모델은 에너지를 가진 양전자가 원자에서 전자를 떼어내 포지트로늄을 형성한다는 가장 초기의 포지트로늄 생성 모델이다.[1] 이 모델은 희유 기체 내에서의 포지트로늄 생성은 잘 설명하지만, 다원자 분자나 응축 상에서의 포지트로늄 생성은 잘 설명하지 못한다.[1]6. 2. 스퍼 반응 모델 (Spur Reaction Model)
Spur Reaction Model영어은 포지트로늄 형성의 한 가지 설명이다. 포지트로늄은 양전자가 물질 내에서 느려지면서 마지막에 하나의 전자를 포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 과정에서 양전자는 에너지를 잃고, 스퍼(spur)라고 불리는 일련의 이온과 자유 전자를 생성한다. 양전자는 이 트랙 내의 전자와 결합하여 포지트로늄을 형성할 수 있다.[1]7. 화합물
포지트로늄은 분자 결합을 할 수 있다고 예측되었다.[20] 포지트로늄 수소화물(PsH) 분자를 만들 수 있다.[21] 포지트로늄은 시안화물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할로겐이나 리튬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22]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의 David Cassidy와 Allen Mills는 2007년 9월 12일에 두 개의 포지트로늄 원자로 구성된 이포지트로늄 분자(Ps2)를 처음으로 관측했다고 보고했다.[23][24][25]
8. 응용
포지트로늄의 수명과 에너지 준위 측정은 양자 전기 역학의 정밀 검증에 사용되어, 높은 정밀도로 양자 전기 역학(QED) 예측을 확인했다.[1][6][7]
쌍소멸은 여러 경로를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각 경로는 총 에너지가 1022keV (전자와 양전자의 질량-에너지 합)인 감마선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2개 또는 3개의 감마선 광자가 생성되며, 단일 쌍소멸에서 최대 5개의 감마선 광자가 기록된 바 있다.
중성미자-반중성미자 쌍으로의 쌍소멸도 가능하지만, 그 확률은 무시할 만큼 낮을 것으로 예측된다.
참조
[1]
논문
Precision Study of Positronium: Testing Bound State QED Theory
2003
[2]
논문
An Improved Limit on Invisible Decays of Positronium
2007
[3]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High Energy Physics and Quantum Field Theory (QFTHEP)
2000
[4]
논문
Order α2 Corrections to the Decay Rate of Orthopositronium
2000-05-29
[5]
논문
Observation of positronium annihilation in the 2S state: towards a new measurement of the 1S-2S transition frequency
2015
[6]
논문
Positronium as a probe for new physics beyond the standard model
2004
[7]
논문
Branching-ratio measurements of multiphoton decays of positronium
https://digital.libr[...]
2002
[8]
논문
Anomalous states of Positronium
2019
[9]
논문
Properties of the anomalous states of Positronium
2023
[10]
논문
Accurate finite element solutions of the two-body Dirac equation
1992
[11]
논문
Positronium: Review of symmetry, conserved quantities and decay for the radiological physicist
2003
[12]
논문
Feasibility study of the positronium imaging with the J-PET tomograph.
2019
[13]
논문
Diagnostics of a positronium beam
https://inis.iaea.or[...]
1991
[14]
논문
Möglichkeit neuer Elemente und ihre Bedeutung für die Astrophysik
1934
[15]
보도자료
Martin Deutsch, MIT physicist who discovered positronium, dies at 85
http://web.mit.edu/n[...]
MIT
2002
[16]
뉴스
Positronium puzzle is solved
http://physicsworld.[...]
2003-05-23
[17]
논문
First Test of O(α2) Correction of the Orthopositronium Decay Rate
https://www.icepp.s.[...]
2009
[18]
논문
Positronium Laser Cooling via the 13S−23P Transition with a Broadband Laser Pulse
2024
[19]
뉴스
Antimatter: Scientists freeze positronium atoms with lasers
https://www.bbc.com/[...]
2024-02-22
[20]
논문
Signature of the existence of the positronium molecule
1998
[21]
웹사이트
"Out of This World" Chemical Compound Observed
http://www.sc.doe.go[...]
sc.doe.gov
null
[22]
논문
Is Positronium Hydride Atom or Molecule?
2000
[23]
논문
The production of molecular positronium
2007
[24]
논문
A whiff of antimatter soup
2007
[25]
웹사이트
Molecules of positronium observed in the lab for the first time
http://www.physorg.c[...]
Physorg.com
2007-09-07
[26]
논문
Muonium–the second radioisotope of hydrogen: a remarkable and unique radiotracer in the chemical, materials,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ciences
2012
[27]
논문
Comparison of muonium and positronium with hydrogen atoms in their reactions towards solutes containing amide and peptide linkages in water and micelle solutions
1989-01
[28]
논문
Möglichkeit neuer Elemente und ihre Bedeutung für die Astrophysik
http://onlinelibrary[...]
1934
[29]
보도자료
Martin Deutsch, MIT physicist who discovered positronium, dies at 85
http://web.mit.edu/n[...]
MIT
2002
[30]
논문
オルソポジトロニウムの寿命問題
https://cir.nii.ac.j[...]
日本物理学会
1994-03-05
[31]
뉴스
Positronium puzzle is solved
http://physicsworld.[...]
2003-05-23
[32]
웹사이트
First Test of O(α2) Correction of the Orthopositronium Decay Rate
https://www.icepp.s.[...]
International Center for Elementary Particle Physics
2008-09-09
[33]
논문
Möglichkeit neuer Elemente und ihre Bedeutung für die Astrophysik
1934
[34]
논문
Positronium
1945
[35]
논문
Evidence for the formation of positronium in gases
1951
[36]
저널
Three-quantum decay of positroni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