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루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루족은 인도아리아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리그베다에 등장하는 고대 부족이다. 푸루족은 만다라 6에서 아프가니스탄 산맥의 요새를 파괴한 푸루쿠차를 추장으로 언급하며, 그의 아들 트라사다스유는 인더스강 서쪽에서 일곱 개의 강 지역으로 이동하여 아누-드루유족과 야두-투르바샤족을 물리치고 판차-자나를 형성했다. 트라사다스유는 아슈바메다를 거행하고, 그의 아들 트리크시가 있었다. 푸루족은 사라스바티 강에 도달했으며, 후대 통치자들이 푸루 가문의 혈통을 주장했다. 현대 학자들은 포로스 왕이 푸루족의 왕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그베다 부족 - 아누족
  • 리그베다 부족 - 바라타족
    바라타족은 고대 인도 아대륙의 사라스바티 강과 드르샤드바티 강 유역에 거주하며 리그베다에 등장하는 부족으로, 십왕 전쟁 승리 후 푸루족과 연합하여 쿠루족을 형성하고 갠지스 강 상류 지역을 장악했으며, 인도 공화국 공식 명칭인 "바라타"의 어원이 되었다.
  • 부족연맹 - 이스라엘 왕국
    이스라엘 왕국은 후기 청동기 시대 가나안 지역에서 형성되어 철기 시대 I기에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성장했으나, 솔로몬 사후 남북으로 분열되어 각각 아시리아와 신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해 멸망한 고대 국가이다.
  • 부족연맹 - 마한
    마한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까지 한반도 서남부에 존재했던 소국 연맹으로, 농업 기반의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 백제에 병합되었다.
  • 인도아리아인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인도아리아인 - 베다 시대
    베다 시대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전 600년까지 이어진 시기로, 베다 문헌 편찬, 초기 카스트 제도 형성, 농경 사회 발전, 베다 종교(브라만교)의 성립을 특징으로 한다.
푸루족
개요
푸루족 및 다른 초기 베다 부족
푸루족 및 다른 초기 베다 부족
유형연맹
민족인도아리아인
위치북부 인도 아대륙
카스트크샤트리아
조상푸루라바스
모 부족찬드라 혈통의 첫 번째 부족
언어베다 산스크리트어
종교역사적 베다 종교
성씨푸루밤쉬
역사적 배경
기원기원전 1700년 ~ 1400년경, 사라스바티강 유역
주요 사건야야티 왕의 통치 기간 동안 번성
바라타족과의 통합
쿠루족 형성의 기여
신화적 배경
창시자푸루
야야티 왕의 다섯 아들 중 막내
관련된 인물야야티
샤르미슈타
문화적 특징
언어베다 산스크리트어 사용
종교적 신앙베다 종교 의식 숭상
관련 부족
주요 분파바라타족
기타 관련 부족야두족, 아누족
현대적 연결
후손푸리

2. 어원

"푸루"라는 이름은 인도아리아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6][9]

3. 리그베다

리그베다의 여러 만달라에서 푸루족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만달라 6에서는 푸루족의 족장 푸루쿠차가 아프가니스탄 산맥의 요새를 파괴하고[10][17], 아슈바메다(말 희생제)를 통해 아들 트라사다스유를 얻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1][10][18][17]

만다라 4는 트라사다스유를 중심으로 푸루족의 역사를 다룬다. 그는 기리크시트의 후손으로도 묘사되며[11][10][18][17], 인더스강 서쪽에서 칠강의 땅으로 이주하여 아누-드루유족과 야두-투르바샤족을 정복했다. 이후 정복한 부족들과 푸루족을 통합하여 판차-자나(다섯 부족)를 형성하고, 승리를 기념하며 아슈바메다를 거행했다.[17][10] 그의 말 다드리카는 푸루족과 인도아리아인 지배의 상징으로 찬양받았다.[17][10] 트라사다스유에게는 트리크시라는 아들이 있었다.[17][10]

헤르만 그라스만의 해석에 따르면, 만다라 7에 이르러 푸루족은 사라스바티강 유역까지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17][10]

3. 1. 만달라 6

만달라 6에서는 푸루족의 족장 푸루쿠차가 아프가니스탄 산맥에서 가을 요새를 파괴했다고 회상한다.[10] 만다라 4에서는 그가 아슈바메다(말 희생제)를 치르고 다우르가하라는 말을 제물로 바친 결과 그의 아들 트라사다스유가 태어났다고 언급한다.[11][10]

만다라 4에서 트라사다스유는 푸루족의 족장이다. 그는 푸루쿠차의 아들이자 기리크시트의 후손이라는 의미의 가이리크시타로도 묘사된다.[11][10] 트라사다스유는 만다라 4가 구성될 당시 인더스강 서쪽에 살았지만, 칠강의 땅으로 이주하여 아누족-드루유족과 야두족-투르바샤족을 물리쳤다. 그는 정복한 부족과 푸루족을 통합하여 판차-자나(다섯 부족)를 형성했다.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자신의 말 다드리카를 바쳐 아슈바메다를 거행했다. 다드리카는 리그베다(RV) 4.38-40에서 찬사를 받으며, 이 찬가에서 다드리카는 신성한 존재이자 아슈바메다의 희생마, 그리고 푸루족과 인도아리아인 지배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트라사다스유에게는 트리크시라는 아들이 있었다.[10]

헤르만 그라스만의 리그베다 7.92.2 해석을 따르는 학자들은 만다라 7에 이르러 푸루족이 사라스바티강에 도달했다고 본다.[10]

3. 2. 만달라 4

만다라 4에서는 푸루족의 족장 트라사다스유에 대해 다룬다. 그는 푸루쿠차의 아들로, 푸루쿠차가 말 다우르가하를 제물로 바쳐 아슈바메다(말 희생제)를 치른 결과 태어났다고 전해진다.[18][17] 트라사다스유는 기리크시트의 후손이라는 의미의 '가이리크시타'로도 불렸다.[18][17]

트라사다스유는 만달라 4가 구성될 당시에는 인더스강 서쪽에 거주했으나, 이후 동쪽의 칠강의 땅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그는 아누-드루유족과 야두-투르바샤족을 정복하였다. 트라사다스유는 이들 정복한 부족과 푸루족을 통합하여 판차자나(다섯 부족)를 형성했다.[17]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트라사다스유는 자신의 말 다드리카를 바쳐 아슈바메다를 거행했다. 리그베다의 찬가(RV 4.38-40)에서는 다드리카를 신성한 존재이자 아슈바메다의 희생마, 그리고 푸루족과 인도아리아인 지배의 상징으로 묘사하며 찬양한다.[17] 트라사다스유에게는 트리크시라는 아들이 있었다.[17]

3. 3. 만달라 7

헤르만 그라스만리그베다 7.92.2 해석을 따르는 학자들은 만달라 7에 이르러 푸루족이 사라스바티강에 도달했다고 말한다.[17][10]

4. 후손

후대의 통치자들은 자신들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해 푸루 가문의 혈통임을 주장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 학자들은 포로스 왕이 푸루족의 왕이었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지만, 포로스에 대한 언급은 인도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19][12]

참조

[1] 서적 Vedic India http://archive.org/d[...] 1957
[2] 웹사이트 Genealogy of the princes of the lunar race [Chapter CXXXIX] https://www.wisdomli[...] 2022-10-03
[3] 간행물 Encyclopedia of India Thomson Gale
[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Vedas: Texts, language, and ritual Forsten
[6] 서적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Rgvedic history: poets, chieftains and politics De Gruyter
[7] 간행물 Encyclopedia of India Thomson Gale
[8] 서적 Vedic India http://archive.org/d[...] 1957
[9] 논문 Aryan and non-Aryan Names in Vedic India. Data for the linguistic situation, c. 1900-500 B.C.. https://www.people.f[...] 1999
[10] 서적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Rgvedic history: poets, chieftains and politics De Gruyter
[11] 서적 The Rigveda: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Indian History: Ancient and medieval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 Popular Prakashan
[13] 서적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Rgvedic history: poets, chieftains and politics De Gruyter
[14] 간행물 Encyclopedia of India Thomson Gale
[15] 서적 Vedic India http://archive.org/d[...] 1957
[16] 논문 Aryan and non-Aryan Names in Vedic India. Data for the linguistic situation, c. 1900-500 B.C.. https://www.people.f[...] 1999
[17] 서적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Rgvedic history: poets, chieftains and politics De Gruyter
[18] 서적 The Rigveda: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Indian History: Ancient and medieval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 Popular Prakash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