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라세오디뮴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세오디뮴 동위 원소는 원자 번호 59번인 프라세오디뮴의 다양한 형태를 지칭하며, 프라세오디뮴-141(141Pr)이 유일한 안정 동위 원소로 자연계에 존재한다. 이 외의 동위 원소들은 방사성 동위 원소이며, 반감기, 붕괴 방식, 핵 스핀 등이 다르다. 일부 동위 원소는 핵 이성질체를 가지며, 짧은 반감기를 가진 방사성 동위 원소는 핵의학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프라세오디뮴 동위 원소
핵종 정보
원소 기호Pr
Nubase 2020 참고
안정 동위 원소
핵종141Pr
존재 비율100%
반감기안정
방사성 동위 원소
핵종142Pr
존재 비율합성
반감기19.12시간
붕괴 방식 1β- 붕괴
붕괴 생성물 1142Nd
붕괴 방식 2ε 붕괴
붕괴 생성물 2142Ce
기타 방사성 동위 원소
핵종143Pr
존재 비율합성
반감기13.57일
붕괴 방식 1β- 붕괴
붕괴 생성물 1143Nd
주석

2. 프라세오디뮴 동위원소

wikitext

프라세오디뮴-141(141Pr)은 프라세오디뮴의 안정 동위 원소로, 프라세오디뮴 동위 원소 중 자연계에 유일하게 존재한다. 141Pr은 59개의 양성자와 82개의 중성자를 가지고 있으며, 원자 질량은 140.9076528(26) u이다. 핵 스핀은 5/2+이다.

핵종반감기붕괴 방식붕괴 생성 동위 원소핵 스핀
121Pr600(300) msp120Ce(3/2-)
122Pr500# msβ+122Ce
123Pr800# msβ+123Ce3/2+#
124Pr1.2(2) sβ+124Ce
125Pr3.3(7) sβ+125Ce3/2+#
126Pr3.12(18) sβ+126Ce(4,5,6)
127Pr4.2(3) sβ+127Ce3/2+#
127mPr50# ms11/2-
128Pr2.84(9) sβ+128Ce(3+)
129Pr32(3) sβ+129Ce(11/2-)
129mPr1# msIT129Pr(11/2-)
130Pr40.0(4) sβ+130Ce(6,7)(+#)
130mPr10# s2+#
131Pr1.50(3) 분β+131Ce(3/2+)
131mPr5.7(2) sIT (96.4%)131Pr(11/2-)
132Pr1.49(11) 분β+132Ce(2+)
132mPr20# sβ+132Ce(5+)
133Pr6.5(3) 분β+133Ce(3/2+)
133mPr1.1(2) µs(11/2-)
134Pr~11 분β+134Ce(5-)
134mPr17(2) 분β+134Ce2-
135Pr24(2) 분β+135Ce3/2(+)
135mPr105(10) µs(11/2-)
136Pr13.1(1) 분β+136Ce2+
137Pr1.28(3) 시간β+137Ce5/2+
137mPr2.66(7) µs11/2-
138Pr1.45(5) 분β+138Ce1+
138mPr2.12(4) 시간β+138Ce7-
139Pr4.41(4) 시간β+139Ce5/2+
140Pr3.39(1) 분β+140Ce1+
140m1Pr0.35(2) µs5+
140m2Pr3.05(20) µs(8)-
142Pr19.12(4) 시간β- (99.98%)142Nd2-
142mPr14.6(5) 분IT142Pr5-
143Pr13.57(2) 일β-143Nd7/2+
144Pr17.28(5) 분β-144Nd0-
144mPr7.2(3) 분IT (99.93%)144Pr3-
145Pr5.984(10) 시간β-145Nd7/2+
146Pr24.15(18) 분β-146Nd(2)-
147Pr13.4(4) 분β-147Nd(3/2+)
148Pr2.29(2) 분β-148Nd1-
148mPr2.01(7) 분β-148Nd(4)
149Pr2.26(7) 분β-149Nd(5/2+)
150Pr6.19(16) sβ-150Nd(1)-
151Pr18.90(7) sβ-151Nd(3/2)(-#)
152Pr3.63(12) sβ-152Nd4+
153Pr4.28(11) sβ-153Nd5/2-#
154Pr2.3(1) sβ-154Nd(3+,2+)
155Pr1# s [>300 ns]β-155Nd5/2-#
156Pr500# ms [>300 ns]β-156Nd
157Pr300# msβ-157Nd5/2-#
158Pr200# msβ-158Nd
159Pr100# msβ-159Nd5/2-#


2. 1. 안정 동위원소 (141Pr)

프라세오디뮴-141(141Pr)은 프라세오디뮴의 안정 동위 원소로, 프라세오디뮴 동위 원소 중 자연계에 유일하게 존재한다.[2] 141Pr은 59개의 양성자와 82개의 중성자를 가지고 있으며, 원자 질량은 140.9076528(26) u이다.[6] 핵 스핀은 5/2+이다.[7]

2. 2. 방사성 동위원소

wikitext

핵종반감기붕괴 방식붕괴 생성 동위 원소핵 스핀
121Pr600(300) msp120Ce(3/2-)
122Pr500# msβ+122Ce
123Pr800# msβ+123Ce3/2+#
124Pr1.2(2) sβ+124Ce
125Pr3.3(7) sβ+125Ce3/2+#
126Pr3.12(18) sβ+126Ce(4,5,6)
127Pr4.2(3) sβ+127Ce3/2+#
127mPr50# ms11/2-
128Pr2.84(9) sβ+128Ce(3+)
129Pr32(3) sβ+129Ce(11/2-)
129mPr1# msIT129Pr(11/2-)
130Pr40.0(4) sβ+130Ce(6,7)(+#)
130mPr10# s2+#
131Pr1.50(3) 분β+131Ce(3/2+)
131mPr5.7(2) sIT (96.4%)131Pr(11/2-)
132Pr1.49(11) 분β+132Ce(2+)
132mPr20# sβ+132Ce(5+)
133Pr6.5(3) 분β+133Ce(3/2+)
133mPr1.1(2) µs(11/2-)
134Pr~11 분β+134Ce(5-)
134mPr17(2) 분β+134Ce2-
135Pr24(2) 분β+135Ce3/2(+)
135mPr105(10) µs(11/2-)
136Pr13.1(1) 분β+136Ce2+
137Pr1.28(3) 시간β+137Ce5/2+
137mPr2.66(7) µs11/2-
138Pr1.45(5) 분β+138Ce1+
138mPr2.12(4) 시간β+138Ce7-
139Pr4.41(4) 시간β+139Ce5/2+
140Pr3.39(1) 분β+140Ce1+
140m1Pr0.35(2) µs5+
140m2Pr3.05(20) µs(8)-
141Pr안정5/2+
142Pr19.12(4) 시간β- (99.98%)142Nd2-
142mPr14.6(5) 분IT142Pr5-
143Pr13.57(2) 일β-143Nd7/2+
144Pr17.28(5) 분β-144Nd0-
144mPr7.2(3) 분IT (99.93%)144Pr3-
145Pr5.984(10) 시간β-145Nd7/2+
146Pr24.15(18) 분β-146Nd(2)-
147Pr13.4(4) 분β-147Nd(3/2+)
148Pr2.29(2) 분β-148Nd1-
148mPr2.01(7) 분β-148Nd(4)
149Pr2.26(7) 분β-149Nd(5/2+)
150Pr6.19(16) sβ-150Nd(1)-
151Pr18.90(7) sβ-151Nd(3/2)(-#)
152Pr3.63(12) sβ-152Nd4+
153Pr4.28(11) sβ-153Nd5/2-#
154Pr2.3(1) sβ-154Nd(3+,2+)
155Pr1# s [>300 ns]β-155Nd5/2-#
156Pr500# ms [>300 ns]β-156Nd
157Pr300# msβ-157Nd5/2-#
158Pr200# msβ-158Nd
159Pr100# msβ-159Nd5/2-#


2. 2. 1.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

wikitext

핵종반감기붕괴 방식붕괴 생성 동위 원소핵 스핀
121Pr600(300) msp120Ce(3/2-)
122Pr500# msβ+122Ce
123Pr800# msβ+123Ce3/2+#
124Pr1.2(2) sβ+124Ce
125Pr3.3(7) sβ+125Ce3/2+#
126Pr3.12(18) sβ+126Ce(4,5,6)
127Pr4.2(3) sβ+127Ce3/2+#
127mPr50# ms11/2-
128Pr2.84(9) sβ+128Ce(3+)
129Pr32(3) sβ+129Ce(11/2-)
129mPr1# msIT129Pr(11/2-)
130Pr40.0(4) sβ+130Ce(6,7)(+#)
130mPr10# s2+#
131Pr1.50(3) 분β+131Ce(3/2+)
131mPr5.7(2) sIT (96.4%)131Pr(11/2-)
132Pr1.49(11) 분β+132Ce(2+)
132mPr20# sβ+132Ce(5+)
133Pr6.5(3) 분β+133Ce(3/2+)
133mPr1.1(2) µs(11/2-)
134Pr~11 분β+134Ce(5-)
134mPr17(2) 분β+134Ce2-
135Pr24(2) 분β+135Ce3/2(+)
135mPr105(10) µs(11/2-)
136Pr13.1(1) 분β+136Ce2+
137Pr1.28(3) 시간β+137Ce5/2+
137mPr2.66(7) µs11/2-
138Pr1.45(5) 분β+138Ce1+
138mPr2.12(4) 시간β+138Ce7-
139Pr4.41(4) 시간β+139Ce5/2+
140Pr3.39(1) 분β+140Ce1+
140m1Pr0.35(2) µs5+
140m2Pr3.05(20) µs(8)-
141Pr안정5/2+
142Pr19.12(4) 시간β- (99.98%)142Nd2-
142mPr14.6(5) 분IT142Pr5-
143Pr13.57(2) 일β-143Nd7/2+
144Pr17.28(5) 분β-'144Nd'0-
144mPr7.2(3) 분IT (99.93%)144Pr3-
145Pr5.984(10) 시간β-145Nd7/2+
146Pr24.15(18) 분β-146Nd(2)-
147Pr13.4(4) 분β-147Nd(3/2+)
148Pr2.29(2) 분β-148Nd1-
148mPr2.01(7) 분β-148Nd(4)
149Pr2.26(7) 분β-149Nd(5/2+)
150Pr6.19(16) sβ-'150Nd'(1)-
151Pr18.90(7) sβ-151Nd(3/2)(-#)
152Pr3.63(12) sβ-152Nd4+
153Pr4.28(11) sβ-153Nd5/2-#
154Pr2.3(1) sβ-154Nd(3+,2+)
155Pr1# s [>300 ns]β-155Nd5/2-#
156Pr500# ms [>300 ns]β-156Nd
157Pr300# msβ-157Nd5/2-#
158Pr200# msβ-158Nd
159Pr100# msβ-159Nd5/2-#


3. 핵 스핀 및 이성질체

프라세오디뮴은 원자 번호 59번의 원소로, 여러 동위 원소를 가진다. 주어진 표에는 다양한 프라세오디뮴 동위 원소의 핵 스핀과 반감기 정보가 나열되어 있다.141Pr은 유일하게 안정한 동위 원소이며, 5/2+의 핵 스핀을 갖는다. 자연 존재비는 100%이다.

다른 프라세오디뮴 동위 원소들은 모두 방사성 동위 원소이며, 다양한 핵 스핀과 반감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121Pr은 600(300) ms의 반감기와 (3/2-)의 핵 스핀을 가지는 반면, 142Pr은 19.12(4) 시간의 반감기와 2-의 핵 스핀을 갖는다.

일부 동위 원소는 여러 개의 핵 이성질체를 갖는다. 예를 들어 134Pr은 바닥 상태(2-) 외에 17(2) 분의 반감기를 갖는 이성질체(5-)가 존재하며, 140Pr은 1+의 핵 스핀을 갖는 바닥 상태 외에 0.35(2) µs의 반감기를 갖는 5+ 이성질체와 3.05(20) µs의 반감기를 갖는 (8)-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4. 프라세오디뮴 동위원소의 활용

프라세오디뮴-141(141Pr)은 안정 동위 원소이며, 100% 자연 존재비를 갖는다. 프라세오디뮴의 다른 동위 원소들은 대부분 짧은 반감기를 가지며, 일부는 핵의학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5. 한국과 프라세오디뮴

참조

[1] 문서 Order of ground state and isomer is uncertain.
[2] 문서 Fission product
[3]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4] 문서 약어
[5] 문서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우주의 나이보다 반감기가 긴 동위 원소는 굵은 흘림체로 표기
[6] 문서 핵분열 생성물
[7] 문서 이론상으로 자발 핵분열을 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