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랭키 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랭키 칼은 1903년에 태어나 2001년에 사망한 미국의 피아니스트이자 밴드 리더이다. 그는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활동하며 여러 댄스 밴드와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했으며, 1935년에는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미국 최고의 피아니스트"로 소개되기도 했다. 1939년 호레이스 하이트의 밴드에 합류하여 인기를 얻었고, 이후 독립하여 프랭키 칼 오케스트라를 이끌었다. 칼은 작곡가로서도 활동하며, '선라이즈 세레나데'와 같은 히트곡을 남겼다. 그는 빅 밴드와 재즈 명예의 전당, 로드 아일랜드 유산 명예의 전당,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출생 - 송영 (극작가)
    송영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극작가로, 카프 계열 연극인으로 등단하여 노동 운동 풍자 작품을 발표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 월북하여 북조선연극동맹 위원장을 지냈으며, 김일성 항일 무장 투쟁을 형상화한 희곡으로 알려졌으나 한설야 숙청 시기에 숙청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애국렬사릉에 안장된 것으로 보아 복권된 것으로 추정된다.
  • 1903년 출생 - 김기진
    김기진은 팔봉이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인으로, KAPF에서 활동하며 경향파 문학 이론을 이끌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에는 반공주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 2001년 사망 - 달릴라 (무용가)
    달릴라는 스페인 출신의 무용가로 발레, 플라멩코, 벨리댄스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으며, 1950년대 이집트에서 벨리댄서로 공연하고 멕시코와 미국에서 댄스 스튜디오를 운영하다 2001년에 사망했다.
  • 2001년 사망 - 박윤종
    박윤종은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승주군수, 나주군수, 광주광역시장을 역임했으며, 전라남도 기획관리실장, 교육위원, 도정 자문위원장, 대한체육회 상임부회장 등을 지냈고, 제1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프랭키 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칼, 1943년경
본명프란체스코 눈치오 칼로네
다른 이름프랭키 칼, 키보드의 마법사
출생1903년 3월 25일
출생지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사망2001년 3월 7일 (97세)
사망지미국 애리조나주 메사
직업음악가, 작곡가
활동 시기1916년–1989년
장르빅 밴드
이지 리스닝
팝 스탠더드
피아노

2. 초기 생애

칼은 1903년 3월 25일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났다.[1] 피아노를 살 형편이 안 되는 공장 노동자의 아들이었던 그는 피아니스트인 삼촌 니콜라스 콜란젤로가 고안한 가짜 건반으로 연습하다가 무도회장에서 고장난 악기를 발견했다. 1916년, 십대였던 칼은 삼촌의 밴드와 로드아일랜드 지역의 여러 지역 밴드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대중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칼은 이민자 출신들이 흔히 하던 대로 성을 카를론에서 칼로 미국식으로 바꾸었다.

3. 경력

칼은 여러 주류 댄스 밴드와 함께 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초기 녹음과 공연은 1924년부터 1929년까지 에드윈 J. 맥에넬리 오케스트라와 함께 한 것이었다. 그는 맥에넬리를 위해 많은 편곡을 썼고 피아노도 연주했다. 1934년에는 말 할렛과 그의 오케스트라에 합류했다.[2] 1935년에는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한 나이트 클럽 광고에서 "미국 최고의 피아니스트"로 소개되었다.[3]

1939년 호레이스 하이트와 그의 뮤지컬 나이츠에 합류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그는 나중에 밴드의 공동 리더가 되었다. 하이트의 밴드와 함께 활동하며 얻은 인기로 1944년에 독립하여 자신의 오케스트라, 프랭키 칼 오케스트라를 결성했다. 그의 딸 마조리 휴즈가 그의 밴드에서 노래했을 때, 그는 월터 윈첼이 이를 공개할 때까지 그들의 관계를 밝히지 않았다.[4] 그의 밴드는 1955년 이후 해산되었고, 그는 그 이후 주로 솔리스트로 활동했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칼은 단독 아티스트로 활동하며 충성스러운 팬들을 유지했다.

프랭키 칼과 다른 사람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는 V-디스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미국 전쟁성에서 발매한 음반을 제작했다. 그는 자신의 새로운 작곡 "Moonlight Whispers"를 특징으로 하는 V-디스크 No. 210A를 소개했다. "Sunrise Serenade"는 1944년 7월 프랭키 칼과 그의 오케스트라의 새로운 녹음으로 미국 전쟁성에 의해 V-디스크 No. 230A로 발매되었다.

3. 1. 호레이스 하이트와의 협연, 그리고 독립

3. 2. 라디오 활동

칼은 월드 방송 시스템(World Broadcasting System)에서 배포하는 녹음 프로그램에서 The Four Belles라는 보컬 그룹의 피아니스트로 활동하며 라디오에 일찍이 출연했다.[5] 1940년대 중반, 칼과 가수 앨런 존스는 CBS 라디오에서 방송된 ''올드 골드 쇼''(Old Gold Show)에 출연했다.[6] 칼은 또한 ''팟 오 골드''(Pot o' Gold), ''트레저 체스트''(Treasure Chest), 그리고 ''체스터필드 서퍼 클럽(The Chesterfield Supper Club)''에도 출연했다.[7]

3. 3. 작곡 활동

칼의 음악은 경쾌한 터치로 인해 가볍기로 유명했다. 이로 인해 낭만적이고 춤추기 좋은 멜로디가 만들어졌고, 이는 매우 인기를 끌었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선라이즈 세레나데, 폴링 리브스(Falling Leaves), 오! 왓 잇 시임드 투 비, 프랭크 시나트라가 녹음한 로지스 인 더 레인(Roses in the Rain), 어 러버스 럴러바이(A Lover's Lullaby), 스윙 앤 어 미스(Swing and a Miss), 싱코페이티드 돌(Syncopated Doll), 디스 데이(This Day), 트래블린' 무드(Travelin' Mood), 웬 유어 립스 멧 마인(When Your Lips Met Mine), 와이 오 와이(Why Oh Why), 유 아 데어(You Are There), 유 앤 더 스타스 앤 미(You and the Stars and Me), 칼 부기(Carle Boogie), 선라이즈 부기(Sunrise Boogie), 선라이즈 인 나폴리(Sunrise in Napoli), 조지아나(Georgianna), 블루 판타지(Blue Fantasy), 아이 디든트 노(I Didn't Know), 더 골든 터치(The Golden Touch), 더 애플 밸리 왈츠(The Apple Valley Waltz), 그리고 1944년 미국 전쟁부에서 V 디스크 210A로 발매된 문라이트 위스퍼스(Moonlight Whispers) 등이 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과 V-디스크

4. 말년과 사망

칼은 2001년 애리조나주 메사에서 98세 생일을 몇 주 앞두고 자연사했다. 그는 포레스트 론 메모리얼 파크 (할리우드 힐스)에 묻혔다.[8] 로마 가톨릭교 신자였던 칼은 애리조나주 메사에 있는 홀리 크로스 교회에서 기독교 장례 미사를 치렀다. 그는 딸 마조리 휴즈 월, 손녀 수잔 지머만, 손자 리처드 도스, 증손녀 베로니카를 유족으로 남겼다.[8]

5. 유산

명예의 거리에 있는 칼의 별


1989년, 칼은 글렌 밀러와 베니 굿맨과 같은 다른 거장들과 함께 빅 밴드와 재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9][10] 1968년에는 로드 아일랜드 유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1] 1960년 2월 8일, 그는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Capitol Records 빌딩 맞은편, VINE의 1700 블록 서쪽에 위치)에 별을 받았다.[12] 전설적인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인 조앤 브래킨은 그가 악기에 대한 초기 독학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13] 2016년 4월, 칼은 사후에 로드 아일랜드 음악 명예의 전당(RIMHOF)에 헌액되었다.[14]

6. 음반 목록


  • ''프랭키 칼의 피아노 연주, 콜롬비아 (C-23 78 RPM 세트, 1942)''
  • ''프랭키 칼 앙코르, 콜롬비아 (C-70 78 RPM 세트, 1943)''
  • ''칼이 부른다, 콜롬비아 (CL-6002 10" Lp, 1948)''
  • ''프랭키 칼과 그의 여자 친구들, 콜롬비아 (CL-6018 10" Lp/C-97 78 RPM 세트, 1948)''
  • ''리듬 속의 장미, 콜롬비아 (CL-6032 10" Lp/C-174 78 RPM 세트, 1949)''
  • ''프랭키 칼 댄스 퍼레이드, 콜롬비아 (CL-6047 10" Lp, 1949)''
  • ''피아노 연주, 콜롬비아 (CL-6075 10" Lp, 1949)''
  • ''칼, 거장들을 만나다, 콜롬비아 (CL-6085 10" Lp, 1950)''
  • ''프랭키 칼의 혼키 통크 연주, RCA 빅터 (LPM-26, 1951)''
  • ''탑 팝스, RCA 빅터 (LPM-3024, 1952)''
  • ''나와 내 갤을 위해, RCA 빅터 (LPM-3059, 1952)''
  • ''프랭키 칼의 피아노 파티, 콜롬비아 (CL-531, 1953)''
  • ''혼키 통크 피아노, RCA 빅터 (LPM-1188, 1956)''
  • ''프랭키 칼과 함께하는 칵테일 타임, RCA 빅터 (LPM-1221, 1956)''
  • ''프랭키 칼의 스윗하트, RCA 빅터 (LPM 1222, 1956)''
  • ''지중해 크루즈, RCA 빅터 (LPM-1275, 1956)''
  • ''프랭키 칼의 최고작, RCA 빅터 (LPM-1153, 1957)''
  • ''세계 일주, RCA 빅터 (LPM/LSP-1499, 1958)''
  • ''춤을 위한 37가지 즐겨찾기, RCA 빅터 (LPM/LSP-1868, 1958)''
  • ''라이딘 하이, 보컬리온 (VL 3622, 1958)''
  • ''프랭키 칼의 피아노 스타일, RCA 캠든 (CAL 478, 1959)''
  • ''댄스 타임을 위한 쇼 스토퍼, RCA 빅터 (LPM-1963, 1959)''
  • ''황금 터치, RCA 빅터 (LPM-2139, 1959)''
  • ''나를 데려가 줘, RCA 빅터 (LSP-2142, 1959)''
  • ''칼이 좋아하는 히트곡 모음, RCA 빅터 (LPM/LSP-2148, 1959)''
  • ''탑 오브 더 마크 (데릴 스티븐스 피처링), RCA 빅터 (LPM/LSP-2233, 1960)''
  • ''프랭키 칼의 멋진 네 손, RCA 빅터 (LSP-2288, 1961)''
  • ''멋진 프랭키 칼 (HL 7140, 1961)''
  • ''수십 개의 혼키 통크 히트곡, RCA 빅터 (LSP-2491, 1962)''
  • ''불타는 40년대의 30 히트곡, RCA 빅터 (LPM-2594, LSP-2594, c1963)''
  • ''선율적인 20년대의 30 히트곡, RCA 빅터 (LPM/LSP-2592, 1963)''
  • ''우렁찬 30년대의 30 히트곡, RCA 빅터 (LPM/LSP-2593, 1963)''
  • ''리듬 속의 장미, 콜롬비아 (CL 913, 1963)''
  • ''환상적인 50년대의 30 히트곡, RCA 빅터 (LPM/LSP-2881, c1964)''
  • ''칵테일 피아노 연주, RCA 커스텀 (CPM/CSP-112, 1964)''
  • ''프랭키 칼이 연주하는 위대한 수입 히트곡, RCA 빅터 (LSP-2920, 1964)''
  • ''프랭키 칼이 연주하는 위대한 피아노 히트곡, RCA 빅터 (LSP-3425, 1965)''
  • ''프랭키 칼의 열대 스타일, RCA 빅터 (LPM 3609, 1966)''
  • ''프랭키 칼의 최고작, RCA 빅터 (LSP 3469, 1966)''
  • ''프랭키 칼, 닷 (DLP 25789, 1967)''
  • ''어딘가 나의 사랑, 닷 (DLP 25802/25804, 1967)''
  • ''선라이즈 세레나데, 하모니 (HS 11217, 1967)''
  • ''시대: 30년대, 닷 (DLP 25847, 1968)''
  • ''시대: 40년대, 닷 (DLP 25877, 1968)''
  • ''시대: 50년대, 닷 (DLP 25928, 1969)''
  • ''프랭키 칼의 최고작, RCA (ANL1-1079(e), 1975 LSP-3469 재발매)''
  • ''프랭키 칼의 황금 터치, 굿 뮤직 레코드 (GMR80032, p1984)''

7. 참고 문헌

wikitext


  • 살바토레 J. 라구미나/Salvatore J. LaGumina영어 외 (2000). ''이탈리아계 미국인의 경험/The Italian American Experience영어'' 웨스트포트: 그린우드 출판사.
  • 레오 워커/Leo Walker영어 (1989). ''빅 밴드 알마낙/The Big Band Almanac영어''. 할리우드: 다 카포 출판사.

참조

[1] 웹사이트 Frankie Carle http://www.spaceagep[...] Spaceagepop.com 2014-05-23
[2] 뉴스 On Nearby Curtains https://www.newspape[...] The Brooklyn Daily Eagle 1934-09-23
[3] 뉴스 (Meadowbrook advertisement) https://www.newspape[...] The North Adams Transcript 1935-06-20
[4] 간행물 Pop Chronicles 40s
[5] 뉴스 On the Air With WHMA https://www.newspape[...] The Anniston Star 1939-08-07
[6] 뉴스 On The Beam https://www.newspape[...] The Mason City Globe-Gazette 1944-04-12
[7] 서적 'Radio Stars: An Illustrated Biographical Dictionary of 953 Performers, 1920 through 1960' McFarland & Company, Inc. 1996
[8] 서적 'Resting Places: The Burial Sites of More Than 14,000 Famous Persons'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null
[9] 웹사이트 Frankie Carle Biography https://www.imdb.com[...] IMDb.com 2014-05-23
[10] 뉴스 Frankie Carle https://www.ripopmus[...] 2015-08-16
[11] 웹사이트 Frankie Carle https://www.riherita[...] 2015-08-16
[12] 웹사이트 Frankie Carle https://www.walkoffa[...] 2015-08-16
[13] 웹사이트 A Woman of Many Hats https://vimeo.com/14[...] 2015-12-25
[14] 뉴스 GoLocalProv {{!}} Lifestyle {{!}} Herb Weiss: Abate Joins Exclusive Class of Musicians https://www.golocalp[...] GoLocalProv 2017-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