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리다검은늑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로리다검은늑대는 늑대의 한 아종으로,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이 늑대는 과거에는 아메리카붉은늑대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털 색깔의 변화로 인해 별도의 아종으로 구분되었다. 플로리다붉은늑대는 1921년에 멸종되었다. 플로리다검은늑대가 붉은늑대가 아닌 코요테에 더 가깝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 1957년 동물 명칭 표준화위원회의 결정에 의해 무효화되었다. 현재는 붉은늑대의 아종으로 널리 여겨지며, 붉은늑대의 색상 변화가 플로리다검은늑대의 생성으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학자들은 이 종이 붉은늑대가 아닌 코요테의 일종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기재된 포유류 - 노랑박쥐
- 1944년 기재된 포유류 - 옵덴부쉬망가베이
옵덴부쉬망가베이는 검은볏망가베이와 유사한 외모를 지닌 영장류로, 콩고 민주 공화국 남서부와 앙골라 인근의 열대 우림에 서식한다. - 회색늑대의 아종 - 개
개는 회색늑대의 가축화된 아종으로, 오랜 가축화 과정을 거쳐 다양한 견종으로 분화되었으며, 반려동물과 다양한 직업 분야에서 인간과 함께 생활하며 여러 사회적 문제도 야기한다. - 회색늑대의 아종 - 일본늑대
일본늑대는 규슈, 시코쿠, 혼슈에 서식했던 개과의 멸종 동물로, 회색늑대의 아종 또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되며, 일본 민속에서 신성시되었으나 광견병 유행과 서식지 감소로 1905년 멸종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이후 목격담과 복원 시도에 대한 논의가 있다. - 1500년 이후 절멸한 포유류 -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는 뉴질랜드에 서식했던 중간 크기의 박쥐로 뉴질랜드작은짧은꼬리박쥐보다 크고 튼튼한 체형을 지녔으나, 폴리네시아 쥐의 유입과 서식지 파괴로 1965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2000년대 후반 목격담으로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어 IUCN 적색 목록에 '심각한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추가 조사가 진행 중이다. - 1500년 이후 절멸한 포유류 - 태즈메이니아주머니늑대
태즈메이니아주머니늑대는 주머니고양이목 주머니늑대과에 속하는 멸종된 유대류로, 개와 유사한 외형과 줄무늬를 가지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서식하다가 유럽인들의 정착 이후 학살로 인해 1936년에 멸종되었다.
플로리다검은늑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정보 | |
![]() | |
멸종 상태 | 멸종 (EX) |
멸종 여부 | 예 |
속 | 개속 (Canis) |
종 | 늑대 (rufus) |
아종 | 플로리다흑색늑대 (floridanus) |
학명 | Canis rufus floridanus |
학명 명명자 | Miller, 1912 |
이명 | Canis floridanus (Miller, 1912) Canis lupus floridanus |
2. 종 분류 논쟁
플로리다검은늑대는 한때 텍사스 주에 서식하는 아메리카붉은늑대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10] 이후 색상 변화로 인해 별도의 아종으로 구분되었다.[11] 붉은색을 띠는 플로리다붉은늑대는 플로리다 이외 지역에도 서식했지만 1921년에 멸종했다.[9]
이 두 늑대(플로리다검은늑대, 플로리다붉은늑대)는 모두 붉은늑대의 아종으로 평가되기보다는 코요테와 더 가깝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Canis niger niger''라는 새로운 삼명법이 제안되기도 했으나,[12] 1957년 동물 명칭 표준화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무효화되었다.[13]
현재는 붉은늑대 자체의 아종 구분에 대한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 1. 회색늑대 아종 분류
2005년, 국제 분류학 권위서인 "세계의 포유류 종"에서는 플로리다검은늑대를 회색늑대(Canis lupus)의 아종으로 인정하였다.[4]2. 2. 붉은늑대 아종 분류
이 아종은 한때 텍사스 주에 서식하는 아메리카붉은늑대의 아종으로 간주되었으며,[10] 이후 색상 변화로 인해 플로리다흑색늑대라는 별도의 아종으로 구분되었다.[11] 붉은 색의 아종인 플로리다붉은늑대는 플로리다 이외 지역에도 서식했지만 1921년에 멸종했다.[9] 이 두 종 모두 붉은늑대의 아종으로 평가하는 대신 실제로는 코요테와 가깝기 때문에 ''Canis niger niger''라는 새로운 삼명법이 제기되었으나,[12] 1957년 동물 명칭 표준화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무효화되었다.[13]현재 이 개과 동물은 붉은 늑대 ''붉은늑대''(Canis rufus)의 아종으로 널리 여겨지며,[5] 붉은 늑대의 색상 변화가 플로리다 검은 늑대의 생성으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6] 한 저자는 이 종이 붉은 늑대의 아종이 아니라 실제로 코요테의 일종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7]
아종의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현재 알려진 붉은늑대 자체의 아종 구분이 유효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2. 3. 코요테 분류설
일부 학자들은 플로리다검은늑대가 붉은늑대의 아종이 아니라 실제로는 코요테의 일종이라고 주장한다.[7] 이 때문에 ''Canis niger niger''라는 새로운 삼명법이 제기되기도 했으나,[12] 1957년 동물 명칭 표준화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무효화되었다.[13]2. 4. 종 분류 논쟁의 전개
이 아종은 한때 주로 텍사스 주에서 아메리카붉은늑대의 아종으로 간주되었으며,[10] 이후 색상 변화로 인해 플로리다흑색늑대라는 별도의 아종으로 구분되었다.[11] 붉은색 아종인 플로리다붉은늑대는 플로리다 이외 지역에도 서식했지만 1921년 멸종했다.[9] 이 두 종 모두 붉은늑대의 아종으로 평가하는 대신 실제로는 코요테와 가깝기 때문에 ''Canis niger niger''라는 새로운 삼명법이 제기되었다.[12] 그러나 이 변화는 1957년 동물 명칭 표준화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무효화되었다.[13]아종에 신빙성이 의심되며, 현재 알려진 붉은늑대 자체의 아종 구분이 유효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참조
[1]
논문
THE NAMES OF TWO SOUTH AMERICAN WOLVES
https://www.biodiver[...]
1912-05-04
[2]
웹사이트
"''Canis rufus floridanus'' {{!}} Miller, 1912"
https://www.catalogu[...]
2022-12-12
[3]
서적
Elsevier's Dictionary of Mammals: In Latin, English, German, French and Italian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6-11-18
[4]
MSW3 Wozencraft
https://books.google[...]
[5]
서적
Brevard County, Florida: A Short History to 1955
2017-10-20
[6]
서적
Alsatian Shepalute's: A New Breed For A New Millennium
AuthorHouse
2004-08
[7]
서적
Standard Handbook of Environmental Science, Health, and Technology
McGraw-Hill
2000-08-17
[8]
서적
Elsevier's Dictionary of Mammals: In Latin, English, German, French and Italian
http://books.google.[...]
Elsevier
[9]
뉴스
"For saving the Florida panther, it's desperation time" – St. Petersburg Times
http://pqasb.pqarchi[...]
St. Petersburg Times
1990-02-11
[10]
문서
"BREVARD COUNTY, FLORIDA: A Short History to 1955" – Google Docs
http://docs.google.c[...]
[11]
서적
Alsatian Shepalute's: A New Breed For A New Millennium
http://books.google.[...]
AuthorHouse
2004
[12]
서적
Std Hndbk Env Health, Sci
http://books.google.[...]
McGraw Hill Professional
2000
[13]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http://books.google.[...]
JHU Press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