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선거구는 1907년 첫 의회 선거 이후 핀란드의 주를 기반으로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어 왔다. 1969년 선거법에 따라 15개로 재편되었으며, 2010년 주가 폐지되고 지역이 신설되면서 선거구에도 조정이 있었다. 현재 핀란드는 13개의 광역 선거구와 1개의 소선거구(올란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5년 의회 선거를 기준으로 각 선거구별 의석수가 배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핀란드의 선거구 | |
---|---|
핀란드의 선거구 | |
개요 | |
국가 | 핀란드 |
선거 유형 | 의회 |
의석 수 | 200석 |
선거구 목록 | |
선거구 1 | 헬싱키 |
선거구 2 | 우시마 |
선거구 3 | 남서 핀란드 |
선거구 4 | 사타쿤타 |
선거구 5 | 바일라크 수오미 |
선거구 6 | 케스키 수오미 |
선거구 7 | 포흐요이스 카르얄라 |
선거구 8 | 사보니아 |
선거구 9 | 포흐요이스 포흐얀마 |
선거구 10 | 라피 |
선거구 11 | 오울루 |
2. 변동 역사
선거구의 경계는 1634년부터 1997년까지 사용된 주를 기반으로 하며, 1907년 첫 의회 선거 이후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어 왔다. 핀란드의 지역 간의 몇몇 지역 경계 변경이 선거구에 영향을 미쳤지만, 더 큰 변경 사항도 있었다.
1939년, 오울루 주 북부 선거구는 라피 주와 오울루 주 선거구로 나뉘었고, 오울루 주 남부 선거구는 오울루 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계속 전쟁 이후, 영토의 상당 부분을 소련에 잃은 동부 비푸리 및 서부 비푸리 선거구는 새로운 퀴미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동시에, 올란드는 별도의 선거구가 되었다. 1954년, 헬싱키 시는 우시마 주 선거구에서 분리되었다. 1962년, 남부 바사 및 북부 바사 선거구가 통합되었다. 2015년에는 퀴미와 남사보 선거구가 통합되어 동남 핀란드 선거구가 형성되었고, 유사하게 북사보와 북카렐리아 선거구가 통합되어 사보-카렐리아 선거구가 형성되었다.
2. 1. 제2차 세계대전 이전 (1906년-1945년)
1906년 최초의 의회 선거 당시 16개 선거구가 설치되었다.[3][4] 핀란드의 주는 1634년부터 1997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선거구는 이 주를 기반으로 했다. 1907년 첫 의회 선거 이후 선거구는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나, 지역 경계 변경에 따라 몇몇 조정이 있었다. 대부분의 선거구는 비례대표제로 운영되었지만, 인구 밀도가 낮은 라피 선거구(1906년-1908년) → 라핀마 선거구(1909년-1938년) → 라피주 선거구(1939년-1995년)는 소선거구제로 운영되었다.
- 우시마주 선거구: 우시마주 전역 - 23석.
- 투르쿠주 남부 선거구: 투르쿠 포리주 남부(아베난마, 베흐마, 뮈내매키, 픽키외, 할릭코, 마스쿠) - 17석.
- 투르쿠주 북부 선거구: 투르쿠 포리주 북부(울빌라, 이칼리넨, 튀르배, 로이마) - 17석.
- 해메주 남부 선거구: 해메주 남부(탐멜라, 하우호, 홀롤라) - 11석.
- 해메주 복부 선거구: 해메주 북부(피르칼라, 루오베시, 얨새) - 11석.
- 비푸리주 서부 선거구(1906년-1945년): 비푸리주 서부(퀴미, 라페, 란타) - 13석.
- 비푸리주 동부 선거구(1906년-1945년): 비푸리주 동부 - 17석.
- 미켈리주 선거구: 미켈리주 전역 - 14석.
- 쿠오피오주 서부 선거구: 쿠오피오주 서부(라우탈람피, 쿠오피오, 이살미) - 13석.
- 쿠오피오주 동부 선거구: 쿠오피오주 동부(리페리, 일로만치, 피엘리섀르비) - 11석.
- 바사주 동부 선거구(1906년-1960년): 바사주 동부(라우카, 쿠오르타네) - 11석.
- 바사주 남부 선거구(1906년-1960년): 바사주 남부(일마요키, 코르스홀름) - 12석.
- 바사주 북부 선거구(1906년-1960년): 바사주 북부(윌리스타로, 이소퀴뢰, 라푸아, 피에타르섬) - 10석.
- 오울루주 남부 선거구(1906년-1938년): 오울루주 남부(살로이넨, 하파얘르비, 카야니, 오울루요키, 오울룬살로, 켐펠레, 루미요키, 리밍가, 템메스, 튀르내배, 무호스, 우타얘르비) - 13석.
- 오울루주 북부 선거구(1906년-1938년): 오울루주 북부(케미, 쿠이바니에미, 리, 하우키푸다스, 키민키, 윌리키민키, 푸다섀르비, 타이발코스키, 쿠사모) - 6석.
- 라피 선거구(1906년-1908년) → 라핀마 선거구(1909년-1938년) → 라피주 선거구(1939년-1995년) - 1석.
1918년 핀란드가 독립한 이후, 소련으로부터 페차모 지역을 넘겨받아 라피 선거구에 편입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결과, 비푸리시를 포함한 서카리알라(비푸리주) 지역과 페차모를 소련에 할양하면서 선거구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1939년, 오울루 주 북부 선거구는 라피 주와 오울루 주 선거구로 나뉘었고, 오울루 주 남부 선거구는 오울루 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소련에 할양된 비푸리주 지역 출신 난민들을 위해 1945년부터 1948년까지 퀴미주 경계 근처에 임시 선거구가 설치되었다. 계속 전쟁 이후, 영토의 상당 부분을 소련에 잃은 동부 비푸리 및 서부 비푸리 선거구는 새로운 퀴미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2. 2. 1969년 선거법
1969년 선거법에 따라 핀란드의 선거구는 15개로 재편되었다.[5] 1969년 선거법에서 규정된 선거구는 다음과 같다.- 헬싱키시 선거구: 1954년 우시마주에서 분리됨.
- 우시마주 선거구: 헬싱키시를 제외한 우시마주.
- 투르쿠주 남부 선거구: 투르쿠 포리주 남부(퓌해란타, 코디쇼키, 라이틸라, 카리알라, 윌래네, 오리패, 알라스타로, 로이마, 메채마)
- 투르쿠주 북부 선거구: 투르쿠 포리주 북부(라우마, 라피, 힌네료키, 혼킬라흐티, 새퀼래, 밤풀라, 후이티넨, 푼칼라이투멘)
- 아베난마주 선거구: 아베난마주 전역.
- 해메주 남부 선거구: 해메주 남부(우랼라, 퀼매코스키, 비알라, 색스매키, 발케아코스키, 튀르브텐, 하우호, 람미, 파다쇼키)
- 해메주 북부 선거구: 해메주 북부(베실라흐티, 렘팰래, 캉가살라, 팰캐네, 루오피오이넨, 쿠흐말라흐티, 쿠흐모이넨)
- 퀴미주 선거구: 퀴미주 전역.
- 미켈리주 선거구: 미켈리주 전역.
- 쿠오피오주 선거구: 쿠오피오주 전역.
- 북카리알라주 선거구: 북카리알라주 전역.
- 바사주 선거구: 바사주 전역.
- 중앙수오미주 선거구: 중앙수오미주 전역.
- 오울루주 선거구: 오울루주 전역.
- 라피주 선거구: 라피주 전역.

인구가 많은 해메주, 투르쿠 포리주, 우시마주는 둘로 나누거나 헬싱키와 같이 대도시는 분리하여 별도의 선거구를 구성하였다.[5] 아베난마 선거구를 제외한 모든 선거구는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였다. 선거구의 경계는 1634년부터 1997년까지 사용된 주를 기반으로 하며, 1907년 첫 의회 선거 이후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어 왔다.
2. 3. 현재 (2010년 이후)
2010년 핀란드의 주(lääni)가 폐지되고 2011년 지역(maakunta)이 신설됨에 따라 핀란드의 선거구에도 조정이 이루어졌다.[2] 하지만 선거구 구획은 여전히 예전의 주 구획을 대체로 따르고 있다. 주제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선거구 이름에서 "-주(läänin)"가 빠졌다.[2]1939년, 오울루 주 북부 선거구는 라피 주와 오울루 주 선거구로 나뉘었고, 오울루 주 남부 선거구는 오울루 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계속 전쟁 이후, 영토의 상당 부분을 소련에 잃은 동부 비푸리 및 서부 비푸리 선거구는 새로운 퀴미 선거구로 통합되었다.[2] 동시에, 올란드는 별도의 선거구가 되었다.[2] 1954년, 헬싱키 시는 우시마 주 선거구에서 분리되었다.[2] 1962년, 남부 바사 및 북부 바사 선거구가 통합되었다.[2]
2015년에는 퀴미와 남사보 선거구가 통합되어 동남 핀란드 선거구가 형성되었고, 북사보와 북카렐리아 선거구가 통합되어 사보-카렐리아 선거구가 형성되었다.[2]

현재 핀란드는 13개의 광역 선거구와 1개의 소선거구(올란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5년 의회 선거를 기준으로 각 선거구별 의석수가 배정된다.[2]
2015년 의회 선거를 기준으로 각 선거구별 의석수가 배정된다.
3. 선거구 목록 (2015년 기준)
3. 1. 헬싱키 선거구 (01)
헬싱키 선거구(핀란드어: Helsingin vaalipiiri)는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로 헬싱키 시를 관할한다. 2015년 의회 선거를 기준으로 23석의 의석이 배정되어 있다.[2]
3. 2. 우시마 선거구 (02)
우시마 선거구는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로, 헬싱키시를 제외한 우시마 지역을 포함한다.[2] 2015년 의회 선거 기준으로 37석이 배정되어 있으며, 인구는 1,002,137명이다.[2]
3. 3. 남서수오미 선거구 (03)
남서수오미 선거구(핀란드 남서부)는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로 2015년 핀란드 의회 선거기준으로 17석이 배정되어있다.[2] 인구는 475,559명이다.[2]
3. 4. 사타쿤타 선거구 (04)
'''사타쿤타 선거구'''(04)는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이다. 2015년 핀란드 의회 선거를 기준으로 8석이 배정되어 있다.[2] 사타쿤타 지역을 대표한다.
3. 5. 아베난마 지역 선거구 (05)
아베난마 지역은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로 의석수는 1석(소선거구제)이다.[2] 2015년 의회 선거를 기준으로 29,179명의 인구가 배정되어 있다.[2]
3. 6. 해메 선거구 (06)
해메 선거구(Häme)는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이다. 2015년 핀란드 의회 선거를 기준으로 의석수는 14석이며,[2] 인구는 375,540명이다.[2] 칸타해메 지역과 패이얘트해메 지역을 포함한다.
3. 7. 피르칸마 선거구 (07)
피르칸마 선거구(07 피르칸마)는 2015년 핀란드 의회 선거 기준으로 20석의 의석이 배정되어 있다.[2] 2015년 기준으로 핀란드에서 7번째 선거구이며 인구는 509,309명이다.[2]
3. 8. 남동수오미 선거구 (08)
남동수오미 선거구(핀란드어: Kaakkois-Suomen vaalipiiri)는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이다. 2013년까지는 퀴미 선거구였다가 2015년 총선부터 남동수오미 선거구로 명칭이 바뀌었다.[2] 남사보 지역, 퀴멘락소 지역, 남카리알라 지역을 관할하며, 의석수는 15석이다.[2]
3. 9. 사보카리알라 선거구 (09)
사보-카렐리아 선거구(핀란드어: Savo-Karjalan vaalipiiri)는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이다. 2013년 북사보 선거구와 북카리알라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2], 2015년 의회 선거부터 적용되었다. 북사보 지역과 북카리알라 지역을 관할하며, 의석수는 15석이다.[2]
3. 10. 바사 선거구 (10)
바사 선거구는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로, 2015년 핀란드 의회 선거 기준으로 16석이 배정되어 있다.[2] 인구는 442,495명이다.[2] 포흐얀마 지역, 남포흐얀마 지역, 중앙포흐얀마 지역을 포함한다.
3. 11. 중앙수오미 선거구 (11)
중앙수오미 선거구는 중앙수오미 지역을 대표하는 핀란드 의회 선거구 중 하나이다.[2] 2015년 의회 선거를 기준으로 10석의 의석이 배정되어 있다.[2] 중앙수오미 선거구의 인구는 276,265명이다.[2]
3. 12. 오울루 선거구 (12)
오울루 선거구(Oulu)는 핀란드의 선거구 중 하나이다. 북포흐얀마 지역과 카이누 지역을 포함한다.[2] 2015년 핀란드 의회 선거 기준으로 18석이 배정되어 있다.[2]
3. 13. 라피 선거구 (13)
라피 선거구는 2015년 핀란드 의회 선거를 기준으로 6석이 배정되어 있다.[2]
4. 의석 배분
1962년부터 현재까지 핀란드 의회(정원 200석)의 선거구별 의석 배분은 시대별 인구 변화를 반영하여 조정되어 왔다.[6][7]
참조
[1]
웹사이트
Members of Parliament
https://www.eduskunt[...]
[2]
간행물
2016 population figures per region
http://pxnet2.stat.f[...]
[3]
웹사이트
http://www.kerhokesk[...]
[4]
웹사이트
http://www.finlex.fi[...]
[5]
웹사이트
http://www.finlex.fi[...]
[6]
간행물
Vaalipiirien paikkamäärät eduskuntavaaleissa 1907-2019
https://vaalit.fi/do[...]
Oikeusministeriö
2019-04-04
[7]
간행물
Valtioneuvoston asetus kansanedustajien paikkojen jaosta vaalipiirien kesken (850/2018)
https://www.finlex.f[...]
Oikeusministeriö
2019-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