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림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림그룹은 닭고기 가공 및 판매 기업인 하림을 중심으로, 하림산업, 팬오션, 제일사료, 선진, 팜스코, NS홈쇼핑, 하림펫푸드, 앨런하림푸드 등을 계열사로 둔 대한민국의 기업 집단이다. 식품, 유통, 해운 관련 계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HMM 인수를 시도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 최근 하림이 판매한 생닭에서 벌레가 발견되어 위생 논란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재벌 - 진로그룹
    1924년 진천양조상회로 시작한 진로그룹은 진로소주를 기반으로 성장하여 한때 재계 24위까지 올랐으나, 1997년 외환 위기로 부도 후 해체되었고, 주류 사업 부문은 하이트맥주에 인수되어 하이트진로로 재편되었다.
  • 대한민국의 재벌 - 웅진그룹
    웅진그룹은 1980년 윤석금이 설립한 도서출판 헤임인터내셔널에서 시작하여 출판 및 교육 사업을 기반으로 성장했으나, 2000년대 후반 위기를 겪은 후 구조조정을 거쳐 현재는 웅진을 지주사로 교육, 출판, 건설, 레저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대한민국의 기업 집단이다.
  • 1978년 설립된 기업 - 베르사체
    베르사체는 1978년 잔니 베르사체가 설립한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로, 의류, 액세서리, 향수, 홈 인테리어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2018년 마이클 코어스에 인수되었다.
  • 1978년 설립된 기업 - 이랜드리테일
    이랜드리테일은 이랜드 그룹의 계열사이자 의류에서 유통 사업으로 확장한 국내 기업으로, 사업 내용, 재무 현황, 경영진, 사회적 책임, 주주 현황이 주요 내용이며 노동 환경 문제 등 사회적 논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대한민국의 기업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기업 - 세아그룹
    세아그룹은 특수강, 강관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기업 집단이며, 세아홀딩스를 지주회사로 두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있으며, 아람코와 협력하여 중동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하림그룹 - [회사]에 관한 문서

2. 관계사

하림그룹의 주요 관계사는 다음과 같다.

2. 1. 식품

하림그룹은 닭고기 가공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여러 기업들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계열사로는 하림, 하림산업, 제일사료, 선진, 팜스코, NS홈쇼핑, 하림펫푸드, 앨런하림푸드 등이 있다.

2. 1. 1. 하림

하림, 하림산업, 팬오션, 제일사료, 선진, 팜스코, NS홈쇼핑, 하림펫푸드, 앨런하림푸드

2. 1. 2. 하림산업

하림산업은 1997년 11월 14일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식품 제조 및 가공업체이다. 주요 사업 분야는 닭고기 가공 및 판매, 사료 제조 및 판매, 농축산물 유통 등이다. 하림의 계열사로, 하림그룹 내에서 식품 사업 부문을 담당하고 있다.

2. 1. 3. 제일사료

제일사료

2. 1. 4. 선진

선진

2. 1. 5. 팜스코

2. 1. 6. 앨런하림푸드

2. 1. 7. 하림펫푸드

하림펫푸드는 하림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로, 반려동물 식품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2. 2. 유통

하림그룹의 유통 부문에는 NS홈쇼핑 등의 계열사가 있다.

2. 2. 1. NS홈쇼핑

NS홈쇼핑

2. 3. 해운

하림그룹은 팬오션을 통해 해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 3. 1. 팬오션

팬오션

3. 사건/사고

2023년 HMM 인수전에 참여했으나, 2024년 사모펀드 JKL파트너스의 지분 매각 기한 예외 적용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인수가 무산되었다.[1][5]

최근 하림이 판매한 생닭에서 벌레가 발견되어 위생 문제가 불거졌으나, 김홍국 회장은 '인체에 무해하다'는 부적절한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다.[6]

3. 1. HMM 인수 논란

2023년 8월 29일, 국내 유일의 컨테이너 선사인 HMM 인수전에 참여했다.[1] 팬오션과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기 때문이다.[2] 그러나 하림그룹의 전체 자산보다 규모가 큰 HMM을 인수하는 것에 대해 '승자의 저주'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3]

여러 논란 속에서도 12월 18일, 하림그룹은 6조의 입찰가로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었다.[4] 그러나 2024년 2월 7일, 사모펀드JKL파트너스의 지분 매각 기한에 예외를 요구하면서 인수는 결국 무산되었다.[5]

3. 2. '벌레 생닭' 논란

최근 하림이 판매한 생닭에서 여러 마리의 벌레가 발견돼 위생 문제가 불거졌지만,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이를 두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김 회장의 이런 발언이 부적절하다고 평가하며 현장 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6]

참조

[1] 뉴스 "[단독]HMM 매각, LX·동원·하림 3파전으로…獨 선사는 탈락" https://marketinsigh[...] 한국경제 2023-08-29
[2] 뉴스 "[마켓파워] HMM 인수전 ‘경험’과 ‘자금력’이 승부처…IB업계, 하림 상대적 우위 평가" https://www.asiatoda[...] 아시아투데이 2023-10-10
[3] 뉴스 "[HMM 적격인수자 정말 없나]① 하림·JKL연합, ‘현금 빼먹기’ 매도는 억울하다" https://biz.chosun.c[...] 조선일보 2023-11-01
[4] 뉴스 HMM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림그룹 선정 https://news.kbs.co.[...] KBS 2023-12-18
[5] 뉴스 하림, 글로벌그룹 꿈 무산…"입장 차이 커 협상 쉽지 않았다"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2-07
[6] 뉴스 "'벌레 생닭' 논란에 하림 회장 \"무해\" vs 식약처 \"현장조사\""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