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오쥔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오쥔민은 중국의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2004년 톈진 진먼후에서 프로 데뷔하여 2009년까지 활약하며 중국 슈퍼리그 2005, 2008에서 팀의 4위, 2006, 2007년 중국 올해의 유망주상을 수상했다. 2010년 샬케 04로 이적하여 분데스리가 준우승, DFB-포칼 우승을 경험했으며, 산둥 타이산에서 10년간 활약하며 중국 FA컵 2회 우승, 슈퍼컵 우승, 슈퍼리그 준우승 등을 기록했다. 2021년 우한 FC, 광저우 FC를 거쳐 2022년 은퇴했다. 국가대표팀에서는 90경기 12골을 기록했고,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을 경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에 거주한 중국인 - 돤치루이
단기서는 중국 북양군벌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북양무비학당 졸업 후 독일에서 군사학을 수학했고, 위안스카이의 심복으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1920년 직환전쟁 패배 후 은퇴하고 1924년 임시집정을 거쳐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 독일에 거주한 중국인 - 왕루이지
중국 펜싱 선수이자 감독인 왕루이지는 197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올림픽 선수 겸 코치, 중국 및 홍콩 펜싱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으며, 그의 아들 왕자얼은 GOT7의 멤버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리웨이펑
리웨이펑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축 수비수로 활약하며 센추리 클럽에도 가입한 전 축구 선수로, 다혈질적인 플레이 스타일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경험과 뛰어난 공중볼 장악 능력을 바탕으로 중국 축구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펑샤오팅
펑샤오팅은 중국의 수비수 축구 선수로, 2003년 프로 데뷔 후 중국 슈퍼리그 최연소 주장 기록을 세웠으며, 다롄 스더, 대구 FC, 전북 현대 모터스 등을 거쳐 광저우 헝다에서 활약했고, 중국 국가대표팀에서도 활동했다. - 우한시 출신 - 야오베이나
야오베이 나는 중국의 가수로, 전국 청년 가수 경연 대회 우승과 《중국호성음》 출연을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드라마 및 영화 OST 참여와 《겨울왕국》 중국어 버전 주제가 가창, 핑크 리본 캠페인 홍보대사 활동, 그리고 사후 장기 기증과 기부 등의 사회 공헌 활동을 펼쳤다. - 우한시 출신 - 루민취안
중국 출신 프로 바둑 기사 루민취안은 아마추어 바둑전 우승으로 입단하여 국제 및 국내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한국 여자 바둑 리그에도 참가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하오쥔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일 | 1987년 3월 24일 (36세) |
| 출생지 | 후베이성 우한시, 중국 |
| 키 | 1.78m |
| 포지션 | 미드필더 |
| 클럽 정보 | |
| 현재 클럽 | 없음 |
| 등번호 | 없음 |
| 유소년 경력 | |
| 유소년 1 | 1998–2001, 우한 축구 학교 |
| 유소년 2 | 2002–2003, 톈진 진먼후 |
| 클럽 경력 | |
| 클럽 1 | 2004–2009, 톈진 진먼후 |
| 출장 1 | 133 |
| 득점 1 | 16 |
| 클럽 2 | 2010–2011, 샬케 04 |
| 출장 2 | 14 |
| 득점 2 | 0 |
| 클럽 3 | 2011–2021, 산둥 타이산 |
| 출장 3 | 213 |
| 득점 3 | 9 |
| 클럽 4 | 2021, 우한 창장 |
| 출장 4 | 13 |
| 득점 4 | 0 |
| 클럽 5 | 2022, 광저우 FC |
| 출장 5 | 13 |
| 득점 5 | 0 |
| 클럽 업데이트 | 2023년 11월 4일 |
| 국가대표팀 경력 | |
| 국가대표팀 1 | 2002–2003, 중국 17세 이하 국가대표팀 |
| 국가대표팀 2 | 2004–2005, 중국 20세 이하 국가대표팀 |
| 국가대표팀 3 | 2006–2008, 중국 23세 이하 국가대표팀 |
| 국가대표팀 4 | 2005–2022, 중국 |
| 국가대표팀 출장 | 90 |
| 국가대표팀 득점 | 12 |
| 국가대표팀 업데이트 | 2022년 3월 29일 |
| 지도자 경력 | |
| 지도자 년도 | 2024– |
| 지도자 클럽 | 창저우 슝스 (수석 코치) |
| 중국어 정보 | |
| 병음 | Hāo Jùnmǐn |
| 기타 정보 | |
| 포지션 상세 | 미드필더 (LMF, RMF) |
| 주발 | 오른발 |
2. 클럽 경력
하오쥔민은 2004년 톈진 진먼후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9년까지 톈진에서 활약하며 중국 슈퍼리그 2005와 중국 슈퍼리그 2008 4위,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에 기여했고, 2006년과 2007년에는 중국 올해의 유망주 상을 받았다.[2][3][4] 2010년 독일 분데스리가의 샬케 04로 이적하여[5][6] 분데스리가 2009-10 리그 준우승, DFB-포칼 우승 등을 경험했으나, 1년 반 동안 공식전 19경기 출장에 그쳤다. 2011년 산둥 타이산으로 이적하여[10] 10년간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중국 FA컵 2회 우승 및 3회 준우승, 중국 FA 슈퍼컵 우승, 중국 슈퍼리그 준우승 등에 기여했다. 2021년 우한 FC를 거쳐 2022년 광저우 FC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어린 시절 우한 광구 유소년 팀에서 훈련받았으며, 2003 FIFA U-17 세계 선수권 대회에 중국 대표팀으로 참가했다. 2004년에는 첼시에서 훈련받기도 했다.[17]
2. 1. 톈진 진먼후
하오쥔민은 2004년부터 2009년까지 톈진 진먼후에서 활동하며 중국 슈퍼리그 2005와 중국 슈퍼리그 2008에서 팀의 4위 달성과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에 기여했다.[2][3] 2006년과 2007년에는 중국 올해의 유망주 상을 수상했다.[4]| 시즌 | 디비전 | 출장 | 득점 | 국내 컵 | 출장 | 득점 | 대륙 대회 | 출장 | 득점 | 합계 | 출장 | 득점 |
|---|---|---|---|---|---|---|---|---|---|---|---|---|
| 2004 | 중국 슈퍼리그 | 10 | 1 | 0 | 0 | - | - | 10 | 1 | |||
| 2005 | 중국 슈퍼리그 | 18 | 1 | 1 | 0 | - | - | 19 | 1 | |||
| 2006 | 중국 슈퍼리그 | 26 | 1 | 3 | 1 | - | - | 29 | 2 | |||
| 2007 | 중국 슈퍼리그 | 28 | 5 | - | - | - | - | 28 | 5 | |||
| 2008 | 중국 슈퍼리그 | 24 | 6 | - | - | - | - | 24 | 6 | |||
| 2009 | 중국 슈퍼리그 | 27 | 2 | - | - | 5 | 0 | 32 | 2 | |||
| 합계 | 133 | 16 | 4 | 1 | 5 | 0 | 142 | 17 | ||||
2. 2. FC 샬케 04
2010년 1월 22일, 하오쥔민은 톈진 진먼후를 떠나 독일 분데스리가의 샬케 04와 계약을 맺었다.[5][6] 2010년 3월 6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분데스리가 2009-10 리그 경기에서 유럽 무대 데뷔전을 치렀으며,[7] 샬케 04에서 활약한 최초의 중국인 선수가 되었다.[8]라울이 2010년 7월 28일에 영입되면서 등번호 7번을 양보하고 8번을 받았다.[9] 하오쥔민은 오랫동안 스페인 출신의 전설적인 공격수를 동경해왔다고 한다.
1년 반 동안 공식전 19경기 출장에 그쳤으며, DFB-포칼 우승 등을 경험했다. 2010-11 시즌 종료 후, 산둥 루넝 타이산으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3년, 이적료는 500000EUR이다.
2010년 10월 말에는 시즌 중이었지만 맹장 수술을 받기 위해 팀을 떠나 입원하기도 했다. 우치다 아쓰토와도 재직 기간이 겹쳐 함께 인터뷰를 하는 장면도 있었다.
| 시즌 | 디비전 | 출장 | 득점 | 국내 컵 | 득점 | 대륙 대회 | 득점 | 기타 | 득점 |
|---|---|---|---|---|---|---|---|---|---|
| 2009-10 | 분데스리가 | 8 | 0 | 1 | 0 | – | – | ||
| 2010-11 | 6 | 0 | 2 | 0 | 2 | 0 | – | ||
| 합계 | 14 | 0 | 3 | 0 | 2 | 0 | 0 | 0 | |
2. 3. 산둥 타이산
2011년 7월 8일, 하오쥔민은 샬케 04와의 계약이 1년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슈퍼 리그의 산둥 타이산으로 이적했다.[10] 2010-11 시즌 종료 후, 산둥 루넝 타이산으로의 이적이 발표되었다. 계약 기간은 3년, 이적료는 500000EUR이다.2013 시즌 프리시즌 훈련 중 부상을 입어 대부분의 경기에 결장했다. 그는 부상에서 복귀하여 2013년 8월 10일 상하이 선화와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시즌 첫 경기를 치렀다.
그 후 10년간 산둥 타이산의 핵심 미드필더로 공식전 275경기 12골을 기록하는 활약을 펼치면서 중국 FA컵 2회 우승(2014, 2020) 및 3회 준우승(2011, 2018, 2019), 2015년 중국 FA 슈퍼컵 우승, 중국 슈퍼리그 2013 준우승, 2번의 리그 3위(2015, 2018), 2016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등의 성과에 크게 기여했다.
| 시즌 | 출장 | 득점 | FA컵 | 출장 | 득점 | 대륙대회 | 출장 | 득점 | 기타 | 출장 | 득점 |
|---|---|---|---|---|---|---|---|---|---|---|---|
| 2011 | 12 | 1 | 1 | 0 | – | – | |||||
| 2012 | 27 | 2 | 3 | 0 | – | – | |||||
| 2013 | 9 | 0 | 0 | 0 | – | – | |||||
| 2014 | 15 | 0 | 6 | 0 | 3 | 0 | – | ||||
| 2015 | 27 | 2 | 3 | 0 | 5 | 0 | 1 | 0 | |||
| 2016 | 27 | 0 | 1 | 0 | 11 | 1 | – | ||||
| 2017 | 29 | 1 | 3 | 1 | – | – | |||||
| 2018 | 28 | 2 | 7 | 0 | – | – | |||||
| 2019 | 23 | 1 | 4 | 0 | 9 | 1 | – | ||||
| 2020 | 14 | 0 | 5 | 0 | – | – | |||||
| 2021 | 2 | 0 | 0 | 0 | – | – | |||||
| 합계 | 213 | 9 | 33 | 1 | 28 | 2 | 1 | 0 | |||
2. 4. 우한 FC와 광저우 FC
2021년 7월 25일, 하오쥔민은 자유 계약으로 고향 팀인 우한 FC에 합류했다.[14] 2021 시즌 정규리그가 막바지로 접어든 시점에 산둥 타이산을 떠나 우한 FC와 입단 계약을 체결하며 약 20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온 하오쥔민은 리그 13경기를 소화했다. 2021 시즌을 마치고 광저우 FC로 이적하여 역시 13경기를 소화한 후 2022 시즌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 우한 | 2021 | 중국 슈퍼리그 | 13 | 0 | 0 | 0 | – | – | – | 13 | 0 | |||
| 광저우 | 2022 | 13 | 0 | 0 | 0 | – | – | – | 13 | 0 | ||||
하오쥔민은 중국 U-17 대표팀과 중국 U-20 대표팀 시절 2003년 FIFA U-17 월드컵과 2005년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했다. 특히, 2005년 FIFA U-20 월드컵에서는 중국의 통산 4번째 FIFA 주관 남자 대회 16강 진출에 기여했다.
'''샬케 04'''
3. 국가대표팀 경력
2005년 8월 3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일본과의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리그 2차전에서 중국 성인대표팀 소속으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대회에서 사상 첫 동아시안컵 우승을 경험했다.
2008년 2월 23일 북한과의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 리그 최종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터뜨리며 팀의 3-1 승리를 이끌었다. 이후 중국 U-23 대표팀의 일원으로 자국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 본선에도 참가했다.
2022년 은퇴할 때까지 A매치 통산 90경기 12골을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절반인 6골은 2번의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2014년 월드컵 아시아 예선, 2018년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기록했으나 월드컵 본선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국가대표팀 연도 출장 득점 중국 2005 1 0 2006 5 0 2007 2 0 2008 8 2 2009 10 3 2010 4 0 2011 11 4 2012 4 2 2013 0 0 2014 3 0 2015 3 0 2016 8 1 2017 7 0 2018 2 0 2019 12 0 2020 0 0 2021 7 0 2022 3 0 합계 90 12 No. 날짜 경기장 상대 점수 결과 대회 1 2008년 2월 23일 충칭 올림픽 스포츠 센터, 충칭,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한국어 3–1 3–1 2008 EAFF 선수권 대회 2 2008년 5월 25일 쿤산 경기장, 쿤산, 중국 요르단|約旦한국어 1–0 2–0 친선 경기 3 2009년 1월 21일 황룡 스포츠 센터, 항저우, 중국 베트남|越南한국어 5–1 6–1 2011 AFC 아시안컵 예선 4 2009년 5월 29일 상하이 스타디움, 상하이, 중국 독일|獨逸한국어 1–0 1–1 친선 경기 5 2009년 7월 25일 올림픽 센터 스타디움, 톈진, 중국 키르기스스탄|吉爾吉斯斯坦한국어 2–0 3–0 친선 경기 6 2011년 1월 16일 알 가라파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우즈베키스탄|烏茲別克한국어 2–2 2–2 2011년 AFC 아시안컵 7 2011년 7월 23일 둬둥 경기장, 쿤밍, 중국 라오스|老撾한국어 5–2 7–2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8 7–2 9 2011년 9월 6일 암만 국제 경기장, 암만, 요르단 요르단|約旦한국어 1–2 1–2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10 2012년 2월 29일 광저우 대학교 도시 경기장, 광저우, 중국 요르단|約旦한국어 1–0 3–1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11 2–0 12 2016년 9월 1일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대한민국 대한민국|大韓民國한국어 2–3 2–3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4. 수상 내역
'''산둥 타이산'''
'''중국'''
'''개인'''
4. 1. 클럽
2004년 톈진 진먼후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9년까지 6시즌 동안 공식전 142경기에서 17골을 기록하며 중국 슈퍼리그 2005와 중국 슈퍼리그 2008에서 팀이 4위를 기록하고, 2009년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에 기여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2006년과 2007년에는 중국 올해의 유망주상을 수상했다.
2010년 1월 22일, 독일 분데스리가의 샬케 04로 이적했다. 같은 해 3월 6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분데스리가 2009-10 경기에서 유럽 무대 데뷔전을 치렀다. 샬케 04에서 리그 준우승, 2010-11년 DFB-포칼 우승을 경험했지만, 1년 반 동안 공식전 19경기 출장에 그쳤다. 2011년 7월 8일, 산둥 타이산으로 이적하며 자국 리그로 복귀했다.
산둥 타이산에서 10년간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공식전 275경기에서 12골을 기록했다. 중국 FA컵 2회 우승(2014, 2020) 및 3회 준우승(2011, 2018, 2019), 2015년 중국 FA 슈퍼컵 우승, 중국 슈퍼리그 2013 준우승, 2번의 리그 3위(2015, 2018), 2016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에 크게 공헌했다.
2021년 7월 25일, 10년 동안 몸담았던 산둥 타이산을 떠나 우한 FC와 입단 계약을 체결하며 약 20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갔다. 우한에서 리그 13경기를 소화했고, 2021 시즌을 마치고 광저우 FC로 이적하여 13경기를 뛰었다. 2022 시즌을 끝으로 18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4. 2. 국가대표팀
하오쥔민은 중국 U-17 대표팀과 중국 U-20 대표팀 시절 2003년 FIFA U-17 월드컵과 2005년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했다. 이 가운데 2005년 FIFA U-20 월드컵에서 중국의 통산 4번째 FIFA 주관 남자 대회 16강 진출에 기여했다.
2005년 8월 3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일본과의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리그 2차전에서 중국 성인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대회에서 사상 첫 동아시안컵 우승을 경험했다.
이후 2008년 2월 23일 북한과의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 리그 최종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터뜨리며 팀의 3-1 승리에 기여했고, 중국 U-23 대표팀의 일원으로 자국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 본선에도 참가했다.
2022년 은퇴할 때까지 A매치 통산 90경기 12골을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절반인 6골은 2번의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2014년 월드컵 아시아 예선, 2018년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기록했으나 월드컵 본선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4. 3. 개인
참조
[1]
Sports-Reference
[2]
웹사이트
http://csldata.sport[...]
sports.sohu.com
2004-09-15
[3]
웹사이트
http://csldata.sport[...]
sports.sohu.com
2004-11-28
[4]
웹사이트
CSL All Star Game 2007 : Le Nord s'impose aux tirs au but
http://asianreddrago[...]
2007-11-17
[5]
웹사이트
Chinese Hao Junmin kommt
http://www.revierspo[...]
reviersport.de
2010-01-22
[6]
웹사이트
S04 mit Hao Junmin einig
http://www.kicker.de[...]
kicker.de
2010-01-22
[7]
웹사이트
Kuranyi setzt den Schlusspunkt
http://www.kicker.de[...]
kicker.de
2010-03-06
[8]
웹사이트
Hao Junmin spielt künftig für Schalke 04
http://www.schalke04[...]
FC Schalke 04
2010-02-01
[9]
웹사이트
Topstar für Schalke: Raúl trägt die Nummer 7
http://www.news.de/s[...]
news.de
2010-07-28
[10]
웹사이트
Hao departs for China
http://www.schalke04[...]
FC Schalke 04
2011-07-08
[11]
웹사이트
China PR 2–2 Japan
http://teamchina.fre[...]
teamchina.freehostia.com
2005-08-03
[12]
웹사이트
China announce preliminary 30-man Asian Cup squad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07-06-15
[13]
웹사이트
Team profile Football Men > China
http://results.beiji[...]
2008-12-07
[14]
웹사이트
Hao, Junmin
https://www.national[...]
national-football-teams.com
2020-01-01
[15]
웹사이트
足协杯-麦克格文压哨绝杀 鲁能5-4舜天夺冠
http://sports.sina.c[...]
Sports.sina.com.cn
2019-08-19
[16]
웹사이트
足协杯-王彤惊天内切佩莱头球 鲁能2-0胜江苏夺冠
https://sports.sina.[...]
sports.sina.com.cn
2021-01-29
[17]
URL
http://www.chinada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