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데크라우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데크라우트선은 독일의 철도 노선으로, 베를린 빌헬름스루역에서 시작했으나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역이 폐쇄되었다. 현재는 팡코 공장 구간에 임시 화물 열차가 운행하며, 메르키셰스 피어텔 일대에는 임시 여객 열차가 운행한다. 바스도르프역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벤지켄도르프역, 반들리츠역 등을 연결하며, 1950년에 건설된 연결선과 쇤발데역 북쪽에서 합류한다.

이 노선은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조합에 편입되어 있으며, 2005년부터 니더바르님 철도가 운영한다. 정규 열차는 봄바디어 탈렌트 열차를 사용하며, 첼렌도르프역에 임시 정차하기도 한다. 또한, 1978년 설립된 Berliner Eisenbahnfreunde e. V. 협회에서 노선 남부 구간을 보존 철도로 운영하며, 증기 기관차 등 역사적인 차량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 노선 - 크레멘선
    크레멘선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와 베를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베를린 북부선에서 분기되어 크레멘까지 이어지며 과거 베를린 S반으로 운영되다 현재는 S반 및 레기오날반 열차가 운행되고 일부 구간 복선화 및 S반 연장 계획이 논의 중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 노선 - 반제선
    반제선은 1874년 개통된 독일 최초의 교외 노선으로, 베를린 첼렌도르프에서 포츠담 간선까지 이어지며 베를린 남서부 지역 개발과 함께 성장하여 전철화되었고, 전쟁과 분단 시기를 거쳐 현재는 베를린 S반의 주요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 베를린의 철도 노선 - 베를린 순환선
    베를린 순환선은 베를린의 주요 철도 노선들을 연결하는 순환선 철도로, 왕립 역 연결 철도 건설로 기틀이 마련되어 완전한 순환선으로 개통, 전철화, 베를린 S반 운행 시작 등의 발전을 거쳐 동서 분단 후 재통일되어 현재 S41, S42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 베를린의 철도 노선 - 크레멘선
    크레멘선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와 베를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베를린 북부선에서 분기되어 크레멘까지 이어지며 과거 베를린 S반으로 운영되다 현재는 S반 및 레기오날반 열차가 운행되고 일부 구간 복선화 및 S반 연장 계획이 논의 중이다.
  • 표준궤 철도 - 뮌헨 S반
    뮌헨 S반은 뮌헨 시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 S1부터 S8, S20까지 9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72년 뮌헨 올림픽을 계기로 개통되어 현재 제2 S반 터널 건설 등 미래 확장을 위한 계획이 진행 중이다.
  • 표준궤 철도 - 스카이라인 (호놀룰루)
    스카이라인은 호놀룰루의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해 건설 중인 고가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지연 및 비용 초과 논란이 있다.
하이데크라우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로체제역을 떠난 디젤 동차
로체제역을 떠난 디젤 동차
노선 이름하이데크라우트선
원어 이름Heidekrautbahn
국가독일
소재지베를린 및 브란덴부르크주
소유자니더바르님 철도
노선 번호쇤발데 분기점-벤지켄도르프: 6500 베를린 빌헬름스루-쇤발데 분기점: 6501 바스도르프-그로스 쇠네베크: 6502 벤지켄도르프-리벤발데: 6503
총 연장60.4 km
궤간1435 mm
영업 최고 속도80 km/h
제원 비고내용

2. 노선

하이데크라우트선 노선도


하이데크라우트선은 베를린 빌헬름스루역에서 출발하여 팡코구라이니켄도르프구 경계를 따라 북쪽으로 베를린 블랑켄펠데, 실도, 뮐렌베크를 거쳐 쇤발데에 도달한다. 쇤발데역 북쪽에서는 베를린 카로역에서 1950년에 건설된 연결선과 합류한다. 이후 바스도르프역에서 두 갈래로 노선이 분기된다.[1]

2. 1. 베를린 시내 구간



하이데크라우트선의 원래 기점은 베를린 빌헬름스루역이었다.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하여 역이 폐쇄되고 장벽 일대의 선로가 폐선되었다.[1] 노선의 일부 구간은 슈타들러 레일 팡코 공장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베르크만보르지히, ADtranz의 공장이었다. 이 구간에는 임시 화물 열차가 운행한다. 메르키셰스 피어텔 일대에서 팡코구라이니켄도르프구 경계 일대를 따라서 진행하며, 이 구간에는 임시 여객 열차가 운행한다.[1]

2. 2. 바스도르프 북쪽 구간



바스도르프역에서는 두 방면으로 노선이 분기된다. 서쪽 분기선은 췰스도르프역, 벤지켄도르프역(운행 중), 첼렌도르프역(2007년 4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시범 운행), 크로이츠브루흐역, 잔트베르게역, 리벤발데역을 연결하며, 1997년 12월 1일부터 정규 열차는 벤지켄도르프역까지만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주말에는 벤지켄도르프 종착 열차가 피히텐그룬트 방면으로 전환하여 슈마흐텐하겐역까지 운행한다. 북동쪽 분기선은 반들리츠역, 반들리츠제역, 클로스터펠데역, 로체제역, 룰스도르프체르펜슐로이제역, 클란도르프역, 그로스 쇠네베크역을 연결한다. 클로스터펠데역까지는 1시간 간격, 그로스 쇠네베크역까지는 2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1]

2. 3. 과거 노선 (베를린 카로-피히텐그룬트선)

베를린 카로역에서 올라온 1950년에 건설된 연결선이 쇤발데역 북쪽에서 합류한다.[1]

3. 영업

하이데크라우트선은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조합에 편입되어 있다. 2004년에 운영권 입찰이 최초로 진행되었고, 노선 소유자인 니더바르님 철도가 낙찰받았다. 2005년 12월부터 니더바르님 철도의 완전 관할이 되었으며, 운영은 자회사 NEB Betriebsgesellschaft GmbH(NEBB)가 담당하고 있다. NEBB는 봄바디어 탈렌트 열차를 사용한다.

바스도르프역에서는 30분 간격으로 열차가 교행하며, 양쪽 분기선은 각각 매시 11분과 41분에 열차가 운행한다.

1990년 9월 1일부터 Berliner Eisenbahnfreunde e. V. 협회(1978년 설립)는 노선 남부 구간을 보존 철도로 운영하고 있다. 임시 운행 시에는 증기 기관차, 단량 동차 및 기타 역사적인 객차를 사용하며, 베를린 로젠탈역 근처 빌헬름스루어 담(Wilhelmsruher Damm) 도로 인근 메르키셰스 피어텔 임시승강장을 기점으로 한다. 협회는 바스도르프 기지에 하이데크라우트선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1]

3. 1. 정규 열차

니더바르님 철도 소속 봄바디어 탈렌트 열차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조합에 편입되어 있으며, 2004년에 운영권 입찰이 최초로 진행되었다. DB 레기오에서는 노선을 계속 운영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레기오네츠(RegioNetz) 개념을 염두에 두고 노선 운영권을 획득하고자 자회사인 DB 하이데크라우트반(DB Heidekrautbahn)을 설립했다. 그러나 노선 소유자인 니더바르님 철도가 낙찰받았고, 2005년 12월부터 니더바르님 철도의 완전 관할이 되었다. 상하분리 원칙에 따라서 운영을 위해 자회사 NEB Betriebsgesellschaft GmbH가 설립되었다. NEBB는 봄바디어 탈렌트 열차를 사용하고 있다.

2006년 12월 시간표 개정에서 VBB는 벤지켄도르프-바스도르프 구간 운행을 취소하려고 했으나 실제 운행 중단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2007년 4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는 첼렌도르프역에 평일에 임시로 정차했다.

바스도르프역에서는 30분 간격으로 열차가 교행하며, 양쪽 분기선은 각각 매시 11분과 41분에 열차가 운행한다. 이는 독일에서 자주 사용하는 대칭형 시간인 매시 29분과 59분과는 차이가 있어서 다른 교통 수단으로 환승했을 때 대기 시간이 최소한 20분 소요된다.

3. 2. 보존 철도

2013년 5월 9일 증기기관차 임시 운행


1990년 9월 1일부터 Berliner Eisenbahnfreunde e. V. 협회(1978년 설립)가 노선 남부 구간을 보존 철도로 운영하고 있다. 임시 운행 시에는 증기 기관차, 단량 동차 및 기타 역사적인 객차를 사용하며, 베를린 로젠탈역 근처 빌헬름스루어 담(Wilhelmsruher Damm) 도로 인근 메르키셰스 피어텔 임시승강장을 기점으로 한다. 협회 주 사무소는 바스도르프 기지에 있으며, 1996년부터 하이데크라우트선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박물관에는 1875년에 제작된 철도 차량, 복권 기부금으로 매입한 위르딩겐형 단량 동차 VT 95, 디젤 기관차, 살롱 객차 등이 있으며, 공조 장치가 없어 여름에만 개관한다.[1]

2003년까지는 메르키셰스 피어텔에서 슈마흐텐하겐 방면으로 임시 열차만 운행했다. 그 후 카로역에서 슈마흐텐하겐역으로 정규 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했고, DB 레기오를 거쳐 NEB에서 운영하고 있다. 벤지켄도르프-슈마흐텐하겐 구간은 1990년대 이후 영업을 재개한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 노선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