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산업개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전산업개발은 화력 및 원자력 발전 설비의 운영 및 유지보수, 신재생에너지 사업, 기타 에너지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1990년 한국전력공사 출자로 설립되어, 화력발전소 석탄회 재활용 업무를 시작으로, 1996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03년 민영화 과정을 거쳐 한국자유총연맹이 최대 주주가 되었으며, 2010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한전산업개발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한전산업개발주식회사 |
원어 | Korea Electric Power Industrial Development Co.,Ltd. |
창립 | 1990년 4월 11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115(서소문동, 한산빌딩) |
사업 지역 | 본사 4본부, 5처, 1실, 1원 25팀 / 발전사업소 16개소 |
인물 | 함흥규 (대표이사) |
자본금 | 16,300,000,000원 (2019.12) |
매출액 | 313,566,644,499원 (2019) |
자산 총액 | 188,945,221,420원 (2019.12) |
주주 | 한국자유총연맹 : 31.00% 한국전력공사 : 29.00% 우리사주조합 : 0.64% 기타 : 39.36% |
모기업 | 한국전력공사 |
종업원 | 3,683명 (2018.12) |
웹사이트 | 한전산업개발주식회사 |
2. 주요 사업
한전산업개발은 화력발전소 연료환경설비와 주설비(터빈, 보일러 등) 정비, 원자력 발전소 O&M 등 발전 설비 전반에 걸친 운영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UAE 등 해외 발전소 O&M 사업에도 진출하여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 신재생에너지 사업 ===
한전산업개발은 태양광 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소 연계 ESS 구축 사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친환경 전기차 충전소 구축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기타 사업 ===
한전산업개발은 정제회(석탄 연소 후 발생하는 재) 공장 운영 및 판매, 인터넷 빌링 사업(KEPID BILL),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원격검침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누수·누액 감지시스템 개발 및 보급, ESCO(Energy Service Company) 사업 등 에너지 관련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 1. 발전 설비 O&M
한전산업개발은 화력발전소 연료환경설비와 주설비(터빈, 보일러 등) 정비, 원자력발전소 O&M 등 발전 설비 전반에 걸친 운영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UAE 등 해외 발전소 O&M 사업에도 진출하여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2. 2. 신재생에너지 사업
한전산업개발은 태양광 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소 연계 ESS 구축 사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친환경 전기차 충전소 구축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2. 3. 기타 사업
한전산업개발은 정제회(석탄 연소 후 발생하는 재) 공장 운영 및 판매, 인터넷 빌링 사업(KEPID BILL),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원격검침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누수·누액 감지시스템 개발 및 보급, ESCO(Energy Service Company) 사업 등 에너지 관련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3. 연혁
1990년 4월, 한국전력공사가 100% 출자한 공기업인 한성종합산업(주)으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7월 부산화력발전소의 석탄회 재활용 업무를 개시하였고, 1992년 8월 보령화력발전소에서 화력발전소 석탄취급설비 운전업무를 개시하였다. 1994년 10월에는 전기계기검침 및 전기 요금 청구서 송달업무를 개시했다.
1996년 2월 한전산업개발(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98년 1월에는 보령화력발전소에서 국내 최초로 화력발전소 배연탈황설비 운전을 개시하였고, 같은 해 8월에는 태안화력발전소 정제공장을 준공하였다.
=== 2000년대 ===
2003년 민영화되어 한국자유총연맹이 51%, 한국전력공사가 49%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다. 2004년에는 국제표준인증 ISO 9001(품질경영), ISO 14001(환경경영), OHSAS 18001(안전·보건경영) 3개를 동시에 획득하였고, 2005년에는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등록되었다.(산업지원부 2005-12호) 2008년에는 해외발전 시운전분야에 최초로 진출하였으며(인도 잘수구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선정 서비스품질 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하였다.
2006년 강진태양광발전소(200kWp) 상업운전을 개시하며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2007년 본사 사옥을 서울시 중구 서소문로로 이전하였다. 2009년에는 그린홈 100만호(태양광·태양열) 전문기업으로 선정되었다.
=== 2010년대 ~ 현재 ===
한전산업개발은 2010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원자력 수처리 설비 운전 및 정비 업무를 개시하고, 해외 원전 수처리 분야 시운전 사업을 수임하는 등(2016년 UAE BNPP 1·2호기) 원자력 발전 관련 사업을 확대했다. 태양광 발전소 연계 ESS 구축 사업, 친환경 전기차 충전소 구축 사업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에서도 성과를 창출했다.
2013년 노사상생협력 유공으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고, 2014년에는 서비스품질 우수기업 산업자원부 장관 표창, 고용창출 우수기업(고용노동부)에 선정되었다. 2019년에는 '대한민국 나눔국민대상' 보건복지부장관 표창(물적나눔 부문), '대한민국 사랑받는 기업'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중견기업 부문)을 수상했다.
2020년에는 인도네시아 찌레본2 화력발전소 연료환경설비 시운전 사업을 수주하고, 직무발명보상 우수기업으로 인증받았다.
2018년 11월에는 유해화학물질 누수·누액 감지시스템을 개발 및 보급하였다. 2015년 7월에는 TV조선 경영대상 '혁신경영대상'을 수상하였다.
3. 1. 1990년대
1990년 4월, 한국전력공사가 100% 출자한 공기업인 한성종합산업(주)으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7월 부산화력발전소의 석탄회 재활용 업무를 개시하였고, 1992년 8월 보령화력발전소에서 화력발전소 석탄취급설비 운전업무를 개시하였다. 1994년 10월에는 전기계기검침 및 전기 요금 청구서 송달업무를 개시했다.1996년 2월 한전산업개발(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98년 1월에는 보령화력발전소에서 국내 최초로 화력발전소 배연탈황설비 운전을 개시하였고, 같은 해 8월에는 태안화력발전소 정제공장을 준공하였다.
3. 2. 2000년대
2003년 민영화되어 한국자유총연맹이 51%, 한국전력공사가 49%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다. 2004년에는 국제표준인증 ISO 9001(품질경영), ISO 14001(환경경영), OHSAS 18001(안전·보건경영) 3개를 동시에 획득하였고, 2005년에는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등록되었다.(산업지원부 2005-12호) 2008년에는 해외발전 시운전분야에 최초로 진출하였으며(인도 잘수구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선정 서비스품질 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하였다.2006년 강진태양광발전소(200kWp) 상업운전을 개시하며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2007년 본사 사옥을 서울시 중구 서소문로로 이전하였다. 2009년에는 그린홈 100만호(태양광·태양열) 전문기업으로 선정되었다.
3. 3. 2010년대 ~ 현재
한전산업개발은 2010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원자력 수처리 설비 운전 및 정비 업무를 개시하고, 해외 원전 수처리 분야 시운전 사업을 수임하는 등(2016년 UAE BNPP 1·2호기) 원자력 발전 관련 사업을 확대했다. 태양광 발전소 연계 ESS 구축 사업, 친환경 전기차 충전소 구축 사업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에서도 성과를 창출했다.2013년 노사상생협력 유공으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고, 2014년에는 서비스품질 우수기업 산업자원부 장관 표창, 고용창출 우수기업(고용노동부)에 선정되었다. 2019년에는 '대한민국 나눔국민대상' 보건복지부장관 표창(물적나눔 부문), '대한민국 사랑받는 기업'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중견기업 부문)을 수상했다.
2020년에는 인도네시아 찌레본2 화력발전소 연료환경설비 시운전 사업을 수주하고, 직무발명보상 우수기업으로 인증받았다.
2018년 11월에는 유해화학물질 누수·누액 감지시스템을 개발 및 보급하였다. 2015년 7월에는 TV조선 경영대상 '혁신경영대상'을 수상하였다.
4. 비판 및 논란
4. 1. 민영화 과정 논란
4. 2. 노동 문제
5. 같이 보기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관련 사건 타임라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