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기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다.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를 주요 사업 분야로 하며, 한국표준형원자력발전소, 신형경수로1400 등 다양한 발전소 개발에 참여했다.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 여러 회사가 관계사로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전력공사 - 한전KPS
한전KPS는 한국전력공사가 전액 출자하여 설립한 발전플랜트 Total 서비스 전문 회사로서, 발전설비의 진단, 정비, 성능 개선, 신재생에너지 설비 O&M, 송변전 설비 정비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국내외 발전설비 유지보수 및 기술 용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 한국전력공사 - 한전산업개발
한전산업개발은 화력 및 원자력 발전소 운영 및 관리, 연료환경설비 정비, 정제회공장 운영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전력공사 출자로 설립 후 민영화되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 핵기술 회사 - 도시바
도시바는 1875년 다나카 히사시게가 설립한 다나카제작소에서 시작된 일본의 전기·전자 기업으로, 합병과 사명 변경을 거쳐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으나 여러 위기를 겪은 후 2023년 JIP 컨소시엄에 인수되어 사업 재편을 추진 중이다. - 핵기술 회사 - 미쓰비시 중공업
미쓰비시 중공업은 1870년 이와사키 야타로가 시작한 일본의 대형 중공업 기업으로, 조선, 항공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과거 군수 산업을 주도했고, 현재는 강제 징용 문제 등으로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원자력 -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은 1963년 개소한 방사선의학연구소로 시작하여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의 진단, 치료, 연구를 수행하며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의료 서비스와 지역사회 병·의원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암환자에게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원자력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방사성폐기물 관리, 관련 시설 운영 및 연구개발 등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이다.
한국전력기술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KEPCO E&C |
![]() | |
설립일 | 1975년 |
형태 | 공기업 |
소재지 | 경상북도 김천시 |
산업 | 엔지니어링 |
제품 |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
서비스 | 발전소 설계, 엔지니어링 및 건설 |
모회사 | 한국전력공사 |
직원 수 | 2,336명 (2016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재무 정보 | |
자본금 | 7,644,000,000원 (2018.12) |
매출액 | 433,700,598,144원 (2018) |
영업이익 | 21,499,315,765원 (2018) |
순이익 | 12,936,840,853원 (2018) |
자산총액 | 771,479,986,995원 (2018.12) |
주주 정보 | |
주요 주주 | 한국전력공사 외 특수관계인: 65.78% |
기타 주주 | 국민연금공단: 7.21% |
기타 정보 | |
설립 연혁 | 1975년 코리아아토믹번즈앤드로(KABAR) 1976년 한국원자력기술주식회사(KNE) 1982년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KOPEC) 2010년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KEPCO E&C) |
상장 정보 | (2009.12.14 상장) |
주요 관계 회사 |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중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전KPS 한전KDN 한전원자력연료 |
대표이사 | 이배수 (CEO), 김태균 (대표이사) |
로마자 표기 |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
2. 역사
1975년 10월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Burns and Roe영어)가 합작하여 ‘주식회사 코리아아토믹번즈앤드로(KABAR)’를 설립하였다. 1976년 10월 번즈 앤 로우사가 소유 지분을 한국원자력연구소에 양도하며 사명을 ‘한국원자력기술주식회사(KNE)’로 변경하였다. 1978년 6월 1일 KNE를 ‘정부주도형으로 육성’한다는 대통령의 지시로 한국전력이 자본투자에 나서게 되었다. 회사의 자체경영이 될 때까지 한국전력은 재정적 지원을 하고,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운영관리를 맡기로 결정하였다. 1982년 7월 2일 한국전력은 회사의 일관된 정책수립을 위해 독자적인 출자를 결정하고, 민간기업이 소유하고 있던 주식을 인수하여 ‘한국전력기술(KOPEC)’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7월 영문사명을 'KOPEC'에서 'KEPCO E&C'로 변경하였다. 2015년 8월에는 경기도 용인시에서 경상북도 김천시로 이전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75년 ~ 1982년)
1975년 10월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Burns and Roe)가 합작하여 ‘주식회사 코리아아토믹번즈앤드로(KABAR)’를 설립하였다. 1976년 10월 번즈 앤 로우사가 소유 지분을 한국원자력연구소에 양도하며 사명을 ‘한국원자력기술주식회사(KNE)’로 변경하였다. 1978년 6월 1일 KNE를 ‘정부주도형으로 육성’한다는 대통령의 지시로 한국전력이 자본투자에 나서게 되었다. 회사의 자체경영이 될 때까지 한국전력은 재정적 지원을 하고,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운영관리를 맡기로 결정하였다. 1982년 7월 2일 한국전력은 회사의 일관된 정책수립을 위해 독자적인 출자를 결정하고, 민간기업이 소유하고 있던 주식을 인수하여 ‘한국전력기술(KOPEC)’로 사명을 변경하였다.2. 2. 한국전력 자회사 편입 및 성장 (1982년 ~ 현재)
1975년 10월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Burns and Roe)가 합작하여 ‘주식회사 코리아아토믹번즈앤드로(KABAR)’를 설립하였다. 1976년 10월 번즈 앤 로우사가 소유지분을 한국원자력연구소에 양도하며 사명을 ‘한국원자력기술주식회사(KNE)’로 변경하였다. 1978년 6월 1일 KNE를 ‘정부주도형으로 육성’한다는 대통령의 지시로 한국전력이 자본투자에 나서게 되었다. 회사의 자체경영이 될 때까지 한국전력은 재정적 지원을 하고,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운영관리를 맡기로 결정하였다. 1982년 7월 2일 한국전력은 회사의 일관된 정책수립을 위해 독자적인 출자를 결정하고, 민간기업이 소유하고 있던 주식을 인수하여 ‘한국전력기술(KOPEC)’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7월 영문사명을 'KOPEC'에서 'KEPCO E&C'로 변경하였다. 2015년 8월에는 경기도 용인시에서 경상북도 김천시로 이전하였다.3. 역대 사장
3. 1. 공사화 이전
wikitext1975년 김종주가 초대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이후 1976년에는 이해가, 1977년에는 윤용구가, 1978년에는 현경호가, 1980년에는 차종희가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3. 2. 공사화 이후
정근모(1982~1986), 민경식(1986~1988), 신기조(1988~1990), 이종훈(1990~1993), 장기옥(1993~1996), 이호림(1996~1998), 박상기(1998~2000), 박용택(2000~2003), 정경남(2003~2004), 임성춘(2004~2007), 송인회(2007~2008), 권호철(2008~2009), 안승규(2009~2013), 박구원(2013~2017), 조직래(2017~2018, 사장대행), 이배수(2018~2021), 김성암(2021~2024)이 역임하였다.4. 조직
wikitable
감사 |
---|
감사실 |
4. 1. 감사
4. 2. 사장
한국전력기술의 사장 관련 섹션은 제공된 자료에 존재하지 않아,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4. 2. 1. 경영관리본부
- 기획처
- 경영지원처
- 인사노무처
- 글로벌마케팅실
- 혁신성장전략실
- 재무관리실
- 정보보안실
4. 2. 2. 원자력본부
- 원자력사업관리실
- 원자력사업처
- 원자력기술그룹
- 기계기술그룹
- 배관기술그룹
- 전기기술그룹
- 계측제어기술그룹
- 토목건축기술그룹
- 사업관리기술그룹
- 원전O&M사업그룹
- 원전사후관리사업그룹
- 원전안전센터
- 사업부서
4. 2. 3. 에너지신사업본부
- 신사업관리실
- 신사업개발처
- 기계배관기술그룹
- 전기계측기술그룹
- 토목건축기술그룹
- 환경기술그룹
- 화력O&M사업그룹
- 신재생사업그룹
- 사업부서
4. 2. 4. 원자로설계개발단
wikitable
5. 주요 사업 분야
한국전력기술은 원자력 발전소 설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한국표준형원자력발전소 (OPR1000) 개발에 참여하여 영광 3, 4, 5, 6호기와 울진 3, 4, 5, 6호기 건설에 기여했다. 이후 개선형 한국표준원자력발전소 (Improved OPR1000) 개발에도 참여하여 신고리 1, 2호기와 신월성 1, 2호기 건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신형경수로1400 (APR1400) 개발 사업에도 참여하여 신고리 3, 4호기, 신울진 1, 2호기, 그리고 아랍에미리트(UAE)의 BNPP 1, 2, 3, 4호기 건설에도 참여했다.
또한, 중수로형 CANDU 원자력발전소인 월성 1, 2, 3, 4호기 건설에도 참여했다.
한국전력기술은 1000MW급 석탄화력발전소인 당진 9~10호기(충남 당진시) 및 신보령 1~2호기(충남 보령시) 설계에 참여하였다. 또한, 800MW급 표준석탄화력발전소인 영흥 1~4호기(인천광역시 옹진군), 500MW급 표준석탄화력발전소인 보령 3~8호기(충청남도 보령시), 태안 1~8호기(충청남도 태안군), 삼천포 3~6호기(경상남도 사천시), 당진 1~8호기(충청남도 당진시), 하동 1~8호기(경상남도 하동군) 설계에도 참여하였다. 200MW급 순환유동층 석탄화력발전소인 동해 1, 2호기(강원도 동해시) 설계에도 참여하였다.
이와 더불어 서인천복합(인천광역시), 평택복합(경기도 평택시), 일산복합증설(경기 고양시), 신인천복합(인천광역시), 제주한림가스(제주시 한림읍), 부산복합(부산광역시), GS부곡복합1호기(충청남도 당진시), 울산 제2복합(울산광역시), 인천복합(인천광역시), GS부곡복합2호기(충청남도 당진시), AFAM-VI(나이지리아), MISURATA(리비아), BENGHAZI(리비아), 태안석탄가스화복합(충청남도 태안군), 서울복합(서울특별시) 등 다양한 복합화력 및 열병합발전소 설계에 참여하였다.
목동열병합(서울특별시), 반월열병합(경기도 안산시), 신풍제지열병합(경기도 평택시), 롯데잠실열병합(서울특별시), 울산석유화학단지열병합(울산광역시), 구미열병합(경상북도 구미시), 금호열병합(전라남도 여수시), 분당열병합(경기도 성남시), 안양열병합(경기도 안양시), 부천열병합(경기도 부천시), 일산열병합(경기도 고양시), 일리한복합(필리핀 일리한), 율촌복합(전남 여수시), GS부곡복합3호기(충남 당진시) 등 열병합 발전소 설계에도 참여하였다.
한국전력기술은 다양한 발전소 설계 사업을 수행해 왔다.
5. 1. 원자력 발전
한국전력기술은 원자력 발전소 설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한국표준형원자력발전소 (OPR1000) 개발에 참여하여 영광 3, 4, 5, 6호기와 울진 3, 4, 5, 6호기 건설에 기여했다. 이후 개선형 한국표준원자력발전소 (Improved OPR1000) 개발에도 참여하여 신고리 1, 2호기와 신월성 1, 2호기 건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신형경수로1400 (APR1400) 개발 사업에도 참여하여 신고리 3, 4호기, 신울진 1, 2호기, 그리고 아랍에미리트(UAE)의 BNPP 1, 2, 3, 4호기 건설에도 참여했다.
또한, 중수로형 CANDU 원자력발전소인 월성 1, 2, 3, 4호기 건설에도 참여했다.
5. 2. 화력 발전
한국전력기술은 1000MW급 석탄화력발전소인 당진 9~10호기(충남 당진시) 및 신보령 1~2호기(충남 보령시) 설계에 참여하였다. 또한, 800MW급 표준석탄화력발전소인 영흥 1~4호기(인천광역시 옹진군), 500MW급 표준석탄화력발전소인 보령 3~8호기(충청남도 보령시), 태안 1~8호기(충청남도 태안군), 삼천포 3~6호기(경상남도 사천시), 당진 1~8호기(충청남도 당진시), 하동 1~8호기(경상남도 하동군) 설계에도 참여하였다. 200MW급 순환유동층 석탄화력발전소인 동해 1, 2호기(강원도 동해시) 설계에도 참여하였다.이와 더불어 서인천복합(인천광역시), 평택복합(경기도 평택시), 일산복합증설(경기 고양시), 신인천복합(인천광역시), 제주한림가스(제주시 한림읍), 부산복합(부산광역시), GS부곡복합1호기(충청남도 당진시), 울산 제2복합(울산광역시), 인천복합(인천광역시), GS부곡복합2호기(충청남도 당진시), AFAM-VI(나이지리아), MISURATA(리비아), BENGHAZI(리비아), 태안석탄가스화복합(충청남도 태안군), 서울복합(서울특별시) 등 다양한 복합화력 및 열병합발전소 설계에 참여하였다.
목동열병합(서울특별시), 반월열병합(경기도 안산시), 신풍제지열병합(경기도 평택시), 롯데잠실열병합(서울특별시), 울산석유화학단지열병합(울산광역시), 구미열병합(경상북도 구미시), 금호열병합(전라남도 여수시), 분당열병합(경기도 성남시), 안양열병합(경기도 안양시), 부천열병합(경기도 부천시), 일산열병합(경기도 고양시), 일리한복합(필리핀 일리한), 율촌복합(전남 여수시), GS부곡복합3호기(충남 당진시) 등 열병합 발전소 설계에도 참여하였다.
5. 3. 신재생 에너지
한국전력기술은 다양한 발전소 설계 사업을 수행해 왔다.6. 관계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전원자력연료, 한전KDN, 한전KPS, 한전산업개발 등이 한국전력기술의 관계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Be Inspired Awards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KOPEC's Nuclear Power Plant Project Honored with BE Award - Business …
http://findarticles.[...]
2012-07-11
[3]
웹사이트
Korean shipbuilder joins nuclear shipping project
https://www.neimagaz[...]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초고수들 한화엔진 주워 담고 ‘오버행 우려’ STX엔진은 팔자세[주식 초고수는 지금]
솔트룩스, 한국전력기술 지식정보 플랫폼 구축 사업 수주 – 바이라인네트워크
한·베트남 원전 협력 기대감에…초고수 두산에너빌에 풀베팅 [주식 초고수는 지금]
한미글로벌, 해외 원전사업 첫발
한국동서발전, 복합건설 ‘통합 설계기술용역 계약’ 체결
배당 분리과세 도입되나 … 배당성장주 주목
7월1일 인사
[그게 뭔가요] AI 전력 공급원 ‘소형모듈원자로(SMR)’ – 바이라인네트워크
생성형 AI의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소형모듈원자로(SMR)가 데이터센터의 새로운 전력원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관련 기술 개발 및 법안 발의가 진행 중이다.
주가 하락을 매수 기회로 삼는 초고수 [주식 초고수는 지금]
민주당, 15일 원전 종사자 간담회…‘탈원전’ 기조 변화 행보
시큐레터, ‘차세대 APT 보안’ 시장 공략 포문...“기술상장해 글로벌 본격 진출”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