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행정위임입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정위임입법은 영국, 아일랜드,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법적 개념으로, 의회가 제정한 법률의 위임을 받아 행정부가 법규를 제정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영국에서는 1946년 행정위임입법법에 따라 제정 절차가 규정되며,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등 지방 정부로 권한이 이양되기도 한다. 아일랜드에서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미국에서는 대통령의 행정명령과 연방 정부 기관의 규정이 행정위임입법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에서도 위임 입법을 행정위임입법으로 칭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률 - 전과
    전과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법적, 제도적으로 관리되는 개인의 범죄 관련 기록을 의미하며, 형이 실효된 전과에 의한 차별은 금지되지만, 성범죄 전과자의 경우 취업이 제한될 수 있다.
  • 법률 - 율령격식
    율령격식은 동아시아에서 율령을 보충하고 개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격과 식을 통칭하는 용어로, 당나라의 율령을 바탕으로 현실과의 괴리를 해결하고자 제정되었으며 주변 국가의 법제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행정위임입법

2. 영국

영국에서 위임입법(또는 제2차 입법)의 주요 형태는 행정위임입법(Statutory Instruments)이다. 이는 1946년 행정위임입법법(Statutory Instruments Act 1946)에 따라 제정되며, 1893년 규칙공개법(Rules Publication Act 1893)에 기반한 종전의 행정위임규칙·명령(Statutory rules and orders) 제도를 대체한 것이다. 이 개정은 1948년에 시행되었다.[1]

2. 1. 중앙 정부

영국에서 위임입법 또는 제2차입법의 주요 형식인 행정위임입법은 Statutory Instruments Act 1946|1946년 행정위임입법법영어에 따라 제정된다.[10] 이 법률에 의해 폐지된 이전 제도에서는 행정위임규칙·명령(Statutory rules and orders)이 1893년 규칙공개법에 따라 제정되었으며, 이 개정은 1948년에 시행되었다.

2016년 EU 회원국 국민투표와 유럽 연합 (탈퇴) 법안의 공표 이후, 법안에 따라 장관이 법정 문서를 발부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이 정부가 의회를 우회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는 일부에서 비민주적이라고 비판받고 있지만, 초안 규정은 의회에 제출되어야 하며, 의회는 논쟁적인 문제에 대해 항상 전면적인 토론을 요구할 수 있다.[3]

2. 2. 지방 정부

1999년 스코틀랜드웨일스로의 권한 이양에 따라, 각 자치 정부는 자체적인 행정위임입법 제정 권한을 갖게 되었다.

2. 2. 1. 스코틀랜드

1999년 스코틀랜드웨일스로의 권한 이양에 따라, 행정위임입법 제정 권한의 다수가 스코틀랜드 정부로 이전되었다. 스코틀랜드 정부가 제정하는 행정위임입법은 Scottish Statutory Instrument|스코틀랜드 행정위임입법영어이라 불린다.[5][6][7] 웨일스 법정 문서와 달리, 스코틀랜드 법정 문서는 영국 시리즈의 하위 시리즈로 출판되지 않고, 스코틀랜드 여왕 인쇄소에서 별도로 출판된다.[8][9]

2. 2. 2. 웨일스

웨일스 정부가 제정한 웨일스 법정 문서(Statutory Instruments)는 영국 법정 문서 시리즈의 하위 시리즈로 출판된다. 예를 들어, 환경(웨일스)법 2016(시행 제3호) 명령 2017은 '2017 No. 714 (W. 171)'로 번호가 매겨지는데, 이는 영국 시리즈에서 714번째 법정 문서이고 웨일스 하위 시리즈에서는 171번째임을 의미한다.[4]

2. 2. 3. 북아일랜드

북아일랜드에서는 행정입법이 행정위임입법이 아니라, 행정위임규칙(Statutory rules)으로 제정된다.[10] 행정 위임 입법은 그레이트브리튼의 위임 입법 또는 제2차 입법의 주요 형식과는 다르게, 북아일랜드에서는 법정 문서가 아닌 법정 규칙으로 구성된다.

3. 아일랜드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행정위임입법"은 영국에서 사용되는 경우보다 훨씬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Statutory Instruments Act 1947|1947년 행정 위임 입법법영어에서 행정위임입법은 "법률에 의해 부여된 권한의 행사로 발령되는 명령, 규칙, 준칙, 계획 또는 조례"로 정의된다.[1]

그러나 인쇄소에서 발행되고 번호가 매겨지는 특정 법정 문서만 존재하며, 이는 위임 입법의 제정을 가능하게 하는 법률이 그러한 입법을 오이어크타스 양원에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1]

4. 미국

미국에서는 행정명령(Executive Orders)과 연방정부기관의 규정(Regulations)이 행정위임입법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연방 정부 기관에 특정 조치를 지시하는 것이며, 법적 효력을 갖지만 의회 법에 종속되고 사법 심사 대상이 된다.[1] 연방정부기관의 규정은 해당 기관의 관할 주제에 대해 발행되며, 연방 관보 게재와 공시 및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의회 이의가 없으면 법적 효력을 갖는다.[1]

4. 1. 행정명령

미국 대통령의 행정 명령은 연방 정부 기관에 특정 조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행정명령은 법적 효력이 있지만, 영향을 제한할 수 있는 1차 법률(즉, 의회 법)에 종속되며, 사법 심사를 받는다.[1]

4. 2. 규정

미국 대통령의 행정 명령과 유사하게, 다양한 정부 기관의 규정( 위임 입법의 한 형태)은 해당 기관이 관할권 또는 책임을 가진 주제에 관하여, 또는 특정 주제나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시하는 의회 법령에 따라 해당 기관에서 발행한다. 이 규정은 유효하게 되기 전 연방 관보에 게재되어 공시 및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며, 의회의 이의가 없으면 발효되어 법적 효력을 갖는다.[1]

5. 기타 국가

오스트레일리아캐나다영국과 유사하게 행정위임입법 제도를 운영하며, 이들 국가에서는 행정위임입법을 법정 문서라고 부른다.[1]

5. 1.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캐나다는 연방 및 주 정부에서 위임입법을 행정위임입법으로 칭한다.[1]

5. 2.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연방 및 주 정부에서 위임입법을 행정위임입법으로 칭한다. 행정위임입법은 캐나다 여왕의 칙령(proclamation)으로 사용된다.[3] 예를 들어, 1982년 4월 17일 캐나다 여왕 칙령은 1982년 헌법 법 (영국 측 부분은 1982년 캐나다 법)을 발효했다.[3]

참조

[1] 문서 UK Statutory Instrument regulation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U Regulations which are legislative acts that become immediately enforceable as law in all member states simultaneously.
[2] 법률
[3] 뉴스 What are statutory instruments, and do they show "contempt for democracy"? http://www.newstates[...] New Statesman
[4] 법률 The Environment (Wales) Act 2016 (Commencement No. 3) Order 2017 (SI 2017/714 (W. 171))
[5] 법률
[6] 법률
[7] 법률
[8] 서적 Statutory Instrument Practice: A manual for those concerned with the preparation of statutory instruments and the parliamentary procedures related to them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9] 법률
[10] 웹사이트 1946年行政委任立法法(Statutory Instruments Act 1946) http://www.opsi.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