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허두브레이드 화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두브레이드(Herðubreið)는 마지막 빙하기 동안 형성된 아이슬란드의 현무암질 중앙 빙하하 화산이다. 일반적으로 성층 화산과 유사하게 묘사되며, 주변의 활화산과는 분리되어 비활성 상태로 여겨진다. 헤르두브레이드는 1908년 최초로 등반되었으며, "아이슬란드 산의 여왕"으로 불리며, 2002년에는 "아이슬란드의 가장 좋아하는 산"으로 선정되었다. 산 근처에는 캠프장과 하이킹 코스가 있는 헤르두브레이다를린디르라는 오아시스가 있으며, 2019년 바트나외쿨 국립공원의 일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어
    아이슬란드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문법을 보존하고 순수주의적 경향이 강하여 서면 언어의 변화가 적다는 특징을 가진 아이슬란드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다.
  • 아이슬란드의 화산 - 쉬르트세이섬
    아이슬란드 남서쪽 해역의 화산 폭발로 1963년에 생성된 쉬르트세이섬은 화산 활동 후 생물 정착 및 진화 연구의 중요 대상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으며, 섬 이름은 북유럽 신화 속 불의 거인 수르트르에서 비롯되었다.
  • 아이슬란드의 화산 - 크리수빅 화산
    크리수빅 화산은 아이슬란드 레이캬네스 반도에 위치하며, 지역 민담에서 유래된 이름과 다양한 명소 및 하이킹 코스를 제공하고 문화적으로도 알려진 화산이다.
  • 종상 화산 - 산방산
    산방산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에 있는 해발 345m의 종상 화산으로, 산방굴사와 '산방덕의 눈물' 전설, 그리고 용머리해안, 하멜표류기념탑 등의 관광지와 함께 한라산 바위가 변했다는 전설이 있는 신성한 곳이다.
  • 종상 화산 - 세인트헬렌스산
    세인트헬렌스산은 미국 워싱턴주에 있는 활화산으로, 1980년 대규모 분화로 산 높이가 낮아지고 분화구가 생겼으며, 이후에도 간헐적인 분화 활동과 함께 화산 연구 및 생태계 복원 연구의 대상이 되고 국립 화산 기념지로 보호받고 있다.
허두브레이드 화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허두브레이드
위치아이슬란드 동부
지질학적 정보
종류투야, 복합 화산
시대플라이스토세
마지막 분화후기 플라이스토세
크기
높이1682 m
기타 정보
첫 등반알 수 없음
쉬운 경로알 수 없음

2. 지질

헤르두브레이드(Herðubreiðis)는 마지막 빙하기 동안 두꺼운 얼음 아래에서 형성된 현무암질 중앙 빙하하 화산으로,[10] 일반적으로 성층 화산과 같은 복합 화산으로 묘사된다.[1][11] 현재는 비활성 상태로 여겨지며, 인근의 활성 열극대 및 중앙 화산과는 분리되어 있다. 전형적인 투야(tuya) 형태로, 1947년 빙하하 화산 구조로 처음 묘사된 이후 그렇게 인식되었다. 화산의 형성과 지진 활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조하라.

2. 1. 형성 과정

헤르두브레이드(Herðubreiðis)는 마지막 빙하기 동안 최소 800m 두께의 얼음 아래에서 형성된 현무암질 중앙 빙하하 화산이다.[10] 일반적으로 성층 화산과 같은 복합 화산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11] 이는 인근의 현재 잠재적으로 활성화된 열극 떼와 중앙 화산과는 분리되어 있으며 비활성인 것으로 여겨진다. 원래의 마그마 저류층은 지하 9km 에서 11km 및 15km 에서 18km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0] 상부 지각에는 2km 에서 8km 깊이에 10km 폭의 얕은 지진대가 헤르두브레이드에서 남쪽으로 30km 떨어진 곳까지 뻗어 있으며, 이는 판 경계 확장에 기인한다.[12] 또한 마그마 이동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더 깊은 활동도 있지만, 이는 인근의 활화산 아스크야에서의 얕은 화산-구조 지진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2] 헤르두브레이드는 전형적인 투야(tuya)이며, 1947년 지형이 빙하하 화산 구조물로 처음 묘사된 후 즉시 그렇게 인식되었다.

분화 순서는 마지막 빙하기 남쪽 헤르두브레이드의 헤르드브레이다르토글(Herðubreiðartöglis)이라는 능선 지역에서 감람석 사문암질 현무암이 분출되면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빙하는 마그마 저류층에 압력을 가했고, 처음에는 더 이상의 분화 활동을 중단시켰을 수 있다.[10] 결국 헤르두브레이드의 남쪽 부분에서 두 번째 단계가 얼음을 녹였으며, 최초의 감람석 사문암질 용암 퇴적물은 호수 아래에서 발생했고, 그 뒤를 수중 유리질 응회암 덩어리 흐름 퇴적물이 따랐다. 이 단계는 다음 단계만큼 얼음에 갇히지 않았으며, 수중 용암 시트의 증거가 있고,[10] 이 아래에는 완만한 경사의 얼음 벽만 있었다. 약 12,000~15,000년 전 빙하 최대치를 향해 빙상이 더 두꺼워지면서 유리질 응회암과 가파른 측면의 유리질 응회암 아래의 베개 용암이 발생했다.[10] 이러한 것들이 헤르두브레이드가 거의 수직으로 얼음 벽이 가로막혀 있는 약 800m 높이의 호수 표면 위로 나타날 때까지 쌓였다.[10] 헤르두브레이드의 경우처럼 마지막 단계에서 분화가 다시 용암 덮개와 스패터 콘 또는 분화구 통풍구와 함께 육상에서 일어났다.

따라서 헤르두브레이드 상단에 있는 고원의 남쪽 부분에는 깊은 분화구가 있으며, 여름에는 호수를 포함할 수 있다.[3] 빙하기가 끝날 무렵 헤르두브레이드가 활동을 멈췄지만, 화산 활동은 남쪽의 헤르드브레이다르토글에서 낙진 퇴적물과 감람석 사문암질 용암류를 훨씬 더 광범위한 방식으로 발생시키면서 한동안 재개되었다.[10]

2. 2. 지진 활동

상부 지각에는 2km에서 8km 사이 깊이에 걸쳐 10km 폭의 얕은 지진대가 존재한다. 이 지진대는 헤르두브레이드에서 남쪽으로 30km 떨어진 곳까지 뻗어 있으며, 이는 판 경계 확장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12] 또한, 마그마 이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더 깊은 지진 활동도 관측된다. 이는 인근의 활화산인 아스크야에서 발생하는 얕은 화산-구조 지진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2]

3. 등반

허두브레이드는 독특한 모양을 가졌지만, 매우 가파르고 불안정한 경사면 때문에 오랫동안 등반이 어려웠다.[4] 리처드 프란시스 버튼 경은 1871년에 등반 시도의 어려움을 기록하기도 했다.[5] 1881년에는 윌리엄 리 하워드가 등반에 성공했다고 주장했으나, 그가 설명한 등반 방식에 대한 세부 내용이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5] 다만 하워드는 헤르두브레이드 기저부의 응회암과 정상의 용암을 묘사하며 이곳이 화산임을 처음으로 자세히 설명한 인물로 여겨지기도 한다.[3] 그러나 버튼 역시 하워드보다 10년 앞서 산과 주변 환경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남겼다.[6][3]

수 세기 동안 존재가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헤르두브레이드의 첫 공식 등반 기록은 1908년에야 한스 레크와 Sigurður Sumarliðason에 의해 세워졌다.[4] 이후 1930년대에는 Olafur Jóhnsson, Edvard Sigurgeirsson, Stefan Gunnbjörn Egilsson 등이 등반에 성공했다.[5]

산 근처에는 오아시스인 Herðubreiðarlindir|헤르뒤브레이다를린디르is가 있으며, 이곳에는 캠프장과 하이킹 코스가 마련되어 있다. 과거에는 사회에서 추방된 이들이 이곳 오아시스를 거점으로 삼기도 했는데, 유명한 추방자 피알라에이빈두르는 1774년부터 1775년 겨울까지 이곳에서 지냈다.[8] 2019년, 헤르두브레이드는 바트나외쿨 국립공원에 포함되었다.[9]

4. 주변 환경

산 근처에는 오아시스인 Herðubreiðarlindir|헤르뒤브레이다를린디르isl가 있다.[8] 2019년, 허두브레이드는 바트나외쿨 국립공원의 일부가 되었다.[9]

4. 1. 헤르두브레이다를린디르

허두브레이드 산 근처에는 캠프장과 하이킹 코스가 있는 오아시스 Herðubreiðarlindir|헤르뒤브레이다를린디르isl가 있다. 과거에는 아이슬란드 사회에서 추방된 사람들이 오다다흐라운 사막에 살면서 이 오아시스를 이용했다. 이러한 추방자 중 한 명인 피알라에이빈두르는 1774년에서 1775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동안 이곳에서 살았다.[8]

5. 국립공원 지정

2019년, 헤르두브레이드는 바트나외쿨 국립공원의 일부가 되었다.[9]

참조

[1] 간행물 2024-09-01
[2] 웹사이트 Nature and People http://www.siv.is/gr[...] 2002-11-07
[3] 웹사이트 Herðubreið - Drottning íslenskra fjalla http://www.landvernd[...] Icelandic Environment Association 2011-10-19
[4] 서적 Most Unimaginably Strange: An Eclectic Companion to the Landscape of Iceland Reaktion Books
[5] 웹사이트 The Mountains of Iceland http://publications.[...] ACC Publications
[6] 서적 Ultima Thule, or, A summer in Iceland https://archive.org/[...] William P. Nimmo, Edinburgh
[7] 웹사이트 Var Herðubreið eldfjall og gæti hún gosið? https://www.visindav[...]
[8] 웹사이트 Askja and Kverkfjoll: Exploring the Area http://www.frommers.[...]
[9] 웹사이트 Vatnajökulsþjóðgarður stækkaður: Herðubreið og Herðubreiðarlindir hluti af þjóðgarðinum https://www.vatnajok[...]
[10] 논문 Examination of a method: Testing the Kelly-Barton Method on the Herðibreið tuya, Northern Volcanic Zone, Iceland (dissertation) https://kb.osu.edu/s[...] The Ohio State University 2024-04-07
[11] 웹사이트 Principal Types of Volcanoes https://pubs.usgs.go[...] 2024-09-01
[12] 보고서 Herðubreið 2006–seismic project Scientific report https://gef.nerc.ac.[...] Bullard Laboratories,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University of Cambridge 2024-04-07
[13] 웹사이트 2010年4月 エイヤフィヤトラヨークトル火山の噴火(アイスランド) https://www.eri.u-to[...]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19-09
[14] 웹사이트 群馬大学インターネット火山博物館: 火山の地形と断面 http://www.hayakaway[...] 群馬大学教育学部 早川由紀夫研究室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