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슬란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슬란드어는 아이슬란드에서 사용되는 북게르만어이다.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명칭, 역사, 음운, 문법, 어휘, 표기 체계 등 고유한 특징을 지닌다. 아이슬란드어는 굴절성이 강하고,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의 문법 변화가 복잡하다. 어휘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언어 순수주의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특징적이다. 아이슬란드어는 아이슬란드의 국어이자 공용어로, 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노르드어 - 페로어
페로어는 페로 제도의 공용어이자 덴마크의 지역어이며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굴절어의 특징을 보이는 언어로, 구전 전통을 통해 유지되다가 19세기 중반 현대 표준 페로어가 제정되면서 부활하여 현재 페로 제도의 민족 정체성을 지키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 서노르드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아이슬란드 - 허두브레이드 화산
아이슬란드의 빙하하 화산인 허두브레이드는 "아이슬란드 산의 여왕"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투야 지형의 전형적인 예시이고 마지막 빙하기 동안 활발한 분화 활동을 거쳐 독특한 지형을 형성했으며 현재는 비활성 화산으로, 1908년 최초 등반에 성공했고 산 기슭에는 오아시스인 헤르두브레이다를린디르가 위치하며 2019년 국립공원의 일부가 되어 보호받고 있다. - 아이슬란드어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아이슬란드어 - 아이슬란드어의 언어순수주의
아이슬란드어의 언어순수주의는 아이슬란드어의 고유성을 지키고 외국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정부 차원의 규제와 지원, 새로운 단어 창조 및 옛 단어 부활 등을 통해 아이슬란드인의 국가 정체성을 유지하고 모든 지식을 아이슬란드어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이슬란드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언어 이름 | 아이슬란드어 |
고유어 | íslenska |
발음 | /ˈistlɛnska/ |
사용 국가 및 지역 | |
국가 | 아이슬란드 |
지역 | 북유럽 |
사용자 | |
인구 | 30만 명 |
사용 민족 | 아이슬란드인 |
언어 계통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게르만어파 |
어군 | 북게르만어군 |
하위 어군 | 서스칸디나비아어군 |
조상 언어 | 고대 노르드어, 고대 서노르드어, 고대 아이슬란드어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점자 |
공용어 | |
국가 | |
언어 관리 기관 | |
기관 | 아우르니 마그누손 아이슬란드어 연구소 |
언어 코드 | |
ISO 639-1 | is |
ISO 639-2 | isl |
ISO 639-2/B | ice |
ISO 639-3 | isl |
글롯로그 | icel1247 |
링구아리움 | 52-AAA-aa |
2. 명칭
아이슬란드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북게르만어파의 게르만어족에 포함된다. 아이슬란드어는 서 스칸디나비아어로 더 세분된다.[1] 아이슬란드어는 이전 언어인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후 고대 아이슬란드어를 거쳐 현재의 현대 아이슬란드어가 되었다. 고대 아이슬란드어와 현대 아이슬란드어의 구분은 1540년 이전과 이후로 여겨진다.[2]
문자 | 명칭 | 명칭의 발음 | 문자 | 명칭 | 명칭의 발음 |
---|---|---|---|---|---|
A | a | [a] | N | enn | [ɛnː] |
Á | á | [au̯] | O | o | [ɔ] |
B | bé | [pjɛ] | Ó | ó | [ou̯] |
D | dé | [tjɛ] | P | pé | [pʰjɛ] |
Ð | eð | [ɛð̠] | R | err | [ɛr] |
E | e | [ɛ] | S | ess | [ɛs] |
É | é | [jɛ] | T | té | [tʰjɛ] |
F | eff | [ɛfː] | U | u | [ʏ] |
G | gé | [cɛ] | Ú | ú | [u] |
H | há | [hau̯] | V | vaff | [vafː] |
I | i | [ɪ] | X | ex | [ɛxs] |
Í | í | [i] | Y | ypsilon / y | [ʏfsɪlɔn] / [ɪ] |
J | joð | [jɔð̠] | Ý | ypsilon / ý | [ʏfsɪlɔn] / [i] |
K | ká | [kʰau̯] | Þ | þorn | [θ̠ɔrn̥] |
L | ell | [ɛtl̥] | Æ | æ | [ai̯] |
M | emm | [ɛmː] | Ö | ö | [œ] |
아이슬란드어는 인도유럽어족 북게르만어파의 게르만어족에 속하며,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되었다. 고대 아이슬란드어를 거쳐 현재의 현대 아이슬란드어가 되었으며, 고대 아이슬란드어와 현대 아이슬란드어의 구분은 1540년 이전과 이후로 여겨진다.[6]
3. 역사
아이슬란드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은 1100년경에 쓰여졌다. 12세기부터 아이슬란드에서 쓰여진 가장 유명한 텍스트는 역사적 작품과 ''고에다''를 포함하는 아이슬란드 사가이다. 사가의 언어는 고대 아이슬란드어로, 고대 노르드어의 서부 방언이다.
덴마크-노르웨이의 지배(1536년~1918년)는 아이슬란드어 발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이슬란드어는 다른 게르만어보다 고풍스럽지만, 12세기부터 16세기까지 발음이 현저하게 변화했다. 특히, ''áis'', ''æis'', ''auis'', ''yis/ýis'' 모음에서 변화가 있었다. -ý & -y 자음은 1400년에서 1600년 사이에 -í & -i와 합쳐졌고, -æ 자음은 이중 모음 -ai로 변형되었다.
현대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19세기에 덴마크 언어학자 라스무스 라스크가 확립한 표준에서 발전했다. ''cis'' 대신 ''kis''를 사용하는 등 게르만어 관습에 맞게 변경되었으며, 20세기 후반에는 ''jeis'' 대신 ''éis''를 사용하고,[18] 1974년 ''zis''를 ''sis''로 대체했다.[19]
서면 아이슬란드어는 11세기 이후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아,[7] 현대 아이슬란드어 화자들은 약 800년 전의 사가와 에다 원본을 이해할 수 있다.
아이슬란드어의 역사는 874년 노르드인이 아이슬란드에 정착하면서 시작된다. 당시 노르드인들은 고대 노르드어의 서방언(고대 서노르드어)을 사용했고, 이것이 고대 아이슬란드어를 거쳐 현대 아이슬란드어로 변화했다.
중세 이후 언어 변화에도 불구하고, 음운을 제외하면 거의 변화가 없었고, 특히 문법 구조는 전혀 변화가 없다. 따라서 현대 아이슬란드인들은 중세의 고대 노르드어와 고대 아이슬란드어로 쓰인 에다(북유럽 게르만 신화와 영웅담을 소재로 한 시가)와 사가(바이킹의 역사적 활동을 연대기 형식으로 한 산문)를 해독할 수 있다.[20]
3. 1. 언어 순수주의
아이슬란드의 지리적 고립 때문에 아이슬란드어는 대륙의 여러 게르만어파 언어들처럼 다른 언어들과 섞이기 어려운 환경에 있었다. 일부 들어온 외래어들도 순수주의 운동으로 전부 아이슬란드어 고유어를 바탕으로 합성된 단어로 대체되었다.[20]
아이슬란드어 이념의 핵심은 문법, 철자 및 어휘 순수주의이다. 언어 정책과 언어 이념 담론은 주로 국가나 엘리트가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시민과 대중의 관심사이다. 아이슬란드어 사용 공동체는 보호주의적인 언어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아이슬란드인들은 일반적으로 언어 사용 영역에 대해서는 더 실용적인 것으로 보인다.
16세기 후반부터 아이슬란드어의 순수성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순수주의 운동이 성장하여 더 많은 작품이 아이슬란드어로 번역되었고, 많은 신조어가 도입되었다. 19세기 초에는 낭만주의의 영향으로 구어의 순수성에도 중요성이 부여되었다. 문어의 문장 구조는 덴마크어와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구어에 더 가까워졌다.
순수주의 운동은 문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화자가 말할 때는 외래어를 자유롭게 사용하지만 글을 쓸 때는 피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 운동에서 만들어진 많은 신조어의 성공은 가변적이었는데, 일부 외래어는 고유어로 대체되지 않았다. 특히 과학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려는 의식적인 노력은 여전히 있으며, 아이슬란드어 위원회(Íslensk málnefndis)의 도움을 받아 일부 단체에서 사전을 출판하고 있다.
현대에는 언어의 보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외국어 어휘를 가능한 한 외래어로 받아들이지 않고, 어휘를 의역하여 신조어를 만드는 일이 많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의미하는 "sjónvarp"는 영어 'television' 등의 외래어가 아니라, 'sjón'(「풍경」「보는 것」, sight영어)과 'verpa'(던지다)로 이루어진 신조어이며, 「투영기」로 의역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4. 음운
아이슬란드어 음운론 문서에 더 자세한 내용이 있다. 아이슬란드어의 음운 체계는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나뉜다.
4. 1. 자음
아이슬란드어의 모든 파열음은 무성음이며, 기음(aspiration)에 의해 구분된다.[15] 파열음은 단어의 처음에서는 후기음화(post-aspirated)되지만, 단어 안에서는 전기음화(pre-aspirated)된다.[16]colspan="2" | |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
파열음 | ||||||||||
유음 | 마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아닌 것 | ||||||||||
측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는 잎끝 치경음(laminal denti-alveolar)이고, 는 끝소리 치경음(apical alveolar)이다. 는 치경 마찰음(alveolar non-sibilant fricative)이며, 전자는 잎끝 치경음, 후자는 보통 끝소리 치경음이다.
- 음성학적 분석에 따르면, 무성 측면 근사음 은 실제로는 특히 단어 끝이나 음절 끝에서 상당한 마찰음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 즉, 본질적으로 무성 치경 측면 마찰음 이다.[15]
단어 끝의 유성 자음은 휴지음화 전에 무성화되므로, 'day (acc.)'를 의미하는 ''dag''는 로 발음되고, 'day (nom.)'를 의미하는 ''dagur''는 로 발음된다.
4. 2. 모음
rowspan="2"| | 전설 | 후설 | |
---|---|---|---|
비원순 | 원순 | ||
좁은 | i | class="IPA" | | u |
넓은 좁은 | ɪ | ʏ | class="IPA" | |
중간 | ɛ | œ | ɔ |
넓은 | a | class="IPA" | | class="IPA" | |
전설 | 후설 | |
---|---|---|
좁은 | ei, öy | ou |
중간 | ai | au |
아이슬란드어에서 모음의 장단은 단어의 구조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며, 의미를 구분하는 데 기여하지 않는다. 또한, 장모음과 단모음의 차이는 음의 길이에만 있으며, 모음의 질은 변하지 않는다. 모음의 장단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자음이 뒤따르지 않거나, 자음이 하나만 뒤따르는 경우: 긴 모음
- 자음이 두 개 뒤따르고, 첫 번째 자음이 ''p, t, k, s'' 중 하나이며, 두 번째 자음이 ''j, r, v''인 경우: 긴 모음
- 그 외의 경우: 짧은 모음
아이슬란드어의 모음은 철자와 발음이 일대일로 대응한다. 단, ''ng, nk''가 뒤따르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발음이 변한다.
- ang: ( = áng)
- eng: ( = eing)
- ing: ( = íng)
- yng: ( = ýng)
- öng: ( = aung)
- ung: ( = úng)
이상에서 모음 문자와 발음의 대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음 문자 | IPA | ng, nk 앞 |
---|---|---|
a | ||
á | colspan="2"| | |
au | colspan="2"| | |
e | ||
é | colspan="2"| | |
ei, ey | colspan="2"| | |
i, y | ||
í, ý | colspan="2"| | |
o | colspan="2"| | |
ó | colspan="2"| | |
u | ||
ú | colspan="2"| | |
æ | colspan="2"| | |
ö |
4. 3. 음운 변화
아이슬란드어에는 독일어 등과 마찬가지로 음운 현상으로서의 변화음(Umlaut)이 존재한다. 변화음은 동사의 활용이나 명사의 파생에서 자주 관찰되며, 외래어라도 변화음의 영향을 받는다. japanskais(일본어, 단수 주격) - japönskuis(일본어, 단수 대격), Ítaliis(이탈리아인, 단수 주격) - Ítölumis(이탈리아인, 복수 여격)[1]i-움라우트는 한 단어 안에서 'i'나 'j'의 영향을 받아 앞선 모음의 음질이 변하는 현상이다. 움라우트를 일으키는 음은 종종 소실된다. i-움라우트에 의한 변화는 다음과 같다.[1]
모음 | 예 | |
---|---|---|
변화 전 | 변화 후 | |
a | e | takais (잡다) - ég tekis (나는 잡는다) |
á | æ | háris (높은) - hærriis (더 높은) |
e | i | setinnis (앉은) - sitjais (앉다) |
o | e | komais (오다) - ég kemis (나는 온다) |
o, u | y | sonuris (아들) - syniris (아들들) |
ó | æ | stóris (큰) - stærriis (더 큰) |
u | y | fulluris (가득 찬) - fyllriis (더 가득 찬) |
ú | ý | músis (쥐) - mýsis (쥐들) |
ju | y | við bjuggumis (우리는 살았다) - við byggjumis (우리는 살았다) |
jú | ý | ljúgais (눕다) - ég lýgis (나는 눕는다) |
jó | ý | bjóðais (제공하다) - ég býðis (나는 제공한다) |
au | ey | ausais (푸다) - ég eysis (나는 푼다) |
u-움라우트는 한 단어 안에서 'u' 또는 'v'가 앞의 'a'를 'ö' 또는 'u'로 변화시키는 현상이다. i-움라우트와 마찬가지로, 움라우트를 일으키는 모음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1]
모음 | 예시 | |
---|---|---|
변화 전 | 변화 후 | |
'a' | ö, 'u' | landis (땅)(단수 주격) - löndis (땅)(복수 주격) |
kallaðiis (내가 불렀다) - kölluðumis (우리가 불렀다) | ||
고대 노르드어의 단수 주격 어미 '-r'에서 유래한 '-ur' 앞에서는 u-움라우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 daluris (계곡)(단수 주격) < 고대 노르드어 dalrnon)[1]
'브레이킹'(Breaking)이란, 'a'나 'u'에 의해 어간의 'e'가 'ja'로 변하는 현상이다. 움라우트(Umlaut)와 마찬가지로, 변화를 일으키는 모음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1]
모음 | 예시 | |
---|---|---|
변화 전 | 변화 후 | |
e | ja, jö | gefais (주다) - gjöfis (선물)(단수 주격) |
i | skildiris (방패)(복수 주격) - skjölduris (방패)(단수 주격) | |
e가 i-움라우트에 의해 i로 변하는 패턴 |
5. 문법
아이슬란드어는 굴절어로, 명사는 문법적 성을 가지며 4개의 격(case)에 따라 변화하고, 동사도 인칭에 따라 변화한다.
현대 아이슬란드어는 표준적인 문장에서 주어-동사-목적어 순서인 SVO어이다.
아이슬란드어 인칭 대명사는 3인칭에서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을 가지며, 주격, 목적격, 여격, 소유격의 네 가지 격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 ég (나) | við/vér (우리) |
2인칭 | þú (너) | þið/þér (너희) |
3인칭·남성 | hann (그) | þeir (그들) |
3인칭·여성 | hún (그녀) | þær (그녀들) |
3인칭·중성 | það (그것) | þau (그것들) |
목적격 | mig | okkur |
þig | ykkur | |
hann | þá | |
hana | þær | |
það | þau | |
여격 | mér | okkur |
þér | ykkur | |
honum | þeim | |
henni | þeim | |
því | þeim | |
소유격 | mín | okkar |
þín | ykkar | |
hans | þeirra | |
hennar | þeirra | |
þess | þeirra |
vér와 þér는 경칭으로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인칭 복수에서 남성과 여성이 함께 있을 때는 중성인 þau가 사용된다.[21]
5. 1. 명사
아이슬란드어의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을 가지며, 각 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두 가지 수 변화와 주격, 목적격, 여격, 소유격의 네 가지 격 변화를 갖는다. 격 변화에는 강변화와 약변화의 두 종류가 있다. 또한, 관사는 존재하지 않지만, 불특정하거나 일반적인 것을 나타내는 부정형과 화자와 청자 모두가 이해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형이라는 두 가지 구별이 있으며, 어미에 의해 표시된다.[21]남성 명사 '''banki'''(은행), 여성 명사 '''vika'''(주), 중성 명사 '''auga'''(눈)의 격 변화는 다음과 같다. 약화 변화 명사는 단수 부정형의 대격·여격·속격이 동형이고 어미가 모음이다.
colspan="2" | | 남성 | 여성 | 중성 | ||||
---|---|---|---|---|---|---|---|
부정 | 정 | 부정 | 정 | 부정 | 정 | ||
단수 | 주격 | banki | bankinn | vika | vikan | auga | augað |
대격 | banka | bankann | viku | vikuna | auga | augað | |
여격 | banka | bankanum | viku | vikunni | auga | auganu | |
속격 | banka | bankans | viku | vikunnar | auga | augans | |
복수 | 주격 | bankar | bankarnir | vikur | vikurnar | augu | augun |
대격 | banka | bankana | vikur | vikurnar | augu | augun | |
여격 | bönkum | bönkunum | vikum | vikunum | augum | augunum | |
속격 | banka | bankanna | vikna | viknanna | augna | augnanna |
변화 어미에 u가 나타나는 어휘에서 어간 모음 a→ö의 변화(u-움라우트)가 일어난다. 그러나 정형 어미 중의 u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예: hjarta (심장)
- * hjarta (단수·부정) → hj'''ö'''rtu (복수·부정·주격, 대격)
- * hjarta (단수·여격·부정) → hj'''a'''rtanu (단수·여격·정형)
5. 2. 동사
아이슬란드어 동사(''sagnorð'')는 태(능동태, 중동태, 수동태), 법(직설법, 접속법, 명령법), 시제(현재, 과거, 미래, 완료), 수(단수, 복수),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분사(현재분사, 과거분사, 완료분사 - 과거분사의 중성 단수 주격과 일치)와 같은 요소를 가진다. ('''굵은 글씨'''는 동사 활용에 따라 표현되는 것을 가리킨다.)또한, 형태적으로 직설법 과거 시제 단수 어간을 어떻게 형성하는가에 따라 강변화 동사(''sterk beyging'')와 약변화 동사(''veik beyging'')의 두 가지로 크게 분류된다.
강변화 동사는 직설법 과거 시제 단수의 어간을 어간의 모음을 바꿈으로써 형성한다. 강변화 동사에서는 4개의 어간으로부터 동사의 모든 형태가 구성된다. 그 어간과 대응하는 형태는 다음과 같다. (''bjóða'' 「제공하다」를 예로)
- ''bjóð''- - 직설법 현재형(단수에서는 i-움라우트를 수반함), 접속법 현재형, 명령법, 현재분사
- ''bauð''- - 직설법 과거형 단수
- ''buð''- 직설법 과거형 복수, 접속법 과거형(i-움라우트를 수반함)
- ''boð''- 과거분사, 완료분사
''bjóða'' 「제공하다」의 각 형태는 다음과 같다.
rowspan="3" colspan="2" | | 능동태 | 중동태 | |||||||||
---|---|---|---|---|---|---|---|---|---|---|---|
직설법 | 접속법 | 명령법 | 직설법 | 접속법 | 명령법 | ||||||
현재 | 과거 | 현재 | 과거 | 현재 | 현재 | 과거 | 현재 | 과거 | 현재 | ||
단수 | 1인칭 | býð | bauð | bjóði | byði | býðst | bauðst | bjóðist | byðist | ||
2인칭 | býður | bauðst | bjóðir | byðir | bjóð (bjóddu) | ||||||
3인칭 | býður | bauð | bjóði | byði | |||||||
복수 | 1인칭 | bjóðum | buðum | bjóðum | byðum | bjóðum | bjóðumst | buðumst | bjóðumst | byðumst | bjóðumst |
2인칭 | bjóðið | buðuð | bjóðið | byðuð | bjóðið | bjóðist | buðust | bjóðist | byðust | bjóðist | |
3인칭 | bjóða | buðu | bjóði | byðu | bjóðast | buðust | bjóðist | byðust | |||
부정형 | að bjóða | að bjóðast | |||||||||
현재분사 | bjóðandi | colspan="5" | | |||||||||
과거분사 | boðinn, boðin, boðið | colspan="5" | | |||||||||
완료분사 | boðið | boðist |
(굵은 글씨는 움라우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낸다.)
약변화 동사는 과거 시제의 어간에 접미사 '-ð/-d/-t'를 붙여서 형성한다. 강변화 동사는 3개 또는 2개의 어간으로부터 동사의 모든 형태가 구성된다. 그 어간과 대응하는 형태는 다음과 같다. ('telja' "세다"를 예로)
- telj- - 현재 시제, 현재 분사, 부정사, 명령법
- tald- - 과거형
- tal- - 과거 분사, 완료 분사(과거 분사의 중성 단수 주격에 일치)
'telja' "세다"의 각 형태는 다음과 같다.
rowspan="3" colspan="2" | | 사동태 | 중동태 | |||||||||
---|---|---|---|---|---|---|---|---|---|---|---|
직설법 | 접속법 | 명령법 | 직설법 | 접속법 | 명령법 | ||||||
현재 | 과거 | 현재 | 과거 | 현재 | 현재 | 과거 | 현재 | 과거 | 현재 | ||
단수 | 1인칭 | tel | taldi | telji | teldi | telst | taldist | teljist | teldist | ||
2인칭 | telur | taldir | teljir | teldir | tel(du) | ||||||
3인칭 | telur | taldi | telji | teldi | |||||||
복수 | 1인칭 | teljum | töldum | teljum | teldum | teljum | teljumst | töldumst | teljumst | teldumst | teljumst |
2인칭 | teljið | tölduð | teljið | telduð | teljið | teljist | töldust | teljist | teldust | teljist | |
3인칭 | telja | töldu | telji | teldu | teljast | töldust | teljist | teldust | |||
부정형 | að telja | að teljast | |||||||||
현재 분사 | teljandi | colspan="5" | | |||||||||
과거 분사 | talinn, talin, talið | colspan="5" | | |||||||||
완료 분사 | talið | talist |
(굵은 글씨는 움라우트의 영향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아이슬란드어에는 현재 시제가 강변화 동사의 과거 시제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10개의 동사가 있다. 게르만 언어학에서는 이를 “과거현재 동사”(preterite-present verbs)라고 부른다.[22]
rowspan="3" colspan="2" | | 능동태 | 중동태 | ||||||||
---|---|---|---|---|---|---|---|---|---|---|
직설법 | 접속법 | 명령법 | 직설법 | 접속법 | ||||||
현재 | 과거 | 현재 | 과거 | 현재 | 현재 | 과거 | 현재 | 과거 | ||
단수 | 1인칭 | á | átti | eigi | ætti | rowspan="3" | | rowspan="3" | | rowspan="3" | | rowspan="3" | | |
2인칭 | átt | áttir | eigir | ættir | eig(ðu) | |||||
3인칭 | á | átti | eigi | ætti | ||||||
복수 | 1인칭 | eigum | áttum | eigum | ættum | eigum | eigumst | áttumst | eigumst | ættumst |
2인칭 | eigið | áttuð | eigið | ættuð | eigið | eigist | áttust | eigist | ættust | |
3인칭 | eiga | áttu | eigi | ættu | eigast | áttust | eigist | ættust | ||
부정형 | að eiga | að eigast | ||||||||
현재분사 | eigandi | colspan="4" | | ||||||||
완료분사 | átt | ást |
rowspan="3" colspan="2" | | ||||||
---|---|---|---|---|---|---|
직설법 | 접속법 | 명령법 | ||||
현재 | 과거 | 현재 | 과거 | 현재 | ||
단수 | 1인칭 | er | var | sé veri | væri | |
2인칭 | ert | varst | sért verir | værir | ver(tu) | |
3인칭 | er | var | sé veri | væri | ||
복수 | 1인칭 | erum | vorum | séum verum | værum | verum |
2인칭 | eruð | voruð | séuð verið | væruð | verið | |
3인칭 | eru | voru | sé(u) veri | væru | ||
부정형 | að vera | |||||
현재분사 | verandi | |||||
과거분사 | verið |
Ri동사는 과거 어간이 -''er''로 끝나는 동사이다. ''r''은 중복에 의해 형성된 과거형의 흔적이다.[23]
rowspan="3" colspan="2" | | 능동태 | |||||
---|---|---|---|---|---|---|
직설법 | 접속법 | 명령법 | ||||
현재 | 과거 | 현재 | 과거 | 현재 | ||
단수 | 1인칭 | ræ | reri réri | rói | reri réri | |
2인칭 | rærð | rerir rérir | róir | rerir rérir | ró(ðu) | |
3인칭 | rær | reri réri | rói | reri réri | ||
복수 | 1인칭 | róum | rerum rérum | róum | rerum rérum | róum |
2인칭 | róið | reruð réruð | róið | reruð réruð | róið | |
3인칭 | róa | reru réru | rói | reru réru | ||
부정형 | að róa | |||||
현재분사 | róandi | |||||
과거분사 | róinn, róin, róið | |||||
완료분사 | róið |
5. 3. 어순
현대 아이슬란드어는 다른 북게르만어와 마찬가지로 표준적인 문장에서 주어-동사-목적어 순서인 SVO어이다.[1]6. 어휘
아이슬란드어는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이 라틴어와 그리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과 달리, 대부분의 어휘가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다. 아이슬란드는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어, 대륙의 여러 게르만어파 언어들처럼 다른 언어들과 섞이기 어려운 환경이었다. 일부 들어온 외래어들도 순수주의 운동으로 인해 아이슬란드어 고유어를 바탕으로 합성된 단어로 바뀌었다.[6]
아이슬란드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은 1100년경에 쓰여졌다. 12세기부터 아이슬란드에서 쓰여진 가장 유명한 텍스트는 역사적 작품과 ''고 에다''를 포함하는 아이슬란드 사가이다. 사가의 언어는 고대 아이슬란드어로, 고대 노르드어의 서부 방언이다. 덴마크의 아이슬란드 지배(1536년~1918년)는 아이슬란드어 발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이슬란드어는 다른 게르만어보다 더 고풍스럽지만, 12세기부터 16세기까지 모음에서 발음 변화가 있었다.
현대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19세기에 라스무스 라스크가 확립한 표준에서 발전했다. 20세기 후반에는 ''éis''를 사용하고, 1974년 ''zis''를 ''sis''로 대체하는 변화가 있었다.[18][19]
서면 아이슬란드어는 11세기 이후로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았다.[7] 현대 아이슬란드어 화자들은 약 800년 전에 쓰여진 사가와 에다를 이해할 수 있다.
초기 아이슬란드어 어휘는 대부분 고대 노르드어였으며, 켈트족이 아이슬란드에 처음 정착했을 때 몇몇 켈트어 단어가 포함되었다. 11세기에 기독교가 도입되면서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에서 새로운 단어 대부분이 유래했다. 예를 들어, "교회"를 의미하는 ''kirkjais''가 있다. 프랑스어는 궁정과 기사도와 관련된 많은 단어를 가져왔고, 무역 및 상업 관련 단어들은 저지 독일어에서 차용되었다. 18세기 후반부터 아이슬란드에서는 언어 순수주의가 두드러지기 시작했고 19세기 초부터는 아이슬란드의 언어 정책이 되었다. 오늘날 아이슬란드어에서는 새로운 복합어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이슬란드어의 역사는 874년에 노르드인들이 아이슬란드에 정착하면서 시작된다. 당시 노르드인들은 고대 노르드어의 서방언을 사용했고, 이것이 고대 아이슬란드어, 현대 아이슬란드어로 변화해 왔다. 중세 이후 언어가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음운을 제외하면 거의 변화가 없었고, 특히 문법 구조는 전혀 변화가 없다. 따라서 현대 아이슬란드인들은 중세의 에다와 사가를 해독할 수 있다고 한다.[20]
아이슬란드어는 섬나라라는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고대 노르드어가 가지고 있던 문법의 복잡성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현대에는 외국어 어휘에 대해 가능한 한 외래어로 받아들이지 않고, 어휘를 의역하여 신조어를 만드는 일이 많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의미하는 "sjónvarp"는 "투영기"로 의역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6. 1. 아이슬란드식 이름
아이슬란드식 이름은 역사적인 가계가 아닌 자녀의 직계 부모를 반영하는 부계명(때로는 모계명)이다. 이 시스템은 이전에 북유럽 지역 전역 및 그 이상에서 사용되었지만, 대부분의 서구 세계 성 시스템과는 다르다. 대부분의 아이슬란드 가정에서는 고대의 부계명칭 전통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즉, 성 대신 아버지의 이름(일반적으로) 또는 어머니의 이름(최근 몇 년 동안 증가 추세)을 소유격 형태로 사용하고, 그 뒤에 "-son"(아들) 또는 "-dóttir"(딸)라는 형태소를 붙인다.[17]2019년에는 이름에 관한 법률이 변경되었다. 공식적으로 논바이너리 성별로 등록된 아이슬란드인은 -sonis 또는 -dóttiris 대신 -buris ("~의 자식") 접미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7]
아이슬란드인의 언어 관습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성, 즉 성씨가 없다는 것이다. 이름은 일반적으로 "이름(First Name) + 부계명" 형태로, 부계명은 "아버지 이름의 소유격 + 아들(혹은 딸)"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싱어송라이터 비요크(Björk)의 본명 "Björk Guðmundsdóttir"는 "Björk"라는 이름 뒤에 "Guðmund의 딸(dóttir)"이라는 뜻의 부계명이 붙는다("Guðmunds"는 소유격 형태). 남성의 경우 아버지 이름(의 소유격)에 "-son"("아들"을 의미하는 "sonur"와 어원이 같음)을 붙여 부계명으로 한다. 화가 에이나르 하우코나르손(:en:Einar Hákonarson)의 이름에서 부계명은 "Hákon"(소유격 Hákonar)의 아들"을 뜻한다.
하지만 외국인을 조상으로 둔 사람에게는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노르웨이인인 아이슬란드 전 총리 게이르 하르데의 본명은 "Geir Hilmar Haarde"이며, 성이 "-son"으로 끝나지 않아 외국인을 조상으로 둔 성씨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아이슬란드의 관습은 중세까지 북방 게르만 민족에게 일반적이었지만, 대륙에서는 나중에 성을 갖게 되었고, 섬나라인 아이슬란드만이 현대까지 이 관습을 이어받아왔다. 원래 성이 없는 아이슬란드인은 (외국인과 결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결혼으로 성을 변경하는 일이 없다. 즉, 가족 내에서도 동성 형제의 경우에만 같은 부계명이며, 부모, 형, 여동생으로 구성된 가족이라면 모두 다른 부계명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7. 표기 체계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영어 알파벳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옛 문자 세 가지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Þ, þ(þornang, 현대 영어의 "thorn"), Ð, ð(eðang, "eth" 또는 "edh"로 영어식 표기), Æ, æ(æsc, "ash" 또는 "asc"로 영어식 표기)가 그것이다. þ와 ð는 각각 무성음과 유성음 "th" 음(영어의 ''thin''과 ''this''에서처럼)을 나타내며, æ는 영어에는 없는 이중모음 /ai/를 나타낸다.
''á''나 ''ö''와 같이 구분 부호가 있는 문자는 대부분 파생 모음의 변형이 아니라 별개의 문자로 취급된다. ''é''는 1929년에 공식적으로 ''je''를 대체했지만, 초기 필사본(14세기까지)과 18세기부터 주기적으로 사용되었다.[18] ''z''는 이전에는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에 있었지만, 1974년에 인명을 제외하고 공식적으로 제거되었다.[19]
아이슬란드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모음 문자에는 악센트 기호, 리가처 또는 움라우트가 추가된 문자도 포함된다(단, 아이슬란드어의 악센트 기호는 악센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모음의 질적 변화를 나타낸다). D에 짧은 가로 획이 추가된 Ð는 그 문자의 이름을 에즈(eð)라고 하며,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ð(유성 치찰음)을 나타낸다. 또한, Þ(소문자: þ)는 중세에 북유럽에서 사용되었던 룬 문자 중 하나인 "쏜"(thorn)을 차용하여 현대까지 사용되고 있다. 현대 아이슬란드어에서 "Þ"의 문자 이름은 þorn(θɔrn)이며, θ(무성 치찰음) 음소를 나타낸다. c, q, w 세 문자는 외래어나 고유 명사에만 사용된다. z는 1973년까지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폐지되어 s로 대체되었으며, 외래어 외에 고어에서 드물게 사용된다.
초기 이주민 시대의 아이슬란드인들은 문자가 없었지만, 11세기에 아이슬란드에 기독교가 전래됨에 따라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8. 법적 지위 및 인정
2011년 의회에서 통과된 법률에 따르면 아이슬란드어는 "아이슬란드 국민의 국어이자 아이슬란드의 공용어"이며, "공공기관은 아이슬란드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아이슬란드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보장해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8]
아이슬란드는 북유럽 이사회의 회원국이지만, 이사회는 아이슬란드어 자료를 발간하기는 하지만, 업무 언어로는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만 사용한다.[9] 북유럽 언어 협약에 따라 1987년부터 아이슬란드 시민은 다른 북유럽 국가의 공공기관과 소통할 때 아이슬란드어를 사용할 권리가 있으며, 통역이나 번역 비용을 부담할 의무가 없다.[10][11] 이 협약은 병원, 고용센터, 경찰서, 사회보장기관 방문을 포함한다.[10][11] 하지만 이 협약은 잘 알려지지 않았고,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에 능숙하지 않은 아이슬란드인들도 영어로 기관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하기 때문에(아이슬란드인들의 영어 능력이 다소 과대평가되었다는 증거도 있음) 효과가 크지 않다.[12] 북유럽 국가들은 서로 시민들에게 다양한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약속했지만, 형사 및 법원 사건을 제외하고는 절대적인 권리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13][14]
참조
[1]
언어코드
[2]
웹사이트
StatBank Denmark
https://www.statbank[...]
[3]
웹사이트
Icelandic
https://web.archive.[...]
Modern Language Association
2010-12-06
[4]
웹사이트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Data tables
https://www12.statca[...]
Government of Canada
2013-05-08
[5]
웹사이트
Icelandic: At Once Ancient And Modern
https://web.archive.[...]
Icelandic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2019-08-26
[6]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Faroes - Lost History of the Sheep Islands - Archaeology Magazine - March/April 2023
https://archaeology.[...]
2024-07-07
[7]
서적
German: Biography of a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Act [No 61/2011] on the status of the Icelandic language and Icelandic sign language
http://eng.menntama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2013-11-15
[9]
웹사이트
Norden
http://www.norden.or[...]
2007-04-27
[10]
웹사이트
Nordic Language Convention
https://web.archive.[...]
2007-06-29
[11]
웹사이트
Nordic Language Convention
https://web.archive.[...]
2009-04-28
[12]
웹사이트
The English 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of Icelandic students, and how to improve it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Iceland
2016-03-04
[13]
뉴스
Language Convention not working properly
https://web.archive.[...]
Nordic news
2007-03-03
[14]
간행물
Community interpreting in Sweden: A short presentation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ranslators
2009-03-27
[15]
웹사이트
A little Icelandic phonetics
http://languagelog.l[...]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2-04-01
[16]
뉴스
Þéranir á meðal vor
https://timarit.is/p[...]
Morgunblaðið
1999-10-29
[17]
뉴스
Icelandic names will no longer be gendered
https://www.icelandr[...]
Iceland Review
2019-06-22
[18]
웹사이트
Hvenær var bókstafurinn 'é' tekinn upp í íslensku í stað 'je' og af hverju er 'je' enn notað í ýmsum orðum?
https://www.visindav[...]
2007-06-20
[19]
웹사이트
Hvers vegna var bókstafurinn z svona mikið notaður á Íslandi en því svo hætt?
https://web.archive.[...]
2023-10-29
[20]
백과사전
アイスランド語
https://kotobank.jp/[...]
小学館
[21]
서적
言語学大辞典 第一巻 世界言語編(上)
三省堂
[22]
학술지
On the early origins of the Germanic preterite presents
2015-07-01
[23]
서적
ICELANDIC - grammar, text, glossary
Johns Hopkin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