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베르트 판 에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베르트 판 에이크는 15세기 초 플랑드르 화가로, 얀 판 에이크의 형으로 추정된다. 그의 생애와 경력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겐트에서 활동하며 겐트 제단화 제작을 시작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겐트 제단화는 얀 판 에이크가 완성했으며, 후베르트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무덤에서 세 마리아》, 사도들의 그림 등이 있다. 그의 작품과 얀 판 에이크의 초기 작품을 구분하는 문제는 미술사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6년 사망 - 주고후
주고후는 명나라 영락제의 아들로, 정난의 변에서 공을 세우고 한왕에 봉해졌으나 황위 찬탈을 시도하다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 1426년 사망 - 엑서터 공작 토머스 보퍼트
엑서터 공작 토머스 보퍼트는 존 오브 곤트의 서자로 태어나 헨리 4세 시대에 가터 훈장을 받고 군사 직책을 역임했으며, 헨리 5세 시대에는 여러 직책을 거쳐 엑서터 공작 작위를 받았고, 헨리 5세 유언 집행자 및 헨리 6세 통치 평의회에서 활동했으며 셰익스피어 희곡에도 등장한다. - 플란데런인 화가 - 안토니 반 다이크
안토니 반 다이크는 1599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1641년 런던에서 사망한 플랑드르 출신 화가로, 찰스 1세의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영국 초상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플란데런인 화가 - 얀 판 에이크
얀 판 에이크는 초기 네덜란드 미술의 대표 화가로서, 정교한 사실주의와 혁신적인 유화 기법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초상화와 종교화를 통해 이름을 알렸고, 《겐트 제단화》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 헨트 출신 - 얀 판 에이크
얀 판 에이크는 초기 네덜란드 미술의 대표 화가로서, 정교한 사실주의와 혁신적인 유화 기법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초상화와 종교화를 통해 이름을 알렸고, 《겐트 제단화》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 헨트 출신 - 자크 로게
자크 로게는 벨기에의 스포츠 행정가, 외과 의사, 요트 선수로서 벨기에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과 유럽 올림픽 위원회 의장을 역임하고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제8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을 지내며 올림픽 규모 축소, 예산 절감, 도핑과의 전쟁을 추진하고 유스 올림픽 창설과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 개최 지원을 통해 스포츠의 다양성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후베르트 판 에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본명 | Hubert van Eyck |
출생 | 1385년 - 1390년 경 |
출생지 | 브루고뉴령 네덜란드(현재의 벨기에) 마스에이크 |
사망 | 1426년 9월 18일 |
분야 | 그림 |
후원자 | 부르고뉴 공 필리프 3세 |
2. 생애와 경력
후베르트 판 에이크는 현재 벨기에 림뷔르크 주에 있는 마제이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소성품 성직자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겐트의 성 바보 대성당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1420년경 겐트에 정착하여 겐트 제단화 제작을 시작했다.[1] 1425년에는 겐트 시의 행정관들이 그의 작업실을 방문하여 그림 두 점의 디자인을 의뢰했다.[1]
하지만 이 그림은 그의 사후 6년인 1432년에야 완성되었으므로, 남아있는 제단화가 그의 작품을 반영하는 정도가 아니라 얀 판 에이크의 작품을 반영하는 정도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의가 있다. 1566년 이콘 클라스므로 파괴된 액자에 새겨진 비문에는 후베르트 판 에이크가 "maior quo Nemo reports"(누구보다 위대하다)라고 하면서 제단화를 시작했지만, "arte Secundus"(예술에서 두 번째로 뛰어난)라고 자칭한 얀 판 에이크가 1432년에 완성했다고 적혀 있다.[2]
1933년에 저술한 미술사학자 브라이슨 버러스는 당시 후베르트에게 『십자가에 못 박힘과 최후의 심판 이중 제단화』를 귀속시키면서 그를 "북방 회화의 시조"라고 묘사하고, 그가 『겐트 제단화』의 밑그림을 그리고 얀이 그의 죽음 이후에 그림을 그렸다고 제안했다.[2] 이러한 견해는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여전히 일반적이다. 현대 과학적 조사는 완성된 작품과 낮은 수준의 채색 부분과 밑그림 사이의 다양한 변화를 보여준다. 오늘날 이 비문은 종종 과도하게 관대한 형제애적인 찬사로 여겨진다.[1] 상황을 고려할 때, 겐트 제단화는 다른 귀속을 평가할 때 비교에 사용하기 어려운 작품이며, 형제들의 공방 출신의 다른 여러 예술가들도 이 작품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크다.[3]
그는 1426년 9월 18일 이전에 사망했으며,[4] 아마도 30대였을 것이고, 16세기 작가 반 파에르너위크에 따르면 그의 여동생 마르가레타 옆에 겐트의 성 바보 대성당에 묻혔다. 그는 화가이자 미혼이었다고 한다. 그의 상속인들은 겐트의 부동산과 관련된 세금을 납부했다. 그의 사망 날짜를 기록한 구리 비문이 묘비에 새겨졌지만, 현재는 없어졌다.[1][5] 16세기 전통에 따르면, 그의 팔은 성물함에 보관되어 겐트 성 바보 대성당의 문 위에 있었다.[6] 반 파에르너위크는 또한 얀 판 에이크가 그의 형에게서 교육을 받았다는 지역 전통을 기록했지만, 1422년 8월 얀이 처음 기록된 때 그는 이미 "거장"이었고 헤이그에서 일하고 있었다.[1]
2. 1. 초기 생애
그는 아마도 현재 벨기에 림뷔르크 주에 있는 마제이크에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을 것이다. "후베르트"라는 이름은 당시 흔하지 않았기 때문에, 1409년 통게렌 성모 교회에 남아 있는 판화 제작 관련 지불 기록에 "화가 후베르투스 (Magister Hubertus, pictornl)"로 기록된 인물이 후베르트일 가능성이 제기된다.[1] 1413년 얀 더 비슈 반 더 카펠레가 딸에게 유증한 패널 그림을 그린 후베르트 화가 역시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크다.하지만 그는 길드 기록에 나타나지 않으며, 그의 상속인 중에는 자녀가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소성품 성직자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수도원이었던 현재 겐트의 성 바보 대성당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걸작인 겐트 제단화는 여전히 그곳에 남아 있으며, 그는 겐트에 정착했다.[1]
2. 2. 겐트에서의 활동과 사망
년경 겐트에 정착했으며, 정착한 직후 또는 그 직후 성 바보 대성당의 『겐트 제단화』 제작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1] 1425년에는 겐트 시의 행정관들이 그의 작업실을 방문했으며, 도시는 그에게 그림 두 점의 디자인을 의뢰했다.[1]후베르트는 1426년 9월 18일에 사망했으며,[4] 겐트의 성 바보 대성당에 그의 여동생 마르가레타 옆에 묻혔다. 16세기 기록에 따르면, 마르가레타 역시 화가였으며 미혼이었다고 한다.[1]
3. 겐트 제단화
후베르트는 겐트로 이주하기 전후에, 현재까지 전해지는 유일한 작품인 겐트 제단화의 제작을 시작했다. 하지만 1426년에 사망하여 작품을 완성하지 못했고, 그의 동생 얀이 1432년에 완성했다.[9] 1566년 종교 개혁 운동으로 파괴된 액자에는 후베르트가 제단화를 시작했지만, 얀이 완성했다는 명문이 남아 있었다.[2]
1933년, 미술사학자 브라이슨 배로즈는 십자가에 못 박힘과 최후의 심판 이중 제단화를 후베르트의 작품으로 보고, 그가 겐트 제단화의 밑그림을 그렸다고 제안했다.[2] 현대 과학적 조사는 완성된 작품과 채색, 밑그림 사이의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며,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3]
3. 1. 겐트 제단화의 제작 분담 논쟁
《겐트 제단화》에서 후베르트와 얀의 역할 분담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미술사가들 사이에서 지속되어 왔다. 1566년 종교 개혁 운동으로 파괴된 원래 프레임에는 "그를 능가하는 자는 없다 (maior quo nemo repertusla)"라는 문구와 함께 화가 후베르트 판 에이크가 이 제단화를 시작했지만, "두 번째로 뛰어난 예술가 (arte secundusla)"인 얀 판 에이크가 1432년에 완성했다는 얀이 쓴 명문이 남아 있었다.[2]1933년, 미술사학자 브라이슨 버러스는 후베르트가 《그리스도의 수난과 최후의 심판》을 그렸다고 주장하며 그를 "북방 회화의 시조"로 묘사하고, 그가 《겐트 제단화》의 밑그림을 그리고 얀이 그의 죽음 이후에 그림을 그렸다고 제안했다.[2] 이러한 견해는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여전히 지지를 받고 있다. 현대 과학적 조사는 완성된 작품과 낮은 수준의 채색 부분, 밑그림 사이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여준다. 오늘날 이 비문은 종종 과도하게 관대한 형제애적인 찬사로 여겨진다.[1] 상황을 고려할 때, 겐트 제단화는 다른 귀속을 평가할 때 비교에 사용하기 어려운 작품이며, 형제들의 공방 출신의 다른 여러 예술가들도 이 작품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크다.[3]
4. 유산과 후대의 평가
후베르트 판 에이크와 얀 반 에이크를 비롯한 여러 화가들의 작품을 구분하는 문제는 미술사가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논쟁거리였다. 특히 겐트 제단화와 토리노-밀라노 시편집 등이 그러하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겐트 제단화》 비문을 근거로 얀의 초기 작품 대부분을 후베르트의 작품으로 보았으나,[2] 20세기 중반 이후 이러한 경향은 줄어들었다. 하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후베르트의 작품을 재평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4]
로테르담 보이만스 반뵈닝언 미술관 소장의 《무덤에서 세 마리아》는 후베르트가 시작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다른 화가가 완성한 것으로 보이며 복원 과정에서 손상되었다.[4] 빈 알베르티나 미술관의 사도들 그림은 후베르트의 작품으로 여겨지며, 영국 박물관의 《그리스도의 체포》 모사 그림은 《겐트 제단화》의 일부와 관련이 있다.[1]
4. 1. 주요 작품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웹사이트
Web Gallery of Art: EYCK, Hubert van
http://www.wga.hu/fr[...]
[6]
서적
Hubert and John van Eyck
Longmans
[7]
문서
van Buren
[8]
서적
詳説世界史 改訂版
山川出版社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웹사이트
Web Gallery of Art: EYCK, Hubert van
http://www.wga.hu/fr[...]
[13]
서적
Hubert and John van Eyck
Longmans
[14]
논문
Jan van Eyck
[15]
서적
Early Dutch Painting, Painting in the northern Netherlands in the fifteenth century
[16]
논문
[17]
웹사이트
Eyck, van and Eyck, Hubert van.
http://www.oxfordart[...]
2012-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