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길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길드는 중세 시대 유럽에서 상업과 수공업을 보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형성된 동업자 조합이다. 고대 로마 시대의 유사한 조직에서 기원하여 상인 길드와 장인 길드로 나뉘며, 도시의 경제와 정치를 통제하는 역할을 했다. 길드는 제품의 품질과 가격을 규제하고, 견습 제도를 통해 기술을 전수하며, 구성원들의 복지를 지원했다. 그러나 산업 혁명 이후 자유 경쟁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해체되었고, 현재는 일부 유럽 국가와 미국, 호주 등에서 노동조합, 전문직 단체, 또는 전통 기술 단체 등의 형태로 그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길드 - 걸작
    걸작은 뛰어난 창의성, 기술, 깊이를 갖춘 예술 작품을 지칭하며, 현대에는 극찬을 받은 창작물 또는 대표작을 의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작품을 포괄하여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고려한 균형 잡힌 평가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있다.
  • 길드 - 좌두
    좌두는 평곡을 연주하는 비파법사를 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하여, 가마쿠라 시대에는 당도좌 단체를 형성하고 에도 시대에는 맹인 단체로서 에도 막부의 보호를 받으며 다양한 예능과 의료 활동을 수행했다.
  • 경제사 - 대침체
    대침체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되어 전 세계 금융 시스템 불안정을 야기하고 심각한 경제적 피해와 장기적인 사회·경제적 문제를 초래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세계적 경제 위기이다.
  • 경제사 - 토지개혁
    토지 개혁은 정부 주도 또는 지원 하에 토지 소유권을 재분배하여 소수 지주로부터 경작자 개인에게 토지 소유권을 이전하는 정책으로, 정치적 성격이 강하며 사회적 불평등 해소, 경제 발전, 식량 안보 등 다양한 목표를 추구하지만 생산성 저하, 부적절한 보상 등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위험도 내포한다.
길드
지도 정보
개요
유형장인 또는 상인의 조합
기원1150년경
역사적 역할
기능생산 및 판매 규제
구성원의 이익 보호
기술 및 지식 전수
관련 용어동업 조합
주요 특징
회원 자격특정 직업 또는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
구조계층적 구조 (예: 도제, 직인, 장인)
자체 규정 및 관리 시스템
활동가격 및 품질 관리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사회적 및 종교적 행사 주관
쇠퇴 및 현대적 의미
쇠퇴 원인산업 혁명
자본주의 발달
정부 규제 강화
현대적 의미협력 및 공동체의 상징
특정 직업 분야의 전문성 및 윤리 강조
유럽 지역별 명칭
영어guild
독일어Zunft
이탈리아어arti

2. 형성과 발전

길드는 중세 유럽에서 상공업자들이 자신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만든 조직이다. 길드와 비슷한 조직은 고대부터 있었는데, 아카드 제국나람신 시대에는 메소포타미아 표준 단위를 사용하였고,[3] 함무라비 법전에는 조선업자와 선박 용선 계약에 대한 임금 규정이 있었다.[4][5][6]

고대 로마 시대에는 콜레기움(collegium)이라는 상공업 조합이 있었는데, 회원 자격은 자발적이었다. 로마의 조합들은 서로마 제국의 멸망과 함께 쇠퇴했다.[9] 1816년 이집트 미냐에서 발견된 점토판에는 133년경 이탈리아 라누비움에서 설립된 장례 조합 콜레기움의 규칙과 회원비가 기록되어 있었다.[10]

초기 중세에는 대부분의 로마 수공업 조직이 종교적 브라더후드로 형성되었지만, 석공과 유리공예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라졌다. 프랑스에서는 조합을 "코르 드 메티에(corps de métiers)"라고 불렀다. 13세기 중반 파리에는 100개 이상의 조합이 있었고, 14세기에는 350개로 증가했다.[25]

노르망디 정복 이후 잉글랜드에도 길드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각 도시의 상인 조합은 독점적인 사업권을 가졌다. 런던의 길드홀은 런던 시 의회의 자리가 되었고,[19] 오늘날까지도 그 구성원들은 런던 시의 자유 시민이어야 한다.[20]

러시아 비보르크의 중세 상인 조합 건물


1300년경 독일에서 길드 시스템이 성숙기에 도달했고, 19세기까지 독일 도시에서 유지되었다. 15세기에 함부르크에는 100개, 쾰른에는 80개, 뤼베크에는 70개의 조합이 있었다.[31]

생산이 전문화됨에 따라 상인 조합은 분할되고 세분화되어 관할권을 둘러싼 다툼을 야기했다. 유럽 조합의 출현은 신흥 화폐 경제와 도시화와 관련이 있었다.

길드는 16세기까지 유럽 수공업 조직의 중심이었으며, 17세기 후반 프랑스에서는 루이 14세장바티스트 콜베르가 통일을 강요하고 생산을 통제하고자 했다.[33]

길드는 일반적으로 국왕이나 국가가 발행하고 지역 도시 사업 당국이 감독하는 특정 특권(특허장)을 누렸다. 런던 시의 조합 시스템이 17세기 동안 쇠퇴함에 따라 리버리 컴퍼니는 상호 지원 친목회로 변모했다.

유럽 조합은 견습, 숙련공, 숙련 장인 및 장인으로의 발전이라는 현대적인 개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숙련공 시절의 관행은 여전히 독일과 프랑스에 존재한다.

길드 시스템은 초기 자본주의의 출현을 견뎌냈고, 조합원을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나누기 시작했다. 14세기 도시를 특징짓는 시민 투쟁은 부분적으로 더 큰 조합과 작은 장인 조합 간의 투쟁이었다.[34]

자물쇠 수리공, 1451년


조합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시골에서는 자본가들이 가내 수공업을 조직할 자유가 있었다.

서유럽의 중세 도시에서는 상인 길드가 시정 운영을 독점하고 있었지만, 수공업자들은 직업별 수공업 길드를 결성하여 상인 길드에 대항하여 시정 참여를 요구했다. 이 두 집단의 투쟁은 천프트 투쟁이라고도 불리며, 수공업자에게도 시정 참여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중세 도시에는 도제 제도라고 불리는 엄격한 신분 제도가 있었고, 길드에 참가할 수 있는 것은 장인 자격을 가진 자로 한정되었다.[84]

제품의 품질·규격·가격 등은 길드 내에서 엄격하게 통제되었고, 판매·영업·고용 및 직업 교육에 관해서도 독점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근세의 절대 왕정 하에서 길드는 왕권에 접근하여 특권 집단으로서 자신의 이권 옹호를 도모했다. 그러나 시민 계급이 성장하면서 길드에 대한 비판이 강해지고, 시민 혁명에서 길드는 해체를 강요당했다.

독일에서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길드가 지지하는 직업별 사회 보험 제도를 만들었고, 이 제도는 21세기까지 생존하여 독일 사회의 행동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독일 길드 문장


독일의 길드 문장
1. 구두 제작2. 어부3. 정육점4. 옷감 상인
5. 방적6. 도장7. 제분8. 석공
9. 목수10. 지붕장이11. 재봉사12. 제빵사
13. 안장 제작자14. 철공15. 모직물 제작자16. 염색공


2. 1. 초기의 상공업 조합

길드와 비슷한 상공업 조합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있었다. 콜레기움(collegium), 콜레기아(collegia), 코르푸스(corpus) 등으로 불린 고대 로마의 상공업 조합은 특정 상품을 거래하는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합이었다. 예를 들어 로마의 라 오스티아 항구를 중심으로 원거리 수상 운송을 했던 코르푸스 나비큘라리오룸(corpus naviculariorum, 항해자 조합) 같은 조직이 있었다. 하지만 로마 시대의 길드들은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사라졌다.[87]

중세 도시에는 직물공, 석공, 목수, 조각가, 유리 공예가와 같은 많은 장인들이 모여 있었다. 이들은 동업자끼리 조합을 만들고, 기술 비밀을 지키고, 상품 거래 관련 사항들을 조정했다. 숙련된 장인이자 생산도구를 소유한 마스터는 직인도제를 고용하여 물품을 생산했는데, 길드는 이들 마스터들이 결성한 조합이었다.[88]

독일 여러 지방에서 사용된 연철 길드의 문양.


체코의 한 마을에서 사용되었던 길드들의 문장.


고대 로마 시대에는 ''collegium'', ''collegia'', 또는 ''corpus''로 알려진 조합이 있었다. 이들은 특정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상인들의 조직된 집단이었으며, 회원 자격은 자발적이었다. 로마의 조합들은 서로마 제국의 멸망과 함께 쇠퇴했다.[9]

초기 중세에는 대부분의 로마의 수공업 조직이 종교적 브라더후드로 형성되었지만, 돌 석공과 유리공예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라졌다. 프랑스에서는 조합을 "코르 드 메티에(corps de métiers)"라고 불렀다. 에티엔 보이뢰의 수공업 서적에 따르면, 13세기 중반 파리에는 100개 이상의 조합이 있었고, 14세기에는 350개로 증가했다.[25]

서유럽의 중세 도시에서 도시의 성립·발전에 크게 기여한 상인(원거리 상인)에 의해 조직된 '''상인 길드'''(영어: guild Merchant, 독일어: Zunft)가 시의회를 통한 시정 운영을 독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인 길드의 시정 독점에 반발한 수공업자들은 직업별 '''수공업 길드'''(동업 길드, 영어: craft guild, 독일어: Zunft)를 결성하여 상인 길드에 대항하여 시정 참여를 요구했다. 이 두 집단의 투쟁은 천프트 투쟁이라고도 불리며, 투쟁을 통해 수공업자에게도 시정 참여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중세 도시에는 도제 제도라고 불리는 엄격한 신분 제도가 존재했고, 그 정점에 서 있는 장인은 숙련공·도제를 지도하여 노동에 종사하게 했다.[84] 길드에 참가할 수 있는 것은 장인 자격을 가진 자로 한정되었다.

독일의 길드 문장
----
1. 구두 제작2. 어부3. 정육점4. 옷감 상인
5. 방적6. 도장7. 제분8. 석공
9. 목수10. 지붕장이11. 재봉사12. 제빵사
13. 안장 제작자14. 철공15. 모직물 제작자16. 염색공


2. 2. 조직 형태

길드와 유사한 상공업 조합은 고대 로마 시기부터 있었으며, 콜레지움(collegium), 콜레지아(collegia), 코르푸스(corpus) 등으로 불렸다. 이들은 특정 상품을 매개로 한 상인들의 자발적 조합이었다. 예를 들어 로마의 라 오스티아 항구를 거점으로 원거리 수상 운송을 했던 코르푸스 나비큘라리오룸(corpus naviculariorum, 항해자 조합)이 있었다. 그러나 로마 시기 길드들은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살아남지 못했다.[87]

중세 도시는 지역 상공업의 거점으로, 직물공, 석공, 목수, 조각가, 유리 공예가와 같은 많은 장인들이 모여 있었다. 이들은 동업자끼리 조합을 만들고 기술 비밀을 지키고 상품 거래를 조정하였다. 숙련된 장인이자 생산도구를 소유한 마스터는 직인도제를 고용하여 물품을 생산하였는데, 길드는 이들 마스터들이 결성한 조합이었다.[88]

길드는 크게 상인 길드와 장인 길드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몇몇 다른 형태의 길드들이 있었다.[89] 상공업과 관련 없는 길드의 예로 잉글랜드에는 프리스(Frith)라는 성소를 관리하는 종교 길드가 있었다.[90] 본격적인 길드의 형성은 중세 성기에 이루어졌으며,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의 기록에는 1156년에 장인 길드가 수립되었다고 한다.[91]

노르만의 잉글랜드 정복으로 유럽 대륙의 길드 풍습이 잉글랜드에 도입되었다. 많은 경우 길드는 지방 자치의 토대가 되었는데, 런던의 경우 길드홀이 영국 하원의 회의장으로 사용되었고 지방정부의 수장 역시 여기서 선출되기 시작하였다.[92] 당시 하원 의원은 반드시 도시에 거주하는 자유민이어야 하였다.[93]

"조합"[22]이라고 불리는 초기의 평등주의 공동체는 회원들 간에 맹세한 결합 맹세인 "주술" 때문에 가톨릭 성직자들에 의해 비난을 받았다. 858년, 서프랑크 왕국의 주교 힌크마르는 조합을 기독교화하려고 노력했다.[23]

초기 중세에는 대부분의 로마의 수공업 조직이 종교적 브라더후드로 형성되었지만, 돌 석공과 유리공예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라졌다. 그레고리우스 투르는 성모 마리아의 환영에 의해 회복된 건축업자에 대한 기적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미셸 루슈[24]는 이 이야기가 실제로 전승된 숙련공의 중요성을 말해준다고 한다.

프랑스에서는 조합을 "코르 드 메티에(corps de métiers)"라고 불렀다. 빅토르 이바노비치 루텐부르크에 따르면, 13세기 중반에는 파리에 100개 이상의 조합이 있었고, 14세기에는 350개로 증가했다.[25] 금속 세공인 조합에는 마부, 칼 제작자, 자물쇠 수리공, 사슬 제작자, 못 제작자가 종종 별개의 독립된 조합을 형성했으며, 무기 제작자는 투구 제작자, 문장 제작자, 마구 제작자, 마구 광택제 등으로 나뉘었다.[26] 카탈루냐 도시, 특히 바르셀로나에서는 조합 또는 "그레미(gremis)"가 사회의 기본 요소였다. 1208년에는 구두 제작자 조합이 기록되었다.[27]

잉글랜드, 특히 런던 시에서는 110개 이상의 조합[28], 즉 리버리 컴퍼니가 오늘날까지도 존재하며,[29] 가장 오래된 것은 1155년 전이다.[30] 세금 자문가 숭고한 컴퍼니와 같은 다른 단체들은 훨씬 최근에 설립되었다. 시장과 기억관과 같이 "시티"의 통치에 참여하는 개인에게는 리버리 컴퍼니 회원 자격이 요구된다.

조합 시스템은 독일에서 1300년경에 성숙기에 도달했고, 19세기까지 독일 도시에서 유지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특정 직종에 대한 일부 특권이 남아 있다. 15세기에 함부르크에는 100개의 조합, 쾰른에는 80개, 뤼베크에는 70개의 조합이 있었다.[31] 서유럽에서 가장 최근에 발전한 조합은 스페인의 "그레미오스(gremios)"였다. 예를 들어, 발렌시아(1332년) 또는 톨레도(1426년)가 있다.

모든 도시 경제가 조합에 의해 통제된 것은 아니었다. 일부 도시는 "자유로운" 도시였다. 조합이 통제하는 곳에서는 노동, 생산 및 무역을 형성했고, 교육 자본에 대한 강력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생에 걸친 견습생에서 장인, 그리고 숙련공에서 널리 인정받는 숙련 장인 및 장인으로의 발전이라는 현대적인 개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숙련공이 장인이 되려면 숙련공 시절이라고 하는 3년간의 여행을 가야 했다. 숙련공 시절의 관행은 여전히 독일과 프랑스에 존재한다.

생산이 더욱 전문화됨에 따라 상인 조합은 분할되고 세분화되어 관할권을 둘러싼 다툼을 야기했고, 이는 경제 사학자들이 그 발전을 추적하는 서류를 만들어냈다. 뉘른베르크의 금속 가공 조합은 13세기 호황 경제에서 수십 개의 독립적인 무역으로 나뉘었고, 1260년에는 파리에 101개의 무역이 있었다.[32] 겐트와 피렌체에서와 마찬가지로, 양모 섬유 산업은 전문화된 조합들의 집합체로 발전했다. 유럽 조합의 출현은 신흥 화폐 경제와 도시화와 관련이 있었다.

조합은 16세기까지 유럽의 수공업 조직의 중심에 있었다. 프랑스에서는 17세기 후반 조합의 부흥이 루이 14세와 장-바티스트 콜베르 행정부가 통일을 강요하고, 생산을 통제하고, 효율적인 조세 형태로 투명한 구조의 이점을 얻고자 했던 우려의 증상이었다.[33]

도시 정부의 중심지: 런던 길드홀 (1805년 판화)


조합은 일반적으로 국왕 또는 국가가 발행하고 지역 도시 사업 당국(일종의 상공회의소)이 감독하는 특정 특권(특허장)을 누리는 조직으로 식별되었다. 이것들은 현대의 특허상표 시스템의 전신이었다. 조합은 또한 허약하거나 노령인 회원, 조합원의 미망인과 고아, 장례 혜택, 일자리를 찾기 위해 여행해야 하는 사람들을 위한 '여행' 수당을 지원하기 위해 기금을 유지했다. 런던 시의 조합 시스템이 17세기 동안 쇠퇴함에 따라 리버리 컴퍼니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호 지원 친목회로 변모했다.

유럽 조합은 오랜 표준화된 견습 기간을 부과했고, 자본이 부족하여 스스로 사업을 시작하거나 동료의 승인 없이 자재나 지식을 얻거나 특정 시장에 판매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으며, 이는 조합의 우려 사항을 똑같이 지배하는 영역이었다. 이것들은 경제학에서 중상주의의 특징적인 요소이며, 고전 경제학의 부상까지 대부분의 유럽의 정치 경제학에 대한 사고를 지배했다.

조합 시스템은 초기 자본가의 출현을 견뎌냈고, 이는 조합원을 "부유한 자"와 의존적인 "빈곤한 자"로 나누기 시작했다. 14세기 도시를 특징짓는 시민 투쟁은 부분적으로 더 큰 조합과 작업 단위 계약에 의존하는 더 작은 장인 조합 간의 투쟁이었다. "피렌체에서는 공개적으로 구분되었다. '아르티 마지오리(Arti maggiori)'와 '아르티 미노리(Arti minori)'—이미 '포폴로 그라소(popolo grasso)'와 '포폴로 마그로(popolo magro)'가 있었다."[34] 본질적으로 보수적인 조합과 점점 더 생산 수단과 대규모 사업에 투자될 수 있는 자본을 통제하게 된 상인 계급 사이의 더 치열한 투쟁이 있었다. 종종 그들 자신의 조합 규칙에 따라. 독일 사회 사학자들은 도시 귀족을 통제하는 조합원들의 도시 혁명인 '춘프트혁명(Zunftrevolution)'을 추적하지만, 19세기 계급 투쟁의 예상되는 전조를 그 안에 읽어들이기도 한다.

조합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시골에서는 자본이 있는 기업가가 가내 수공업을 조직할 자유가 있었는데, 이는 자본가의 계정으로 자신의 구내에서 방적과 직조를 한 가구주들의 네트워크로, 원료, 어쩌면 그들의 베틀까지 자본가가 제공하고 이익을 공유했다. 그러한 분산된 시스템은 원료에 대한 활발한 지역 시장이 있는 곳에서는 쉽게 통제할 수 없었다. 양모는 양을 기르는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지만, 비단은 그렇지 않았다.

피렌체에서는 7개에서 12개의 "대길드"와 14개의 "소길드"가 있었다. 대길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판사와 공증인 길드였는데, 이들은 다른 모든 길드의 법률 업무를 처리하고 종종 분쟁의 중재자 역할을 했다.[35] 다른 대길드로는 모직물, 비단, 환전상 길드가 있었다. 이들은 매우 높은 품질의 작업에 대한 명성을 자랑했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고가의 제품을 생산했다. 길드는 기준을 벗어난 회원들에게 벌금을 부과했다. 다른 대길드로는 의사, 약제사, 모피상 길드가 있었다. 소길드에는 제빵사, 안장 제작자, 철공 등의 장인 길드가 있었다. 이들은 상당한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도시의 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치적, 사회적 지위는 부족했다.[36]

길드의 유산 중 하나: 높이 솟은 윈저 길드홀.


길드는 해당 수공예 분야의 숙련되고 확실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 그들은 장인이라고 불렸다. 새로운 직원이 장인의 수준에 이르려면 먼저 견습이라고 불리는 수업 기간을 거쳐야 했다. 이 기간 후에 숙련공의 수준으로 올라갈 수 있었다. 견습생들은 일반적으로 동료들의 신뢰를 얻어 길드나 회사의 비밀을 지킬 수 있을 때까지 가장 기본적인 기술 이상을 배우지 못했다.

'여정'과 마찬가지로 하루에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하는 '숙련공'이라는 직함은 프랑스어 '날'(jour, journé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중세 영어 'journei'로 이어졌다. 숙련공은 견습생과 달리 다른 장인들을 위해 일할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일당을 받는 일용직 노동자였다. 몇 년 동안 장인 밑에서 일하고 자격을 갖춘 작품을 제작한 후, 견습생은 숙련공의 지위를 부여받고, 그를 숙련공으로 인증하고 다른 도시와 국가를 여행하여 다른 장인들로부터 기술을 배우도록 하는 문서를 받았다. 이러한 여행은 유럽의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있었고, 새로운 방법과 기술을 전달하는 비공식적인 방법이었다. 이러한 여행은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가장 흔했으며, 다른 국가에서는 작은 도시 출신의 숙련공들이 종종 수도를 방문했다.[37]

하를렘 화가 길드 (1675년), 얀 더 브레이 작


이러한 여행과 수년간의 경험을 거친 후, 숙련공은 장인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지만, 일부 길드에서는 견습생에서 바로 이 단계로 넘어갈 수도 있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길드의 모든 장인들의 승인, 돈과 기타 물품의 기부, 그리고 장차 장인이 될 사람의 능력을 보여주는 소위 "걸작"의 제작을 필요로 했다.[38]

중세 길드는 도시 또는 통치자의 헌장 또는 특허장 또는 유사한 권한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운영되는 도시 내에서 해당 직종의 무역 독점권을 가지고 있었다. 수공업자들은 길드 회원이 아니면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었고, 장인만이 길드 회원이 될 수 있었다. 이러한 특권이 법제화되기 전에, 이러한 수공업자 단체는 단순히 '수공업 협회'라고 불렸다.

도시 당국은 길드 회의에 대표될 수 있었고, 따라서 수공업 활동을 통제할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도시가 종종 좁은 범위의 제품 수출에 대한 좋은 평판에 의존했기 때문에 중요했는데, 그 평판은 길드뿐만 아니라 도시의 평판에도 달려 있었다. 샹파뉴보르도 지역의 와인, 네덜란드의 특정 도시에서 생산되는 주석 도자기, 샹티이의 레이스 등 잘 알려진 수출 제품과 물리적 위치의 연관성에 대한 통제는 도시의 세계 무역에서의 위치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이는 현대의 상표로 이어졌다.

많은 독일과 이탈리아 도시에서 더 강력한 길드는 종종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때로는 도시 당국을 통제하려고 시도했다. 14세기에 이것은 수많은 유혈 사태로 이어졌는데, 이 기간 동안 길드는 시의회를 해산하고 귀족들을 구금하여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시도했다. 14세기 북동부 독일에서는 베네트인들은 일부 길드에 가입할 수 없었다.[39] 빌헬름 라베에 따르면, "18세기까지 어떤 독일 길드도 베네트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40]

독일의 길드 문장
1. 구두 제작2. 어부3. 정육점4. 옷감 상인
5. 방적6. 도장7. 제분8. 석공
9. 목수10. 지붕장이11. 재봉사12. 제빵사
13. 안장 제작자14. 철공15. 모직물 제작자16. 염색공



서유럽의 중세 도시에서 도시의 성립·발전에 크게 기여한 상인(원거리 상인)에 의해 조직된 '''상인 길드'''가 시의회를 통한 시정 운영을 독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인 길드의 시정 독점에 반발한 수공업자들은 직업별 '''수공업 길드'''를 결성하여 상인 길드에 대항하여 시정 참여를 요구했다. 이 두 집단의 투쟁은 천프트 투쟁이라고도 불리며, 투쟁을 통해 수공업자에게도 시정 참여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중세 도시에는 도제 제도라고 불리는 엄격한 신분 제도가 존재했고, 그 정점에 서 있는 장인은 숙련공·도제를 지도하여 노동에 종사하게 했다.[84] 길드에 참가할 수 있는 것은 장인 자격을 가진 자로 한정되었다. 교회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집단마다 수호 성인을 가지고, 그 축일 등에 회합을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제품의 품질·규격·가격 등은 길드 내에서 엄격하게 통제되어 품질 유지가 도모되었다. 판매·영업·고용 및 직업 교육에 관해서도 독점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자유 경쟁을 배제하고 길드 구성원이 공존 공영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이것이 각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저해했다고도 할 수 있다.

근세의 절대 왕정 하에서 각 도시의 자주성이 상실되고 왕권에 굴복해 가는 가운데, 길드는 왕권에 접근하여 특권 집단으로서 자신의 이권 옹호를 도모했다. 그러나 점차 시민 계급이 성장하면서 폐쇄적·특권적인 길드에 대한 비판이 강해지고, 시민 혁명에서 길드는 해체를 강요당했다.

그러나 늦게까지 봉건제가 남아 있던 독일에서는 길드 또는 그 행동 방식이 남아 있었고, 또 오토 폰 비스마르크도 그들을 포섭하기 위해 길드가 지지하는 직업별 사회 보험 제도를 만들었다. 이 제도는 21세기까지 생존하여 독일 사회의 행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규정하는 것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2. 3. 성장



중세 시기를 거치며 길드는 여러 종류의 자치권을 획득하였고 도시 운영에 깊이 관여하였다. 길드는 이러한 특권을 바탕으로 도시의 자유를 얻었다.[95] 중세 시기 도시는 봉건 귀족들과 수도회와 같은 많은 관계자들의 이권이 얽혀 있는 곳이었기 때문에 어느 한 통치자가 전권을 휘두르기 어려웠다. 귀족 또는 대주교 가운데 어느 한 직위가 형식적으로 도시의 통치권을 대표한다고 하더라도 행정 기구는 여러 세력이 실세를 나누어 갖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정치 관계 속에서 지방 정부는 도시민에게 자치권을 부여하였고 길드는 이러한 자치권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재화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였다.[94]

중세 전기 유럽 곳곳은 아직 국가 권력이 크게 미치지 않았고 자치적인 지역 공동체들이 있었다. 이들은 스스로를 길드라고 불렀다.[96]

중세 전기 시기에 이미 종교 결사에서 비롯된 고대 로마의 직공 조합은 대부분 사라졌고, 석공 조합이나 유리 조합과 같은 것들이 지역을 기반으로 살아남았을 뿐이다. 6세기 로마 가톨릭의 대주교였던 투르의 그레고리는 어느 날 갑자기 자신의 모든 기술을 잃은 장인에게 꿈 속에서 성모가 나타나 이를 되찾아 주는 이야기를 전하고 있는데, 중세사 학자 미셀 로슈는 이 이야기에서 당시 도제 교육 제도가 자리 잡고 있었다고 유추한다.[98]

프랑스에서 길드는 코르 드 메티에르(corps de métiers, 직능 단체)라고 불렀다.[99] 길드는 동업자들끼리 결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야철장 길드, 편자공 길드, 못, 칼, 자물쇠 등등 직업별로 길드가 만들어졌다.[100] 바르셀로나와 같은 카탈루냐 지역의 도시에서 "그레미스"(gremis)라고 불린 길드는 당대 사회의 기본 조직이었다. 바르셀로나의 제화공 길드는 1208년 등록되었다.[101]

잉글랜드, 특히 시티오브런던 법인은 길드를 등록하도록 하여 관리하였는데[102] 오늘날에도 110여 개의 동업 조합이 유지되고 있다.[103]

길드는 13세기 독일의 여러 도시에서 만개하였고 19세기까지 이어졌으며 몇몇은 오늘날에도 유지되고 있다. 15세기 함부르크에는 100 개, 콜로뉴에 80 개, 뤼베크에는 70 개의 길드가 있었다.[104]

중세 도시의 경제는 대개 길드의 통제 아래 있었지만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몇몇 도시는 길드에 속하지 않은 상인과 장인들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길드가 통제하는 도시에서는 직공의 수, 생산량, 거래량 등을 엄격히 규제하였으며 도제 제도를 통해 장인을 육성하였다. 길드는 나이 어린 수습생을 도제로 받아들여 교육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 시험을 통과하면 직인의 자격을 부여하였다. 직인은 계속하여 같은 길드에서 일하기도 했지만 프리렌서가 되거나 여행을 떠나 다른 곳에 자리를 잡기도 하였다. 가장 높은 지위는 마스터로 불렸으며 길드 운영에 관여하였다. 후기가 되면 직인은 의례적으로 3년 간의 직공 여행을 떠나야 했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생산이 중요하게 되자 길드들은 가지를 치듯 나뉘어갔다. 벨기에헨트나 이탈리아의 피렌체와 같은 곳은 방직이 발달하여 이와 관련한 길드들은 중세 유럽 산업의 발전을 이끌었다. 유럽 곳곳에 세워진 길드는 화폐 경제의 발전과 도시화를 촉진하였다.

길드의 발달과 함께 상업이 성장하면서 선대제수공업과 같이 상인 자본이 주도하는 수공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섬유 산업과 같은 경우엔 공장제수공업도 등장하였다. 이러한 산업을 소유한 부유한 상인들은 부르주아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부르주아란 말은 원래 성 안에 사는 사람이란 뜻이다. 부유한 상인들은 주로 성 안에 거주하고 성 외곽의 작업장을 운영하며 직공을 고용하였기 때문에 부르주아란 곳 자산가를 뜻하게 되었다. 한편 직공들 역시 오랜 수련을 거친 숙련공으로서 수공업의 발달과 함께 초보적인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자신들의 권익을 지키려 하였다.

중세 말과 근세 초가 되면 길드는 중상주의의 영향 아래 보다 공장제 산업으로 변모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길드 내의 회원들도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분화하여 결국 근대 산업화 과정에서 자본주의의 새로운 질서로 해체된다.[106]

독일의 길드 문장
1 구두 제작2 어부3 정육점4 옷감 상인
5 방적6 도장7 제분8 석공
9 목수10 지붕장이11 재봉사12 제빵사
13 안장 제작자14 철공15 모직물 제작자16 염색공



서유럽의 중세 도시에서 도시의 성립·발전에 크게 기여한 상인(원거리 상인)에 의해 조직된 '''상인 길드'''(영어: guild Merchant, 독일어: Zunft)가 시의회를 통한 시정 운영을 독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인 길드의 시정 독점에 반발한 수공업자들은 직업별 '''수공업 길드'''(동업 길드, 영어: craft guild, 독일어: Zunft)를 결성하여 상인 길드에 대항하여 시정 참여를 요구했다. 이 두 집단의 투쟁은 천프트 투쟁이라고도 불리며, 투쟁을 통해 수공업자에게도 시정 참여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중세 도시에는 도제 제도라고 불리는 엄격한 신분 제도가 존재했고, 그 정점에 서 있는 장인은 숙련공·도제를 지도하여 노동에 종사하게 했다.[84] 길드에 참가할 수 있는 것은 장인 자격을 가진 자로 한정되었다.

제품의 품질·규격·가격 등은 길드 내에서 엄격하게 통제되어 품질 유지가 도모되었다. 판매·영업·고용 및 직업 교육에 관해서도 독점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자유 경쟁을 배제하고 길드 구성원이 공존 공영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이것이 각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저해했다고도 할 수 있다.

근세의 절대 왕정 하에서 각 도시의 자주성이 상실되고 왕권에 굴복해 가는 가운데, 길드는 왕권에 접근하여 특권 집단으로서 자신의 이권 옹호를 도모했다. 그러나 점차 시민 계급이 성장하면서 폐쇄적·특권적인 길드에 대한 비판이 강해지고, 시민 혁명에서 길드는 해체를 강요당했다.

3. 조직

중세 도시의 경제는 대부분 길드의 통제 아래 있었다. 길드는 직공의 수, 생산량, 거래량 등을 엄격히 규제하고 도제 제도를 통해 장인을 육성하였다. 길드는 어린 수습생을 도제로 받아들여 교육하고, 일정 기간 후 시험을 통과하면 직인 자격을 부여했다. 직인은 계속 길드에서 일하거나, 프리랜서가 되거나, 다른 곳에 자리를 잡기도 했다. 가장 높은 지위는 마스터로, 길드 운영에 관여했다. 후기에는 직인이 의례적으로 3년간 직공 여행을 떠나기도 했다.[105]

경제가 발전하면서 길드는 여러 갈래로 나뉘었다. 벨기에헨트이탈리아피렌체 같은 곳은 방직 관련 길드가 발달하여 중세 유럽 산업 발전을 이끌었다. 길드의 발달과 함께 상업이 성장하면서 선대제수공업과 같은 상인 자본 주도의 수공업이 발달했고, 섬유 산업에서는 공장제수공업도 등장했다. 이러한 산업을 소유한 부유한 상인들은 부르주아라고 불렸는데, 이들은 주로 성 안에 거주하며 성 외곽의 작업장을 운영하고 직공을 고용했다. 직공들 역시 숙련공으로서 노동조합과 비슷한 조직을 결성하여 권익을 지키려 했다.

중세 말과 근세 초에 길드는 중상주의의 영향으로 공장제 산업으로 변모했고, 회원들은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분화하여 자본주의의 새로운 질서로 해체되었다.[106]

피렌체에서는 7~12개의 대 길드와 14개 정도의 소 길드가 도시의 여러 일에 관여했다. 대 길드는 모섬유, 비단, 환전 등이었고, 높은 품질을 유지하며 높은 가격을 받았다. 의사, 약사, 모피상 길드도 대 길드에 속했다. 베이커리, 안장 제조, 제철공 등은 소 길드에 속했으며, 정치적 위치는 낮았다.[107]

길드는 기술 교육과 직업 경력 기회를 제공했다. 마스터는 새 도제를 고용하여 수련 기간과 시험을 거쳐 직인 자격을 주었다. 도제는 오랜 기간 단순 업무를 하며 기술을 익혔고, 길드는 도제가 기술을 훔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생기기 전까지는 본격적인 기술 전수를 하지 않았다.

직인을 뜻하는 저니맨(Journeyman)은 하루치 일감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의미였다.[108][109] 직인은 매일 급여를 받았고, 도제는 수년간의 수련 후 시험을 통해 직인 자격증을 받았다. 직인 자격을 얻으면 다른 도시나 나라로 여행하여 기술을 배우는 직인 여행 관습이 있었다. 이 직인 여행은 유럽 사회에서 새로운 기술과 공정을 교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독일과 이탈리아에서는 직인 여행이 제도적으로 정착되었으나, 다른 나라에서는 소도시 직인이 수도나 대도시를 방문하는 정도였다.[110]

몇 년간의 수련을 더 거친 직인은 마스터피스 제출과 길드 운영비 징수를 통해 마스터가 될 수 있었다. 이렇게 길드에 입회한 새 마스터는 도제를 모아 작업장을 운영할 수 있었다.[111]

중세 길드는 도시 정부나 지방 지배자의 특허장을 받아 법적 지위를 보장받았다. 한 지역에서 해당 업종 길드는 대개 독점으로 운영되었으며, 경쟁자는 금지되었다. 특정 지역에 해당 직종 길드가 없다면 "장인 협회"를 결성한 장인들이 길드와 유사한 활동을 했다.

중세 상공업은 엄격한 규제 아래 이루어졌으며, 도시 정부는 길드와의 회의를 통해 재화 공급량을 결정했다. 이 덕분에 도시는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지정된 경로를 통해서만 재화를 유통시켰다. 이러한 생산 통제와 품질 관리로 지역 명산품이 생겨났다. 길드는 상품에 인장(seal)을 달아 품질을 보증했는데, 이것이 오늘날 상표의 기원이다.

독일과 이탈리아 길드는 다른 지역보다 큰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했고, 도시 자치권을 관장하기도 했다. 14세기 정치적 혼란으로 전통적 도시 자치는 균열이 생겼고, 귀족들의 영향력이 강화되어 길드의 위상이 낮아졌다. 슬라브인을 비롯한 벤트인들은 길드 소속을 거부하기도 했다.[112]

피렌체에서는 판사와 공증인 길드가 가장 중요했는데, 이들은 다른 모든 길드의 법률 업무를 처리하고 분쟁 중재자 역할을 했다.[35] 길드는 기준을 벗어난 회원에게 벌금을 부과했다. 소길드는 정치적, 사회적 지위가 부족했다.[36]

길드는 해당 수공예 분야의 숙련된 전문가인 장인들로 구성되었다. 새로운 직원은 견습 기간을 거쳐 숙련공이 되었다. 견습생들은 길드의 비밀을 지킬 수 있을 때까지 기본적인 기술 이상을 배우지 못했다.

숙련공은 다른 장인들을 위해 일할 수 있었고, 일당을 받는 일용직 노동자였다. 숙련공은 다른 도시와 국가를 여행하며 기술을 배우기도 했다. 이러한 여행은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가장 흔했다.[37]

숙련공은 길드의 승인, 기부, 걸작 제작을 통해 장인이 될 수 있었다.[38]

중세 길드는 도시 또는 통치자의 헌장 등으로 설립되었고, 해당 직종 무역 독점권을 가졌다. 수공업자들은 길드 회원이 아니면 사업을 운영할 수 없었다.

도시 당국은 길드 회의에 대표될 수 있었고, 수공업 활동을 통제했다. 샹파뉴보르도 지역의 와인, 네덜란드 특정 도시의 주석 도자기, 샹티이의 레이스 등은 도시의 세계 무역 위치를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이는 현대 상표로 이어졌다.

독일과 이탈리아의 많은 도시에서 강력한 길드는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도시 당국을 통제하려 했다. 14세기에는 유혈 사태가 발생했고, 베네트인 (슬라브족)은 일부 길드에 가입할 수 없었다.[39] 18세기까지 독일 길드는 베네트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40]

독일의 길드 문장
구두 제작어부정육점옷감 상인
방적도장제분석공
목수지붕장이재봉사제빵사
안장 제작자철공모직물 제작자염색공



서유럽 중세 도시에서는 '''상인 길드'''가 시의회를 통해 시정을 독점했다. 그러나 '''수공업 길드'''가 상인 길드에 대항하여 시정 참여를 요구했다. 이 투쟁은 천프트 투쟁이라고도 불리며, 수공업자에게도 시정 참여의 길이 열렸다.

중세 도시에는 도제 제도라는 엄격한 신분 제도가 있었고, 장인은 숙련공·도제를 지도했다.[84] 길드 참가는 장인 자격 소지자로 한정되었다. 교회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수호 성인 축일 등에 회합을 했다.

제품 품질·규격·가격 등은 길드 내에서 엄격하게 통제되어 품질 유지가 도모되었다. 판매·영업·고용 및 직업 교육에 관한 독점적 권리로 자유 경쟁을 배제하고 길드 구성원의 공존 공영이 가능했다. 그러나 이는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저해했다고도 할 수 있다.

근세 절대 왕정 하에서 도시 자주성이 상실되고 왕권에 굴복하면서 길드는 왕권에 접근하여 특권 집단으로서 이권 옹호를 도모했다. 그러나 시민 계급이 성장하면서 길드에 대한 비판이 강해지고, 시민 혁명에서 길드는 해체되었다.

독일에서는 길드 또는 그 행동 방식이 남아 있었고,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길드가 지지하는 직업별 사회 보험 제도를 만들었다. 이 제도는 21세기까지 생존하여 독일 사회 행동 방식을 규정한다고 한다.

4. 몰락

중세 말과 근세 초, 길드는 중상주의의 영향으로 점차 공장제 산업으로 변화하였다. 길드 내 회원들은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나뉘었고, 이는 근대 산업화 과정에서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질서로 해체되는 결과를 낳았다.[106] 중세 말, 생산 수단을 소유한 상인 계급과 직공 간의 대립이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19세기의 노동 쟁의와 같은 계급적 대립은 아니었다.

캐나다의 역사학자 세일러프 오길비(Sheilagh Ogilvie)는 길드 조직이 쇠퇴하면서 오히려 재화의 품질, 기술, 산업 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다. "지대추구"라고 불리는 현상이 경제를 잠식했기 때문이다. 오길비는 길드가 경제적 중요성을 잃은 후에야 산업이 다시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이 시기 길드의 긍정적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었다고 주장한다. 정치 권력과 유착한 강력한 대상인들이 길드를 좌지우지하여 수 세기에 걸쳐 자원 재분배가 원활하지 못했다. 그러나 오길비는 길드가 사회적 기준, 상식, 상호 규제, 정치적 선택 등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형성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이러한 사회적 자본은 길드 회원들에게 매우 유익했으며, 심지어 길드 내의 아웃사이더조차 길드에 속하지 않은 사람보다 유리한 조건을 가질 수 있었다.[113]

산업혁명이 절정에 달했던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길드는 "적폐"로 비판받았다. 길드가 자유무역을 방해하고 기술혁신을 가로막으며 산업발전의 걸림돌이라는 주장이었다. 계몽주의 시대에 장자크 루소애덤 스미스와 같은 인물들은 자유 방임으로 운영되는 자유 시장을 옹호했다. 프랑스 혁명을 일으킨 시민들은 길드를 봉건주의 앙시앵 레짐의 잔재로 여겼다. 1791년 프랑스는 제조업법을 제정하여 길드의 독점권을 폐지하였다.[114]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프랑스의 이 조치를 옹호하였다.[115]

19세기에 길드는 이미 한물간 옛 시대의 상징이었다. 카를 마르크스는 《공산당 선언》에서 길드를 과거 봉건 시대의 유물로 취급했다.[116] 길드의 독점권이 사라지고 회사령에 따른 근대 기업들이 형성되면서 길드는 경제 주체로서의 자격을 상실했다. 길드 유지의 근간이었던 특허장 발급은 기술과 재화에 대한 특허저작권으로 대체되었다. 이 변화는 국가가 기업의 영업 비밀을 보장하면서도 기업 자체의 특수 지위는 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는 기업에 대해 오히려 독점금지법과 같은 경쟁법을 제정하여 독과점을 규제하고 있다.[117]

중세 길드와 같은 형태로 산업을 재편하려는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파시즘은 국가 산업을 독점적 산업체 주도로 운영하고자 하였다.

5. 영향

길드는 오늘날의 노동조합보다는 카르텔에 가깝지만, 직인들이 노동 시간 등을 두고 마스터와 협상하고 단체 행동을 한 점은[118] 노동조합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특허영업 비밀 같은 개념은 길드 운영에서 유래했으며, 특히 영국은 1624년부터 특허장에 의한 회사 설립 체계를 갖추었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최초의 근대적 합자회사로 평가된다.[119]

프리메이슨과 같은 일부 비밀 결사는 길드의 조직 형태를 빌리기도 했다. 오늘날에도 유럽의 일부 수공업(예: 제화, 이발사)은 길드로 운영된다.

길드는 제품 품질에 대해 매우 우려했다. 길드가 자체 회원들의 작업에 대해 수립한 규정과 불법적인 행위를 하는 비회원을 겨냥한 조치는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작업 표준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1712년 10월, 리옹 가발 제작자 길드는 지역 경찰 판사에게 청원하여 길드 관리들이 표백된 머리카락이나 야생 염소와 어린 양의 털 사용을 금지하는 법규의 단속을 강화할 것을 요구했다. 그 이유는 머리카락 표백이 가발의 품질을 손상시켜 스타일링하기에 너무 얇아진다는 것이었다.[60]

1675년 프랑스 재봉사들이 길드의 특권을 얻게 되자, 그들의 조합 특권은 여성과 아동 의류까지 확대되었다. 파리, 루앙, 엑상프로방스의 재봉사들은 길드에 가입함으로써 여성과 아동 의류를 만들 권리를 얻었지만, 8세 이상의 남성이나 남자아이 의류는 만들 수 없었다.[58]

중세 및 근세 초기의 많은 길드는 정치적, 입법적, 사회적 권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길드의 권한을 침해하는 모든 경제 활동은 범죄 행위로 간주되었다. 길드 관리들은 길드 자격증 없이 영업하는 사람들을 체포할 수 있었고, 시 당국의 법 집행 기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었다. 길드는 종종 불법적인 작업을 한 사람들을 법정에 세웠다.[59]

독일의 길드 문장
--
1. 구두 제작
--
2. 어부
--
3. 정육점
--
4. 옷감 상인
--
5. 방적
--
6. 도장
--
7. 제분
--
8. 석공
--
9. 목수
--
10. 지붕장이
--
11. 재봉사
--
12. 제빵사
--
13. 안장 제작자
--
14. 철공
--
15. 모직물 제작자
--
16. 염색공



서유럽 중세 도시에서는 시의회를 통한 시정 운영을 독점하고 있던 '''상인 길드'''에 대항하여, 수공업자들이 직업별 '''수공업 길드'''를 결성하고 시정 참여를 요구하는 천프트 투쟁이 일어났다. 이 투쟁을 통해 수공업자에게도 시정 참여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중세 도시에는 도제 제도라고 불리는 엄격한 신분 제도가 있었고, 그 정점에 있는 장인만이 길드에 참가할 수 있었다.[84] 길드는 제품의 품질, 규격, 가격 등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판매, 영업, 고용 및 직업 교육에 관해서도 독점적인 권리를 가졌다.

근세 절대 왕정 하에서 길드는 특권 집단으로서 왕권에 접근하여 이권 옹호를 도모했다. 그러나 시민 계급이 성장하면서 길드에 대한 비판이 강해졌고, 시민 혁명에서 길드는 해체를 강요당했다.

독일에서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길드가 지지하는 직업별 사회 보험 제도를 만들었는데, 이 제도는 21세기까지 생존하여 독일 사회의 행동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5. 1. 경제에 미친 영향

중세 도시의 경제는 대개 길드의 통제 아래 있었다. 길드는 직공의 수, 생산량, 거래량 등을 엄격히 규제하고 도제 제도를 통해 장인을 육성했다. 길드는 수습생을 도제로 받아들여 교육하고, 시험을 통과하면 직인 자격을 부여했다. 직인은 계속 길드에서 일하거나 프리랜서가 되기도 했다. 가장 높은 지위는 마스터였으며, 길드 운영에 관여했다.[105]

경제가 발전하면서 길드는 여러 갈래로 나뉘었다. 벨기에헨트나 이탈리아의 피렌체와 같은 곳은 방직 관련 길드가 중세 유럽 산업 발전을 이끌었다. 길드는 화폐 경제 발전과 도시화를 촉진했다. 길드 발달과 함께 상업이 성장하면서 선대제수공업과 같은 상인 자본 주도 수공업이 발달했고, 섬유 산업에서는 공장제수공업도 등장했다. 이러한 산업을 소유한 부유한 상인들은 부르주아라고 불렸으며, 이들은 주로 성 안에 거주하며 성 외곽 작업장을 운영했다. 직공들 역시 숙련공으로서 초보적인 노동조합을 결성해 권익을 지키려 했다.[105]

중세 말과 근세 초, 길드는 중상주의 영향으로 공장제 산업으로 변모했다. 회원들은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분화했고, 이는 자본주의 질서로 해체되는 결과를 낳았다.[106] 19세기 노동 쟁의와 같은 계급적 대립은 나타나지 않았다.[106]

캐나다 역사학자 세일러프 오길비(Sheilagh Ogilvie)는 길드가 말기에 재화 품질, 기술, 산업 혁신에 걸림돌이 되었다고 평가한다. 지대추구 현상이 경제를 잠식했기 때문이다. 오길비는 길드가 경제적 중요성을 잃은 시점에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길드의 긍정적 역할은 제한적이었다고 주장한다. 정치 권력과 유착된 대상인이 길드를 좌지우지하여 자원 재분배가 원활하지 못했다. 단, 오길비는 길드가 사회적 기준, 상식, 상호 규제, 정치적 선택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형성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이는 길드 회원들에게 유익했고, 심지어 아웃사이더 회원조차 길드 미소속보다 유리한 여건을 마련할 수 있었다.[113]

산업혁명이 절정에 달했던 18세기 말~19세기 초, 길드는 "적폐"로 지탄받았다. 자유무역 방해, 기술혁신 저해, 산업발전 걸림돌이라는 비판이었다. 계몽주의 시대 장자크 루소, 애덤 스미스 등은 자유 방임 자유 시장을 옹호했다. 프랑스 혁명 시민들은 길드를 봉건주의 앙시앵 레짐 잔재로 여겼다. 1791년 프랑스는 제조업법을 제정해 길드 독점권을 폐기했다.[114]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이를 옹호했다.[115]

19세기, 길드는 옛 시대의 상징이었다. 카를 마르크스는 《공산당 선언》에서 길드를 봉건 시대 유물로 취급했다.[116] 길드 독점권이 사라지고 근대 기업이 형성되자, 길드는 경제 주체 자격을 상실했다. 길드 유지 근간이었던 특허장 발급은 특허저작권으로 대체되었다. 국가는 기업 영업 비밀을 보장하면서도 기업 특수 지위는 부정했다. 오늘날 대부분 국가는 독점금지법 등 경쟁법을 제정해 독과점을 규제한다.[117]

파시즘은 국가 산업을 독점적 산업체 주도로 운영하고자 했다.

길드가 경제에 미친 영향은 긍정적·부정적 측면 모두 논쟁거리다. 길드가 성장·발전 과정에서 중세 전기 경제 침체를 극복하고 유럽 상업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와, 길드 성장이 정치 권력과 결탁해 배타적 독점권을 발휘하고 회원 외 상업 활동을 억압했다는 지적이 있다.[110] 오길비 등은 길드 독점 지배력이 지대 추구 현상을 일으켜 경제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120] 엡스타인과 프라크는 오길비 견해를 반박하며,[121] 길드 생산 조절은 지대 추구보다는 비용 분산을 위한 것이었고, 길드 마스터는 시황 분석 및 도제 육성에 긍정적 역할을 했다고 지적한다.[122] 길드의 시장 독점 여부도 논란거리다.[123]

5. 2. 여성과 길드

대부분의 경우 길드는 여성의 참여에 제한을 두었다. 작업장에서 일할 수 있는 여성은 대개 과부나 마스터의 딸 정도였다. 길드가 여성을 회원으로 받아들인 경우에도 길드 사무소에 출석하는 것은 거부되었고 숙련공으로 인정받을 수도 없었다.[124] 그러나 수백 년이 흐르면서 이러한 풍토는 점차 완화되었다. 15세기 런던에서는 여성이 비단 길드를 운영하였던 기록이 있고, 루이 14세 치하의 파리에는 110여 개의 길드가 있었는데 이 가운데 5개는 여성에 의해 운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는 이례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124]

여성의 전반적 지위가 낮았던 중세 시기, 여성은 치료사 길드에 가입하려면 큰 장벽을 뚫어야 했다. 당시 의료 행위는 남성이 주도하는 가운데 여성에겐 보조적 역할만이 주어졌다. 뿐만 아니라 상업 길드나 장인 길드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입회를 거부하였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 여성이 독자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없었음을 뜻한다.[124]

중세 길드에서 여성의 참여는 복잡하고 다양했다. 한편으로는 길드 회원 자격을 통해 여성들은 사회적 특권과 공동체를 제공하는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대부분의 상업 및 수공업 길드는 남성 중심적이었고, 여성 회원의 권리를 제한하거나 아예 회원 자격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가 잦았다. 여성이 길드 회원이 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결혼이었다.[50] 보통 알려진 장인의 미망인과 딸들만 허용되었다. 여성이 길드에 가입하더라도 길드 직책에서는 제외되었다. 이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지만, 여성의 참여를 허용한 길드와 직업도 있었고, 중세 시대는 수백 년에 걸쳐 여러 다른 문화를 아우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였다.

영국과 대륙에서 여성의 길드 참여에 대한 여러 기록이 있다. 매리언 K. 데일(Marian K. Dale)은 15세기 런던의 견직공에 대한 연구에서, 중세 여성은 재산을 상속하고, 길드에 속하고, 재산을 관리하고, 미망인이 된 경우 가업을 운영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루이 9세 치하 파리의 대총감(Grand Provost) Étienne Boileau에 의해 편찬된 파리 직업의 책(Livre des métiers de Paris)에는 파리 길드 110개 중 5개가 여성 독점이었고, 몇몇 길드만이 체계적으로 여성을 배제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보일뢰는 외과의사, 유리 불기공, 쇠사슬 제작자 등 일부 직업이 여성에게도 개방되었다고 언급했다. 또한 오락 길드에도 많은 여성 회원이 있었다. 베리 공작 장은 르 퓌, 리옹, 파리 출신 여성 음악가들에게 지불한 금액을 기록했다.[51] 루앙에서는 13세기 이후로 도시의 112개 길드 중 7개에서 여성이 정식 장인으로 참여했다.[54] 그래도 많은 제약이 있었다. 중세 파리 길드는 여성에게 독립적인 작업 통제권을 제공하지 않았다.[53]

여성들은 상업이나 수공업 길드에서의 상대적인 자유와 달리 치료사 길드에 진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치료사 길드에서 여성의 지위는 종종 도전받았다. 의학은 남성만이 해야 한다는 생각은 당시 일부 종교 및 세속 권력자들에 의해 지지되었다. 여러 시대에 걸쳐 이단 심문과 마녀 사냥이 의료 길드에서 여성의 부족에 기여했다고 여겨진다.[51]

중세 쾰른에는 방적공, 금방적공, 견직공으로 구성된 거의 전적으로 여성으로 구성된 길드가 세 개 있었다. 남성들도 이 길드에 가입할 수 있었지만, 거의 전적으로 길드 여성과 결혼한 사람들이었다. 이것은 방적공 길드의 필수 규정이었다. 금방적공 길드의 여성들은 종종 금세공인 길드 남성들의 아내였다.[52] 이러한 부부 간의 연대는 중세와 근세 초기 여성의 길드 참여에서 볼 수 있었다. 불쾌한 소송이나 법적 상황을 피하기 위해, 부부의 직업은 종종 동일하거나 상호 보완적이었다.[56] 여성들은 중세 쾰른에서 섬유 길드에만 국한되지 않았고, 모든 섬유 길드에서 완전한 자유를 누린 것도 아니었다. 염색공, 면직공, 가죽 산업 길드에는 제한된 참여를 했다. 그들은 일부 목공 길드, 즉 배럴 제작자와 선반공 길드에서는 완전한 권리를 누렸다. 여성들은 길드 내외에서 어업에도 광범위하게 종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정육점과 가축 거래 길드에도 여성들이 있었다. 거의 모든 길드에서 미망인은 남편의 사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만약 그녀가 회원이 아닌 남자와 재혼하면 보통 그 권리를 잃었다.[52]

역사가 앨리스 클락은 1919년에 중세 시대 길드에서 여성의 참여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그녀는 길드 제도가 여성이 가족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었다고 주장했다. 클락의 이러한 견해를 비롯한 다른 견해들은 다른 역사가들의 비판을 받았고, 학계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클락은 초기 근세, 특히 17세기 동안 상황이 변화하여 길드 내 여성에게 더욱 억압적인 환경이 되었다는 시대 분석을 제시했다. 그녀는 또한 가정 생활이 여성을 길드 참여에서 몰아냈다고 주장했다.[53]

많은 역사학자들이 길드에서 여성의 참여 감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연구 결과는 상반된 그림을 제시한다. 최근의 역사 연구는 주로 17세기 여성의 경제적 소외에 대한 Alice Clark의 연구에 대한 반박으로 제기되었으며, 가정 생활이 여성의 경제 활동을 조직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연구는 근세 초기 여성의 시장 관계, 수공업 생산 및 유료 노동에 대한 광범위한 참여를 기록했다.[55] Clare Crowston은 여성들이 자신의 일에 대한 통제력을 더욱 높였다고 주장한다. 16세기와 17세기에 여성 린넨 상인과 삼 상인들은 통제력을 잃는 대신 독립적인 길드를 설립했다. 17세기 후반부터 여성에게는 경제적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는 증거가 있다. 파리와 루앙의 재봉사와 파리의 꽃 판매원들은 1675년에 자신들의 길드를 얻었다. 디종에서는 1643년부터 1750년 사이에 세금 명부에 기록된 여성 장인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 18세기 낭트에서는 여성의 길드 접근이 크게 증가했으며, 그들의 권리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53]

역사학자 Merry Wiesner는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남독일 도시에서 여성 노동의 감소를 경제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 모두에 기인했다. 상업이 더욱 전문화됨에 따라 여성의 가사 책임이 그들을 노동 시장 진입에서 방해했다. 독일 길드는 이때부터 여성의 참여를 더욱 규제하기 시작하여 아내, 미망인 및 딸의 특권을 제한했다. 또한 주인이 여성을 고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Crowston은 Wiesner와 Ogilvie에 의해 독일 맥락에서 여성 참여 감소론이 재확인되었지만, 그녀의 전문 분야가 프랑스 역사이기 때문에 더 큰 범위에서 문제를 바라볼 때는 효과가 없다고 지적한다.[53]

17세기에는 주로 파리, 루앙, 쾰른에서 여성들로만 구성된 길드가 등장했다. 1675년 파리의 재봉사들은 그들의 직업이 조직적이고 수익성이 좋아 독립적인 길드 설립을 충분히 뒷받침할 수 있다는 이유로 길드 설립을 요청했다.[53] 쾰른의 일부 길드는 중세 시대부터 거의 여성들로만 구성되어 있었다.[52]

초기 근세 루앙은 여성 길드 활동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1775년에는 약 700명의 여성 명장이 있었는데, 이는 도시 전체 길드 명장의 10%에 해당한다. 18세기 후반에 유포된 조사에 따르면 루앙 리본 제작자 중에는 명장, 여장, 과부 149명이 있었고, 이는 남녀가 혼합된 구성임을 보여준다. 1775년 세금 명부에는 남성 58명, 과부 17명, 기혼 여성 55명, 미혼 여성 30명 등 총 회원 수가 약 160명으로 나타나 있다.[54]

역사학자들은 여성들이 이러한 길드에 필수적인 기여를 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많은 학자들은 남성 상인과 장인들이 아내의 도움 없이는 사업을 시작하거나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54]

파리에서 가장 오래된 여성 길드는 가정용 린넨, 아기 용품, 속옷 등 린넨을 취급했다. 회원들 간에는 상당한 부의 불균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레 알 중심에 작업장이 있던 린넨 직공들은 길드에 약간의 문제를 일으켰다. 이 직공들은 린넨뿐만 아니라 성매매에도 종사한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길드는 자신의 도덕성을 강조했다. 사회적 계층의 다른 쪽 끝에서는 린넨 무역이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기혼 여성과 미혼 여성에게 존경받는 직업이었다.[55]

프랑스에서는 파리와 루앙의 섬유 길드에서 여성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특별한 조항을 마련해야 했다. 그들은 "공공 상인(marchande publique)"의 특권이라는 특별한 법적 공식을 사용했다. 이 법적 장치는 여성이 자신의 명의로 경제 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보장했고, 따라서 남편의 자원이나 개입 가능성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지 않았다. 여성이 먼저 길드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공공 상인"의 지위를 얻으려면 남편의 허락을 받아야 했다. 길드에 가입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지위가 부여되었다. "공공 상인"의 특권은 여성이 법적 성인으로서 사업에 참여하고, 계약을 체결하고, 법정에 출두하고, 돈을 빌릴 수 있도록 허용했다.[54]

암스테르담에서는 재봉사들이 1579년에 독립적인 길드를 얻었다. 네덜란드의 다른 여러 도시에서는 17세기 후반과 18세기 동안 재단사 길드에서 종속적인 지위를 얻었다.[53]

프랑스 여성들은 견습생들에게 직업 훈련을 제공했다. 견습 계약서에는 배우자의 이름과 직종이 모두 기재되었다.[56] 직종은 보통 같거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57] 이전 연구에서는 계약 부족으로 인해 학자들은 여성과 소녀들이 공식적인 훈련을 받은 적이 없고 대신 집에서 직업을 배웠다고 믿었다. 이는 클레어 크로우스턴(Clare Crowston)의 프랑스 교구 학교에 대한 연구로 반박되었다. 견습 과정 대신, 소녀들은 이러한 학교에서 대안적인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었다. 학생들은 약 8세에 입학하여 2년 동안 교육을 받았고, 성별에 따라 분리되었다. 남자아이들은 주로 종교, 읽기, 쓰기, 수학을 공부했고, 여자아이들도 같은 과목을 많이 배웠지만, 상당 부분은 바느질을 배우는 데 할애되었다. 이 학교들은 소녀들이 배운 직업 훈련을 풍부하게 하여 생계를 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크로우스턴에 따르면, 이러한 훈련을 제공한 가장 중요한 종교 공동체는 린넨 작업, 자수, 레이스, 태피스트리 제작의 네 가지 직종을 교육한 생아녜스의 딸들(Filles de Saint-Agnès)이었다. 학교는 소녀들이 배우는 데 필요한 모든 도구를 제공했고, 학생들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이것은 길드가 실천하는 견습 모델과는 매우 달랐지만, 수녀들은 학생들을 견습생이라고 불렀다.[53]

1706년 7월, 파리 가발 제작자 회원인 여성 그룹이 베르사유로 가서 루이 14세에게 같은 해에 가발에 부과된 억압적인 세금을 철회해 달라고 청원했다. 1706년 7월 중순에 세금이 철회되었지만, 역사학자들은 길드 여성들이 그 이유의 유일한 원인이라고 믿지는 않는다.[60]

1675년 프랑스 재봉사들이 길드의 특권을 얻게 되자, 그들의 조합 특권은 여성과 아동 의류까지 확대되었다. 파리, 루앙, 엑상프로방스의 재봉사들은 길드에 가입함으로써 여성과 아동 의류를 만들 권리를 얻었지만, 8세 이상의 남성이나 남자아이 의류는 만들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분업은 재봉사들이 길드에 가입한 모든 프랑스 도시에서 다시 나타났다.[58]

중세 및 근세 초기의 많은 길드는 정치적, 입법적, 사회적 권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길드의 권한을 침해하는 모든 경제 활동은 범죄 행위로 간주되었다. 암시장은 길드의 회원 자격, 생산하는 상품에 대한 규정을 우회하고, 정부가 부과할 수 있는 고액의 수수료와 세금을 피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당시 당국은 불법적인 작업을 간과하지 않았으며, 경찰 보고서와 길드의 항의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길드 관리들은 길드 자격증 없이 영업하는 사람들을 체포할 수 있었고, 시 당국의 법 집행 기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었다. 길드는 종종 불법적인 작업을 한 사람들을 법정에 세웠다. 18세기 리옹에서는 피고인의 약 절반이 남성이고 절반이 여성이었다. Daryl Hafter는 많은 여성 피고인들이 길드 회원 자격이 완전히 금지되었거나 길드 내에서 엄격한 제한을 받는 직종에 종사하고 있었다고 지적한다. 길드 가입에 많은 비용이 들었기 때문에, 가난한 남성들이 불법적인 공예에 손을 대는 이유를 설명해준다.[59] 은밀한 장인들은 길드의 권리, 자유 및 독점성에 대한 심각한 침해로 여겨졌습니다. 많은 길드는 이것이 경제적 안정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61]

파리에서는 이발사-가발 제작자 및 목욕 제공자 길드가 불법 가발 제작과 스타일링에 맞서 싸웠다. 이 경우, 값비싼 가발 세금을 피하기 위해 불법 가발 제작이 성행했다. 여성과 소녀들은 이 길드에 들어갈 수 있었다. 불법 가발 제작자들은 18세기 내내 활동했고, 이 업계에 지속적으로 기여했다.[60]

Judith Coffin은 은밀하게 일하는 아마포 상인, 재봉사 및 재단사의 수가 길드 회원 수와 비슷하거나 그 수를 능가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남녀를 불문하고 은밀하게 일하는 근로자들은 길드 관할 지역 내 다락방 상점과 방에서 일했다. 모든 비길드 근로가 불법적인 것은 아니었다. 비길드 장인은 왕실을 위해 직접 일하거나 길드 관리들의 손이 미치지 않는 "자유 지역"에서 일할 수 있었다. 바늘 무역의 은밀한 근로자들은 종종 대규모 상인 제조업체에 고용되었다. 길드 회원들 또한 불법 노동에 연루되어 직접 수행하거나 불법 작업을 하는 사람들을 고용하기도 했다. 거의 모든 사람이 길드 규정을 위반했다.[55] 길드의 장인들은 종종 특정하고 저임금의 작업을 불법 근로자에게 맡겼다. 가발 제작자의 경우, 가장 노동 집약적인 작업인 머리카락 짜기였다. 머리카락 짜는 사람들은 머리카락 뭉치를 나란히 배열하고 두 개의 나무 막대기에 뻗은 여섯 가닥의 실 사이에 복잡한 패턴으로 엮었다. "트레스즈(tresseuses)"라고 불리는 여성들은 장인들의 상점 밖에서 이 작업의 상당 부분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60]

길드의 불법 공예에 대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지하 경제는 종종 길드의 생존에 도움이 되었다. 재료 생산은 종종 불법적이었거나 다른 지역에서 아웃소싱되었다. 장인들은 비길드 근로자를 고용하여 고강도 작업을 맡기고 임금을 적게 지불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작업을 폄하했다. 많은 도시에서 길드 장인들은 비용을 줄이기 위해 할인된 재료를 구입하고 저렴한 노동력을 고용했다. 리옹에서는 지하 실크 경제가 번창하여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합법적인 무역과 유사한 작업을 하는 대부분 여성 장인들로 구성되었다. 여성 장인들은 길드가 크게 의존하는 공예 절차에 매우 숙련되어 생산에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길드에 중요했다. 그러나 그들은 길드 외부의 남성 기업가를 위해 일했고, 종종 서로 협력하여 자신의 사업을 설립했다. 이러한 불법 행위를 억제하기 위해 길드 장인들은 남녀가 길드 외부에서 일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약을 작성했다. 리옹의 단추 제작자 길드는 또한 불법 작업과 그들이 고용한 비길드 여성 근로자들로부터의 절도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 그들은 또한 소녀들에게 단추 제작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스스로 맡았는데, 이것이 진정한 문제였다. 왜냐하면 그들의 지도가 길드의 비밀을 비길드 회원들에게 전달하여 길드를 훼손했기 때문이다.[59]

17세기 중반, 뤼벡은 길드가 도시뿐만 아니라 시골 지역에서도 은밀한 작업을 금지해 달라고 의회에 청원하면서 정치적 갈등을 겪었다. 그들은 뤼벡의 상류층이 도시 길드를 희생하여 시골 장인들을 고용하는 것에 분노했다. 그들의 분노는 그들이 길드를 옹호하겠다고 맹세한 의회의 일원이었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61]

근세 초기 리옹은 18세기 후반까지 번창하는 지하 경제를 유지했다. 1780년 모자 제작자 길드는 이 업계에서 가죽을 다듬는 여성과 소녀들이 25년 전에 지하 제조업을 설립했고, 그것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불평했다. 이 여성들은 모자 제작자의 아내들이거나 매일 고용되는 소녀들이었고, 길드에 그렇게 의존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았다. 여성들은 재료 절도, 싼값에 훔친 재료를 사서 더 비싼 가격에 파는 혐의를 받았다. 가장 놀라운 것은 정부의 대응이었는데, 정부는 이전에는 경제를 희생하더라도 항상 길드를 지지해 왔다. 1777년의 왕실 칙령은 이 여성 근로자들을 하나의 단체로 구성하여 그들에게 정당성을 부여했다.[59]

6. 근대 이후

근대에도 직업을 갖는 것은 특정 조직에 소속되는 것을 의미했다.[125] 오늘날 유럽에는 옛 길드의 전통을 잇는 조직들이 일부 남아있다. 시티오브런던에는 110개의 동업자 조합이 등록되어 도시의 관례적 행사에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한다.[126] 영국의 지방 도시에도 활동 중인 길드들이 있다.[126]

독일의 경우, 도시 간 상업 연결을 담당하던 조직은 사라졌지만, 장인 동업 조합인 이눙겐(Innungen)은 일부 남아있다.[127] 독일 수공업 길드의 도제식 교육은 대한민국에 소개되어 큰 반향을 일으키기도 하였다.[128]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는 다른 의미의 조직들이 존재한다. 미국의 길드는 주로 노동 조합을 의미한다. 영화배우조합(Screen Actors Guild), 아메리카 감독조합(Directors Guild of America) 등은 길드를 조직명으로 사용하지만 노동조합이거나 이익단체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육 길드는 국가 표준과 다른 독자적인 표준을 가지고 운영된다.[129]

17세기에는 파리, 루앙, 쾰른 등에서 여성들로만 구성된 길드가 등장했다.[53] 1675년 파리의 재봉사들은 독립적인 길드 설립을 요청했다.[53] 쾰른의 일부 길드는 중세 시대부터 거의 여성들로만 구성되어 있었다.[52] 초기 근세 루앙은 여성 길드 활동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1775년에는 약 700명의 여성 명장이 있었는데, 이는 도시 전체 길드 명장의 10%에 해당한다.[54]

프랑스에서는 파리와 루앙의 섬유 길드에서 여성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공공 상인(marchande publique)"이라는 특별한 법적 지위를 사용했다. 이 지위는 여성이 자신의 명의로 경제 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보장했다.[54] 암스테르담에서는 재봉사들이 1579년에 독립적인 길드를 얻었다.[53]

1706년 7월, 파리 가발 제작자 회원인 여성 그룹이 루이 14세에게 가발에 부과된 세금을 철회해 달라고 청원했고, 7월 중순에 세금이 철회되었다.[60]

전문직 단체들은 길드의 구조와 운영 방식을 재현한다.[62] 건축, 공학 등 직업들은 "전문가" 자격을 얻기 위한 수습 기간을 필요로 하며, 이 자격증은 법적 효력이 크다.[62] 현대의 면허 및 인증 관행은 '길드 특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Paul Starr와 Ronald Hamowy는 미국의 의료 면허 관행이 대중을 보호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지며, 의료 전문가의 명성과 수입을 높이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주장한다.[64],[68]

1998년, 토마스 W. 말론(Thomas W. Malone)은 프리랜서와 원격 근무자를 위한 현대적인 길드 구조의 변형을 제시했다. 이러한 구조는 지식 생산자들에게 보험, 지적 자본 보호, 윤리 강령 등의 이점을 제공하고, 규모의 경제를 통해 과당 경쟁을 방지하며, 해외 경쟁을 견제할 수 있다.[7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운동은 경쟁에 맞서기 위해 길드와 같은 구조를 탐색해 왔다. 예를 들어, 애드보가토(Advogato)는 자유 소프트웨어에만 또는 주로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등급을 부여한다.[72]

독일에는 ''Zünfte''(또는 ''Gilden'')는 없지만, ''Innungen''이라는 이름으로 길드가 특정 무역이나 활동 종사자로 회원 자격이 제한된 사설 회원 클럽으로 계속 존재한다.[74]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혁명 기간에 길드가 폐지되었다. 1789년 8월 4일의 법령에 따라 1791년 3월 최종 폐지되었다.[76]

미국에서는 여러 분야에서 길드가 존재한다. 신문기자협회(The Newspaper Guild)는 기자 및 기타 신문 종사자를 위한 노동조합이다. 영화 및 텔레비전 업계에서는 특정 직책에서 주요 작품에 참여하려면 일반적으로 길드 회원 자격이 필수적이다. 미국 배우 조합(Screen Actors Guild), 미국 감독 조합(Directors Guild of America) 등이 그 예이다.

부동산 중개는 현대 미국 길드 시스템의 한 예이다. 표준 가격 책정, 강력한 연관성, 자체 규제 등의 특징을 보인다. 미국 법무부는 미국 부동산 중개인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를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77]

미국에서의 법률 실무 또한 현대 길드의 작용을 보여주는 예이다. 대부분의 주에서 모든 변호사는 법률 실무를 위해 해당 주의 변호사 협회 회원이 되어야 한다.[78]

길드에 비견되는 의학 협회에는 주 의료위원회, 미국 의사 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 및 미국 치과 협회(American Dental Association)가 있다.

참조

[1] 서적 Life in a medieval city https://www.worldcat[...] Crowell 1969
[2] 서적 The Universities of Europe in the Middle Ages: Salerno. Bologna. Paris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3] 서적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Near East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4] 학술지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rchive.org/[...] Records of the Past Exploration Society 2021-06-20
[5]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oll-resour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6-20
[6]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valon.law.y[...] Yale Law School 2021-06-20
[7] 학술지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rchive.org/[...] Records of the Past Exploration Society 2021-06-20
[8]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oll-resour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6-20
[9] 서적 Wage Labor and Guilds in Medieval Europ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0] 서적 The Documentary History of Insurance, 1000 B.C.–1875 A.D. https://archive.org/[...] Prudential Press 2021-06-15
[11] 학술지 D. 47,22, 1, pr.-1 and the Formation of Semi-Public "Collegia" https://www.jstor.or[...] 2001
[12] 학술지 Roman military clubs and their social functions
[13] 뉴스 Huge Ancient Roman Shipyard Unearthed in Italy http://www.livescien[...] Future 2021-06-23
[14] 서적 The Constitution of the Roman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Crafts And Culture of a Medieval Guild https://books.google[...] Rosen
[16] 백과사전 Guild https://www.britanni[...] 2010-09-01
[17] 서적 A worker looks at history: being outlines of industrial history specially written for Labour College-Plebs classes https://books.google[...] Plebs League
[18] 뉴스 Zuenfte http://www.historisc[...] 2018-03-03
[19] 웹사이트 History and heritage http://www.cityoflon[...] 2015-06-25
[2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3-03-12
[21] 웹사이트 Freedom of the City http://www.cityoflon[...] 2015-06-25
[22] 백과사전 guild
[23] harvard
[24] harvard
[25] 서적 Feudal society and its culture Progress
[26] 백과사전 Guilds http://www.newadvent[...] 1910-06-01
[27] 서적 Diccionario geográfico universal, por una sociedad de literatos, S.B.M.F.C.L.D. https://books.google[...]
[28] 웹사이트 Alphabetical list https://web.archive.[...] Cityoflondon.gov.uk 2011-08-08
[29] 서적 Treasure Islands: Tax Havens and the Men who Stole the World https://books.google[...] Vintage
[30] 웹사이트 Livery Company Records & Furthering Your Ancestry http://broadcast.lds[...] 2009
[31] 서적 L'Encyclopedie et les encyclopedistes B. Franklin
[32] harvard
[33] 서적 Property and Prophets: The Evolution of Economic Institutions and Ideologies Routledge
[34] harvard
[35] 서적 Florence: Biography of a City The Folio Society
[36] 서적 Great Events from History: Ancient and Medieval Series: 951–1500 Salem
[37] harvnb
[38] harvnb
[39] 웹사이트 The Situation with the Sorbs in the Past and Present http://www.ifl-leipz[...]
[40] 서적
[41] 학술지 Guilds, efficiency, and social capital: evidence from German proto-industry https://www.cesifo-g[...] 2004-05
[42]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1787-1799 Unwin Hyman 1989
[43] 서적 A History of Socialism https://books.google[...] Hogarth Press
[44] 서적 Kartelltheorie und Internationale Beziehungen. Theoriegeschichtliche Studien
[45] 서적 Produc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Pinnacle Technology, 2011 2011-03-18
[46] 학술지 Rehabilitating the Guilds: A Reply 2008-02
[47] harvnb
[48] 학술지 Craft Guilds, Apprenticeship, and Technological Change in Preindustrial Europe 1998-09
[49] 학술지 A Tale of Two Theories: Monopolies and Craft Guilds in Medieval England and Modern Imagination 2001-06
[50] 학술지 Crafts, Gilds, and Women in the Middle Ages: Fifty Years after Marian K. Dale 2023-11-29
[51] 서적 GUILDS, WOMEN IN Greenwood Press
[52] 학술지 The Industrial Position of Woman in the Middle Ages 2023-11-25
[53] 학술지 Women, Gender, and Guilds in Early Modern Europe: An Overview of Recent Research 2023-11-19
[54] 학술지 Female Masters in the Ribbonmaking Guild of Eighteenth-Century Rouen 2023-11-19
[55] 학술지 Gender and the Guild Order: The Garment Trades in Eighteenth-Century Paris 2023-11-21
[56] 학술지 Gender, Guilds, and Work Identity: Perspectives from Sixteenth-Century Paris 2023-11-25
[57] 학술지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on Women’s Work: Comment on Loats, Hafter, and DeGroat 2023-11-26
[58] 서적 Fabricating women: the seamstresses of Old Regime France, 1675-1791 Duke University Press 2001
[59] 학술지 Women in the Underground Business of Eighteenth-Century Lyon 2023-12-02
[60] 학술지 Illicit Wigmaking in Eighteenth-Century Paris 2023-12-02
[61] 학술지 In Defence of Corporate Liberties: Early Modern Guilds and the Problem of Illicit Artisan Work 2023-12-02
[62] 서적 Death of Guilds:Professions, States, and The Advance of Capitalism, 1930 to The Present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and London
[63] 서적 The European Guilds: An Economic Analy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64] 서적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American Medicine: The Rise of a Sovereign Profession and the Making of a Vast Industry Basic Books, Inc., New York
[65] 서적 The Rise of Professional Society; England since 1885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66] 서적 The Lazzaroni: Science and Scientists in The Mid Nineteenth Century America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67] 서적 Guilds in The Middle Agese Batoche Books
[68] 학술지 The Early Development of Medical Licensing Laws in the United States, 1875-1900* https://cdn.mises.or[...] 1978
[69] 서적 A History of Education Charles Scribner's Sons, New York
[70] 웹사이트 Can College Accreditation Live Up to Its Promise? https://www.goacta.o[...] 2002-07-01
[71] 잡지 Re-Organization Man https://www.wired.co[...] 1998-07-01
[72] 잡지 How Medieval-Style Guilds Will Remake the Tech Behind Facebook and Google https://www.wired.co[...] 2014-09-16
[73] 서적 Capital and Ideology Galaxy Books
[74] 학술지 The Return of the Guilds: Towards a Global History of the Guilds in Pre-industrial Ti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웹사이트 What We Do https://www.cityandg[...] City and Guilds of London Institute
[76] 학술지 The Abolition of the Guild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https://www.jstor.or[...] 1988
[77] 웹사이트 U.S. v. 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 https://www.just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2015-06-25
[78] 웹사이트 Regulation of the legal profession in the United States: overview http://uk.practicall[...] 2022-06-26
[79] 서적 Understanding Health Policy: A Clinical Approach McGraw Hill
[80] 웹사이트 About the Guild https://www.guild.or[...] The Pharmacy Guild of Australia
[81] 웹사이트 ADG - Australian Directors' Guild Home https://adg.org.au/ Australian Directors Guild
[82] 웹사이트 Australian Butchers' Guild https://www.australi[...] Australian Butcher's Guild
[83] 웹사이트 The Artists Guild https://www.theartis[...] The Artists Guild 2018-10-18
[84] 서적 封建制社会 新書西洋史3 講談社現代新書
[85] 학술지 一九世紀末イギリス中小商工業者に対する技術教育振興活動の試み:ロンドン・シティ・ギルド協会の活動を中心に 2001
[86] 서적 The Universities of Europe in the Middle Ages: Salerno. Bologna. Pari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87] 서적 Wage Labor and Guilds in Medieval Europ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88] 서적 The Crafts And Culture of a Medieval Guild https://books.google[...] Rosen
[89] 백과사전 Guild http://www.britannic[...] 2010-09-01
[90] 서적 A worker looks at history: being outlines of industrial history specially written for Labour College-Plebs classes https://books.google[...] Plebs League
[91] 뉴스 Zuenfte http://www.historisc[...] 2018-03-03
[92] 웹인용 History and heritage http://www.cityoflon[...] 2015-06-25
[93]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cityoflon[...] 2013-03-12
[94] 뉴스 유럽 중세도시의 실상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7-11-15
[95] 웹인용 Freedom of the City http://www.cityoflon[...] 2015-06-25
[96] 백과사전 guild
[97] harvard_reference
[98] harvard_reference
[99] 서적 Feudal society and its culture https://archive.org/[...] Progress
[100] 백과사전 Guilds http://www.newadvent[...] 1910-06-01
[101] 서적 Diccionario geográfico universal, por una sociedad de literatos, S.B.M.F.C.L.D. https://books.google[...]
[102] 웹인용 Alphabetical list http://www.cityoflon[...] Cityoflondon.gov.uk 2011-08-08
[103] 서적 Treasure Islands: Tax Havens and the Men who Stole the World https://books.google[...] Vintage
[104] 서적 L'Encyclopedie et les encyclopedistes B. Franklin
[105] harvard_reference
[106] harvnb
[107] 서적 Great Events from History: Ancient and Medieval Series: 951–1500 Salem
[108] 웹사이트 journey https://www.etymonli[...]
[109] 웹사이트 journeyman https://www.etymonli[...]
[110] harvnb
[111] harvnb
[112] 웹인용 The Situation with the Sorbs in the Past and Present http://www.ifl-leipz[...]
[113] 저널 Guilds, efficiency, and social capital: evidence from German proto-industry https://www.cesifo-g[...] 2004-05-01
[114] 저널 The abolition of the guild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115] 서적 The Wealth of Nations
[116] 위키 번역:공산당 선언/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s:번역:공산당 선언/부르주아와 프[...]
[117] 웹사이트 독점금지법 http://ftc.go.kr/cal[...]
[118] 서적 Produc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Pinnacle Technology, 2011 2011-03-18
[119] 서적 부의 탄생 https://books.google[...] 시아컨텐츠그룹
[120] 저널 Rehabilitating the Guilds: A Reply 2008-02-01
[121] harvnb
[122] 저널 Craft Guilds, Apprenticeship, and Technological Change in Preindustrial Europe 1998-09-01
[123] 저널 A Tale of Two Theories: Monopolies and Craft Guilds in Medieval England and Modern Imagination 2001-06-01
[124] 서적 GUILDS, WOMEN IN Greenwood Press
[125] 서적 The Rise of Professionalism: A Sociolog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6] 웹사이트 Livery companies https://www.cityoflo[...]
[127] 웹사이트 Kreishandwerkerschaft Bonn ∙ Rhein-Sieg https://www.khs-hand[...]
[128] 뉴스 세계경제를 이끄는 숨은 힘, 장인(匠人) http://www.e-patentn[...] 특허뉴스 2015-04-12
[129] 웹인용 Australian Butcher's Guild http://www.australia[...] 2020-01-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