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둥지새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흙둥지새과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 섬에 분포하는 조류 분류군이다. 과거에는 3속 4종을 포함했지만, 시블리-알퀴스트 조류 분류 등의 연구를 통해 다계통군임이 밝혀졌다. 현재는 큰흙집새와 회색흙둥지새는 큰흙집새과로, 나머지 흙둥지새속 2종은 왕관새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분류학 - 시블리 알퀴스트 조류 분류
시블리-알퀴스트 조류 분류는 DNA-DNA 분자 교잡법을 이용하여 제시된 새로운 조류 분류 체계로, 기존 분류 체계 개혁에 기여했으나 비판과 분자 생물학적 수법과의 불일치로 현재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으며, 분기도 분류의 초기 사례로 간주된다. - 동물분류학 - 이새목
이새목은 복족류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다양한 과를 포함하며 껍데기 모양, 크기, 서식지 등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흙둥지새과 | |
---|---|
분류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스즈메목 |
아목 | 참새아목 |
상과 | 까마귀상과 |
과 | 흙둥지새과 |
속 | ツチスドリ属(일본어): オオツチスドリ属(일본어): ハイイロツチスドリ属(일본어): |
![]() |
2. 분포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섬에 분포한다.
흙둥지새과는 과거 3속 4종으로 분류되었다.
3. 과거 분류 및 하위 종
하지만 초기 분자계통학 연구를 통해 흙둥지새과가 다계통군임이 밝혀지면서 분류에 변화가 생겼다. 큰흙집새와 회색흙둥지새는 큰흙둥지새과(Corcoracidae)로 분리되었고, 흙둥지새속 2종은 왕관새과(Monarchidae)에 포함되었다.[1][2] 과도기적으로 흙둥지새속 2종만 흙둥지새과로 분류하기도 했다.
3. 1. 까치종다리속 (''Grallina'')
까치종다리속( ''Grallina'')에 속하는 2종은 바람까마귀과(Dicruridae)로 분류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까치딱새과로 분류한다.[3]
3. 2. 큰흙집새속 (''Corcorax'')
큰흙집새속(''Corcorax'')에는 큰흙집새(''Corcorax melanorhamphos'') 1종이 속해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와 동부에 분포한다.[3]
학명 | 한국어 이름 | 영어 이름 | 서식지 |
---|---|---|---|
Corcorax melanorhamphos | 큰흙집새 | White-winged Chough |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와 동부 |
초기 분자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흙둥지새과는 다계통군으로 밝혀졌고, 큰흙집새는 회색흙둥지새와 함께 큰흙둥지새과(Corcoracidae)로 분리되었다.[1][2] 시블리 분류에서는 까마귀과 큰흙둥지새아과로 분류되었다.
3. 3. 오스트레일리아흙둥지새속 (''Struthidea'')
- 오스트레일리아흙둥지새 (''Struthidea cinerea'') - 오스트레일리아
4. 현재 분류
처음에는 3속 4종으로 분류했다.
- 까치종다리속 (''Grallina'')
- * 까치종다리 (''Grallina cyanoleuca'') - 오스트레일리아와 티모르섬, 뉴기니섬 남부
- * ''Grallina bruijni'' - 뉴기니섬
- 큰흙집새속 (''Corcorax'')
- * 큰흙집새 (''Corcorax melanorhamphos'') -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와 동부
- 오스트레일리아흙둥지새속 (''Struthidea'')
- * 오스트레일리아흙둥지새 (''Struthidea cinerea'') - 오스트레일리아
이후 까치종다리속(''Grallina'')에 속하는 2종은 바람까마귀과(Dicruridae)로 분류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까치딱새과로 분류한다.[3] 큰흙집새와 오스트레일리아흙둥지새는 오스트레일리아흙둥지새과를 형성한다.
한때 흙둥지새과에 속했던 3속 4종은 다음과 같다.
- 흙둥지새 (''Grallina cyanoleuca'')
- 산흙둥지새 (''Grallina bruijni'')
- 큰흙집새 (''Corcorax melanorhamphos'')
- 회색흙둥지새 (''Struthidea cinerea'')
하지만 시블리 등의 초기 분자계통학 연구에 의해 다계통군으로 밝혀졌고, 큰흙집새와 회색흙둥지새는 큰흙둥지새과로 분리되었으며, 나머지 흙둥지새속 2종은 왕관새과에 포함되었다.[1][2] 시블리 분류에서는 각각 까마귀과 큰흙둥지새아과, 까마귀과 오스트랄라시안비단벌레아과 왕관새족으로 분류되었다.
과도기적으로 흙둥지새속 2종만을 흙둥지새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었다.
5. 흙둥지새과 명칭의 현재
시블리 등의 초기 분자계통학 연구에 의해 흙둥지새과는 다계통군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큰흙둥지새와 회색흙둥지새는 큰흙둥지새과로 분리되었고, 나머지 흙둥지새속 2종은 왕관새과에 포함되었다.[1][2] 시블리 분류에서는 각각 까마귀과 큰흙둥지새아과, 까마귀과 오스트랄라시안비단벌레아과 왕관새족으로 분류되었다.
과도기적으로 흙둥지새속 2종만을 흙둥지새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었다.
참조
[1]
간행물
IOC World Bird List 2.4: Vireos
http://www.worldbird[...]
Frank Gill, David Donsker and the IOC team
[2]
간행물
NCBI Taxonomy Browser: Grallina
http://www.ncbi.nlm.[...]
NCBI
[3]
웹인용
Monarchs
https://www.worldbir[...]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0.2
2020-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