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배멧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배멧새는 몸길이가 약 15cm인 새이다. 수컷은 머리, 턱밑, 멱이 검은색이고 머리 중앙선, 눈썹선, 뺨선은 흰색이며, 암컷은 수컷보다 색이 엷고 턱밑과 멱이 흰색이다. 북한, 중국 동북부, 우수리강 하류, 아무르강변과 시호테알린산맥에서 번식하며, 중국 남동부, 인도차이나반도 북부 등에서 월동한다. 밝은 숲이나 초지에 서식하며, 풀씨와 곤충류를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멧새과 - 쇠붉은뺨멧새
쇠붉은뺨멧새는 유라시아 북부에 널리 분포하며 동남아시아 북부에서 월동하는 몸길이 12~14cm의 작은 멧새로, 평지 초지나 농경지 주변에 서식하며 씨앗을 주식으로 하고 번식기에는 곤충을 먹는 흔한 종이다. - 멧새과 - 노랑눈썹멧새
노랑눈썹멧새는 멧새과 조류로, 수컷은 흰색 머리 중앙선과 검은색 머리, 노란색 눈썹선을, 암컷은 갈색 눈앞과 귀깃을 가지며, 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한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로, 다양한 환경에서 잡식성으로 생활한다. - 참새목 - 쇠붉은뺨멧새
쇠붉은뺨멧새는 유라시아 북부에 널리 분포하며 동남아시아 북부에서 월동하는 몸길이 12~14cm의 작은 멧새로, 평지 초지나 농경지 주변에 서식하며 씨앗을 주식으로 하고 번식기에는 곤충을 먹는 흔한 종이다. - 참새목 - 쇠솔딱새
쇠솔딱새는 몸길이 약 13cm의 작은 새로, 엷은 회갈색 몸 윗면과 흰색 눈테를 가지며, 인도,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곤충을 먹는 동물성 식성을 가진다. - 러시아의 새 - 황새
황새는 흰색 몸과 검은 날개, 긴 목둘레 깃털을 가진 동아시아 서식 육식성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국제적 보호를 받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러시아의 새 - 원앙
화려한 수컷과 회갈색 암컷 깃털을 가진 원앙은 동아시아 원산의 오리과 조류로, 부부 금슬 상징으로 여겨지나 실제로는 매년 짝을 바꾸며,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다.
흰배멧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Emberiza tristrami |
명명자 | R. 스윈호, 1870 |
영어 이름 | Tristram's Bunting |
일본어 이름 | 시로하라호오지로(シロハラホオジロ)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 시스템 | IUCN3.1 |
상태 참고 | BirdLife International (2016). "Emberiza tristrami".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2720948A94691650.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참새목 |
과 | 멧새과 |
속 | 호오지ロ속 |
속 학명 | Emberiza |
종 | 흰배멧새 |
분포 | |
서식지 | 동아시아 및 러시아 남동부 |
인도 최초 기록 | Naniwadekar, Rohit; Ashwin Viswanathan; Raman Kumar; Shashank Dalvi (5 September 2013). "First record of Tristram's Bunting Emberiza tristrami from India". Indian Birds. 8 (5): 134. |
2. 생김새
흰배멧새는 몸길이가 약 15cm이다. 수컷은 머리에 흑백 세로줄무늬가 있고 턱밑이 검은색이며, 등쪽은 회갈색에 흑갈색 세로 얼룩무늬가 있고 허리는 적갈색, 배쪽은 흰색이다. 암컷은 머리옆선과 뺨이 회갈색이고 턱밑은 회갈색이다.[1]
2. 1. 수컷
수컷의 여름깃은 머리에 흑백의 세로줄무늬가 있으며 턱밑도 검다. 등쪽은 회갈색이며 흑갈색의 세로 얼룩무늬가 있다. 허리는 적갈색이고, 배쪽은 흰색이다. 겨울깃은 암컷과 비슷하지만 턱밑이 흑갈색인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1]2. 2. 암컷
암컷은 수컷보다 색이 엷고 턱밑과 멱이 흰색이다. 뺨은 회갈색에 검은 무늬가 있으며, 머리옆선은 갈색이고 턱밑은 회갈색이다.[1]2. 2. 1. 수컷 겨울깃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수컷 겨울깃은 암컷과 비슷하지만 턱밑이 흑갈색인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3. 분포
흰배멧새는 아무르강 유역과 우수리강 지방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중국 남동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1]
3. 1. 한국
흰배멧새는 북한, 중국 동북부, 우수리강 하류, 아무르강변과 시호테알린산맥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동부, 인도차이나반도 북부 등에서 월동한다.[1] 관목이 있는 하천가나 숲 가장자리의 잡목림에 서식한다.[1]3. 2. 일본
일본에서는 드물게 통과하는 나그네새(旅鳥)로 기록된다.[1] 일본해 쪽 섬 지역에서는 주로 봄철 이동 시기에 소수이지만 매년 관찰 기록이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기록이 적다.[1]4. 생태
흰배멧새는 밝은 숲이나 초지에 서식한다. 땅 위를 뛰어다니면서 풀씨와 곤충류를 먹으며, 땅 위나 근처의 낮은 곳에서 주로 활동한다.[1]
4. 1. 먹이
땅 위를 뛰어다니면서 풀씨와 곤충류를 먹는다. 땅 위나 땅 위 근처의 낮은 위치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1]4. 2. 울음소리
땅에서 나는 소리는 "찍 찍"이지만, 이동 시기에는 거의 울지 않는다.[1]참조
[1]
iucn
Emberiza tristrami
2021-11-11
[2]
journal
First record of Tristram's Bunting Emberiza tristrami from India
https://www.academia[...]
2015-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