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리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수리강은 만주어로는 Usuri Ula 또는 Dobi Bira, 몽골어로는 Üssüri Müren으로 불리며, "그을음처럼 검은 강"을 의미한다. 고대부터 퉁구스계 민족과 중국, 조선 간의 교역 및 전쟁이 있었으며, 발해는 우수리강 상류를 영토로 삼았다.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동쪽 지역이 러시아령이 되었고, 만주국 시대에는 국경을 이루었다. 1945년 소련군의 만주 침공 이후 중소 영토 분쟁이 있었으나, 1991년 중러 양국은 국경 확정을 완료했다. 주요 지류로는 아르세니예프카강, 순가차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강 - 아무르강
아무르강은 몽골 고원에서 발원하여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따라 흐르며 오호츠크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흑룡강으로 불렸고,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이자 중·러 관계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풍부한 수산자원을 가지나 수질 오염 문제도 겪고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강 - 마야강
마야강은 러시아 주그주르 산맥에서 발원하여 알단 강과 합류하며 V자 모양의 유역과 여러 지류를 가진 강으로, 겨울에는 얼어붙고 과거에는 수운과 어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강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강 - 라즈돌나야강
라즈돌나야강은 중국 지린성에서 발원하여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거쳐 아무르만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우수리스크 건설 지점이고 한반도와 연해주의 강들 중 넓은 유역 면적을 가지며, 현재 주변 지역의 경제 및 생태계와 중-러 교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헤이룽장성의 강 - 아무르강
아무르강은 몽골 고원에서 발원하여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따라 흐르며 오호츠크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흑룡강으로 불렸고,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이자 중·러 관계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풍부한 수산자원을 가지나 수질 오염 문제도 겪고 있다. - 헤이룽장성의 강 - 눈강
눈강은 다싱안링 산맥에서 발원하여 헤이룽장성과 내몽골 자치구를 흐르며 쑹화강의 주요 지류이고, 하류의 쑹눈 평원은 중국의 중요한 곡창 지대이자 목초지이며, 역사적으로 교통로 역할을 했고, 환경 문제에도 직면했으나 주요 습지들은 보호받고 있다.
| 우수리강 | |
|---|---|
| 지도 정보 | |
| 이름 | |
| 로마자 표기 | usuri ula |
| 중국어 간체 | 乌苏里江 |
| 중국어 정체 | 烏蘇里江 |
| 병음 | Wūsūlǐ Jiāng |
| 웨이드-자일스 | |
| 간화자 | Usulii Jiang |
| 러시아어 | река Уссури |
|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 | reka Ussuri |
| 일본어 | ウスリー川 |
| 일본어 로마자 표기 | Usurī Kawa |
| 기본 정보 | |
| 위치 | 중국, 러시아 |
| 길이 | 897km |
| 유역 면적 | 193,000km2 |
| 평균 방류량 | 1,620m3/s |
| 하구 | 아무르강 |
| 지리 | |
| 발원지 표고 | 1682m |
| 유역 | 러시아 연해주 중국 |
| 람사르 등록 습지 | 둥팡홍 습지 국가급 자연 보호 구역 (https://rsis.ramsar.org/ris/2185) 헤이룽장성 전바오다오 습지 국가급 자연 보호 구역 (https://rsis.ramsar.org/ris/1978) 싼장 국가급 자연 보호 구역 (https://rsis.ramsar.org/ris/1152) |
2. 명칭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모든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내용을 작성하지 않음)
우수리강은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만주어로는 Usuri Ulamnc 또는 Dobi Biramnc(여우 강)라고 불렸고, 몽골어로는 Üssüri Mürenmon이라고 불렸다. "Ussuri"는 만주어로 "그을음처럼 검은 강"을 의미한다.[5]
3. 역사
3. 1. 고대 ~ 청나라
고대부터 우수리강 양안에는 퉁구스계 민족인 숙신, 읍루, 물길, 말갈, 여진 등이 거주하며 활동했다. 이들은 중국이나 조선과 교역하기도 했고, 때로는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1]
당나라 시기(6세기~9세기)에는 물길이 말갈로 불리게 되었으며, 남쪽의 속말말갈과 북쪽의 흑수말갈로 나뉘었다. 속말말갈은 발해를 건국하여 우수리강 상류 지역을 영토로 삼았고, 흑수말갈은 우수리강 동쪽 강변과 하류 지역에서 활동했다.[1] 흑수말갈은 이후 여진족으로 이어졌으며, 원나라 시대에는 이들의 땅인 우수리강 유역을 관리하기 위해 수달달로(水達達路)와 아속골아천호부(阿速骨児千戸府)가 설치되었다.[1]
명나라 시대에는 여진족을 관리하기 위해 여러 위(衛)를 설치했다. 현재의 후린시 후터우진(虎頭鎮) 맞은편 러시아 영토에 역마하위(亦麻河衛)를, 후린시 후린진(虎林鎮) 부근에 실리면위(失里綿衛)를, 요하현 부근에 실아올적위(失児兀赤衛)를, 요하현 다릉반도(大楞半島) 동쪽에 실목로하위(失木魯河衛)를 두었다. 또한, 푸위안시 맞은편 러시아 영토에는 아륜위(阿倫衛), 복리기위(伏里其衛), 희신위(喜申衛) 등을 설치했다.[1]
청나라 초기에는 닝구타 부도통의 관할 지역이었으나, 옹정제 시대에는 삼성 부도통의 관할로 변경되었다.[1] 이 시기 중국인과 만주인들은 우수리강을 오가며 유역의 여러 민족이나 아무르강 하구 맞은편에 사는 아이누 등으로부터 모피를 공납받고 중국 물품과 교환하는 무역을 했다.[1] 청나라 말기에는 중국인 농민들과 조선에서 건너온 농민들이 유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
1860년 러시아 제국과 청나라 사이에 베이징 조약이 체결되면서 우수리강 동쪽 지역(외만주)이 러시아 영토로 넘어갔다. 이 지역은 러시아의 프리모르스키주(Приморская область, 연해주)가 되었고, 연안에는 우수리 코사크가 배치되었다.[1]
3. 2. 베이징 조약 이후 ~ 현재
1860년 중러 베이징 조약 체결로 우수리강 동쪽의 외만주 지역이 러시아 제국 영토로 편입되었다. 이로써 우수리강 동쪽 강변은 모두 러시아의 연해주(프리모르스키주)가 되었고, 연안에는 우수리 코사크가 배치되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강 유역으로 중국인 농민과 조선에서 건너온 조선인 농민 등이 이주하여 정착하기 시작했다.
만주국 시대에 우수리강은 소련과 만주국의 국경이 되었으며, 관동군에 의해 엄격한 국경 경비가 이루어졌다. 일본은 연안부 평원에 자국민 개척단을 이주시켰고, 관동군은 우수리강을 향후 소련과의 전쟁을 대비한 방어선이자 연해주 침공 거점으로 삼기 위해 도시와 철도 등을 정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8월, 소련군은 대일 선전 포고 이후 8월의 폭풍 작전을 개시하며 우수리강을 건너 만주로 진격했고, 이는 관동군과 만주국의 붕괴로 이어졌다. 전후 성립된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은 초기에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우수리강을 통한 교류를 이어갔으나, 이후 이념 노선 갈등으로 관계가 악화되었다. 특히 우수리강과 아무르강 합류점의 섬 등 국경 지역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영토 분쟁이 발생했다. 1969년에는 우수리강의 사주인 전바오섬(다만스키섬)에서 대규모 군사 충돌(중소 국경 분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양국 간의 긴장은 1991년 동부 국경 확정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대부분 해소되었다.
4. 지리
우수리강은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이루는 강이다. 시호테알린산맥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러시아 연해주와 중국 헤이룽장성 사이의 자연적인 국경선을 형성한다. 총 길이는 약 897km이며, 유역 면적은 187000km2에 달한다.[1] 하바롭스크 동쪽에서 아무르강과 합류한다.
강은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얼어붙으며, 봄철 해빙기에는 유량이 크게 증가한다. 흥카호(싱카이호)에서 흘러나오는 순가차강을 비롯한 여러 지류가 우수리강으로 유입된다.
우수리강 유역은 역사적으로 발해의 영토에 속했으며, 한민족의 활동 무대이기도 했다. 근현대에는 러시아와 중국 간 국경 분쟁의 현장이 되기도 했는데, 특히 1969년 전바오섬 분쟁(다만스키섬 사건)은 양국 관계에 큰 긴장을 초래했던 사건이다.[2]
4. 1. 지류
우수리강의 주요 지류는 기원에서 하구 순으로 다음과 같다.- 아르세니예프카강 (좌)
- 순가차강 (좌)
- 무리강 (좌)
- 볼샤야우수르카강 (우)
- 비킨강 (우)
- 나오리강 (좌)
- 호르강 (우)
참조
[1]
서적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2]
서적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3]
기타
Уссури
http://bse.sci-lib.c[...]
[4]
서적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5]
웹사이트
Книги и статьи по топонимике
http://toponimika.ru[...]
2022-01-20
[6]
웹사이트
Dongfanghong Wetland National Nature Reserv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8
[7]
웹사이트
Heilongjiang Zhenbaodao Wetland National Nature Reserv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8]
웹사이트
San Jiang National Nature Reserv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