か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か'는 일본어의 음절을 나타내는 가나 문자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히라가나 'か'는 초서체로 쓰인 '加'에서 유래되었고, 가타카나 'カ'는 '加'의 일부에서 유래되었으며 한자 '力'과 형태가 같다.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くわ(くゎ)'로 표기되던 것이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か'로 표기된다. 컴퓨터, 점자, 모스 부호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며, 가가와현의 현기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か | |
---|---|
문자 정보 | |
히라가나 | か |
가타카나 | カ |
로마자 표기 | ka |
기타 표기 | 為替のカ (가와세 no "ka") 가행 |
IPA | [ka] [ɡa] [ŋa] [ɣa] |
문자 정보 (탁음) | |
히라가나 (탁음) | が |
로마자 표기 (탁음) | ga |
유래 | |
히라가나 유래 | 加의 초서체 |
가타카나 유래 | 加의 偏 (변) |
매니요가나 | |
히라가나 매니요가나 | 加 |
가타카나 매니요가나 | 加 |
기타 매니요가나 | 可 何 加 架 香 蚊 迦 |
탁음 매니요가나 | 我 何 賀 |
코드 정보 | |
유니코드 (히라가나) | 304B |
JIS (히라가나) | 1-4-11 |
유니코드 (가타카나) | 30AB |
JIS (가타카나) | 1-5-11 |
기타 정보 | |
헵번식 로마자 표기 | KA |
훈령식 로마자 표기 | KA |
JIS X 4063 | ka |
아이누어 | KA |
사용 언어 | 일본어, 아이누어 |
IPA (아이누어) | kä |
음 (아이누어) | 청음 |
2. 역사
히라가나 'か'는 加(더할 가) 자의 초서체에서 유래했으며, 가타카나 'カ'는 加 자의 일부분에서 유래했다. 1900년 이전에는 한자 可(옳을 가)에서 유래한 변체 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くわ(くゎ)'로 쓰던 것은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か'로 쓴다. 일부 지방에서는 'くゎ'로 발음하기도 한다.
2. 1. 가나의 기원
히라가나 'か'는 '加'(더할 가) 자의 초서체에서 유래했다. 가타카나 'カ'는 '加' 자의 일부분에서 유래했다. 1900년 이전에는 한자 '可'(옳을 가)에서 유래한 변체 가나 ''가 널리 쓰였다.2. 2. 역사적 가나 표기법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くわ(くゎ)'로 쓰던 것은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か'로 쓴다. 일부 지방에서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くわ'라고 쓰던 'か'를 현재에도 'くゎ'라고 발음한다.3. 음운
현대 표준 일본어에서 'か' 행의 음절은 무성 연구개 파열음 [k]와 모음 /a/, /i/, /u/, /e/, /o/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1]
청음 'か'는 혀의 뒤쪽 부분을 연구개에 밀착시켜 막았다가 터뜨려서 내는 소리(무성음)이고,[1] 탁음 '가'는 혀의 뒤쪽 부분을 연구개에 밀착시켜 막았다가 터뜨려서 내는 소리(유성음)이다.[1]
로마자 표기는 다음과 같다.[1]
- か: '''ka'''
- が: '''ga'''
3. 1. 현대 일본어
현대 표준 일본어에서 'か' 행의 음절은 무성 연구개 파열음 [k]와 모음 /a/, /i/, /u/, /e/, /o/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1]- 청음 'か': 혀의 뒤쪽 부분을 연구개에 밀착시켜 막았다가 터뜨려서 내는 소리. 무성음.[1]
- 탁음 '가': 혀의 뒤쪽 부분을 연구개에 밀착시켜 막았다가 터뜨려서 내는 소리. 유성음.[1]
로마자 표기는 다음과 같다.[1]
- か: '''ka'''
- が: '''ga'''
3. 2. 비탁음
か゚|가゚일본어는 콧소리를 내면서 혀의 뒤쪽을 연구개에 붙였다 떼는 소리이다. (유성음)[1]4. 획순
히라가나 'か'는 3획, 가타카나 'カ'는 2획으로 이루어져 있다.
4. 1. か

히라가나 'か'는 3획으로 이루어져 있다.[1]
# 왼쪽을 향하는 갈고리로 끝나고 꺾이는 가로 획.
# 첫 번째 획을 가로지르는 곡선 세로 획.
# 오른쪽에 있는 작은 곡선.
4. 2. カ

가타카나 'カ'는 2획으로 이루어져 있다.[1]
# 왼쪽을 향하는 갈고리로 끝나고 꺾이는 가로 획.
# 첫 번째 획을 가로지르는 곡선 세로 획.[1]
5. 문자 표현
'か'는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낸다.
종류 | 문자 | 유니코드 |
---|---|---|
히라가나 | か | 304B |
가타카나 | カ | 30AB |
히라가나 (작은 글자) | ゕ | 3095 |
가타카나 (작은 글자) | ヵ | 30F5 |
히라가나 (탁음) | が | 304C |
가타카나 (탁음) | ガ | 30AC |
일본어에서 'か'행의 탁음은 'が'로 표현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문자 표현 방식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통화표를 나타낼 때는 "가와세노 카"(為替のカ)라고 하며, 이는 "환전의 카"를 의미한다.[1] 모스 부호로는 '・-・・'로 표현된다.[1]
5. 1. 컴퓨터 부문
'か'행 문자와 탁음 'が'행 문자는 다양한 문자 인코딩 방식에서 표현된다. 다음은 주요 인코딩 방식과 해당 문자들의 코드값을 나타낸 표이다.문자 | 유니코드 | Shift JIS | EUC-JP | GB 18030 | EUC-KR/UHC | Big5 (non-ETEN) | Big5 (ETEN/HKSCS) |
---|---|---|---|---|---|---|---|
히라가나 か | 304B | 82 A9 | A4 AB | A4 AB | AA AB | C6 AF | C6 F1 |
가타카나 カ | 30AB | 83 4A | A5 AB | A5 AB | AB AB | C7 43 | C7 A7 |
반각 가타카나 カ | FF76 | B6 | 8E B6 | 84 31 97 38 | |||
히라가나 (작은 글자) ゕ | 3095 | 83 95 | A5 F5 | A5 F5 | AB F5 | C7 AF | C7 F1 |
가타카나 (작은 글자) ヵ | 30F5 | 82 F3 | A4 F5 | 81 39 A6 37 | |||
히라가나 が | 304C | 82 AA | A4 AC | A4 AC | AA AC | C6 B0 | C6 F2 |
가타카나 ガ | 30AC | 83 4B | A5 AC | A5 AC | AB AC | C7 44 | C7 A8 |
원형 가타카나 ㋕ | 32D5 | 81 39 D2 31 |
5. 2. 점자
kaga
kā
gā
kya
gya
kyā
gy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