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금 콜레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금 콜레라는 18세기부터 알려진 조류 질병으로, Pasteurella multocida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급성 및 만성 형태로 나타나며, 감염된 조류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주요 전파 원인이다. 급성형은 높은 치사율을 보이며, 설사,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만성형은 육수의 부종이 특징적이다. 진단은 세균 분리 및 염색을 통해 이루어지며, 항생제 치료와 백신 예방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 천수만에서 야생 조류 집단 폐사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캐나다 북극 등지에서도 발병 사례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 질병 - 브루셀라증
    브루셀라증은 브루셀라 속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오염된 유제품 섭취나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혈액 배양이나 세로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항생제 병용으로 치료하고, 철저한 위생 관리가 예방에 중요하다.
  • 동물 질병 - 괴혈병
    괴혈병은 비타민 C 부족으로 생기는 병으로,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피부에 문제가 생기고 상처가 잘 낫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며, 감귤류를 먹으면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가금 콜레라
질병 정보
질병 이름가금 콜레라 (닭 콜레라)
다른 이름조류 콜레라
수의학 분야세균학, 수의학
병원체파스퇴렐라 multocida
감염 대상
증상기력 저하
식욕 부진
깃털 거칠어짐
콧물
호흡 곤란
설사
패혈증
급사의 증가
진단 방법임상 증상 관찰
부검 소견 확인
원인균 분리 및 동정
전염 경로감염된 조류와의 직접 접촉, 오염된 사료나 물 섭취
예방 방법백신 접종, 철저한 위생 관리
치료 방법항생제 투여
추가 정보
질병의 특징급성 패혈증성 전염병
발생 시기주로 늦가을부터 봄까지 발생
경제적 영향폐사율 증가로 인한 농가 경제적 손실

2. 역사

가금 콜레라의 발생은 18세기부터 알려져 있었다.[4] 1880년대에 루이 파스퇴르가 원인균을 최초로 분리하여 규명하였다.[23] 파스퇴르는 백신 개발도 시도하였으나 성공적이지는 못했다.[5][6]

원래 유럽의 토착 질병이었던 가금 콜레라는 1943년-1944년 무렵 북아메리카의 야생 조류에서도 발병이 확인되면서[23][4] 점차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도 야생 조류의 대규모 폐사 사례가 보고되었다.[24][25][9]

2. 1. 대한민국에서의 발병 사례

2000년 10월 대한민국 천수만의 철새도래지에서 가금 콜레라가 발생하여 1만 마리가 넘는 야생 조류가 폐사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는 감염성 질병으로 인해 한국에서 야생 조류가 집단으로 폐사한 첫 번째 사례로 기록되었다.[24]

2. 2. 세계적인 발병 사례

가금 콜레라는 18세기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1879년 루이 파스퇴르는 장 조제프 앙리 투생 교수로부터 균 샘플을 받아 연구를 시작했다.[4] 1880년 파스퇴르는 원인균을 분리하고[23] 백신 연구를 발표했으나,[5] 이 백신은 실제로는 효과가 불규칙하여 실패한 것으로 평가된다.[6]

원래 유럽의 토착 질병이었던 가금 콜레라는 1943-44년 무렵 북아메리카에서도 처음 기록되었고,[4][23] 이후 야생 조류에서 거의 매년 발병이 보고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특히 북미의 야생 물새에게서 흔하게 발생한다.[4]

한국에서는 2000년 10월 천수만 철새도래지에서 발생하여 1만 마리 이상의 야생 조류가 폐사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는 한국에서 야생조류가 감염성 질병으로 집단 폐사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다.[24]

2011년에는 캐나다 북극 지역과 그린랜드 등 북극권에서 발병하여 수천 마리의 솜털오리가 집단 폐사했으며, 과학자들은 확산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25][7][8] 2015년 3월에는 미국 아이다호 북부에서 눈기러기가 봄철 이동 중 캐나다로 향하던 중 약 2,000마리가 가금 콜레라로 폐사했다.[9][10]

3. 원인

가금 콜레라의 원인균은 ''Pasteurella multocida''라는 세균이다.[13]

3. 1. 전파 요인

발병의 주된 원인은 감염된 조류와의 직접 접촉이며, 다른 세균성 감염병과 달리 분뇨에 의한 전파율은 낮은 편이다. 따라서 가금류의 경우, 케이지 사육보다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육하는 방식에서 발병률이 더 높게 나타난다. 야생에서는 1만 마리 이상의 조류가 한꺼번에 폐사하는 사례도 보고되었다.[18]

가금 콜레라는 조류뿐만 아니라 포유류나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다. 특히 설치류와 같은 작은 포유류는 코 속에 병원균을 수년간 보유하며 지속적인 전파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19] 발병은 주로 춥고 습한 날씨(늦여름, 가을, 겨울)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발병 원인을 추적하면 번식장 내 설치류의 존재와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설치류는 부적절하게 처리된 감염 조류의 사체 등을 통해 질병을 퍼뜨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단 특정 무리에 질병이 유입되면, 해당 개체군이 도태될 때까지 질병이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만성 보균자는 감수성이 있는 다른 조류에게 질병을 재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야생 조류의 경우, 이 질병은 습지 환경과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11], 습지는 발병 기간 동안 토양과 물에 다량의 박테리아를 보유하며 단기적인 저장소 역할을 하지만, 장기적인 저장소는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가금 콜레라는 급성과 만성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 만성 형태: 주로 가금류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국소적인 감염과 함께 질병이 장기간 지속되는 특징을 보인다. 만성 감염은 눈기러기에게서 확인되었으며, 이들이 질병의 장기 이동 저장소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급성 형태: 감수성이 있는 조류 개체군에 병원균이 유입되면 발생한다. 감염된 조류는 보통 병원균에 감염된 후 6~12시간 이내에 폐사하며, 임상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다.[12] 물새는 밀집하여 서식하는 특성 때문에 ''Pasteurella multocida'' 감염에 가장 취약하며, 대규모 발병 시에는 청소 동물이나 다른 종류의 물새들도 영향을 받는다.[13]


병원체인 ''Pasteurella multocida''는 그람 음성 세균으로,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통성 혐기성 단간균이다. 한천 배지에서는 점액성(뮤코이드) 집락을 형성한다. 주요 감염 경로는 호흡기(기도)와 피부 접촉이다.

4. 증상

가금 콜레라는 임상적으로 급성형만성형의 두 가지 뚜렷한 형태로 나타난다.

급성형은 패혈증을 특징으로 하며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높은 치사율(70~80%)을 보인다.[20] 반면 만성형은 주로 국소적인 감염 형태로 나타나며, 육수의 부종, 종창, 결막염 등의 증상을 보인다.[20] 만성형은 급성 패혈증을 겪고 살아남은 개체에서 나타나거나, 저항성이 있는 품종에서 주로 관찰된다.[14]

이 질병은 주로 춥고 습한 날씨, 특히 늦여름, 가을, 겨울철에 발생하기 쉽다. 일단 감염이 발생하면 무리 내에서 지속되는 경향이 있으며, 만성 보균자는 질병 전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4. 1. 급성형

급성 가금 콜레라로 폐사한 조류는 폐혈증 증상을 보인다. 치사율은 70~80%로 매우 높다.[20] 이 질병은 주로 춥고 습한 날씨(늦여름, 가을, 겨울)에 발생한다. 야생 조류의 경우, 이 질병은 습지와 가장 흔하게 연관된다. 연구에 따르면[11] 습지는 발병 기간 동안 박테리아의 단기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저장소는 아니다.

발병 원인은 종종 번식장 내 설치류의 존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설치류는 부적절하게 처리된 감염 조류의 사체를 통해 질병을 퍼뜨리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단 질병이 특정 무리에 유입되면 도태될 때까지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만성 보균자는 감염에 취약한 다른 조류에게 질병을 다시 퍼뜨릴 수 있다.

감염에 취약한 조류 집단에 박테리아가 유입되면 급성 가금 콜레라가 발생한다. 감염된 조류는 박테리아에 노출된 후 6~12시간 안에 죽는 경우가 많으며, 아픈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게 보고된다.[12] 물새는 밀집 생활 특성상 ''파스퇴렐라 멀토시다''(Pasteurella multocida|파스퇴렐라 물토시다la) 감염에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지만[13], 청소 동물이나 다른 물새 역시 대규모 발병 시 감염될 수 있다.

급성 사례에서는 녹색 설사가 초기 증상일 수 있다. 또한 발열, 호흡 곤란, 육수나 계관이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때로는 폐사하기 몇 시간 전에야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발병 후 2~3일 만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사후 부검 시 급성 감염 사례의 가장 특징적인 병변은 심장 외막 지방 조직에서 관찰되는 점상 출혈이다. 괴사 병소 역시 흔하게 발견되며, 전반적인 충혈이 나타난다. 감염 및 사망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폐사한 조류는 비교적 양호한 신체 상태를 유지하며 장기간 질병을 앓은 징후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급성 패혈증에서 살아남은 조류는 만성형으로 진행되거나 회복할 수 있다.

4. 2. 만성형

만성형 가금 콜레라는 급성형과 달리 국소 감염이 주를 이루며 질병이 장기간 지속되는 특징을 보인다.[14] 주로 가금류, 특히 저항성이 있는 토종 품종에서 더 흔하게 관찰된다.[14] 급성 패혈증을 겪고 살아남은 개체가 만성형으로 이행하거나 회복하는 경우가 있다.

만성형의 주요 증상으로는 육수의 부종이 가장 대표적이며,[14] 그 외에도 종창이나 결막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0] 감염은 전신으로 퍼지기보다는 특정 부위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부비동, 공기뼈, 뒷다리 관절, 흉골 점액낭, 발바닥, 복강, 난관 등 호흡기와 관련된 부위에서 발생한다.[14]

만성 감염 상태의 조류는 보균자 역할을 하여 감수성이 있는 다른 조류에게 질병을 다시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눈기러기는 만성 감염 상태로 질병의 장기적인 이동 저장소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단 질병이 한 무리에 발생하면, 도태될 때까지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5. 진단

메틸렌블루 염색 또는 김자 염색을 통해 양쪽으로 염색되는 작은 막대균(양염성 소간균)을 관찰하거나, 혈액 한천 배지를 이용하여 원인균을 분리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증상이 유사한 뉴캐슬병,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와는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6. 치료

테트라시클린과 같은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한다.[21] 산란용 암탉의 경우, 지속성 테트라시클린을 근육 주사하고 동시에 식수에도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일주일 안에 폐사율과 임상 증상이 줄어들지만, 닭 무리 안에 병원균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을 수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가금 콜레라를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법정전염병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감염된 가금류는 치료하지 않고 도태시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7. 예방

가금 콜레라의 원인균인 파스튜렐라 뮬토시다에 대한 백신이 개발되어 있다.[22] 개발된 백신에는 생백신과 불활화 백신이 있다. 일본에서는 백신이 사용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Avian pasteurellosi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2] 문서 Observation on an outbreak of fowl cholera in a parental broiler flock, Azrou, Morocco, October 2007
[3] 문서
[4] 간행물 Epizootiology of Avian Cholera in Wildfowl 1991
[5] 웹사이트 Œuvres complètes, vol. 6, p. https://gallica.bnf.[...]
[6] 문서 La pathologie des oiseaux Paris 1941
[7] 웹사이트 Avian cholera may spread in Arctic: scientists https://www.cbc.ca/n[...]
[8] 웹사이트 canada.com - Page Not Found http://www.canada.co[...]
[9] 웹사이트 2,000 snow geese drop dead from the sky in Idaho http://www.cnn.com/2[...] CNN 2015-03-18
[10] 웹사이트 Press Releases http://fishandgame.i[...]
[11] 간행물 Persistence of Pasteurella multocida in Wetlands Following Avian Cholera Outbreaks 2006
[12] 간행물 Avian Cholera in Waterfowl: The role of Lesser Snow Geese and Ross's Geese Carriers in the Playa Lakes Region 2005
[13] 간행물 Multi-species patterns of avian cholera mortality in Nebraska's rainwater basin 2006
[14] 서적 Avian pasteurellosi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가금콜레라 http://kvcc.kahis.go[...] 2020-08-12
[16] 서적 Avian pasteurellosi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Fowl Cholera, Pasteurellosis http://www.thepoultr[...]
[18] 뉴스 '가금콜레라'로 천수만 철새 1만마리 떼죽음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0-10-31
[19] 웹사이트 가금 콜레라 http://www.kcfeed.co[...] 2017-12-01
[20] 뉴스 가금 콜레라는…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00-10-31
[21] 웹사이트 Tetracycline Hydrochloride Water Soluble Powder http://www.msd-anima[...] MSD Animal Health
[22] 웹사이트 Protection of chickens from fowl cholera by vaccination with recombinant adhesive protein of Pasteurella multocida. https://www.ncbi.nlm[...]
[23] 간행물 Epizootiology of Avian Cholera in Wildfowl 1991
[24] 뉴스 '가금 콜레라' 첫 발생…방역 비상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00-10-31
[25] 뉴스 Avian cholera may spread in Arctic: scientists http://www.cbc.ca/ne[...] CBC News 2011-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