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괴혈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괴혈병은 비타민 C 결핍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기록되었다. 대항해 시대에 많은 선원들이 괴혈병으로 사망했으며, 18세기에는 영국 해군에서 전쟁보다 더 많은 사망자를 낼 정도로 심각했다. 제임스 린드는 감귤류 과일 섭취를 통해 괴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밝혀냈고, 이후 제임스 쿡은 자우어크라우트와 과일을 섭취하여 괴혈병 사망자를 줄였다. 괴혈병은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 섭취를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비타민 C 보충제 복용도 가능하다. 치료는 비타민 C를 경구 또는 주사로 투여하며, 대부분 2주 이내에 회복된다. 현대에는 개발도상국, 노숙자, 편식, 극단적인 다이어트, 만성 알코올 중독자, 고빈도 흡연자 등에서 발병 위험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타민 C -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은 비타민 C로 불리는 수용성 유기 화합물로, 괴혈병 예방에 필수적이며 항산화 작용을 하고, 화학적 구조 규명 및 합성에 대한 공로로 노벨상이 수여되었으며, 식품 첨가물, 식이 보충제, 암 치료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비타민 C - 제임스 린드
    제임스 린드는 1716년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영국의 군의관이자 의사로, 괴혈병 연구를 통해 오렌지와 레몬의 효과를 밝혀냈으며, 해군 위생 개선에도 기여했다.
  • 영양실조 - 이종일 (1858년)
    조선 말기의 개화 사상가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인 이종일은 독립신문 창간 참여, 제국신문 사장 역임 등의 언론 활동과 천도교 입교 후 3·1 운동에 민족대표로 참여했으며, 해방 후에는 조선국문연구회 회장을 맡아 한글 맞춤법 연구에 기여했다.
  • 영양실조 - 열대성 스프루
    열대성 스프루는 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급성 설사로 시작하여 만성 설사, 지방변증, 체중 감소, 영양 결핍 등으로 이어지며, 항생제와 비타민 보충으로 치료한다.
  • 비타민 결핍 - 구루병
    구루병은 비타민 D 결핍, 칼슘 및 인 섭취 부족,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소아기에 뼈의 성장과 골화 과정에 장애가 생겨 뼈가 약해지고 변형되는 질환으로, 혈액 검사, 골밀도 검사, 방사선 촬영 등으로 진단하며 비타민 D와 칼슘 제제로 치료한다.
  • 비타민 결핍 - 코르사코프 증후군
    코르사코프 증후군은 티아민 결핍으로 발생하는 신경정신 질환으로, 심각한 기억 상실과 작화를 보이며, 알코올 중독이나 영양실조가 원인이고, 티아민 보충과 재활 치료로 증상 완화 및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알코올 중독 예방과 균형 잡힌 식단 유지가 중요하다.
괴혈병
질병 개요
이름괴혈병
영어 이름Scurvy
독일어 이름Skorbut
기타 이름묄러병
체들병
스코르부투스
바를로프병
저아스코르브산혈증
비타민 C 결핍
증상 및 징후
주요 증상쇠약
피로감
모발 변화
팔다리 통증
잇몸 질환
쉬운 출혈
이미지
괴혈병 잇몸
괴혈병 잇몸. 치아 사이의 삼각형 영역에서 잇몸의 발적이 보인다.
식별
DiseasesDB13930
ICD-10E54
ICD-9267
OMIM240400
MedlinePlus000355
eMedicinemed/2086
derm/521
ped/2073
radio/628
MeSHD012614

2. 역사

괴혈병은 고대 이집트 시대인 기원전 1550년경부터 기록된 오랜 질병이다.[20] 고대 그리스의 의사 히포크라테스도 괴혈병 증상을 기술했으며,[21][22] 로마 군단이 유럽 북부를 행군할 때도 유사한 질병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98][99] 서기 406년 중국 승려 법현은 괴혈병 예방을 위해 배에 생강을 실었다고 기록했다.[23][24] 그러나 명확하게 '괴혈병'으로 기록된 것은 범선 시대가 시작된 15세기 말 이후이다.[98][99]

대항해 시대(16세기~18세기)에 접어들면서 괴혈병은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에게 큰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 섭취가 어려워 비타민 C 결핍이 심각했기 때문이다.[100][101][102] 당시에는 원인을 몰랐기에 해적보다 더 두려워했으며,[98] 바스코 다 가마의 첫 인도 항해(1497년~1499년)에서는 선원 170명 중 116명이,[40]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세계 일주 항해(1519년~1522년)에서는 230명 중 208명이 괴혈병으로 사망했다.[40] 연구자들은 이 시기(1500년~1800년) 괴혈병으로 사망한 선원이 최소 2백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39][8]

흥미롭게도 지역에 따라 괴혈병 발병률에 차이가 있었다. 아라비아, 중국, 노르웨이 선원들은 비교적 덜 걸린 반면,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 등에서는 만연했다. 이는 항로 특성상 자주 상륙하여 신선 식품을 보급할 수 있었는지 여부와 관련이 깊었다.[103] 대형 선박의 등장과 항해 기간의 장기화는 신선 식품 확보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103]

괴혈병 문제 해결이 늦어진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었다. 비타민 C는 열이나 공기 노출, 건조 과정에서 쉽게 파괴되며, 당시 해군에서 주로 사용하던 구리 냄비는 비타민 C 손실을 더욱 가속화했다.[104] 갯개미취(scurvy grass)처럼 비타민 C가 풍부한 식물도 건조하면 효과가 거의 사라졌다.[105][106] 또한, 자우어크라우트처럼 예방 효과는 있지만 이미 발병한 환자에게는 큰 효과가 없는 식품도 있었고, '예방'이라는 개념 자체가 부족했다.[107] 비타민 C의 존재나 필수 영양소 결핍이 질병을 유발한다는 개념 자체가 당시에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경험적으로 감귤류의 효과는 점차 알려졌다. 바스쿠 다 가마의 원정(1497년)[25][27]페드루 알바르스 카브랄의 항해(1507년)[28]에서 감귤류의 치료 효과가 관찰되었다. 포르투갈인들은 귀항 길목인 세인트헬레나 섬에 과일나무와 채소를 심어 환자들을 치료하기도 했다.[29] 1536년 프랑스 탐험가 자크 카르티에는 세인트로렌스 이로쿼이족에게 배운 측백나무 잎 차(비타민 C 함유)로 부하들을 살렸다.[33][34] 1579년 스페인 의사 아구스틴 파르판은 저서에서 오렌지와 레몬을 치료제로 권장했으며,[36] 1593년 영국 제독 리처드 호킨스도 오렌지와 레몬 주스를 예방책으로 옹호했다.[41] 1601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제임스 랭커스터 선장은 항해 중 레몬 주스를 꾸준히 지급한 배에서는 괴혈병 사망자가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했다.[37][38] 존 우달 역시 1614년 저서에서 감귤류의 효과를 언급했다.[43] 그러나 이러한 경험적 지식은 비싸고 보관이 어렵다는 점, 명확한 의학적 근거 부족, 의사들의 잘못된 이론 등으로 널리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잊히곤 했다.[32][108]

본격적인 해결의 실마리는 1747년 영국 해군 군의관 제임스 린드의 실험에서 나왔다. 그는 괴혈병 환자 12명을 6개 조로 나누어 각기 다른 치료법(사과주, 희석 황산, 식초, 바닷물, 오렌지와 레몬, 연고 등)을 적용했다.[109][110] 그 결과 오렌지와 레몬을 섭취한 조가 6일 만에 눈에 띄게 회복되었다.[111] 린드는 1753년 논문에서 이 결과를 발표했지만, 감귤류의 효능을 산성 때문으로 오해하여 식초나 황산으로 대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거나, 가열하여 비타민 C가 파괴된 농축 주스(롭, rob)도 효과가 있다고 잘못 판단하는 한계를 보였다.[112][113]

제임스 쿡 선장은 린드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768년 첫 번째 남태평양 탐사 항해에서 괴혈병 예방에 힘썼다. 그는 선내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신선한 식량과 물을 자주 보급했으며,[114] 자우어크라우트와 과일을 꾸준히 섭취시켰다.[117] 그 결과 사상 최초로 괴혈병 사망자 없이 세계 일주에 성공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22][123] 하지만 쿡 역시 어떤 식품이 결정적인 효과를 냈는지 정확히 알지는 못했다. 당시 해군 위원회는 맥아즙, 휴대용 수프, 린드의 농축 오렌지 주스 등을 지급했지만, 이는 비타민 C가 파괴되었거나 부족하여 실제 효과는 미미했고, 주로 자우어크라우트 덕분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쿡과 군의관들 사이에서도 맥아즙과 감귤류 농축 주스(롭)의 효과에 대한 의견이 엇갈렸다.[125][126] 동행했던 식물학자 조지프 뱅크스는 일기에는 롭이 유효했다고 썼지만, 후년에는 맥아즙이 효과가 있었을 것이라고 모순된 발언을 하기도 했다.[127]

발언자맥아즙이 유효하다는 의견감귤류 롭이 유효하다는 의견
쿡 선장지금까지 중 최고의 치료이다군의관(제임스 배튼)이 여러 번 사용하여 큰 효과가 있었다.
맥아즙 쪽은 진행을 억제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치료 효과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페리(1번째 항해의 군의관)유효해서 잘 사용했다, 롭은 논외.롭은 유효, 맥아즙은 효과가 없었다.
배튼(2번째 항해 군의관)맥아즙이 가장 뛰어난 치료법이었다[126]



쿡의 항해를 지원했던 존 프린글 경은 쿡의 공로를 치하하는 자리에서 맥아즙의 효과만 강조했고,[128] 비싼 감귤류 대신 맥아즙이 영국 해군의 공식 괴혈병 대책으로 채택되면서 이후에도 괴혈병 문제는 계속되었다.[129][130][131] 미국 독립 전쟁 시기에는 선내 환경 악화로 괴혈병이 더욱 심각해져, 1780년에는 영국 함대 병력의 1/7이 괴혈병으로 쓰러지는 일도 발생했다.[132]

상황을 바꾼 것은 1780년 서인도 제도 함대에 부임한 군의관 길버트 브레인이었다.[133] 그는 린드와 쿡의 자료를 분석하고 함대 전체의 건강 통계를 내어, 감귤류(오렌지, 레몬, 라임)가 괴혈병 예방과 치료에 필수적이며 맥아즙은 효과가 거의 없다고 해군 본부에 강력히 주장했다. 또한 수병들의 위생 환경 개선을 촉구하며 "건강한 전력이야말로 국가의 자원"이라고 역설했다.[134] 그의 노력 덕분에 1795년 영국 해군은 전 함대에 매일 레몬 주스를 지급하기 시작했고,[137] 1799년 이후 괴혈병은 극적으로 감소했다. 하슬러 해군 병원의 괴혈병 환자 비율은 1782년 1000명당 329명에서 1799년 20명으로 줄었고, 1815년에는 단 2명만 보고될 정도였다.[138]

하지만 "왜 감귤류가 효과적인가"는 여전히 미스터리였다.[139] 19세기 중반, 영국 해군이 지중해산 레몬 대신 서인도 제도산 라임 주스를 사용하면서 문제가 다시 발생했다. 라임은 레몬보다 비타민 C 함량이 적어(10mg~17mg/21ml vs 레몬의 1/2~1/3)[140] 보존 상태가 나쁘면 괴혈병 예방에 필요한 최소량(매일 6mg~12mg)을 밑돌았기 때문이다.[141] 이로 인해 1875년 조지 네어스의 북극 탐험대가 괴혈병으로 고생하는 등, 특히 장기 항해가 필요한 극지 탐험대나 고래잡이배에서 문제가 되었다.[142] 영국인을 '라이미(limey)'라고 부르는 미국 속어는 영국 해군의 라임 주스 복용에서 유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병사를 '크라우트(kraut)'라고 부른 것도 독일 해군이 자우어크라우트를 계속 사용했기 때문이다.

러일 전쟁 중 뤼순(여순)항에 고립된 러시아군 사례는 괴혈병의 비극적인 결과를 잘 보여준다. 일본군에 의해 항구가 봉쇄되자 신선한 야채 공급이 끊겼고, 비축 식량은 충분했지만 비타민 C 부족으로 괴혈병 환자와 사망자가 속출했다. 군의 사기가 떨어져 결국 1년도 버티지 못하고 1905년 1월 2일 항복했다. 점령 후 일본군이 러시아군 창고에서 다량의 을 발견했지만, 러시아인들은 콩을 삶아 먹을 줄만 알았지, 비타민 C가 풍부한 콩나물로 만들어 먹을 생각을 하지 못해 비극을 피하지 못했다.

20세기 초, 로버트 팰컨 스콧남극 탐험대는 괴혈병의 원인을 통조림 고기의 '부패독'으로 잘못 알고 있었으나, 신선한 물개 고기를 먹고 병이 낫는 것을 경험했다.[70][71][72] 1907년, 노르웨이 의사 악셀 홀스트와 테오도르 프롤리히는 각기병 연구 중 우연히 기니피그에게 괴혈병을 유발하는 동물 모델을 발견했다.[73] 이는 비타민 C 연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1915년 갈리폴리 전역에서는 뉴질랜드 군인들이 비타민 C 부족으로 괴혈병에 시달렸고,[74] 북극 탐험가 빌야머르 스테판손은 이누이트족의 육식 위주 식단이 괴혈병을 유발하지 않음을 직접 증명했다.[75]

마침내 1927년, 헝가리 생화학자 알버트 센트-죄르지가 소의 부신에서 '헥수론산'이라는 물질을 분리했고,[76] 1932년 미국 연구원 찰스 글렌 킹이 이 물질이 바로 괴혈병을 막는 비타민 C임을 증명했다.[77] 헥수론산은 '아스코르브산'으로 명명되었고, 이듬해 1933년 영국의 월터 하워스가 구조를 밝혀내고 폴란드의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등이 인공 합성에 성공하면서 인류는 괴혈병에 대한 완전한 대처법을 갖게 되었다.[143]

2. 1. 한국 역사 속 괴혈병

(내용 없음)

3. 원인

괴혈병은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인간은 L-굴로노락톤 산화효소(GULO)라는 효소가 없어 체내에서 비타민 C를 스스로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10]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비타민 C는 우리 몸의 중요한 구조 단백질인 콜라겐 합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콜라겐은 혈관, 근육, 피부, 뼈, 연골, 상아질 등 다양한 결합 조직을 구성하고 튼튼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8] 비타민 C는 콜라겐을 만드는 과정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프롤린라이신이 각각 히드록시프롤린과 히드록시라이신으로 바뀌는 수산화 반응을 돕는다. 이 반응은 프롤릴 수산화 효소와 라이실 수산화 효소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비타민 C는 이 효소들이 제대로 기능하도록 돕는 보조 인자 역할을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히드록시프롤린과 히드록시라이신은 콜라겐 분자들이 서로 단단하게 연결(가교 결합)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는 데 중요하다.

비타민 C가 부족하면 정상적인 콜라겐 합성이 어려워져 결합 조직이 약해진다. 이로 인해 모세혈관이 쉽게 손상되어 비정상적인 출혈이나 멍이 들고, 내부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뼈의 주요 구성 성분인 콜라겐 부족은 뼈 형성에 문제를 일으켜 뼈가 약해지고 쉽게 부러지며, 치아가 흔들리게 된다. 심한 경우, 과거에 치유되었던 골절 부위가 다시 벌어질 수도 있다.[8] 결함이 있는 콜라겐 섬유 형성으로 인해 상처 치유 과정 역시 지연된다.

괴혈병 초기에는 불쾌감이나 무기력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비타민 C 부족으로 카르니틴 합성이 줄어 지방산 대사에 문제가 생기거나, 카테콜아민 합성이 부족해져 세포의 에너지원인 ATP 생산이 감소하기 때문일 수 있다.[4]

무릎 관절의 엑스레이. 화살표는 괴혈병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변화(괴혈병 선)를 가리킨다.


괴혈병은 주로 영양실조 상태에서 다른 미량 영양소 결핍 질환(각기병, 펠라그라 등)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외부 식량 지원에 의존하는 지역에서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11] 현대 서구 사회에서는 성인에게 괴혈병이 드물지만, 식단 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운 영유아나 노인에게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 모유에는 산모가 비타민 C를 충분히 섭취할 경우 아기에게 필요한 양이 함유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 상업용 우유는 살균 과정에서 열에 약한 천연 비타민 C가 파괴될 수 있다.[8] 드물지만, 선진국에서도 극단적인 식단 선택 등으로 인해 괴혈병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기도 한다.[12][13] 치료하지 않으면 괴혈병은 예외 없이 치명적이다.[14]

4. 증상

괴혈병의 초기 증상으로는 불쾌감과 무기력증이 나타난다.[9] 비타민 C 결핍이 1~3개월 정도 지속되면 숨이 가빠지고 골통(뼈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9] 근육통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카르니틴 생산 감소와 관련될 수 있다.[9]

시간이 지나면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멍이 쉽게 들고, 잇몸 질환이나 치아 흔들림, 상처 치유 지연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9][95] 정서적 변화가 신체 증상보다 먼저 나타나기도 한다.[9] 말기에는 황달, 전신성 부종, 신경병증, 열, 경련 등이 나타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9]

괴혈병의 구체적인 증상은 성인과 어린이에게서 다소 차이가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설명한다.

4. 1. 성인

건강한 성인의 몸에는 보통 900mg~1500mg의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이 존재한다.[95] 체내 비타민 C가 부족해지면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데, 초기에는 불쾌감과 무기력증, 탈진, 체중 감소, 근육통, 관절의 둔한 통증 등이 느껴진다.[9][95] 이러한 초기 증상은 체내 아스코르브산이 500mg 미만으로 감소했을 때 나타나기 시작한다.[95]

비타민 C 결핍이 1~3개월 정도 지속되면 숨이 가빠지고 골통(뼈 통증)이 발생한다.[9] 근육통카르니틴 생산 감소와 관련 있을 수 있다.[9] 또한 피부가 거칠어지고 쉽게 이 들며, 작은 붉은 반점인 점상 출혈이 나타난다.[9] 잇몸 질환이 생겨 치아가 흔들리거나 빠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취가 발생하기도 한다.[9][95] 피부점막, 잇몸에서의 출혈도 흔하다.[9][95] 모낭 주위에 출혈이 생기거나 각질이 쌓이는 모낭성 과각화, 머리카락이 나선형으로 변하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94]

그 외에도 상처 치유가 더뎌지고,[9][95] 오래된 상처가 다시 벌어지기도 한다.[9][95]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고,[9][95] 저색소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9][95] 신체 변화보다 먼저 정서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도 있으며,[9] 쇼그렌 증후군과 유사하게 입안과 눈이 마르는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9]

이러한 증상들은 보통 3개월에서 12개월에 걸친 장기간의 심각한 비타민 C 결핍 상태에서 나타난다.[9][96] 괴혈병이 매우 심해지면 황달, 전신 부종, 핍뇨(소변량 감소), 신경병증, 열, 경련 등이 발생하며, 결국 사망에 이를 수 있다.[9] 심한 경우 골절되었던 뼈가 다시 분리되기도 한다.[95] 범선 시대에 선원들이 만성적인 괴혈병을 앓았던 것은 출항 전부터 비타민 C가 부족한 생활을 했기 때문이다.[96]

4. 2. 어린이

어린이 괴혈병은 주로 생후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발생하며, '''메렐-바로우 병'''이라고도 불린다.[97]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5. 진단

괴혈병 진단은 일반적으로 신체 징후, X-레이 검사 결과, 그리고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이루어진다.[5]

괴혈병은 임상 증상이나 엑스레이 사진 소견이 다른 여러 소아 질환과 유사할 수 있어 감별 진단이 중요하다. 감별해야 할 주요 질환은 다음과 같다.


  • 구루병
  • 골연골이형성증, 특히 골형성부전증
  • 블라운트병
  • 골수염
  • 관절염, 출혈성 질환, 치은염, 단백질-에너지 영양실조[94]

6. 예방

괴혈병은 식이 비타민 C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인간은 체내에서 비타민 C를 합성할 수 없으므로[10],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식단에 충분한 비타민 C가 포함되어 있다면 괴혈병은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10]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괴혈병 예방의 핵심이다. 특히 신선한 과일과 채소는 좋은 비타민 C 공급원이다. 비타민 C 함량이 높은 식품으로는 카무카무, 암라, 쐐기풀, 구아바, 블랙커런트, 키위, 고추, 파슬리, 브로콜리, 방울 양배추, 피망, 파파야, 딸기, 오렌지, 레몬, 라임, 양배추, 감자, 시금치 등이 있다.[15]

100 그램당 비타민 C 함유 식품
품목비타민 C 함량 (mg)
카무카무2000.00
암라610.00
쐐기풀333.00
구아바228.30
블랙커런트181.00
키위161.30
고추144.00
파슬리133.00
키위92.70
브로콜리89.20
방울 양배추85.00
피망80.40
파파야62.00
딸기58.80
오렌지53.20
레몬53.00
양배추36.60
시금치28.00
순무27.40
감자19.70



동물의 신선한 고기, 특히 내장에도 괴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비타민 C가 포함되어 있다.[16] 과거 스콧의 1902년 남극 탐험에서는 신선한 물개 고기를 섭취하여 괴혈병 증상을 완화시킨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17]

비타민 C는 열에 약하여 조리 과정에서 쉽게 파괴될 수 있다. 과거 영국 해군에서 괴혈병 예방책으로 지급했던 농축 오렌지 주스는 가열 처리로 인해 비타민 C가 파괴되어 실제 효과는 미미했다. 따라서 비타민 C 섭취를 위해서는 가급적 식품을 신선한 상태로 먹는 것이 좋다.

현대 사회, 특히 서구권에서는 심각한 영양실조가 아닌 이상 성인에게 괴혈병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10] 대부분의 상업용 유아식에는 비타민 C가 첨가되어 있어 유아 괴혈병을 예방하며[8], 산모가 비타민 C를 충분히 섭취한다면 모유를 통해서도 아기에게 필요한 비타민 C가 공급된다.[8] 다만, 일반 우유는 살균 과정에서 열에 의해 천연 비타민 C 함량이 줄어들 수 있다.[8]

하지만 외부 식량 지원에 의존하는 지역에서는 여전히 괴혈병이 영양실조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11] (다른 미량 영양소 결핍증으로는 각기병, 펠라그라 등이 있다), 산업화된 국가에서도 편식과 같은 잘못된 식단 선택으로 인해 드물게 괴혈병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12][13]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영양 보충제 등을 통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비타민 C를 섭취하는 것은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15]

7. 치료

괴혈병은 비타민 C를 하루 10mg만 섭취해도 개선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하루 약 100mg의 용량이 권장된다.[18] 대부분의 환자는 2주 이내에 완전히 회복된다.[19]

제임스 린드, 괴혈병 예방 분야의 선구자


역사적으로 괴혈병 치료법에 대한 다양한 기록이 존재한다. 2009년 영국 글로스터셔주에서 발견된 1707년 작성된 가계부에는 여러 약재 레시피와 함께 "괴혈병 처방(Recp.t for the Scurvy)"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식물 추출물을 오렌지 주스, 백포도주 또는 맥주와 섞는 방식이었다.[45] 1734년, 네덜란드 라이덴의 의사 요한 바흐스트롬은 저서를 통해 괴혈병이 신선한 채소 섭취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치료법으로 사용할 것을 촉구했다.[46][47][48]

괴혈병 치료법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려는 노력은 18세기에 본격화되었다. 1747년, 영국 해군 외과 의사였던 제임스 린드는 의학 역사상 최초의 대조 임상 실험 중 하나를 통해 괴혈병이 감귤류 과일 섭취로 치료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50][49] 그는 HMS ''Salisbury'' 호에서 사과주, 비트리올(황산염), 식초, 해수, 오렌지, 레몬, 그리고 페루 발삼, 마늘, 몰약, 겨자씨, 뿌리 혼합물 등 다양한 치료법을 비교 실험했다. 린드는 1753년 출판된 《괴혈병에 관한 논문(A Treatise on the Scurvy)》에서[5][50] "모든 실험 결과, 오렌지와 레몬이 바다에서 이 질병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었다"고 결론지었다.[8][50]

하지만 린드의 발견은 즉각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그의 연구에서 이 실험 결과는 일부에 불과했으며, 린드 자신도 괴혈병의 원인을 과도한 노동, 나쁜 물, 습한 환경에서의 소금 절인 고기 섭취 등으로 복합적으로 보았기에 레몬 주스만을 단일 치료법으로 강력히 주장하지 않았다.[8][51] 또한, 그는 레몬 주스를 끓여 농축시키는 과정에서 비타민 C를 파괴하는 실수를 범하기도 했다.[8]

18세기 영국 해군은 괴혈병으로 막대한 인명 손실을 겪었다. 조지 앤슨 제독의 유명한 세계 일주 항해(1740-1744)에서는 항해 시작 10개월 만에 승무원 약 2,000명 중 1,300명이 괴혈병으로 사망했다.[8][52] 7년 전쟁 기간(1756-1763) 동안 영국 해군은 184,899명의 선원을 동원했는데, 이 중 133,708명이 실종되거나 질병으로 사망했으며, 괴혈병이 주요 원인이었다.[53] 당시 선원들과 일부 해군 외과 의사들은 감귤류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지만, 주류 의학계는 이를 비과학적인 일화로 치부하며 소화 불량으로 인한 내부 부패 질환이라는 기존 이론을 고수했다. 이 때문에 황산을 포함한 소화 촉진제 등이 공식적인 치료법으로 권장되었다.

1764년에는 데이비드 맥브라이드 박사와 존 프린글 경 등이 괴혈병이 조직 내 '고정된 공기' 부족 때문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며, 맥아와 맥아즙 섭취를 해결책으로 주장했다.[54] 이 이론은 제임스 쿡 선장의 첫 번째 세계 일주 항해(1768-1771) 당시 큰 영향을 미쳤고, 쿡은 맥아와 맥아즙의 효과를 검증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의 탐험 목록에는 맥주, 자우어크라우트(비타민 C 공급원), 린드의 농축 레몬 주스('로브') 등도 있었지만, 신선한 레몬은 포함되지 않았다.[55] 쿡 선장은 HM Bark Endeavour 호 항해 중 괴혈병으로 단 한 명의 선원도 잃지 않았는데, 이는 맥아즙의 효과보다는 그가 강조했던 선내 청결 유지, 신선한 음식과 채소의 잦은 보급 덕분이었던 것으로 현재 평가된다.[56] 또한, 쿡은 당시 해군에서 흔했던 구리 솥에서 걷어낸 소금 지방 섭취를 금지했는데, 이는 구리 화합물이 비타민 흡수를 방해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었다.[57]

한편, 스페인 해군의 알레산드로 말라스피나가 이끈 탐험(1789-1794)은 괴혈병을 거의 겪지 않은 최초의 장거리 항해 중 하나였다. 의료 책임자 페드로 곤잘레스는 신선한 오렌지와 레몬의 중요성을 확신했고, 56일간의 항해 중 단 한 차례 발병했을 때도 에서 신선한 과일을 보충하여 3일 만에 환자들을 회복시켰다. 이는 스페인 제국의 광범위한 기항지 덕분에 신선한 과일 확보가 용이했기 때문이기도 하다.[58]

18세기 말, 영국 해군 내에서는 지브롤터 포위전 등 실제 경험을 통해 레몬 주스의 효과에 대한 확신이 커지고 있었다. 길버트 블레인[59]과 토마스 트로터[60] 같은 전문가들의 주장과 해군 지휘관들의 보고가 이를 뒷받침했다. 1793년 전쟁 발발로 괴혈병 예방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자, 가드너 제독과 같은 지휘관들이 직접 레몬 공급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1794년 5월 2일, 피터 레이니어 제독이 지휘하는 HMS ''Suffolk''와 두 척의 슬루프가 동쪽으로 항해할 때 레몬 주스와 설탕이 충분히 공급되었다. 1795년 3월, ''서폭''이 4개월간의 항해 후 괴혈병의 흔적 없이 출발할 때보다 더 건강한 승무원들과 함께 인도에 도착했다고 보고되었다.[61] 그 효과는 즉각적이었고, 함대 사령관들은 레몬 주스를 공급받기 위해 노력했다. 같은 해 6월, 영국 해군은 병든 및 부상자 위원회의 제안에 따라 모든 군함의 승무원에게 레몬 주스와 설탕을 매일 배급하기로 결정했다.[61]

함대 내 모든 선박에 배포하는 방법이 완성되고 필요한 방대한 양의 레몬 주스를 확보하는 데 몇 년이 걸렸지만, 1800년까지 시스템이 구축되어 작동했다. 이는 선원들 사이에서 놀라운 건강 개선으로 이어졌고, 아직 이러한 조치를 도입하지 않은 적과의 해상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괴혈병은 항해자들의 질병만은 아니었다. 초기 호주 식민지 개척자들도 겨울철 신선 식품 부족으로 괴혈병을 겪었으며, 이를 '봄 열' 또는 '봄 질환'이라 불렀다. 이후 이것이 괴혈병임이 밝혀지면서 해상에서 사용되던 치료법이 적용되었다.[62]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괴혈병과 비타민 C의 관계는 과학적 실험을 통해 명확히 규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을 대상으로, 1960년대 후반 미국 아이오와 주 교도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표적이다.[81][82] 이 연구들은 비타민 C가 극도로 결핍된 식단으로 유발된 괴혈병 증상이 하루 10mg의 비타민 C 보충만으로도 완전히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실험에서 하루 70mg의 비타민 C를 섭취한 사람(혈중 비타민 C 수치가 약 0.55 mg/dl로 조직 포화도의 약 3분의 1 수준)과 하루 10mg을 섭취한 사람(혈중 수치가 더 낮음) 사이에 임상적 차이는 없었다. 수감자 연구에 참여한 남성들은 비타민 C가 없는 식단을 시작한 지 약 4주 후에 괴혈병의 첫 징후가 나타난 반면, 영국 연구에서는 6~8개월이 걸렸는데, 이는 아마도 피실험자들이 괴혈병 유발 식단을 섭취하기 전에 6주 동안 하루 70mg의 보충제를 미리 섭취했기 때문일 것이다.[81]

비타민 C가 없거나 거의 없는 식단을 섭취한 두 연구의 남성들은 괴혈병 징후가 나타났을 때 혈중 비타민 C 수치가 너무 낮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고, 아이오와 연구에서는 이 시점에 (표지된 비타민 C 희석을 통해) 신체 내 비타민 C 풀이 300mg 미만이고 매일 2.5mg/일의 회전율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었다.[82]

현대적인 괴혈병 치료는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투여를 기본으로 한다. 성인의 경우,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하루 100~500mg을 3회 나누어 1~2주간 경구 투여한다. 이후에는 영양 상태 개선을 위해 하루 100~200mg을 포함하는 균형 잡힌 식사를 유지하는 것이 권장된다.

8. 현대의 괴혈병

대부분의 국가에서 괴혈병 발병률은 낮다.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영양실조에 걸린 개발도상국의 사람들이나 노숙자들이다.[78] 난민 캠프에서도 발병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79] 개발도상국에서는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 환자들에게서 괴혈병이 나타나는 사례 보고가 있었다.[80]

과거 대항해시대의 뱃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했던 괴혈병은 음식 저장 기술이 발달하고 대처법이 알려진 현대에는 드문 질병으로 여겨진다. 특히 신선한 음식이 풍부한 선진국에서는 발병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편식이나 극단적인 다이어트 등으로 인한 불규칙한 식생활, 과도한 스트레스 노출, 알코올 중독이나 흡연과 같이 비타민 C 감소와 직결되는 생활 습관이 장기화되면서, 선진국에서도 괴혈병에 걸릴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실제로 현대에도 선진국의 여러 곳에서 괴혈병 환자가 매년 보고되고 있다. 이들 환자의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를 장기간 섭취하지 않은 것 외에도 만성 알코올 중독자, 고빈도 흡연자, 독거노인이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고 있다.[144] 이는 특정 취약 계층에서 영양 불균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curvy https://rarediseases[...] 2016-09-01
[2] 웹사이트 Vitamin C https://ods.od.nih.g[...] 2016-02-11
[3] 서적 Quick Look: Metabolism Hayes Barton
[4] 웹사이트 Vitamin C https://lpi.oregonst[...] 2014-04-22
[5] 논문 Scurvy in pediatric age group - A disease often forgotten? 2015-06
[6] 서적 Globalisation, Migration and Healt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6
[7] 서적 Mankind: The Story of All of Us https://books.google[...] Running Press 2012
[8] 간행물 The Age of Scurvy https://www.scienceh[...] 2018-04-17
[9] 논문 Scurvy Clinical Presentation http://emedicine.med[...]
[10] 논문 Vitamin C deficiency and deple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 to 1994
[11] 보고서 Area of work: nutrition. Progress report 2000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06-04
[12] 논문 Scurvy from self-imposed diet
[13] 뉴스 The Return of Scurvy? Houston Neurologist Diagnoses Hundreds of Patients with Vitamin Deficiencies https://www.houstonp[...] University of Houston 2016-08-17
[14] 웹사이트 Forgotten Knowledge: The Science of Scurvy http://www.thenakeds[...] 2016-04-29
[15] 논문 Safety of high-level vitamin C ingestion
[16] 논문 Neanderthals, vitamin C, and scurvy
[17] 서적 The Voyage of the Discovery https://archive.org/[...] 1905
[18] 서적 Manual of Nutritional Therapeutic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19] 웹사이트 Scurvy https://www.nhs.uk/c[...] 2019-06-25
[20] 논문 Scurvy http://emedicine.med[...] 2018-08-27
[21] 문서 Hippocrates described symptoms of scurvy in book 2 of his ''Prorrheticorum'' and in his ''Liber de internis affectionibus''.
[22] 논문 On the genetic etiology of scurvy http://www.seanet.co[...]
[23]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2005
[24] 서적 Avoiding the Dire Straits: An Inquiry Into Food Provisions and Scurvy in the Maritime and Military History of China and Wider East Asi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24-03-31
[25] 웹사이트 Scott and Scurvy http://www.idlewords[...] 2010-03-06
[26] 서적 Scurvy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24-03-15
[27] 웹사이트 Infantile Scurvy: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pediatrics.aa[...]
[28] 웹사이트 A medicina nas caravelas - Século XV http://periodicos.se[...]
[29] 웹사이트 Santa Helena, A Forgotten Portuguese Discovery http://ler.letras.up[...]
[30] 문서 "Logo que chegámos mandou-nos El Rey visitar e ao mesmo tempo um refresco de carneiros, galinhas, patos, limões e laranjas, as melhores que há no mundo, e com ellas sararam de escorbuto alguns doentes que tinhamos connosco"
[31] 서적 História da Medicina Portuguesa Durante a Expansão Círculo de Leitores, Lisbon 2013
[32] 웹사이트 A medicina nas caravelas - Século XV http://periodicos.se[...]
[33] 웹사이트 Jacques Cartier's Second Voyage http://www3.sympatic[...]
[34] 논문 Jacques Cartier witnesses a treatment for scurvy
[35] 논문 Arginine, scurvy and Cartier's "tree of life" 2009
[36] 웹사이트 El descubrimiento español de la cura del escorbuto http://abcblogs.abc.[...] 2018-02-27
[37] 서적 A history of Madagascar
[38] 서적 Diffusion of Innovations
[39] 서적 Disguised As the Devil: How Lyme Disease Created Witches and Changed History https://books.google[...] Wythe Avenue Press
[40] 서적 Preserving the self in the south seas, 1680–184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1] 서적 Timeline of Britain Canary Press 2009
[42] 서적 Conquista de las Islas Molucas http://cervantes.bne[...] Alonso Martín 2022-12-12
[43] 서적 Scurvy: How a Surgeon, a Mariner and a Gentleman Solved the Greatest Medical Mystery of the Age of Sail https://archive.org/[...] Viking
[44] 웹사이트 SCURVY and its prevention and control in major emergencies https://www.unhcr.or[...] 2022-03-05
[45] 뉴스 Cure for Scurvy discovered by a woman https://www.telegrap[...] 2009-03-05
[46] 간행물 James Lind and scurvy: A revaluation 2002
[47] 웹사이트 Observationes circa scorbutum https://books.google[...] 1734
[48] 문서 "The Blood of Nelson" 2006-10
[49] 간행물 Sailors' scurvy before and after James Lind - a reassessment
[50] 서적 A Treatise on the Scurvy: In Three Parts, Containing an Inquiry Into the Nature, Causes, an Cure, of that Disease, Together with a Critical and Chronological View of what Has Been Published on the Subject https://archive.org/[...] S. Crowder (and six others)
[51] 간행물 James Lind and Scurvy: a Revaluation 2002-01
[52] 웹사이트 Captain Cook and the Scourge of Scurvy https://www.bbc.co.u[...]
[53] 서적 Johnson's England: An Account of the Life & Manners of His Age READ BOOKS 2006
[54] 서적 Physician to the Fleet; the Life and Times of Thomas Trotter 1760-1832 The Boydell Press
[55] 간행물 Captain Cook's Beer; the anti-scorbutic effects of malt and beer in late 18th century sea voyages 2003
[56] 서적 Pathfinders: A Global History of Exploration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57] 웹사이트 BBC - History - British History in depth: Captain Cook and the Scourge of Scurvy https://www.bbc.co.u[...] 2022-03-05
[58] 서적 Pathfinders: A Global History of Exploration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59] 서적 Observations on the diseases incident to seamen 1785
[60] 서적 Observations on the Scurvy: With a Review of the Theories Lately Advanced on that Disease; and the Opinions of Dr Milman Refuted from Practice https://archive.org/[...] Charles Elliott and G.G.J. and J. Robinson, London
[61] 간행물 The Conquest of Scurvy in the Royal Navy 1793–1800: a Challenge to Current Orthodoxy 2008
[62] 웹사이트 Watch out for spring fever! https://knoxpediatri[...] Knoxville Pediatric Associates 2018-04-11
[63] 웹사이트 Études Hygiéniques de la chair de cheval comme aliment http://leslivresoubl[...] Musée des Familles 1841-1842
[64] 문서 Merchant Shipping Act 1867 1867-08-20
[65]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Food for free Collins
[67] 간행물 "A Good Advertisement for Teetotalers": Polar Explorers and Debates over the Health Effects of Alcohol, 1875–1904 2019-09-01
[68] 간행물 Tainted bodies: scurvy, bad food and the reputation of the British National Antarctic Expedition, 1901–1904 https://www.scienced[...] 2019-07-01
[69] 서적 Western Forests (The Audubon Society Nature Guides) https://archive.org/[...] Knopf 1985
[70] 서적 The Voyage of the Discovery https://archive.org/[...] Smith, Elder & Co
[71] 서적 The Voyage of the Discovery https://archive.org/[...] Smith, Elder & Co
[72] 논문 Tainted bodies: scurvy, bad food and the reputation of the British National Antarctic Expedition, 1901–1904 https://www.scienced[...] 2019-07-01
[73] 논문 Axel Holst and Theodor Frølich--pioneers in the combat of scurvy 2002-06
[74] 논문 A nutritional analysis of New Zealand Military food rations at Gallipoli in 1915: likely contribution to scurvy and other nutrient deficiency disorders 2013
[75] 논문 Prolonged meat diet experiment http://www.jbc.org/c[...]
[7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and the Discovery of Vitamins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8-01-25
[77] 웹사이트 The Albert Szent-Gyorgyi Papers Szeged, 1931-1947: Vitamin C, Muscles, and WWII https://profiles.nl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08-01-25
[78] 논문 '[Scurvy, a re-emerging disease].' 2005-11
[79] 논문 Lessons on nutrition of displaced people. 2002-07
[80] 웹사이트 Surprise scurvy cases suggest nutrient deficiencies, even amongst the obese https://www.westmead[...] Westmead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2017-08-23
[81] 논문 Medical experiments carried out in Sheffield on conscientious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during the 1939–45 war
[82] 논문 Experimental Scurvy in Man
[83] 서적 Fowler's Zoo and Wild Animal Medicine, Volume 8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07-31
[84] 논문 '[Scurvy in capybaras bred in captivity in Argentine.]'
[85] 웹사이트 Vitamin C http://www.eatwell.g[...] Food Standards Agency (UK) 2007-02-19
[86] 웹사이트 Vitamin C http://www.umm.edu/e[...]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2007-01
[87] 웹사이트 Vitamin C http://lpi.oregonsta[...] Oregon State University,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2006-01-31
[88] 논문 Molecular basis for the deficiency in humans of gulonolactone oxidase, a key enzyme for ascorbic acid biosynthesis 1991-12
[89] 논문 Guinea pigs possess a highly mutated gene for L-gulono-gamma-lactone oxidase, the key enzyme for L-ascorbic acid biosynthesis missing in this species 1992-10
[90] 논문 Random nucleotide substitutions in primate nonfunctional gene for L-gulono-gamma-lactone oxidase, the missing enzyme in L-ascorbic acid biosynthesis 1999-10
[91] 논문 Infantile scurvy: the centenary of Barlow's disease 1983-12
[92] 서적 The History of Scurvy and Vitamin C Cambridge University Press
[93] 논문 Aneurysmal protrusion of the posterior leaflet of the mitral valve. An auscultatory-electrocardiographic syndrome 1966-02
[94] 웹사이트 ビタミンC https://www.msdmanua[...]
[95] 문서 バウン(2014) p.54
[96] 문서 バウン(2014) p.53
[97] 웹사이트 壊血病 http://www.jsth.org/[...]
[98] 문서 ビタミンCを含まないものだけを数十日以上摂取し続ける
[99] 문서 バウン(2014) p.44
[100] 문서 近世イギリス海軍の食生活
[101] 문서 ヴァスコ・ダ・ガマ
[102] 문서 石神(2011) p.52
[103] 문서 バウン(2014) p.49-50
[104] 문서 キャベツを普通にゆでた場合、鉄鍋は元の量の1/5のビタミンCが失われるが銅鍋は2/3が失われる。
[105] 문서 煎茶は100g中に260mgのビタミンCがあるが、これはあくまで「乾燥時」のデータで、緑茶として飲む場合はこれよりはるかに少量の茶葉から出たビタミンCの一部を取ることになるので、実際の摂取は湯のみ1杯で6mg程度である
[106] 문서 石神(2011) p.111-114
[107] 문서 バウン(2014) p.54-55・90-91
[108] 문서 バウン(2014) p.86-101
[109] 문서 「ナツメグ、ニンニク、芥子の種、乾燥大根、ゴム没薬」を混ぜた物を「タマリンドで味付けした麦湯」で飲む
[110] 서적 柑橘類と文明 マフィアを生んだシチリアレモンから、ノーベル賞をとった壊血病薬まで 築地書館
[111] 문서 なお、そのほかの組は次点が「リンゴ酒(柑橘類に比べると少量だがビタミンCがあった)」組で「歯肉の腐敗は残るが倦怠感と衰弱が少しよくなった」と悪化を食い止める程度の効能を認めている。あとは「硫酸にアルコールを混ぜた液」組がうがいにより口内が綺麗になったのを除くと効果が無かった。
[112] 문서 ロブの場合は100mlにつき、作り立て時点で240mgで1カ月後には60mg(なお、レモンの生の果汁は100mlで50ないし80mgだが、ロブはこれを1/10程度に煮詰めてあるので元の果汁全部のビタミンCは500mgぐらいだった。)。スグリの瓶詰は原料のスグリが果汁100mlにつきビタミンC50ないし65mgだが、1か月後にはほぼ0に低下していた。
[113] 문서 バウン(2014) p.112-115・137-140
[114] 문서 前人未到の地でも食べられるものを見極められるように博物学者を連れて行った。
[115] 문서 塩漬け肉をゆでた際の油、slush。壊血病と直接関係ないが銅鍋でよく茹でてあったため酢酸銅が溶けて栄養の吸収を悪くしていた。
[116] 문서 発酵で腐敗防止ができることから体が腐っていくような壊血病にも発酵する物が有効ではないかと考えられた、準備しやすいので海軍では期待していた。
[117] 문서 ビタミンCが少しある。
[118] 문서 海軍とベルリンのシュトルヒ男爵が推していた食品で「時々スプーン1杯を水に溶かして飲むと予防と治療に効く」と男爵は言っていた
[119] 문서 ランの仲間の根を入れた飲み物
[120] 문서 肉と野菜を塩味で煮詰めた膠のような塊
[121] 문서 バウン(2014) p.158・163
[122] 문서 ただし、壊血病以外の死者は多数出ており、特に終盤バタヴィア港(現在のインドネシアのジャカルタ)でオーストラリアにつく前に起きていた座礁事故の本格修理に2カ月半もかかった際に、クックを含む73人がマラリアと赤痢にかかり「働けるものは士官も入れて20人ほど(クックの日記より)」という悲惨な状況に成り、これ以前に別件で死んでいた3人を合わせて95人中32人が死んだ。
[123] 문서 バウン(2014) p.164-167
[124] 문서 バウン(2014) p.173
[125] 문서 クックは他に「悪い油を取らない」のもいいのではないかと考えバター、チーズなどを廃止するようにも進言した。
[126] 문서 厳密に言うとバッテンのいう治療法は「麦芽汁に即席スープ、ザワークラウト、砂糖、サゴ、スグリなど」を加えると壊血病を抑えられるとしている。バッテン自身は知らなかったが、ザワークラウトにはある程度(100g中10mgほど)、スグリには大量(同50ないし65mg)にビタミンCが含まれていた。
[127] 문서 バウン(2014) p.176-179
[128] 문서 前述のように船医のペリーの証言に基づく。なお、現在の観点で言うと麦芽汁はビタミンBが豊富にあるので脚気予防には有効だがビタミンCはほとんどないということが分かっている
[129] 문서 クック自身も「高価すぎて多量に積めず単独ではなく補助用に使う」と述べている
[130] 문서 このため後の歴史学者ジェームズ・ワットは仮の話であってもクックが麦芽汁を保証したことは「重大な過失」と評価している
[131] 문서 バウン(2014) p.189-193
[132] 문서 バウン(2014) p.186-188
[133] 문서 個々の艦に乗り組む、雑多な経歴の船医より格上。名門貴族に生まれたブレーンは、名門のグラスゴー医科大学に学んだ当時のエリート医師であった。もともと船医ではなかったが、西インド諸島艦隊司令長官のジョージ・ロドニー提督から個人的に依頼されて、近代海軍の「艦隊軍医長」に相当する職務に就いたもの。
[134] 문서 当時ブレーンが調べたところ1年間で1万2019人中、壊血病以外も入れて病気で1518人死亡し、これは軍艦3隻分の乗員であった。
[135] 문서 バウン(2014) p.197-200
[136] 문서 「毎日レモン果汁を2/3オンスに砂糖2オンスを加えて酒にいれたものを飲ませ、壊血病が出た時はレモン果汁を増やす。」というもの、重要なところは「病気になったら取らせる」ではなく「毎日とらせて予防」させたところにある。
[137] 문서 このため19世紀初頭になるとイギリス海軍でのレモン消費量が年間5万ガロン(約1万1000リットル)になった。保存法も果汁はオリーブオイルを塗った樽に固く栓をして密閉し、レモンそのものは塩に漬け紙でくるんで軽い木枠に貯蔵したり、海水やオリーブ油に漬け、船の上で絞って酒に入れるようになった。これにより完全ではないが壊血病を食い止める程度のビタミンCを残せるようになった。
[138] 문서 バウン(2014) p.203-204・225-226
[139] 문서 バウン(2014) p.204
[140] 문서 石神(2011) p.143
[141] 서적 バウン(2014) p.54・240 "#バウン2014"
[142] 서적 アトレー(2015) p.103-104 "#アトレー2015"
[143] 서적 石神(2011) p.53-54 "#石神2011"
[144] 간행물 ビタミンCの真実 コラム「ビタミンの真実-8:日本でも壊血病はなくならない」よ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