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래 (농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래는 흙이나 기타 재료를 파거나 옮기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작된다. 영어 "spade"에서 유래되었으며, 삽과 혼용되기도 하지만, 삽은 느슨한 재료를 옮기는 데 사용되는 넓은 도구를, 가래는 굴착에 적합하도록 날카로운 가장자리와 뾰족한 끝을 가진 도구를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가래의 날이 화폐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현대에는 농업, 건설, 정원 가꾸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삽 - 부삽
  • 삽 - 넉가래
    넉가래는 삽날과 손잡이로 구성되어 눈을 치우는 도구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재료와 디자인으로 발전해왔고, 눈썰매 눈삽, 전동 눈삽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예술 작품이나 대중문화에서도 활용되고, 한국에서는 폭설 대비를 위해 준비하며 지방자치단체는 제설 대책을 마련한다.
  • 농기구 - 써레
    써레는 파종 전 토양 개선, 잡초 제거, 토양 통기성 향상 등을 위해 사용되는 농기구이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모내기 전 논을 고르는 데 사용되어 왔다.
  • 농기구 - 방아
    방아는 가축의 힘을 이용하여 곡물을 빻거나 찧는 도구로, 디딜방아, 물레방아, 연자방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과거 농업 생산력 향상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전통 농경 문화를 보여주는 유산으로 보존 및 활용되고 있다.
가래 (농기구)
도구 개요
종류손 도구
용도흙, 모래, 눈 등을 파거나 옮기는 데 사용
스페이드 (Spade)
형태날카롭고 평평한 금속판과 손잡이로 구성
재료금속 (주로 강철), 나무 또는 플라스틱
용도흙을 파거나 깎아내기
잔디 가장자리 정리
좁은 공간 작업
스페이드
일반적인 원예용 스페이드
쟁기 (鋤, Hoe)
형태넓적한 날과 긴 자루로 구성
용도흙을 고르거나 덮기
잡초 제거
밭을 일구기
쟁기
다양한 형태의 쟁기
가래 (농기구)
형태넓적한 삽날과 긴 손잡이, 발로 밟는 부분이 있는 도구
재료나무, 금속
용도논밭에서 흙을 뜨거나 쌓기
물길을 내거나 도랑을 만들기
가래
한국의 전통적인 가래

2. 어원

영어 "spade"는 고대 영어 ''spadu, spæduang''(여성형)[2] 또는 ''spadaags''(남성형)에서 유래되었다. 같은 단어는 고대 프리지아어 ''spadegem''와 고대 작센어 ''spadogem''에서도 발견된다. 고지 독일어 ''spatende''은 초기 근대 독일어에서만 나타나며, 아마도 저지 독일어에서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에서도 이 단어는 "spade"이다. 다른 스칸디나비아어 형태는 차례로 독일어에서 차용되었다.

따라서 이 용어는 게르만 조어에서 유래하지 않았을 수 있으며, 북해 게르만어의 혁신 또는 차용어인 것으로 보인다. 밀접하게 관련된 단어는 그리스어 σπάθηgrc : 이며, 여기에서 라틴어 ''spathala''가 파생되었다.

3. 디자인

어깨에 짊어진 뾰족한 삽


삽은 다양한 기능과 작업을 위해 여러 모양과 크기로 만들어지며, 디자인 또한 다양하다. 흔히 '삽(shovel)'과 '스페이드(spade)'를 혼용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 삽(shovel)은 석탄, 눈, 곡물 등 흩어지기 쉬운 재료를 옮기는 데 주로 사용되는 넓은 바닥의 도구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반면, 스페이드(spade)는 일반적으로 날카로운 가장자리, 곡선 형태, 뾰족한 끝을 가지고 있어 땅을 파는 작업에 더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다만, '정원 삽(garden spade)'이라는 용어는 잔디를 자르기 좋은 사각형 끝과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가진 특정 도구를 지칭하기도 한다.

가장 흔한 정원 삽은 보통 긴 손잡이와 넓은 날을 가지고 있으며, 발로 날 윗부분을 밟아 땅에 쉽게 박을 수 있도록 발판(tread)이 있다. 아이리쉬 삽(Irish spade)은 일반적인 정원 삽과 디자인은 비슷하지만 날의 폭이 훨씬 좁다. 보더 삽(border spade) 역시 정원 삽과 비슷한 모양의 날을 가졌지만 크기가 훨씬 작고, 손잡이는 상대적으로 길다.
샤프슈터(sharpshooter spade)는 길고 좁은 형태의 삽으로, 좁은 공간에 사용하거나 기둥 구멍을 팔 때 유용하다. 때로는 날의 너비보다 넓게 확장된 두꺼운 발판이 달려 있기도 하다.
터핑 아이언(turfing iron)은 짧고 둥근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잔디를 자르고 다듬는 데 특화된 도구이다.

삽과는 다른 도구이지만 유사한 형태로 사용되는 괭이(garden fork) 또는 포크(fork)는 갈퀴와 비슷한 모양으로, 땅을 풀거나 정원을 가꾸는 데 유용하다.
피쉬테일 삽(fishtail spade)은 땅을 파는 굴삭 능력과 일반적인 둥근 삽의 장점을 결합한 삼각형 모양의 날을 가지고 있어 다용도로 활용된다.

이 외에도 어린이들을 위한 작은 크기의 장난감 삽도 제작된다.

3. 1. 한국의 삽

에도시대의 농기구(쟁기 형태)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 삽(또는 넓은 의미의 쟁기)은 사람이 체중을 실어 발로 누르거나 손으로 밀어 땅을 파고 흙을 다루는 도구였다.[7] 초기에는 주로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몸체와 자루 전체가 하나의 나무로 이루어진 형태나, 몸체 부분에 다른 나무를 결합하여 만든 형태 등이 있었다.[7] 이러한 나무 도구는 오랫동안 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 문화가 발달하면서 도구 제작 기술도 발전했다.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 시기 서양에서는 이미 다양한 종류의 철제 도구가 사용되었으며, 여기에는 스페이드(삽)도 포함되었다.[8] 동아시아에서도 금속으로 만든 농기구가 점차 등장했다. 일본의 경우 야요이 시대 유적에서 금속제 쟁기 형태의 도구가 발견되기도 하지만, 습지 논을 경작하는 데에는 나무 도구만으로도 충분했기 때문에 나무 도구가 더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9] 시간이 흐르면서 끝에 쇠날을 부착하거나 전체를 철로 만든 삽들이 개발되어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4. 로이 쟁기질

로이 쟁기질은 '로이'라 불리는 형태의 삽을 사용하여 아일랜드에서 수행된 수동 쟁기질의 한 형태였다. 이는 말을 구입할 여유가 없거나, 농장 규모가 매우 작아 말을 이용하기 어렵거나, 말이 작업할 수 없는 매우 언덕이 많은 땅에서 주로 이루어졌다.[3] 1960년대까지 비교적 척박한 땅에서 사용되었다.[4] 로이 쟁기질은 땅을 뒤집어 만든 고랑이 배수 역할을 하므로 아일랜드의 습한 기후에 적합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경작하기 어려운 산비탈에서도 감자를 재배할 수 있게 했다.

5. 화폐

가래(삽)의 날은 고대 중국에서 화폐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후, 이 화폐는 크기가 작아지고 평평한 조각 형태로 만들어졌다. 진나라 시대에는 이러한 형태의 화폐가 둥근 동전으로 대체되었다.

6. 기타 용도


  • 석유 및 화학 공정 산업에서 스페이드(spade)는 파이프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중심부로부터 확실한 차단을 제공하는 둥근 금속 조각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주로 유체 간의 교차 오염을 방지하거나 라인 작업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름은 모양이 정원 삽과 약간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졌다. 스페이드가 제자리에 있는지는 작은 탭으로 알 수 있다.
  • 주방 용품 중 특정 아이스크림 스쿱은 모양 때문에 스페이드라고 불린다. 이러한 스쿱은 손으로 직접 만드는 밀크셰이크나 많은 양의 아이스크림을 한 번에 퍼야 할 때, 또는 위에 올리는 것처럼 동그란 모양이 필요 없는 디저트를 만들 때 주로 사용된다. 스페이드 모양의 머리는 또한 아이스크림 통 측면에 달라붙은 아이스크림을 긁어내는 데 도움이 된다.

7. 스키야키

자루가 떨어진 낡은 쟁기를 야외에서 냄비 대신 사용하여 새나 짐승의 고기채소를 구워 먹은 것이 스키야키의 시작이라는 설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ictionary.com Unabridged (v 1.1) definition of spade http://dictionary.re[...]
[2] 웹사이트 spade (n.1) https://www.etymonli[...] 2024-03-26
[3] 뉴스 Castlepollard venue to host Westmeath ploughing finals http://www.westmeath[...] 2011-06-01
[4] 뉴스 The plough and the stars http://www.tribune.i[...] 2011-06-01
[5] 서적 土木工事用器具機械 http://library.jsce.[...] 常磐書房
[6] 문서 古賀(2012)p.195
[7] 간행물 弥生時代後期の農耕具をめぐって https://nara-edu.rep[...] 高円史学会 1985-10-10
[8] 간행물 零細農耕の形成過程 https://agriknowledg[...] 東京農業大学農業経済学会 1977-09
[9] 간행물 日本の古代鋤 https://doi.org/10.1[...] 日本文化人類学会 195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