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메야마성 (교토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메야마성(교토부)은 교토부 가메오카 분지에 위치했던 일본의 성이다. 1578년 아케치 미쓰히데가 축성했으며,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중요시되어 여러 번의 개축을 거쳤다. 1609년에는 5층의 천수가 세워졌으나, 메이지 시대에 폐성되어 건물이 매각되거나 파괴되었다. 현재는 종교법인 오모토의 부지로, 성의 일부 구조물과 이전된 문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바국 - 우에스기씨
우에스기씨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까지 번영하며 간토 간령, 슈고 다이묘, 요네자와 번주 등을 역임했고, 메이지 시대에는 화족으로 서임되었다. - 단바국 - 단고국
단고국은 713년 단바국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일본의 옛 구니로, 현재의 교토부 북부에 해당하며, 고분 시대 다케노 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성했고, 에도 시대에는 여러 번으로 나뉘어 통치되다 메이지 유신 이후 교토부에 편입되었고, 단고 지리멘 등의 특산품으로 알려져 있다. - 교토부의 성 - 후시미성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건설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재건한 후시미성은 한때 권세를 상징했으나 지진과 일국일성령으로 파괴 및 폐성되었고, 현재는 일부 성터가 공원으로 조성되어 모의 천수각과 함께 남아있다. - 교토부의 성 - 니조성
니조성은 일본 교토에 있는 성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쇼군 거처로 건설하여 1626년에 완공되었으며, 니노마루 궁전에서 대정봉환이 선언되는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고, 현재는 국보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가메야마성 (교토부) | |
---|---|
개요 | |
이름 | 가메야마 성 |
다른 이름 | 가메보 성 가메오카 성 |
로마자 표기 | Kameyama-jō |
위치 | 교토부가메오카시 |
종류 | 평산성 |
현재 상태 | 유적 |
Google Map | 가메야마 성 교토 |
역사 | |
건설 | 1578년 |
건설자 | 아케치 미쓰히데 |
주요 인물 | 아케치 씨 하시바 씨 이시다 씨 오카베 씨 |
해체 | 1877년 |
구조 | |
성곽 구조 | 불명, 3층 (1578년 건설), 복합식 층탑형 5층 5계 (1609년 개축) |
재료 | 석벽 |
관련 정보 | |
과거 지휘관 | 아케치 씨 도요토미 히데카쓰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마에다 겐이 |
비고 | 아케치 미쓰히데의 단바 공략 거점 |
이미지 정보 | |
![]() |
2. 역사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는 오다 노부나가의 명으로 아케치 미쓰히데가 1578년부터 가메야마 산성을 쌓기 시작했다. 혼노지의 변 이후 하시바 히데요시가 일본을 통일하면서 주요 거점으로 삼았고, 에도 시대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1609년 오카베 나가모리를 성주로 임명하고 성을 대폭 확장했다. 1610년에는 5층 천수각이 세워졌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69년 가메오카번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871년 폐번치현으로 가메야마현이 되었다가 폐번되었다. 1873년에는 육군성이 성의 일부를 매각했고, 1877년 정부의 폐성 처분 결정, 1889년 시정촌에 불하, 1919년 종교법인 오모토가 성을 구입하여 관리하는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2. 1.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오다 노부나가의 명을 받고 단바 공략에 매진한 아케치 미쓰히데가 1578년부터 가메오카 분지의 중심에 있는 가메야마 산에 성을 쌓았다. 단바 평정 후 단바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지만, 1582년 아케치 미쓰히데가 혼노지의 변을 일으킨 뒤, 주고쿠 지방에서 회군한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토벌되었다.[6] 그 후, 일본을 통일한 히데요시의 주요 거점으로 중시되었으며 그의 친지 하시바 히데카쓰, 하시바 히데토시 등에게 성을 주었다.2. 2. 에도 시대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정권을 장악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가메야마 산성을 중시하여 1609년 후다이 다이묘인 오카베 나가모리에게 성을 주어 단바 가메야마 번주에 임명했다. 막부는 동원령을 내려 서국 다이묘들에게 노역을 부과했고, 가메야마 산성은 대폭 확장 개축되었다. 이 때, 도도 다카토라도 참여하여 성을 설계하고 자신의 성이었던 이마바리성의 천수각을 헌상하였다고 한다. 1610년 여름쯤 성이 완성되었고, 혼마루에는 5층의 승탑형 천수가 세워졌다.[1] 이후 성주는 오규 마쓰다이라 가문(1621년 ~ 1634년), 스가누마 가문(1634년 ~ 1648년),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1648년 ~ 1685년), 구제 가문(1685년 ~ 1697년), 이노우에 가문(1697년 ~ 1702년), 아오야마 가문(1702년 ~ 1749년)을 거쳐 1749년을 끝으로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 가문의 거성이 되어 메이지 유신을 맞이하게 된다.[1]2. 3. 메이지 시대 이후
- 1869년(메이지 2년) 가메야마 번에서 가메오카 번으로 개칭되었다.
- 1871년(메이지 4년) 폐번치현으로 가메오카 번에서 가메야마 현으로 바뀌어 폐번되었다.
- 1873년(메이지 6년) 육군성이 성의 존폐를 결정하고 건물 일부를 불하했다.[9]
- 1877년(메이지 10년) 정부가 폐성 처분을 결정했다.[9]
- 1889년(메이지 22년) 시정촌에 불하되어 전매되었다.[9]
- 1919년(다이쇼 8년) 11월 18일, 신종교 "오오모토"의 지도자 데구치 오니사부로(가메오카 출신)가 관리되지 않고 쇠퇴해 가던 본성을 구입하여 기존 근거지 아야베와 함께 거점으로 삼기 위해 정비를 시작했다.
- 1935년 (쇼와 10년) 12월 8일, 대일본제국 정부는 확대를 거듭하는 오오모토를 경계하여 제2차 오오모토 사건으로 철저한 탄압을 가했다. 그리고 구속된 오니사부로로부터 소유권을 저가로 가메오카정에 양도하게 했다.
- 1936년 (쇼와 11년) 5월 11일부터 6월 12일까지 시미즈구미에 의해 재판 결심 전에도 불구하고 오오모토 시설 파각이 진행되어, 본성이 파괴되었다. 신전은 1500발의 다이너마이트로 폭파되었고, 상징적인 돌은 재사용할 수 없도록 일본해에 버려졌다.[9]
- 1937년 (쇼와 12년) 사카구치 안고는 『일본 문화 사관』에서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성의 모습을 묘사했다. 종전 후 본성의 소유권은 다시 오오모토로 넘어갔다. 그대로 오오모토의 성지로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부속 건물
이전 출력에서는 주어진 원본 소스에 '부속 건물'에 대한 정보가 없어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고 답변드렸습니다. 하지만, 하위 섹션인 '천수'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므로, 이를 '부속 건물' 섹션에 간략하게 요약하여 추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19세기 중반에 촬영된 천수는 1609년에 건설된 5층 5계의 승탑형 대천수와 2층의 소천수로 구성된 복합식 건물이었다. 대천수 최상층은 난간과 하후로 장식되었지만, 다른 층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었다. 가메야마 산성의 천수는 아케치 미쓰히데가 지은 3층 천수를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5층으로 개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여러 번 개축되거나 해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마바리성 천수를 이축했다는 설이 있지만, 현재는 부정되고 있으며, 가메야마 산성 천수가 승탑형 천수의 초기 예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14][15][16][17]
3. 1. 천수
19세기 중반에 촬영된 천수는 1609년에 건설된 5층 5계의 승탑형 대천수와 2층의 소천수가 복합된 복합식 천수이다. 대천수 최상층에는 주위를 난간으로 꾸몄으며 하후로 장식되어 있다. 하지만, 최상층만 있을 뿐, 그 외의 층에서는 하후와 장식적인 화두창 등은 일체 두지 않았다.가메야마 산성의 천수는 성이 축성될 당시 아케치 미쓰히데에 의해 지어진 3층의 천수가 있었다. 이후,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1593년에 5층으로 개축한 것이라고 하며, 그 후로 천수가 어떻게 변모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상기의 서술대로 하후가 일체 없는 승탑형 양식의 천수는 1609년 1610년[14] 이후에 보여지는 것으로 아마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개축한 천수는 그 이후에도 여러 번 개축되었거나 해체되어 변모해 온 것으로 보고 있다.[15]
'''승탑형 천수의 시초?'''
일본 전국의 첫 승탑형 천수라는 견해가 있다.[16] 이는 《관정중수제가보》를 근거로 한 것으로 1604년 ~ 1608년의 이마바리성의 천수를 이축한 것이라는 설이다. 이 설은 자신의 거성인 우에노성으로의 이축을 위해 이마바리 성의 천수를 해체해 이세로 가는 중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에 따른 가메야마 산성 축성에 동원 될 때 도도 다카토라가 헌상한 것이라고 한다.[14] 이를 토대로 이마바리 성의 천수가 승탑형 천수의 시초라고 제시하고 있다.[14] 하지만, 이마바리 성의 천수의 외관과 규모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고, 그 존재에 관해서도 발굴조사 결과 부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마바리 성의 천수가 승탑형 천수의 시초라는 견해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하겠다. 이 때문에 현 시점에서의 승탑형 천수 첫 예로 가메야마 산성의 천수를 들고 있지만[17], 시초는 아니다.
4. 남아있는 건조물
천수대, 석벽, 해자, 성루 등은 종교법인 오모토가 매수한 후 모습이 변하였다. 1935년 오모토 사건으로 일본 정부에 의해 대부분 파각되었지만, 그 후 교단에 의해 다시 수복되었다.[9] 성의 신고텐 문(나가야 문)은 가메오카 시립 지요카와 초등학교에 이축되어 있다.
5. 관광
JR 서일본 사가노선 가메오카역에서 남쪽으로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 단, 성곽은 종교 법인 오오모토의 부지이므로, 견학하려면 입구 접수처에서 허가를 받아야 한다.[1] 지요카와역에서 하차하여 서쪽으로 도보 5분 거리에 성문의 이전 장소인 지요카와 초등학교가 있다.[1]
'''주변 문화시설 및 관광명소'''
- 라쿠라쿠소 - 일본 정원
- 이즈모 신사
- 유노하나 온천 (교토 부)
참조
[1]
웹사이트
第8回 光秀の丹波経略の拠点亀山城
https://shirobito.jp[...]
城びと
2019-07-25
[2]
웹사이트
明智光秀~1人でも多くの人に知ってもらいたい
http://www.kameoka.i[...]
亀岡市観光協会公式
2019-07-25
[3]
웹사이트
明智光秀 亀山城
https://kojodan.jp/c[...]
攻城団
2019-07-25
[4]
웹사이트
明智光秀の功績しのび、銅像の除幕式 京都・亀岡でまつり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2019-07-25
[5]
서적
中世城郭研究論集
新人物往来社
[6]
서적
明智光秀のすべて
新人物往来社
[7]
간행물
明智光秀の丹波統一
戎光祥出版
[8]
서적
中世の城と考古学
新人物往来社
[9]
서적
日本ばちかん巡り
新潮社
[10]
서적
【決定版】図説・天守のすべて
学習研究社
[11]
서적
復原 名城天守
学習研究社
[12]
서적
城 〔5〕近畿
毎日新聞社
[13]
서적
CG復元 よみがえる天守
新人物往来社
[14]
서적
【決定版】図説・天守のすべて(결정판 도설·천수의 모든 것)
가쿠슈켄큐샤
[15]
서적
復原 名城天守(복원 명성천수)
가쿠슈켄큐샤
[16]
서적
城 ⑤近畿(성5 긴키)
마이니치 신문사
[17]
서적
CG復元 よみがえる天守(CG복원 되돌아본 천수)
신진부쓰오라이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