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오창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오창구는 중국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투루판 시에 위치한 시할구이다. 고대 도시 가오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투르판 분지의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다. 역사적으로 차사국, 고창국, 위구르 제국, 몽골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2015년 투루판 시가 시로 승격되면서 구가 되었다. 주요 민족은 위구르족이며, 한족과 후이족도 거주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포도, 면화, 하미과 등이 특산물이며, 카레즈라는 독특한 관개 시스템이 존재한다. 관광 명소로는 고창 고성, 교하고성, 화염산, 베제클리크 천불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루판시의 행정 구역 - 산산현
    산산현은 고대 산산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하고 공룡 화석 유적지로 유명하며, 위구르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 투루판시의 행정 구역 - 토크순현
    토크순현은 이 문서에서 정의되지 않았으며, 관련 하위 주제들을 다루려 하지만 정보가 불충분합니다.
  •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시할구 - 미둥구
    미둥구는 2007년 우루무치 시의 둥산구와 미취안 시를 통합하여 설치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 시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우루무치 시의 북부 및 동부 교외 지역과 구르반퉁구트 사막 일부를 포함하며, 광물 자원 채굴 및 관광 명소가 위치한다.
  •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시할구 - 다반청구
    다반청구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한 실크로드의 중요한 고대 도시이자 한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번성했던 군사적 요충지 및 무역 중심지이며, 현재는 우루무치 시 남부 교외에 위치하고 위구르족 민요의 배경이 되는 곳이자 인권 문제 관련 논의가 이루어지는 지역이다.
  • 위구르족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위구르족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가오창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시 중심
공식 명칭高昌区
다른 이름카라호자
카라호자 라이오니
유형
행정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자치구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급시투르판 시
하위 행정 구역3개 가도, 2개 진, 7개 향
정부 소재지라오청로 가도
면적
총 면적13,650 km²
인구
총 인구 (2020년)317,443명
시간대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기타 정보
우편 번호838000
지역 번호0995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명칭

이 구는 고대 도시 가오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이 구를 아이딩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는 것도 제안되었다.[2] 투르판이라는 이름은 명대부터 알려지기 시작했고, 그 의미는 위구르어로 "움푹 들어간 땅"을 의미한다. 서역번국지에 의하면 15세기명나라 영락제의 명을 받은 진성이 이 땅을 방문하여 토이번(土爾番)이라 기록하였다.

3. 역사

전한 시대 차사국의 하나인 차사전국의 왕성은 교하성(야르호토)이었다. 교하성은 성 아래에 강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당시 인구는 6,500명 정도였다(당시 수도 장안의 인구는 24만 명 정도).[1] 교하 유적은 현재 투르판 시내에서 서쪽으로 10km 정도 떨어져 있다. 당시 한나라는 투르판 시내에서 동쪽으로 45km 떨어진 곳에 고창성(카라호자)을 쌓고 둔전을 실시했다.[1]

이후 중국에서 전란을 피해 고창으로 이주하는 사람이 많아졌고, 북량의 왕족 저거씨가 차사국을 멸망시키고 450년 고창국을 세운다.[1] 고창국은 유연에 멸망했고, 이후 북방민족(유연·고차·돌궐)의 영향 아래 원(元), 감(闞), 장(張), 마(馬)의 네 성씨가 왕이 되어, 498년 국가를 세우고 고창왕이 되었다가 640년 당나라에 멸망했다.[1]

당나라고창을 정복하고 안서도호부를 설치하여 서역 경영의 거점으로 삼았다.[1] 그러나 당나라의 국력이 약화되면서 9세기에는 천산 위구르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

몽골 제국 정복 후에는 차가타이 한국에, 분열 후는 동차가타이 한국에 예속되었다.[1]

투르판이라는 이름은 명대부터 알려졌으며, 위구르어로 "움푹 들어간 땅"을 의미한다. 서역번국지에 따르면 15세기 초 명나라 영락제의 명을 받은 진성이 이 땅을 방문하여 토이번(土爾番)이라 기록하였다.[1]

나라 때에는 준가르와의 쟁탈전에서 승리하여 이 땅을 지배하였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의 스튜디오 탐험대가 이 땅에 들어와 출토품을 가지고 돌아갔다.[1]

가오창구는 2015년 4월 12일 투루판이 현급시에서 지급시로 승격되면서 설치되었다. 가오창구는 이전 투르판 현급시와 동일한 규모와 인구를 가지고 있다.[1]

3. 1. 오타니 탐험대와 문화재 약탈 논란

20세기 초, 일본오타니 탐험대가 이 지역에 들어와 여러 출토품을 가져갔다.[1] 이는 둔황 문서와 함께 서역 및 고대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지만, 동시에 문화재 약탈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와 시민사회는 이러한 약탈 행위에 대한 진상 규명과 문화재 반환을 위한 국제적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4. 지리

투르판 분지 중앙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톈산 산맥을 마주하고 있다.[1] 투르판은 해발고도가 낮은 지역이 대부분이며, 아이딩호는 해발 -154m로 중국에서 가장 낮은 곳이다.[1] 북서쪽으로 150km 거리에 우루무치가, 동쪽으로 350km 거리에 하미가 있다.[1]

5. 기후

가오창구는 연중 매우 건조한 냉사막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Bwk'')를 보인다. 여름은 매우 덥고, 겨울에는 매우 춥다. 연평균 강수량은 16mm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적다.[5] 7월은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로, 평균 최고 기온이 39°C에 달하며, 화염산 지역은 지열이 70°C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1월은 가장 추운 달로, 평균 최저 기온은 -16°C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3°C6°C16.3°C26.5°C33.3°C37.9°C39.6°C38°C31.9°C21.8°C9.5°C-0.8°C21.5°C
평균 최저 기온 (℃)-12.1°C-6°C3.2°C12.4°C18.7°C23.2°C25°C22.8°C16.3°C7.1°C-2.1°C-9.6°C8.2°C
평균 기온 (℃)-7.6°C-0.5°C9.5°C19.3°C25.9°C30.5°C32.2°C30°C23.2°C13.2°C2.7°C-5.8°C14.4°C
월 강수량 (mm)1.1mm0.5mm1.2mm0.5mm0.9mm2.9mm1.9mm1.8mm1.6mm1.7mm0.6mm1mm13.8mm


6. 행정 구역

가오창구는 4개의 가도, 5개의 진, 3개의 향 및 기타 1개의 향급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2]

이름간체한어 병음위구르어 (UEY)위구르 라틴 (ULY)행정 구역 코드
가도
라오청 가도老城街道650402001
가오창 가도高昌街道650402002
푸타오거우 가도葡萄沟街道650402003
홍류허 가도红柳河街道650402004
치취안후 진七泉湖镇650402100
다허옌 진大河沿镇650402101
야얼 진亚尔镇650402102
아이딩컬 진(아이딩후 진)艾丁湖镇650402103
위루무치리크 진(푸타오 진)葡萄镇650402104
야얼쿤타그 진(훠옌산 진)火焰山镇650402105
차트칼 향恰特喀勒乡650402203
아스타네 향(산부 향)三堡乡650402205
성진 향胜金乡650402206
향급 행정 구역
투루판 종자 보존소原种场650402401


7. 인구 및 민족 구성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가오창구의 인구는 251,652명이었고 인구밀도는 15.99명/km2이었다.[4] 위구르족이 70% 이상을 차지하며, 한족, 후이족 등이 그 뒤를 잇는다.

가오창 구의 민족 비율[4]
민족주민 수비율
위구르족177,10670.38%
한족55,23821.95%
후이족18,4827.34%
투자족1820.07%
만주족1320.05%
투족980.04%
몽골족770.03%
티베트족700.03%
카자흐족560.02%
먀오족450.02%
러시아인330.01%
좡족310.01%
둥샹족300.01%
기타720.03%


8. 경제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포도, 면화, 하미과 등이 특산품이다.[1] 사막 지대에 물을 대는 관계 수로 시스템이 특징적이다.[1] 그 수원은 톈산산맥의 눈 녹은 물로, 산기슭에서 20~30m 간격으로 우물을 파서 그 바닥을 연결하여 수로로 만든 것이다.[1] 11세기경 이슬람 지역에도 전해져 카레즈로 불린다.[1]

9. 교통

투르판 역 (란신선, 난장선)과 투르판 북역이 있다. 투르판 자오허 공항이 있다.

10. 관광 명소

투르판은 한족의 영향이 가장 적은 지역 중 하나로, 위구르족의 비율이 70%에 이른다. 그만큼 민족색이 뚜렷하고 많이 남아 볼거리를 제공한다. 한나라 시대부터 당나라 시대의 유적인 고창고성, 교하고성, 아스타나 고분이 있고, 서유기의 전설이 남아 있는 화염산과 5세기 이후부터 9세기까지의 불화를 볼 수 있는 베제클리크 천불동은 그 신비를 더한다. 또한 청나라 건륭제 때 만들어진 소공탑은 실크로드 건축물 중 가장 인상적인 건축물 중 하나이다.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가오창 (고창고성, 高昌故城)
  • 교하고성(交河故城)
  • 포도구(葡萄溝)
  • 화염산(火焰山)
  • 베제클리크 천불동(柏孜克里克 千佛洞, Bezeklik Grottos)
  • 아스타나 고분(阿斯塔娜古墓)
  • 소공탑(蘇公塔)
  • 카레즈(Karez, 칸얼징, 坎爾井)
  • 투르판 박물관


소공탑(에민 미나렛)


교하고성


화염산

11. 카레즈 (칸얼징)

1년에 내리는 20mm의 강수량은 내리기도 전에 증발되어 버려서 지하 수로를 이용한 카레즈(Karez, 칸얼징,坎爾井)의 개발은 생존의 필수 조건이었다.

카레즈는 사막 지대에 물을 대는 관계 수로 시스템으로, 그 수원지는 톈산산맥의 눈 녹은 물이다. 산기슭에서 20~30m 간격으로 우물을 파서 연결하여 그 바닥을 연결하여 수로로 만들었다. 11세기경 이슬람 지역에서 전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Xinjiang: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http://www.citypopul[...]
[2] 웹사이트 原新疆吐鲁番市为何更名为高昌区?-亚心网 https://web.archive.[...] 2015-04-21
[3] 웹사이트 吐鲁番撤地设市 新疆首个撤销地区建制设立的地级市 https://web.archive.[...] ECNS - China News 2015-04-14
[4] 웹사이트 3-7 各地、州、市、县(市)分民族人口数 https://web.archive.[...] Statistical Bureau of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2021-06-11
[5]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3-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