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족력은 개인의 질병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의료 전문가가 수집하는 정보로, 가족 구성원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1840년대부터 의학 문헌에서 언급되기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환자의 질병과 친척의 건강 상태를 연관 짓는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가족력 수집이 일반적인 관행으로 자리 잡았으며, 제임스 베그비와 프랜시스 갈턴 등은 가족력 정보를 우생학적 관점에서 활용할 것을 주장하기도 했다. 1920년대에는 우생학 기관에서 강제 불임 시술 대상자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심혈관 질환, 자가면역 질환, 정신 질환, 당뇨병, 암 등 특정 질병의 위험 평가에 활용되며, 가족력 정보는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용유전학 - 23andMe
- 응용유전학 - 복제 (생물학)
체세포 핵이식이나 수정란 분할 등의 방법을 통해 유전 정보가 동일한 생명체를 복제하는 생물학적 기술은 복제양 돌리 탄생 이후 발전과 윤리적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각국은 관련 법규를 제정하여 연구를 규제하고 있다. - 의학 용어 - 만성질환
만성질환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문제로, 식습관, 생활 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의학 용어 - 후유증
후유증은 질병이나 외상 이후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문제이며, 다양한 질환과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진단과 치료,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가족력 | |
---|---|
정의 | |
가족력 | 가족 구성원의 병력 정보 |
중요성 | |
질병 예측 |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줌 |
예방 및 관리 | 가족력을 기반으로 질병 예방 및 관리 전략을 수립 가능 |
수집 방법 | |
정보원 | 가족 구성원과의 대화, 의료 기록 등 |
포함 내용 | 주요 질병 (심장병, 당뇨병, 암 등) 발병 여부 및 시기 사망 원인 및 시기 기타 건강 관련 정보 |
활용 | 의사 상담 시 제공하여 진료 및 검사 계획 수립에 활용 |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 |
유전적 요인 | 질병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 포함 |
환경적 요인 | 생활 습관, 식습관 등 환경적 요인도 고려해야 함 |
기타 | |
가족력 조사 | 체계적인 가족력 조사는 개인의 건강 관리 및 질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 |
추가 정보 | 가족력 평가는 다양한 진료 환경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가족력 기반 위험 평가의 구현 및 효과 연구가 진행 중 |
2. 우생학적 기원과 적용
가족력 개념은 초기 의학적 필요성에서 점차 확장되어 19세기 후반 우생학 사상과 결합되기 시작했다. 제임스 베그비(James Begbie)는 가족 정보를 질병 예측뿐 아니라 규범적 평가에도 활용했는데,[6] 이는 프랜시스 갈턴(Francis Galton)이 1883년 저서에서 가족력을 우생학적 전략의 핵심으로 제시한 것과 연결된다. 갈턴은 소위 '우수한' 인간을 선별하고 생산하기 위해 여러 세대에 걸친 가족력 기록 수집이 필수적이라고 보았으며,[7] 1900년대 초에는 이를 바탕으로 한 우생학적 인증 제도 개발을 제안했다.[8]
이러한 우생학적 관점은 20세기에 들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면서 심각한 인권 침해를 낳았다. 1920년대부터 일부 정부의 우생학 관련 기관들은 가족력을 근거로 강제 불임 시술 대상자를 선정하는 데 악용했으며,[9][10] 노스캐롤라이나 우생학 위원회와 같은 조직은 결혼이나 출산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우생학 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에서 가족력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기도 했다.[11] 이는 우생학이 개인의 신체와 재생산 권리를 통제하려는 위험한 시도였음을 보여준다. 장애 역사 박물관에 소장된 1924년경의 가짜 우생학 증명서는 당시 사회에 우생학적 사고가 얼마나 퍼져 있었는지를 짐작하게 한다.[12]
2. 1. 초기 의학 문헌에서의 가족력
의학 문헌에서 가족력에 대한 언급은 184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1842년 헨리 앤셀(Henry Ancell)은 의학 사례 연구에서 환자의 가족력에 대해 질문한 내용을 기록했는데, 환자가 겪는 문제가 친척에게도 나타나는지, 그리고 여성 친척의 생식 능력 등에 대해 언급했다.[4] 1849년, W.H. 왈쉬(W.H. Walshe)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에서 진행한 강연을 통해 의사가 환자의 병력뿐만 아니라 가족력까지 수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왈쉬는 강연에서 가족력의 정의나 필요성을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는데, 이는 당시 의사들 사이에서 가족력 수집이 이미 어느 정도 일반적인 관행으로 여겨졌음을 시사할 수 있다. 하지만 19세기 후반의 일부 의사들은 가족력 수집의 중요성에 대해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했으며, 때로는 아직 가족력을 정기적으로 수집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제임스 베그비(James Begbie)는 사촌을 포함한 가족 구성원 전체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족 내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6] 베그비는 가족력 정보를 질병 예측뿐만 아니라 규범적인 평가에도 활용했는데, 이는 1883년 프랜시스 갈턴(Francis Galton)이 그의 저서 《인간 능력과 그 발달에 관한 탐구》(Inquiries into Human Faculty and Its Developmenteng)에서 가족력을 우생학적 전략으로 옹호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갈턴은 가족력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 "인간 우생학, 즉 높은 수준의 인간이 생산되는 조건을 연구하는 것은 현재 3~4대에 걸친 의학적 및 일반적인 완전한 가족력의 부재로 인해 매우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말, 소, 개 등 동물의 우생학을 연구하는 데는 이러한 어려움이 없습니다. 이러한 가축의 세대는 짧고, 어떤 가축의 사육자는 자신의 개인적인 관찰을 통해 많은 경험을 얻을 수 있을 만큼 오래 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나이가 들어 힘이 약해지기 전까지 동시대 사람의 두세 세대 이상을 잘 알기 어렵기 때문에, 그의 실무 경험은 주로 기록에 기반을 두어야 합니다. 나는 인간 우생학이 머지않아 가장 실용적인 중요성을 가진 연구로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개인 및 가족 기록을 수집하는 습관을 장려하고 지도하는 데 시간을 낭비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7]
갈턴은 1900년대 초, 이러한 가족력 기록을 바탕으로 우생학적 인증 제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이후 1920년대부터 가족력 정보는 일부 정부의 우생학 관련 기관에서 강제 불임 시술 대상자를 선정하는 데 악용되기도 했다.[9][10] 노스캐롤라이나 우생학 위원회와 같은 기관들은 결혼이나 출산에 적합한 사람을 가려내는 우생학 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에서 가족력을 고려하기도 했다.[11] 장애 역사 박물관에는 1924년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짜 우생학 증명서가 소장되어 있는데, 이는 본래 사랑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것이었다.[12]
2. 2. 프랜시스 골턴과 우생학
제임스 베그비(James Begbie)는 사촌을 포함한 가족 전체의 건강 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가족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질병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6] 베그비는 가족력 정보를 예측뿐만 아니라 규범적 평가에도 활용했는데, 이는 1883년 저서 '인간의 능력과 그 발달에 관한 연구'(Inquiries into Human Faculty and Its Development)에서 가족력을 우생학 전략으로 옹호한 프랜시스 골턴(Francis Galton)의 주장을 예견한 것이었다.골턴은 인간 우생학 연구, 즉 우수한 인간이 태어나는 조건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세대에 걸친 완전한 가족력 기록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기록의 부재가 연구에 큰 제약이 된다고 지적하며, 개인과 가족의 기록 수집을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골턴은 다음과 같이 썼다.[7]
: "인간 우생학, 즉 높은 수준의 인간이 생산되는 조건을 연구하는 것은 현재 3~4대에 걸친 의학적 및 일반적인 완전한 가족력의 부재로 인해 매우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말, 소, 개 등 동물의 우생학을 연구하는 데는 이러한 어려움이 없습니다. 이러한 가축의 세대는 짧고, 어떤 가축의 사육자는 자신의 개인적인 관찰을 통해 많은 경험을 얻을 수 있을 만큼 오래 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나이가 들어 힘이 약해지기 전까지 동시대 사람의 두세 세대 이상을 잘 알기 어렵기 때문에, 그의 실무 경험은 주로 기록에 기반을 두어야 합니다. 나는 인간 우생학이 머지않아 가장 실용적인 중요성을 가진 연구로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개인 및 가족 기록을 수집하는 습관을 장려하고 지도하는 데 시간을 낭비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7]
골턴은 1900년대 초, 수집된 가족력을 바탕으로 우생학적 인증 제도를 개발할 것을 주장했다.[8] 이러한 생각은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기도 했는데, 1920년대부터 일부 정부의 우생학 관련 기관에서는 가족력을 근거로 강제 불임 시술 대상자를 평가하는 데 사용하였다.[9][10] 노스캐롤라이나 우생학 위원회와 같은 기관들은 결혼과 출산에 적합한 후보자를 선별하여 우생학 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에서 가족력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했다.[11] 장애 역사 박물관에는 약 1924년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짜 우생학 증명서가 소장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며 사랑의 메시지로 보내질 의도로 만들어진 것이었다.[12]
2. 3. 우생학 기관에서의 활용
프랜시스 갈턴(Francis Galton)은 1883년 저서 Inquiries into Human Faculty and Its Development에서 가족력을 우생학 전략으로 활용할 것을 주장했다.[7] 갈턴은 우수한 인간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에 완전한 가족력 정보가 필수적이라고 보았으며, 1900년대 초에는 이를 바탕으로 우생학적 인증 제도를 개발하자고 제안했다.[8]이러한 생각은 실제로 1920년대부터 일부 정부의 우생학 기관에서 실행에 옮겨졌다. 이들 기관은 가족력을 강제 불임 시술 대상자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았다.[9][10] 예를 들어, 노스캐롤라이나 우생학 위원회와 같은 곳에서는 결혼과 출산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게 '우생학 증명서'를 발급하는 데 가족력을 중요한 판단 근거로 사용하기도 했다.[11] 장애 역사 박물관에는 1924년경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짜 우생학 증명서가 소장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우생학적 관념이 사회에 퍼져 있었음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12]
3. 활용
가족력 정보는 개인의 질병 위험을 예측하고, 유전 양상을 파악하며, 적절한 건강 검진 계획을 세우는 등 다양한 의료적 판단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13]
3. 1. 질병 위험 평가
의료 전문가들은 개인의 질병 발생 위험을 평가할 때 가족력을 중요한 정보로 활용한다.[13] 특히 심혈관 질환, 자가면역 질환, 정신 질환, 당뇨병, 암과 같은 특정 질병에 대한 가족력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개인이 유사한 건강 문제를 겪을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그러나 가족력 정보가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복잡한 가족 관계나 병력 정보를 명확하게 정리하기 위해 가계도나 게노그램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질병은 특정 성별을 통해서만 유전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X 염색체 연관 질환이나 일부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주로 모계를 통해 유전된다. 한국과 같이 결혼 후 여성이 성을 바꾸는 문화권에서는 여성 조상의 기록을 추적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사망 기록에 기재된 사망자의 결혼 전 성이나 어머니의 결혼 전 성, 또는 유언장이나 유산 관리 기록 등이 여성 조상을 추적하는 데 유용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남성 계통을 통해서만 유전되는 질환도 있는데, Y 염색체 연관 질환이 대표적이다. 다만 Y 염색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이러한 질환은 상대적으로 드물다. 강간이나 혼외 관계를 통해 자녀가 태어난 경우에는 부계 조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가족 구성원이 특정 질병으로 진단받은 나이를 아는 것 또한 중요하다. 예를 들어, 대장암이나 유방암과 같은 질병은 가족 중 이른 나이에 진단받은 사람이 있다면,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더 이른 시기에 선별 검사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다.
3. 2. 가족력 정보의 부정확성
가족력 정보는 여러 가지 이유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13]가족 관계나 병력이 복잡할 때는 가계도나 게노그램을 활용하여 정보를 정리하기도 한다.
일부 질환은 특정 성별을 통해서만 유전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조상을 추적하기 어려워 정보가 부정확해질 수 있다.
- X 염색체 연관 질환이나 일부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주로 여성 계통을 통해 유전된다. 여성이 결혼하며 성씨를 바꾸는 문화권에서는 여성 조상을 추적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사망 기록에 사망자의 결혼 전 성씨나 어머니의 결혼 전 성씨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유언장이나 유산 관리 기록이 여성 조상을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 Y 염색체 연관 질환은 남성 계통을 통해서만 유전되지만, Y 염색체의 크기가 작아 해당 질환은 드문 편이다. 강간이나 혼외 관계로 임신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생물학적 남성 조상을 추적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3. 3. 유전 방식
일부 질환은 특정 성별 계통을 통해서만 유전되는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X 염색체 연관 질환 및 일부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주로 여성 계통을 통해 유전된다.[13] 여성이 결혼 시 성(姓)을 바꾸는 문화가 있는 사회에서는 여성 조상을 추적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때 사망 기록에 기재된 사망자의 결혼 전 성이나 어머니의 결혼 전 성, 또는 유언장이나 유산 관리 기록 등이 여성 조상을 추적하는 데 유용한 단서가 될 수 있다.다른 한편으로, Y 염색체 연관 질환은 남성 계통을 통해서만 유전된다. 하지만 Y 염색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질환은 드물게 나타난다. 강간이나 결혼 외 관계를 통한 임신 등으로 아버지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남성 조상을 추적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3. 4. 선별 검사
가족 구성원이 특정 질병으로 진단받은 나이를 아는 것은 대장암이나 유방암 같은 질병의 선별 검사 시기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 결과
가족력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유전적인 원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같은 가족 구성원이 동일한 독소와 같은 환경 요인에 노출된 결과일 수도 있다. 특정 질환에 대한 강력한 가족력은 해당 질환의 검사나 치료를 더 일찍 시작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심혈관 질환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14] 또한, 유전적 요인이 알려진 질환의 경우,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은 예방을 위해 조기 진단 및 중재를 받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혈색소침착증 등 여러 질환에서 적용된다.
4. 1. 유전적 원인과 환경적 요인
가족력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유전적인 원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같은 가족 구성원들이 동일한 독소에 노출되었다면, 유전적인 원인이 없어도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만약 환자가 특정 질환이나 관련 질환군에 대한 뚜렷한 가족력을 가지고 있다면, 일반적으로 해당 증상에 대한 검사를 받거나 치료를 시작하는 기준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특히 심혈관 질환에서 중요한데, 강력한 가족력은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로 간주된다.[14]
유전적 요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질환의 경우, 긍정적인 가족력을 가진 많은 건강한 사람들이 질병의 발현을 예방하기 위해 조기 진단 및 중재를 목표로 일찍 검사를 받는다. 이러한 접근법은 혈색소침착증 및 다양한 다른 질환들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4. 2. 질병 관리
환자가 특정 질환이나 질환군에 대한 강력한 가족력을 가지고 있다면, 일반적으로 증상에 대한 검사를 받거나 치료를 시작하는 기준이 낮아진다. 특히 심장 질환의 경우, 강력한 가족력은 중요한 심혈관 위험 요소로 여겨진다.[14]또한, 유전적 요인이 알려진 질환에 대해 긍정적인 가족력을 가진 건강한 사람들은 증상 발현을 예방하고자 조기 진단 및 치료를 목표로 일찍 검사를 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접근은 혈색소침착증 및 다양한 질환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4. 3. 조기 진단 및 중재
환자가 특정 질환이나 질환군에 대한 강력한 가족력을 가지고 있다면, 일반적으로 증상에 대한 검사를 받거나 치료를 시작하는 데 드는 기준이 낮아진다. 이는 특히 강력한 가족력이 중요한 심혈관 위험 요소로 간주되는 심장 질환에서 두드러진다.[14]알려진 유전적 요소가 있는 질환의 경우, 긍정적인 가족력을 가진 많은 건강한 사람들이 증상 발현을 예방하기 위해 조기 진단 및 중재를 목표로 조기에 검사를 받는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혈색소침착증 및 다양한 기타 질환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5. 정의
wikitext
유형 | 설명 |
---|---|
주요 병력 (Chief complaint, CC) | 환자가 병원을 찾은 주된 이유 |
현 병력 (History of present illness, HPI) | 주요 병력에 대한 자세한 정보 |
과거 병력 (Past medical history, PMH) | 과거 질병, 수술, 입원 경험 등 |
사회력 (Social history, SH) | 직업, 흡연, 음주, 결혼 상태 등 생활 습관 |
가족력 (Family history, FH) | 가족 구성원의 건강 상태 및 유전 질환 여부 |
신체 검토 (Review of systems, ROS) | 각 신체 계통별 증상 검토 |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Health History: The Basic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10-24
[2]
논문
Implementation, adoption, and utility of family health history risk assessment in diverse care settings: evaluating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impact with an implementation framework
2019-02
[3]
논문
At the intersection of precision medicine and population health: an implementation-effectiveness study of family health history based systematic risk assessment in primary care
2020-11-07
[4]
논문
History of a remarkable case of tumours, developed on the head and face; Accompanied with a similar disease in the abdomen
1842
[5]
논문
Lectures on Clinical Medicine
1849-01-06
[6]
서적
Contributions to Practical Medicine
Adam and Charles Black
[7]
서적
Inquiries into Human Faculty and Its Development
Macmillan
[8]
웹사이트
Notes on Eugenic Certificates
https://wellcomecoll[...]
1906
[9]
논문
A well-oiled machine: Alberta's eugenics program, 1928-1972
https://go.gale.com/[...]
2011
[10]
웹사이트
Buck v. Bell, 274 U.S. 200 (1927)
https://supreme.just[...]
2021-04-20
[11]
서적
Demography and Degeneration: Eugenics and the Declining Birthrate in Twentieth-Century Britai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2]
웹사이트
Eugenic Certificate
https://www.disabili[...]
1924
[13]
논문
Reconsidering the family history in primary care
[14]
논문
Family history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markers of subclinical cardiovascular disease: Where do we stand?
http://www.atheroscl[...]
2013-04-10
[15]
웹인용
Family Health History: The Basic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10-24
[16]
웹인용
가족력
https://terms.naver.[...]
2023-02-28
[17]
논문
Implementation, adoption, and utility of family health history risk assessment in diverse care settings: evaluating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impact with an implementation framework
2019-02
[18]
논문
At the intersection of precision medicine and population health: an implementation-effectiveness study of family health history based systematic risk assessment in primary care
2020-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