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헬싱키 교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릭 헬싱키 교구는 핀란드의 로마 가톨릭 교회 관할 구역이다. 1550년 투르쿠 주교의 사목 종료 이후 핀란드에서 가톨릭교회는 쇠퇴하였으나, 1920년 핀란드 대목구 설정, 1955년 헬싱키 교구 승격을 통해 재건되었다. 현재 8개의 본당과 여러 보조 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핀란드 전역에 걸쳐 있다. 역대 교구장으로는 핀란드 교황 대리였던 헨리 벅스, 빌렘 코벤, 헬싱키 교구장 파울 버쉬렌, 요제프 브루벨, 테무 시포, 라이모 고야롤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싱키의 단체 - 유럽 화학물질청
유럽 화학물질청(ECHA)은 EU 내 화학 물질의 안전 관리를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REACH, CLP, BPR 등 관련 규정 시행과 SVHC 관리, PIC 규정 시행, SCIP 데이터베이스 운영을 담당하며, 규정 준수를 지원하는 IT 시스템 및 도구를 제공하고 결정에 대한 이의 제기 절차를 운영한다.
가톨릭 헬싱키 교구 | |
---|---|
기본 정보 | |
관할 구역 | 핀란드 전체 |
관구 | 교황청 직속 |
면적 | 338,424 |
인구 (2018년) | 5,501,267 |
가톨릭 신자 | 15,000 |
가톨릭 신자 비율 | 0.2 |
![]() | |
명칭 | |
한국어 | 헬싱키 교구 |
라틴어 | Dioecesis Helsinkiensis |
핀란드어 | Helsingin hiippakunta |
스웨덴어 | Helsingfors stift |
교회 정보 | |
교구 설정 | 1920년 핀란드 대목구 설정; 1955년 헬싱키 교구 설정 |
주교좌 성당 | 성 헨리코 대성당 |
본당 수 | 8 |
사제 수 | 30 |
지도자 | |
교구장 | 라이모 고야롤라 |
교구장 직함 | 주교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헬싱키 교구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688년 핀란드는 북유럽 전교 대목구에 편입되었다. 1783년 북유럽 전교 대목구에서 스웨덴 대목구가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당시 스웨덴 대목구는 스웨덴뿐만 아니라 핀란드도 담당하였다. 1809년 핀란드가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핀란드 가톨릭교회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모길료프 관구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 1920년 바티칸은 핀란드 대목구를 설정했고, 1955년 헬싱키 교구로 승격되었다.
2. 1. 종교개혁 이전
1550년 투르쿠의 주교를 끝으로 핀란드의 사도 전승은 단절되었다. 이후 핀란드에는 루터교가 장악하였다. 16세기 종교 분열이 발발하면서 대부분의 북유럽 국가들은 가톨릭교회와의 친교가 완전히 단절되었다. 1582년 사목자를 잃은 핀란드와 기타 북유럽의 가톨릭 신자들을 위해 쾰른의 교황 대사가 사목을 맡게 되었다. 1622년 교황청에 포교성성이 설립되면서 브뤼셀의 교황 대사는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쾰른의 교황 대사는 독일 북부를, 폴란드의 교황 대사는 핀란드와 스웨덴, 메클렌부르크를 담당하게 되었다.2. 2. 종교개혁과 핍박
1550년 아보의 주교를 끝으로 핀란드의 사도 전승은 단절되었다. 이후 핀란드에는 루터교가 장악하였다. 16세기 종교 개혁이 발발하면서 대부분의 북유럽 국가들은 가톨릭교회와의 친교가 완전히 단절되었다. 1582년 사목자를 잃은 핀란드와 기타 북유럽의 가톨릭 신자들을 위해 쾰른의 교황 대사가 사목을 맡게 되었다. 1622년 교황청에 포교성성이 설립되면서 브뤼셀의 교황 대사는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쾰른의 교황 대사는 독일 북부를, 폴란드의 교황 대사는 핀란드와 스웨덴, 메클렌부르크를 담당하게 되었다.[1]1688년 핀란드는 북유럽 전교 대목구에 편입되었다. 1783년 북유럽 전교 대목구에서 스웨덴 대목구가 따로 분리되어 설정되었다. 당시 스웨덴 대목구는 스웨덴 뿐만 아니라 핀란드도 담당하였다. 1809년 핀란드가 러시아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면서 핀란드 가톨릭교회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모길료프 관구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 1920년 바티칸은 핀란드 대목구를 설정하였고, 1955년 헬싱키 교구로 승격되었다.[1]
2. 3. 러시아 지배와 핀란드 대목구 설정
1550년 아보의 주교를 끝으로 핀란드의 사도 전승은 단절되었다. 이후 핀란드에는 루터교가 장악하였다. 16세기 종교 개혁으로 대부분의 북유럽 국가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친교가 완전히 단절되었다. 1582년 사목자를 잃은 핀란드와 기타 북유럽의 가톨릭 신자들을 위해 쾰른의 교황 대사가 사목을 맡게 되었다. 1622년 교황청에 전교 성성이 설립되면서 브뤼셀의 교황 대사는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쾰른의 교황 대사는 독일 북부를, 폴란드의 교황 대사는 핀란드와 스웨덴, 메클렌부르크를 담당하게 되었다.1688년 핀란드는 북방 선교 대목구에 편입되었다. 1783년 북방 선교 대목구에서 스웨덴 대목구가 분리되어 설정되었다. 당시 스웨덴 대목구는 스웨덴 뿐만 아니라 핀란드도 담당하였다. 1809년 핀란드가 러시아 제국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면서 핀란드 가톨릭교회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모길레프 대교구의 관리를 받게 되었다. 1920년 바티칸은 핀란드 대목구를 설정했고, 1955년 헬싱키 교구로 승격되었다.
3. 교구 현황
가톨릭 헬싱키 교구는 핀란드 전역을 관할하며, 8개의 본당과 각 본당에 속한 여러 개의 보조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본당 | 보조 센터 |
---|---|
헬싱키 성 헨리 대성당 | 반타 Tapanila, 포르보 |
헬싱키 성 마리아 성당 | 에스포 올라리, 휘빈캐, 카리스 |
투르쿠 성 브리지타와 축복받은 헤밍 성당 | 올란드 제도, 유라요키, 포리 |
위배스퀼레 성 올라프 성당 | |
탐페레 성 십자가 성당 | Hämeenlinna, 코콜라, 크리스티네스타드, 야콥스타드, 세이내요키, 바사 |
코우볼라 성 우르술라 성당 | 하미나, 코트카, 라티, 라펜란타 |
오울루 나자렛 성가족 성당 | 로바니에미, 토르니오, 케미, 카야니 |
쿠오피오 성 요셉 성당 | 미켈리, 사본린나, 요엔수, 리에크사 |
로바니에미는 라플란드와 산타클로스로 유명한 관광지여서, 북부 핀란드에 새로운 본당을 세우려는 수요가 많다.
3. 1. 교구 구성
- 헬싱키 성 헨리 대성당 (보조 센터 - 반타 Tapanila, 포르보)
- 헬싱키 성 마리아 성당 (보조 센터 - 에스포 올라리, 휘빈캐, 카리스)
- 투르쿠 성 브리지타와 축복받은 헤밍 성당 (보조 센터 - 올란드 제도, 유라요키, 포리)
- 위배스퀼레 성 올라프 성당
- 탐페레 성 십자가 성당 (보조 센터 - Hämeenlinna, 코콜라, 크리스티네스타드, 야콥스타드, 세이내요키, 바사)
- 코우볼라 성 우르술라 성당 (보조 센터 - 하미나, 코트카, 라티, 라펜란타)
- 오울루 나자렛 성가족 성당 (보조 센터 - 로바니에미, 토르니오, 케미, 카야니)
- 쿠오피오 성 요셉 성당 (보조 센터 - 미켈리, 사본린나, 요엔수, 리에크사)
로바니에미가 라플란드와 산타클로스의 주요 관광지이기 때문에 북부 핀란드에 새로운 본당을 설립하려는 수요가 높다.
4. 역대 교구장
역대 헬싱키 교구장은 다음과 같다.
- 헨리 미셸 장 북스: 1923년~1933년 (핀란드 교황 대리)
- 빌렘 페트루스 바르톨로메우스 코벤: 1933년~1955년 (핀란드 교황 대리), 1955년~1967년 (헬싱키 교구장)
- 파울 버쉬렌: 1967년~1998년 (헬싱키 교구장)
- 요제프 브루벨: 2001년~2008년 (헬싱키 교구장)
- 테무 시포: 2009년~2019년 (헬싱키 교구장)
- 라이모 고야롤라:2023년~ (헬싱키 교구장)
4. 1. 핀란드 교황 대리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헨리 벅스 (SCI) | 1923년–1933년 | |
빌렘 코벤 (SCI) | 1933년–1955년 |
4. 2. 헬싱키 교구장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헨리 미셸 장 북스 주교 | 1923년~1933년 | 핀란드 교황 대리 |
빌렘 페트루스 바르톨로메우스 코벤 주교 | 1933년~1967년 | 핀란드 교황 대리(1933~1955), 헬싱키 교구장(1955~1967)[4] |
파울 버쉬렌 주교 | 1967년~1998년 | 헬싱키 교구장[4] |
요제프 브루벨 주교 | 2001년~2008년 | 헬싱키 교구장[4] |
테무 시포 주교 | 2009년~2019년 | 헬싱키 교구장[4] |
라이모 고야롤라 주교 | 2023년~ | 헬싱키 교구장[5] |
참조
[1]
웹사이트
Katolinen.net
https://www.katoline[...]
[2]
뉴스
Renuncias y nombramientos, Nombramiento del Obispo de Helsinki (Finlandia)
https://press.vatica[...]
Boletín de la Oficina de Prensa de la Santa Sede
2023-09-29
[3]
간행물
Resignations and Appointments, 20.05.2019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19-05-20
[4]
웹사이트
Diocese of Helsinki
http://www.catholic-[...]
2022-04-11
[5]
웹사이트
Resignations and Appointments
https://press.vat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