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색긴혀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색긴혀박쥐는 몸길이 42~61mm의 작은 박쥐로, 멕시코 북서부부터 남아메리카 대륙, 가이아나까지 널리 분포한다. 등 쪽 털은 계피색 갈색부터 거무스름한 갈색까지 다양하며, 가늘고 긴 주둥이와 작은 잎코를 갖는다. 나무 구멍, 동굴 등에서 은신하며, 파초속과 우단콩속 식물의 꽃꿀과 꽃가루, 아크니스투스속 열매를 먹고 나방을 섭취한다. 3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기재된 포유류 -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는 뉴질랜드에 서식했던 중간 크기의 박쥐로 뉴질랜드작은짧은꼬리박쥐보다 크고 튼튼한 체형을 지녔으나, 폴리네시아 쥐의 유입과 서식지 파괴로 1965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2000년대 후반 목격담으로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어 IUCN 적색 목록에 '심각한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추가 조사가 진행 중이다. - 1962년 기재된 포유류 - 바바리아소나무밭쥐
바바리아소나무밭쥐는 유럽에 서식하며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재발견되었고, 제한적인 서식지와 개체수 감소로 IUCN에 의해 심각한 위협에 처한 종으로 분류되어 알펜동물원에서 종 보존을 위한 번식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 주걱박쥐과 - 마린켈레칼코박쥐
마린켈레칼코박쥐는 콜롬비아 동부 사바나 서식지에 서식하며 곤충을 먹는 비교적 큰 칼코박쥐속의 박쥐로,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존이 시급하다. - 주걱박쥐과 - 슐츠둥근귀박쥐
갈색긴혀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명 | Glossophaga commissarisi |
명명자 | Gardner, 1962 |
보전 상태 | |
IUCN | LC (관심 필요) |
IUCN 참고 | Miller, B., Reid, F., Arroyo-Cabrales, J., Cuarón, A.D. & de Grammont, P.C. 2016. Glossophaga commissaris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9273A22108801.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진수하강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목 | 박쥐목 |
과 | 주걱박쥐과 |
아과 | 긴혀박쥐아과 |
속 | 긴혀박쥐속 |
분포 | |
![]() |
2. 특징
작은 박쥐로 몸길이는 42mm~65mm, 전완장은 32mm~35mm, 날개 길이는 32mm~42mm, 꼬리 길이는 4mm~11mm이다. 발 길이는 8mm~12mm, 귀 길이는 11mm~16mm이며, 몸무게는 평균 9.3g~9.5g이고 최대 11g에 달한다.[5] 등 쪽 털은 계피색 갈색부터 거무스레한 갈색까지 다양하며, 배 쪽은 갈색빛 노랑에서 회색빛 갈색을 띤다. 전반적으로 어두운 갈색, 밝은 갈색, 붉은 갈색 등 다양한 색깔을 보인다. 주둥이는 가늘고 길며, 작은 피침 형태의 잎코를 가지고 있다. 털과 같은 유두가 돋아난 긴 혀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종은 성적 이형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핵형은 2n=32, FNa=60이다.[5]
나무 구멍 속과 동굴, 굴 속에서 은신한다. 파초속과 우단콩속 식물의 꽃꿀과 꽃가루, 아크니스투스속 열매를 먹고 나방을 먹기도 한다. 1월과 4월 사이 그리고 7월과 8월 사이에 일 년에 한두 번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멕시코 북서부와 남부 지역부터 페루, 파나마까지, 그리고 동쪽으로 가이아나에 이르는 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분포한다. 저지대부터 해발 최대 2400m 고도까지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있는 상록수림, 바나나 농장, 초원 지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2]
3. 생태
4. 분포 및 서식지
5. 아종
5. 1. G. c. commissarisi
유카탄반도를 제외한 멕시코 남부와 과테말라, 벨리즈,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코스타리카, 파나마 지역에 분포한다.
5. 2. G. c. bakeri
콜롬비아 남부, 에콰도르 동부, 페루 북동부, 브라질 아마조나스주, 가이아나 서부 지역에 분포한다.[4]
5. 3. G. c. hespera
''G. c. hespera''는 멕시코 시날로아주와 두랑고주 지역부터 콜리마주 지역까지 분포한다.
참조
[1]
간행물
"''Glossophaga commissarisi''"
2016
[2]
웹사이트
Commissaris's Long-tongued Bat - Glossophaga commissarisi - Details - Encyclopedia of Life
http://eol.org/pages[...]
2017-06-01
[3]
문서
Glossophaga commissaris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4]
간행물
"SPECIES ''Glossophaga commissarisi''"
MSW3 Chiroptera
[5]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Central America and Southeast Mexico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